중성화 후 방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성화 후 방생(TNR, Trap-Neuter-Return)은 길고양이 개체 수 관리 방법 중 하나로, 포획 후 중성화 수술을 하고 원래 서식지로 돌려보내는 방식이다. TNR은 동물 복지, 개체 수 조절, 시민들의 지지 증가 등의 장점이 있으나, 야생 동물에 미치는 영향, 질병 전파 가능성 등과 같은 논쟁도 존재한다. 각 국가별로 길고양이 관련 법규와 TNR 프로그램 시행 방식이 다르며, 캐나다,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대한민국 등에서 TNR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이 관련 문화 - 검은 고양이
검은 고양이는 털 색깔이 검은색인 고양이를 통칭하며, 털 색깔, 태비 무늬, 햇빛 노출에 따른 색 변화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여러 문화권에서 행운 또는 불운의 상징으로 여겨지거나 무정부주의 및 노동 운동의 상징, 대중문화 캐릭터로 활용된다. - 고양이 관련 문화 - 도서관 고양이
도서관 고양이는 쥐를 잡는 역할에서 시작하여 이용자와 교감, 독서 장려, 홍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알레르기 문제나 보조 동물과의 갈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한다. - 동물복지 - 동물 안락사
동물 안락사는 회복 불가능한 질병, 고통스러운 부상, 심각한 행동 문제 등으로 고통받는 동물의 생명을 인도적인 방법으로 종료시키는 행위로, 약물 주입, 가스 흡입, 물리적 방법 등이 사용되나 윤리적 논쟁의 중심에 있으며 국가 및 지역별 법적 규정과 정책이 상이하다. - 동물복지 - 중성화 수술
중성화 수술은 동물의 생식 능력을 제거하는 수술로, 피임, 행동 교정, 특정 질병 예방을 위해 실시되며, 암컷은 난소자궁절제술을, 수컷은 고환 제거술을 시행하고, 비만 등 일부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유기 동물 발생을 줄이기 위해 조기 중성화 수술을 하기도 한다. - 환경 논란 -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건
2015년 미국 환경보호청이 폭스바겐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기준을 속이는 불법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었음을 밝혀내어 환경 오염과 공중 보건 위협을 야기했으며, 폭스바겐 CEO 사임, 주가 폭락, 벌금, 손해배상, 리콜 사태를 초래하여 자동차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환경 논란 -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특정 지역의 인구수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인구 분포와 과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도시 계획, 환경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높거나 낮은 밀도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중성화 후 방생 | |
---|---|
개요 | |
명칭 | 중성화 후 방생 |
원어 명칭 | Trap–Neuter–Return (TNR) |
설명 |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 전략 |
목표 | 길고양이 개체 수 감소 동물 복지 증진 공중 보건 개선 |
절차 | |
포획 | 길고양이를 덫 등으로 포획 |
중성화 수술 | 수의사를 통해 중성화 수술 시행 |
광견병 예방 접종 | 광견병 예방 접종 실시 (선택 사항) |
귀 절단 | 중성화된 고양이임을 표시하기 위해 왼쪽 귀 끝을 작게 절단 (notch) |
방생 | 원래 포획 장소에 다시 풀어줌 |
효과 | |
개체 수 감소 효과 | 장기적으로 길고양이 개체 수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음 |
행동 변화 | 중성화된 고양이는 발정기 울음소리 감소 영역 다툼 감소 공격성 감소 |
건강 개선 | 전염병 확산 감소 전반적인 건강 상태 개선 |
논란 및 비판 | |
효과에 대한 이견 | 일부 연구에서는 TNR의 효과에 대한 의문 제기 |
야생 동물 보호 문제 | 고양이가 야생 동물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사냥) 생태계 교란 우려 |
인도적인 문제 | TNR이 고양이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지에 대한 논쟁 방생된 고양이의 생존 환경에 대한 우려 |
전염병 문제 | TNR 시행 지역에서 광견병 위험 증가 가능성 |
코요테 문제 | TNR 시행 지역에서 코요테와의 충돌 가능성 증가 |
대안 | |
보호소 수용 | 길고양이를 보호소에 수용하여 관리 |
안락사 | 개체 수 조절을 위해 안락사 시행 (논란이 있음) |
입양 장려 | 길고양이를 가정에서 입양하도록 장려 |
완전 격리 보호 | 고양이를 완전히 격리된 환경에서 보호 |
기타 | |
지지 단체 | 동물보호단체 등 |
반대 단체 | 조류 보호 단체 등 |
2. 용어
TNR (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은 길고양이 개체 수 관리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TNR은 길고양이를 포획하여 중성화 수술(수컷은 정관 절제술, 암컷은 난소 절제술 또는 자궁 절제술)을 실시하고, 회복 기간을 거친 후 포획했던 장소로 다시 방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TNR 외에도 TNSR (Trap-Neuter-Shelter-Return, 포획-중성화-보호소-재방사), TNVR (Trap-Neuter-Vaccinate-Return, 포획-중성화-백신 접종-재방사), TNRM (Trap-Neuter-Return-Monitor, 포획-중성화-재방사-모니터링) 등 다양한 변형된 약어가 사용된다. TTVAR (Trap-Test-Vaccinate-Alter-Return, 포획-검사-백신 접종-중성화-재방사)는 TNVR에 질병 검사를 추가한 방식이다.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 후 방사) 프로그램에 대한 찬반 논쟁은 동물 복지, 개체 수 조절, 인간과 동물 간의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국제적, 국가적, 지역적 단체 및 협회들은 TNR에 대해 각기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동물 보호 단체들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 후 방생)은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을 위한 한 방법으로, 안락사의 대안으로 제시된다. TNR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주장이 존재하며, 찬반 입장에서 장단점을 살펴볼 수 있다.
TVHR (Trap-Vasectomy/Hysterectomy-Return, 포획-정관절제술/자궁절제술-방사)은 중성화 수술 대신 정관 절제술 또는 자궁 절제술을 실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RTF (Return to Field, 현장 복귀)는 포획된 동물을 치료 또는 중성화 수술 후 다시 포획 장소로 돌려보내는 것을 의미하며, TNS (Trap, Neuter, Shelter, 포획, 중성화, 보호소)는 포획된 동물을 중성화 수술 후 보호소로 보내는 방식이다. TNS는 길고양이의 입양 기회를 높이고, 질병 관리 및 추가적인 건강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3. 옹호와 반대
### 옹호와 반대
TNR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각 단체의 입장은 크게 찬성, 조건부 찬성, 반대로 나뉜다.
TNR에 대한 반대 입장: 동물 복지 및 야생 동물 보호를 이유로 TNR을 반대하는 단체로는 PETA, 국제 야생 동물 재활 협의회, 야생동물 협회, 미국 조류 보호 협회, 호주 왕립 동물 학대 방지 협회, 캐나다 수의학 협회, 호주 수의학 협회가 있다. 이들은 TNR이 야생 동물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길고양이의 복지 문제를 주요 근거로 제시한다. 특히, 고양이가 야생 조류 및 소형 포유류를 사냥하여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한다.
TNR에 대한 조건부 찬성 입장: TNR을 조건부로 지지하는 단체는 미국 동물 학대 방지 협회, 미국 휴메인 협회, 영국 왕립 동물 학대 방지 협회 등이다. 이들은 TNR의 효과와 윤리성을 인정하면서도,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이러한 조건에는 지역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 충분한 자원 확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등이 포함된다.
한국의 TNR에 대한 입장: 한국에서는 동물 보호 단체들을 중심으로 TNR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지지 성향의 동물 보호 단체들은 TNR에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하며,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TNR이 길고양이의 개체 수를 조절하고, 안락사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길고양이의 건강과 복지를 개선하고, 시민들의 동물 보호 의식을 높이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
TNR은 길고양이의 개체 수 조절을 위한 안락사의 대안으로 제시되면서, 동물 보호 단체와 시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안락사는 생명을 존중해야 한다는 윤리적 가치에 반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좁은 보호 시설에서 발생하는 질병 문제, 예산 부족으로 인한 관리 소홀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반해 TNR은 길고양이의 존엄성을 유지하고, 장기적으로 길고양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TNR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논쟁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TNR이 들고양이 개체 수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지만, 다른 일각에서는 그 효과에 의문을 제기한다. TNR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역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 충분한 자원과 인력 확보, 프로그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NR 프로그램은 유기 동물의 증가 가능성, 유전자 침입 문제 등 여러 한계를 가지고 있다. TNR을 통해 중성화된 고양이는 번식 능력을 잃지만, 여전히 길 위에서 살아가야 하며, 새로운 유기 고양이가 TNR 지역으로 유입될 경우 개체 수 감소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
TNR 프로그램은 단기적인 해결책이 아닌 지속적인 관리와 노력을 필요로 한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유기 동물 발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 또한, TNR 프로그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문제점을 개선해나가야 한다.
TNR 옹호론자들은 TNR 프로그램이 입양, 안락사 등 다른 고양이 관리 방식에 비해 장기적으로 비용을 절감한다고 주장한다. 플로리다주 오렌지 카운티의 연구에 따르면, TNR 프로그램은 안락사 등 다른 방식에 비해 장기적으로 상당한 비용 절감을 가져왔다.
TNR 프로그램은 자원봉사자들과 보호소 직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2011년 미국 반려동물 소유주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TNR 프로그램에 찬성했으며, 63%는 지역 사회의 고양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답했다. 2019년 브리즈번 시 주민 대상 연구에서는 TNR 프로그램이 지역 사회의 길고양이 개체 수 감소에 기여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중성화 후 방생 프로그램은 길고양이들의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킨다는 주장이 있다. 중성화는 암컷 고양이의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고통을 경감시키고, 새끼 고양이의 사망률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국 수의학 협회(AVMA)는 TNR 프로그램과 함께 더 나은 영양 섭취, 질병 예방 접종, 아픈 고양이의 인도적인 안락사를 권장하며 고양이의 건강 관리를 강조한다. TNR은 또한 고양이들 간의 싸움을 줄이고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가져온다.
TNR 과정 자체가 비인도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WFLA 탐사 보도에 따르면, TNR 과정에서 고양이들이 제대로 관리받지 못하거나, 중성화 수술 후 합병증으로 고통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한국에서 TNR 프로그램 시행 시, 포획 과정에서의 스트레스 및 부상 방지, 중성화 수술 후의 적절한 관리, 안전한 환경 조성 등 윤리적 문제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진보 진영의 동물권 단체들은 포획틀 개선, 수의사 인력 확보, 시민 교육 강화, 정부 지원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TNR 사업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고양이들의 건강과 복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길고양이 TNR 프로그램은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뿐만 아니라, 길고양이와 관련된 민원을 줄이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플로리다주 오렌지 카운티의 연구에 따르면, TNR 프로그램 시행 후 길고양이 관련 민원이 감소했다. 텍사스 A&M 대학교의 연구 역시 TNR이 길고양이 개체수 감소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주민들의 불만을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는 전 세계적으로 토착 야생 동물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고양이는 포식자로서, 야생 동물의 개체 수 감소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북미에서는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가 인위적인 조류 사망의 가장 큰 단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섬에서 고양이에 의해 발생한 종 멸종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한국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서도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가 야생 조류 및 소형 포유류의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환경 단체들은 고양이의 중성화 후 방생(TNR) 프로그램의 관리 및 개선을 통해 야생 동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떠돌이 동물은 공중 보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는 여러 질병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FIV)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 외부 기생충, 장내 기생충 등 다양한 질병을 전파할 수 있다. 고양이의 배설물에는 캄필로박터, 살모넬라, 톡소카라 카티, Ancylostoma,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알디아, 톡소플라즈마 등 다양한 인수 공통 병원체가 포함되어 있다.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 개체군은 광견병, 톡소플라즈마증, 선충 기생충 감염, 페스트, 툴라레미아, 발진티푸스, 고양이 할큄병, 조류 인플루엔자 A/H5N1 바이러스, 포자모양균증 등 다양한 인수 공통 감염병의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질병들은 사람과 동물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떠돌이 동물 개체수 관리와 질병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4. 장점 및 단점
== 장점 및 단점 ==
TNR은 길고양이의 개체 수 감소, 안락사 수 감소, 비용 절감, 사기 진작 및 대중의 지지 증가, 고양이의 건강과 복지 향상, 민원 감소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사냥으로 인한 야생 동물에 미치는 영향, 인간과 동물의 건강에 대한 위험 등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TNR은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와 유기동물 보호 및 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하는 대안으로 제시된다. TNR은 포획된 길고양이를 중성화 수술을 거쳐 원래 서식지로 돌려보내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질병 검사 및 치료도 함께 이루어진다. TNR은 길고양이의 번식을 막아 개체 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영역 동물인 고양이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서식지에서 생활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유기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길고양이의 생존율을 높이고 시민들의 동물 복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동물 보호 단체와 시민들은 안락사가 생명 존중의 윤리적 가치에 반하며, 좁은 보호 시설의 질병 문제, 예산 부족으로 인한 관리 소홀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비판하며, TNR을 길고양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한다.
미국에서 유기 고양이 보호소에서의 안락사는 고양이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2012년 미국 동물보호협회(ASPCA)의 통계에 따르면, 한 해 동안 약 150만 마리의 고양이가 보호소에서 안락사되었다. 이후, 2017년에는 86만 마리로 감소했으며, 2019년에는 67만 마리로 줄어드는 등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다. 보호소의 과밀화, 고양이의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의료적 필요, 법원 명령, 재정적 또는 인력적 제약 등이 안락사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TNR 프로그램 시행 이후 보호소로 유입되는 고양이의 수가 감소하고, 안락사 건수 또한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지만, 이 둘 사이의 인과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요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TNR 옹호론자들은 TNR 프로그램이 입양, 안락사 등 다른 고양이 관리 방식에 비해 장기적으로 비용을 절감한다고 주장한다. TNR 프로그램의 비용 절감 효과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인구 밀도, 고양이 개체 수, 자원 봉사자 참여도, 지자체의 지원, 수의사 비용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플로리다주 오렌지 카운티의 연구에 따르면, TNR 프로그램은 안락사 등 다른 방식에 비해 장기적으로 상당한 비용 절감을 가져왔다. 또한, 포트 오렌지에서는 TNR 프로그램을 통해 고양이 관련 민원이 감소하고, 공공 자원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TNR 프로그램은 자원봉사자들과 보호소 직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2011년 미국 반려동물 소유주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TNR 프로그램에 찬성했으며, 63%는 지역 사회의 고양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답했다. 2019년 브리즈번 시 주민 대상 연구에서는 TNR 프로그램이 지역 사회의 길고양이 개체 수 감소에 기여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중성화 후 방생 프로그램은 길고양이들의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킨다는 주장이 있다. 중성화는 암컷 고양이의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고통을 경감시키고, 새끼 고양이의 사망률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미국 수의학 협회(AVMA)는 TNR 프로그램과 함께 더 나은 영양 섭취, 질병 예방 접종, 아픈 고양이의 인도적인 안락사를 권장하며 고양이의 건강 관리를 강조한다. TNR은 또한 고양이들 간의 싸움을 줄이고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가져온다. 하지만 TNR 과정 자체가 비인도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WFLA 탐사 보도에 따르면, TNR 과정에서 고양이들이 제대로 관리받지 못하거나, 중성화 수술 후 합병증으로 고통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한국에서 TNR 프로그램 시행 시, 포획 과정에서의 스트레스, 수술 후 회복 과정 관리, 방사 후 안전한 환경 조성 등 윤리적 문제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진보 진영의 동물권 단체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획틀의 개선, 수의사 인력 확보, 시민 교육 강화, TNR 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TNR 사업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고양이들의 건강과 복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길고양이 TNR 프로그램은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뿐만 아니라, 길고양이와 관련된 민원을 줄이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플로리다주 오렌지 카운티의 연구에 따르면, TNR 프로그램 시행 후 길고양이 관련 민원이 감소했다. 텍사스 A&M 대학교의 연구 역시 TNR이 길고양이 개체수 감소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주민들의 불만을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는 전 세계적으로 토착 야생 동물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고양이는 포식자로서, 먹이를 먹지 않고 사냥하고 죽이는 습성이 있다. 북미에서는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가 인위적인 조류 사망의 가장 큰 단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섬에서 고양이에 의해 발생한 종 멸종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가 야생 조류 및 소형 포유류의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환경 단체들은 고양이의 TNR 프로그램 관리 및 개선을 통해 야생 동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떠돌이 동물은 공중 보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고양이는 여러 질병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FIV)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 외부 기생충, 장내 기생충 등에 감염될 수 있다. 또한, 리케차, 콕시엘라와 같은 세균에 감염될 수도 있다. 고양이의 배설물에는 다양한 인수 공통 병원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병원체들은 사람에게 감염되어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 개체군은 광견병, 톡소플라즈마증, 선충 기생충 감염, 페스트, 툴라레미아, 발진티푸스, 고양이 할큄병, 조류 인플루엔자 A/H5N1 바이러스, 포자모양균증 등 다양한 인수 공통 감염병의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4. 1. 시간이 지남에 따른 개체 수 감소 주장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프로그램이 들고양이 개체 수 감소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일부에서는 TNR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지만, 다른 일부에서는 그 효과에 의문을 제기한다.
TNR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지역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수적이다. 둘째, 포획, 중성화, 재방사, 그리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충분한 자원과 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개선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TNR 프로그램은 여러 한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모든 고양이를 포획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며, 새로운 고양이가 유입되어 개체 수가 다시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TNR 프로그램을 통해 들고양이 개체 수가 감소한 사례가 보고되었다. 매리맥 강 고양이 구조 협회 역시 TNR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사회의 들고양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 사례에도 불구하고, TNR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TNR 프로그램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유기 동물의 증가 가능성이다. TNR을 통해 중성화된 고양이는 번식 능력을 잃지만, 여전히 길 위에서 살아가야 한다. 이로 인해, 새로운 유기 고양이가 TNR 지역으로 유입될 경우, 개체 수 감소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 또한, TNR 프로그램은 유전자 침입(gene flow)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TNR을 통해 중성화된 고양이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다른 고양이와 교배할 경우, 유전자 풀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TNR 프로그램은 단기적인 해결책이 아닌, 지속적인 관리와 노력을 필요로 한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유기 동물 발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 또한, TNR 프로그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문제점을 개선해나가야 한다.
4. 2. 안락사 논쟁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 후 방생)은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을 위한 인도적인 방법으로, 안락사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안락사는 윤리적 문제와 함께, 유기동물 보호 및 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드러내는 문제로 인식된다. TNR은 포획된 길고양이를 중성화 수술을 거쳐 원래 서식지로 돌려보내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질병 검사 및 치료도 함께 이루어진다. TNR은 길고양이의 번식을 막아 개체 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영역 동물인 고양이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서식지에서 생활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유기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TNR은 길고양이의 생존율을 높이고, 시민들의 동물 복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NR은 안락사의 대안으로 제시되면서, 동물 보호 단체와 시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안락사는 생명을 존중해야 한다는 윤리적 가치에 반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좁은 보호 시설에서 발생하는 질병 문제, 예산 부족으로 인한 관리 소홀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반해 TNR은 길고양이의 존엄성을 유지하고, 장기적으로 길고양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4. 2. 1. 안락사 수 감소
미국에서, 유기 고양이 보호소에서의 안락사는 고양이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이 주장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안락사 감소 추세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지만, 그 이유를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프로그램의 효과만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2012년 미국 동물보호협회(ASPCA)의 통계에 따르면, 한 해 동안 약 150만 마리의 고양이가 보호소에서 안락사되었다. 이후, 2017년에는 86만 마리로 감소했으며, 2019년에는 67만 마리로 줄어드는 등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다.
보호소에서 안락사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다양하다. 보호소의 과밀화, 고양이의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의료적 필요, 법원 명령에 따른 안락사, 보호소의 재정적 또는 인력적 제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TNR 프로그램 시행 이후 보호소로 유입되는 고양이의 수가 감소하고, 안락사 건수 또한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지만, 이 둘 사이의 인과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요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동물 보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입양 프로그램의 활성화, 지역 사회의 지원 등이 안락사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
4. 2. 2. 비용 절감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옹호론자들은 TNR 프로그램이 입양, 안락사 등 다른 고양이 관리 방식에 비해 장기적으로 비용을 절감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고양이 개체 수 조절을 위한 다른 방법들에 비해 TNR이 경제적 효율성을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하지만, TNR 프로그램의 비용 절감 효과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여러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인구 밀도, 고양이 개체 수, 자원 봉사자 참여도, 지자체의 지원, 수의사 비용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따라서, TNR 프로그램의 비용 효과는 획일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플로리다주 오렌지 카운티의 연구에 따르면, TNR 프로그램은 안락사 등 다른 방식에 비해 장기적으로 상당한 비용 절감을 가져왔다. 또한, 포트 오렌지에서는 TNR 프로그램을 통해 고양이 관련 민원이 감소하고, 공공 자원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사례들은 TNR 프로그램이 특정 지역에서 성공적인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2. 3. 사기 진작 및 대중의 지지 증가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수술-제자리 방사) 프로그램은 자원봉사자들과 보호소 직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2011년 미국 반려동물 소유주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TNR 프로그램에 찬성했으며, 63%는 지역 사회의 고양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답했다. 2019년 브리즈번 시 주민 대상 연구에서는 TNR 프로그램이 지역 사회의 길고양이 개체 수 감소에 기여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들은 TNR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높이고, 자원봉사자들의 사기를 진작하는 데 기여한다.
4. 3. 고양이의 건강과 복지 향상
중성화 후 방생(TNR) 프로그램은 길고양이들의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킨다는 주장이 있다. 중성화는 암컷 고양이의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고통을 경감시키고, 새끼 고양이의 사망률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국 수의학 협회(AVMA)는 TNR 프로그램과 함께 더 나은 영양 섭취, 질병 예방 접종, 아픈 고양이의 인도적인 안락사를 권장하며 고양이의 건강 관리를 강조한다. TNR은 또한 고양이들 간의 싸움을 줄이고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가져온다.
그러나 TNR 과정 자체가 비인도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WFLA 탐사 보도에 따르면, TNR 과정에서 고양이들이 제대로 관리받지 못하거나, 중성화 수술 후 합병증으로 고통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한국에서 TNR 프로그램 시행 시, 다음과 같은 윤리적 문제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첫째, 포획 과정에서 고양이에게 과도한 스트레스나 부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둘째, 중성화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질병 감염이나 합병증 발생 시 즉각적인 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방사 후 고양이들이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진보 진영의 동물권 단체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획틀의 개선, 수의사 인력 확보, 시민 교육 강화, TNR 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TNR 사업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고양이들의 건강과 복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4. 4. 민원 감소
길고양이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 수술 후 방사) 프로그램은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뿐만 아니라, 길고양이와 관련된 민원을 줄이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암컷 고양이의 발정기는 소음, 악취, 임신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중성화 수술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플로리다주 오렌지 카운티의 연구에 따르면, TNR 프로그램 시행 후 길고양이 관련 민원이 감소했다. 텍사스 A&M 대학교의 연구 역시 TNR이 길고양이 개체수 감소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주민들의 불만을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TNR 프로그램이 길고양이 문제 해결의 효과적인 방안임을 시사한다.
4. 5. 사냥으로 인한 야생 동물에 미치는 영향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는 전 세계적으로 토착 야생 동물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고양이는 외래종으로, 많은 국가에서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특히 섬과 같은 고립된 생태계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고양이는 포식자로서, 먹이를 먹지 않고 사냥하고 죽이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행동은 야생 동물의 개체 수 감소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북미에서는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가 인위적인 조류 사망의 가장 큰 단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섬에서 고양이에 의해 발생한 종 멸종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한국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서도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가 야생 조류 및 소형 포유류의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도시 외곽이나 농촌 지역에서 고양이의 사냥 행위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생태계의 다양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환경 단체들은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고양이의 중성화 후 방생(TNR) 프로그램의 관리 및 개선을 통해 야생 동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고양이의 개체 수 조절과 함께, 길고양이에게 적절한 먹이를 제공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여 사냥 본능을 억제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더불어, 고양이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인식 개선 캠페인을 통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동물 보호 및 생태계 보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4. 6. 인간과 동물의 건강에 대한 위험
떠돌이 동물은 공중 보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에 대한 적절한 예방 조치가 미흡하고, 중간 숙주에 쉽게 접근하며, 공공장소에 자유롭게 출입하기 때문이다. 특히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는 여러 질병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양이는 동종 간 또는 다른 종으로 다양한 질병을 전파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FIV)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 외부 기생충, 장내 기생충 등이 있다. 또한, 리케차, 콕시엘라와 같은 세균에 감염될 수도 있다.
고양이의 배설물에는 캄필로박터, 살모넬라, 톡소카라 카티, Ancylostoma,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알디아, 톡소플라즈마 등 다양한 인수 공통 병원체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병원체들은 사람에게 감염되어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 개체군은 광견병, 톡소플라즈마증, 선충 기생충 감염, 페스트, 툴라레미아, 발진티푸스, 고양이 할큄병, 조류 인플루엔자 A/H5N1 바이러스, 포자모양균증 등 다양한 인수 공통 감염병의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질병들은 사람과 동물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떠돌이 동물 개체수 관리와 질병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5. 국가별 치료법
길고양이와 유기묘의 법적 지위 및 TNR 프로그램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다뤄지고 있다.
== 국가별 치료법 ==
### 캐나다
캐나다의 여러 지방 자치 단체는 "책임 있는 반려동물 소유" 규칙을 강화하고 있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메릿에서는 고양이에게 사료를 제공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조례가 시행되었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시는 길고양이 개체수 관리를 위해 TNR (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 덴마크
1970년대 중반, 덴마크에서는 길고양이의 개체 수를 조절하고 동물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TNR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TNR 프로그램을 통해 길고양이의 번식을 막아 개체 수 증가를 억제하고, 발정으로 인한 소음이나 싸움과 같은 문제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덴마크의 TNR 프로그램은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쳐, 길고양이 문제 해결을 위한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 프랑스
1978년, 프랑스 파리 시는 길고양이의 권리를 옹호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프랑스에서는 길고양이의 TNR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1950년대에 설립된 'École du Chat' (고양이 학교)는 TNR 활동을 선도하며 길고양이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École du Chat은 길고양이의 중성화 수술, 질병 치료 등을 지원하며, 시민들에게 길고양이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길고양이 개체수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길고양이를 거리에서 제거하는 것이 불법이다. 예루살렘 시는 길고양이들을 위한 "급식소" 설치 계획을 발표했지만, 이는 개체수를 더욱 증가시키고 위생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 이탈리아
1991년, 이탈리아 라치오 주와 로마 시에서는 길고양이 살해를 금지했다. 1991년부터 2000년까지의 TNR 캠페인은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91년 8월부터는 고양이와 개에 대한 안락사를 금지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길고양이에 대한 인식이 엇갈리며, 과거에는 길고양이의 개체 수 조절을 위해 포획 후 안락사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동물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방식이 확산되었다. 정부는 TNR 사업을 지원하며, 지자체별로 관련 예산을 편성하고, 동물병원과의 협력을 통해 중성화 수술을 지원한다.
더불어민주당은 TNR 사업 확대 및 내실화, 길고양이 급식소 관리 강화, 길고양이 공존 문화 조성, 동물보호법 개정을 통해 길고양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TNR 사업의 예산 및 인력을 확충하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포획 캣맘(cat mom) 및 캣대디(cat dad)를 양성하여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을 제안한다.
### 뉴질랜드
뉴질랜드 멸종 위기종 보존부(Department of Conservation, DOC)는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을 위해 법적 권한을 위임받아 다양한 통제 방식을 사용하며, 길고양이의 TNR을 지지하지 않는다. DOC는 독살, 포획, 사살 등을 포함한 길고양이 통제 방법을 사용한다.
### 터키
터키는 길 잃은 개와 고양이 개체 수가 많아 관련 문제가 심각하며, 개체 수 조절을 위한 동물 안락사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다. 터키에서는 길 잃은 동물의 개체 수 조절을 위해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 영국
1980년, 런던에서 "길고양이의 생태와 통제"에 관한 첫 번째 과학 회의가 열렸다. 루스 플랜트와 셀리아 해먼드는 TNR(포획-중성화-방사)을 옹호하며 길고양이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스코틀랜드 야생 고양이 협회는 유럽 야생 고양이 보호를 위해 TNR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미국
미국에는 길고양이를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연방법은 없으며, 주 및 지방 정부에서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시행하고 있다. 길고양이와 관련된 법률은 멸종 위기 종 보호법(Endangered Species Act)과 조류 보호 조약(Migratory Bird Treaty Act, MBTA)과 연결되어 해석되기도 한다. 2014년, American Bird Conservancy v. Harvey 사건은 길고양이의 야생 조류 사냥과 관련된 중요한 사례이다. 하와이 침입 종 위원회(Hawaiʻi Invasive Species Committee)는 길고양이의 야생동물 사냥을 억제하기 위해 애완 고양이의 실내 사육을 권장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알래스카에서는 TNR 프로그램이 불법화되었으나, 중성화된 고양이에 대해서는 예외를 두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로스앤젤레스 시에서는 한때 TNR 프로그램을 중단한 사례도 있었다.
5. 1. 호주
호주 정부는 멸종 위기종 보호를 위해 길고양이 살처분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이 계획은 길고양이가 야생동물을 포식하여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판단에 따라 시작되었다. 호주 정부는 길고양이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중성화 후 방생 (TNR, Trap-Neuter-Return) 대신 살처분을 선택했다. 이러한 정책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동물 보호 단체들은 살처분 방식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5. 2. 캐나다
캐나다의 여러 지방 자치 단체들은 "책임 있는 반려동물 소유" 규칙을 강화하고 있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메릿에서는 고양이에게 사료를 제공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조례가 시행되었다. 이는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과 관련된 문제로, 해당 지역의 길고양이 관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온타리오주 토론토시는 길고양이 개체수 관리를 위해 TNR (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토론토시는 TNR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길고양이의 복지를 증진하고, 지역 사회의 민원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5. 3. 덴마크
1970년대 중반, 덴마크에서는 고양이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길고양이의 개체 수를 조절하고, 동물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덴마크는 유럽 국가 중에서도 동물 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은 국가로, TNR 프로그램을 통해 길고양이 문제를 인도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TNR 프로그램은 길고양이를 포획하여 중성화 수술을 실시한 후, 다시 원래 서식지로 돌려보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길고양이의 번식을 막아 개체 수 증가를 억제하고, 발정으로 인한 소음이나 싸움과 같은 문제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덴마크의 TNR 프로그램은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쳐, 길고양이 문제 해결을 위한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5. 4. 프랑스
1978년, 프랑스 파리 시는 길고양이의 권리를 옹호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이는 길고양이 복지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프랑스에서는 길고양이의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950년대에 설립된 'École du Chat' (고양이 학교)는 TNR 활동을 선도하며 길고양이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École du Chat은 길고양이의 중성화 수술, 질병 치료 등을 지원하며, 시민들에게 길고양이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의 이러한 노력은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 및 공존을 위한 모범적인 사례로 꼽힌다.5. 5.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끊임없이 증가하는 길고양이 개체수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스라엘에서는 길고양이를 거리에서 제거하는 것이 불법이며, 이는 길고양이 개체수 증가의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루살렘 시는 길고양이들을 위한 "급식소" 설치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 계획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존재한다. 급식소 설치가 길고양이 개체수를 더욱 증가시키고, 위생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5. 6. 이탈리아
1991년, 이탈리아 라치오 주와 로마 시에서는 길고양이 살해를 금지했다. 이 조치는 길고양이의 복지를 증진하고 개체 수 조절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었다. 1991년부터 2000년까지의 TNR (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캠페인은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인도적인 방법으로 길고양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또한 1991년 8월부터 이탈리아 전역에서 고양이와 개에 대한 안락사를 금지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 정책은 동물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불필요한 동물의 죽음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들은 이탈리아가 동물 복지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5. 7.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길고양이에 대한 인식이 엇갈린다. 일부는 길고양이를 위생 문제 및 생태계 교란의 원인으로 간주하며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반면, 동물보호의 관점에서 길고양이의 삶을 존중하고 공존을 모색하려는 노력도 존재한다. 이러한 인식 차이는 길고양이 문제 해결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낳았으며, 관련 법규 및 정책 변화를 이끌었다.과거에는 길고양이의 개체 수 조절을 위해 포획 후 안락사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동물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방식이 점차 확산되었다. TNR은 길고양이의 번식을 막아 개체 수를 자연스럽게 감소시키고, 공격성을 줄여 인간과의 갈등을 완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TNR 사업을 지원하며 길고양이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자체별로 TNR 프로그램 예산을 편성하고, 동물병원과의 협력을 통해 중성화 수술을 지원한다. 또한, 길고양이 급식소 설치 및 관리, 길고양이 관련 민원 처리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TNR 사업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과 함께, 예산 부족,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사업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TNR 이후 길고양이의 관리 부실, 질병 관리 미흡 등의 문제는 개선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일부 시민들은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에 대해 위생 및 소음 문제를 제기하며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길고양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고 동물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안한다.
- TNR 사업 확대 및 내실화: TNR 사업의 예산 및 인력을 확충하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포획 캣맘(cat mom) 및 캣대디(cat dad)를 양성하여 사업의 효율성을 높인다. 중성화 수술 후 길고양이의 건강 관리 및 질병 예방을 위한 시스템을 강화한다.
- 길고양이 급식소 관리 강화: 길고양이 급식소 설치 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위생 및 안전 문제를 고려하여 설치 장소를 선정한다. 급식소 관리 주체를 명확히 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 길고양이 공존 문화 조성: 길고양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길고양이의 생태와 특징, TNR 사업의 효과 등을 홍보하는 교육 및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시민들이 길고양이와 공존하는 방법을 배우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동물보호법 개정: 길고양이 학대 행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동물보호 관련 규정을 현실에 맞게 정비한다. 동물보호 관련 예산을 확대하고, 동물보호 감시 인력을 확충하여 동물 학대 행위를 근절한다.
이러한 정책들을 통해 길고양이 문제를 해결하고, 동물과 인간이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5. 8. 뉴질랜드
뉴질랜드 멸종 위기종 보존부(Department of Conservation, DOC)는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을 위해 법적 권한을 위임받아 다양한 통제 방식을 사용한다. DOC는 길고양이의 TNR(Trap-Neuter-Release, 포획-중성화-방사)을 지지하지 않는다. DOC의 길고양이 통제 방법에는 독살, 포획, 사살 등이 포함된다.5. 9. 터키
터키는 길 잃은 개와 고양이 개체 수가 많아 관련 문제가 심각하다. 터키의 동물 보호법은 동물 학대 처벌을 강화하고 있으나, 길 잃은 동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개체 수 조절을 위한 동물 안락사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다. 이에 따라 터키에서는 길 잃은 개와 고양이의 개체 수 조절을 위해 TNR(Trap-Neuter-Return, 포획-중성화-재방사)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TNR은 길 잃은 동물들을 포획하여 중성화 수술을 실시한 후, 다시 원래의 서식지로 돌려보내는 방식이다. 이 프로그램은 인도적인 방법으로 개체 수를 조절하고,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5. 10. 영국
1980년, 런던에서 "길고양이의 생태와 통제"에 관한 첫 번째 과학 회의가 열렸다. 루스 플랜트와 셀리아 해먼드는 TNR(포획-중성화-방사)을 옹호하며 길고양이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스코틀랜드 야생 고양이 협회는 유럽 야생 고양이 보호를 위해 TNR 활동을 펼치고 있다.5. 11. 미국
미국에는 길고양이를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연방법은 없으며, 주 및 지방 정부에서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법률은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길고양이의 관리 방식에도 차이를 보인다.길고양이와 관련된 법률은 종종 멸종 위기 종 보호법(Endangered Species Act)과 조류 보호 조약(Migratory Bird Treaty Act, MBTA)과 연결되어 해석되기도 한다. 특히 MBTA는 1918년에 체결되어 미국과 캐나다 간의 조류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미국 내에서 조류를 포획하거나 죽이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길고양이가 야생 조류를 사냥하는 행위가 MBTA에 위반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2014년, American Bird Conservancy v. Harvey 사건은 길고양이의 야생 조류 사냥과 관련된 중요한 사례이다. 이 사건은 MBTA를 위반한 혐의로 제기되었으며, 길고양이의 관리 방식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MBTA에 따라, 길고양이의 개체 수 증가와 이로 인한 야생 조류 피해에 대해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이러한 주장은 길고양이의 중성화 후 방생(TNR) 프로그램의 합법성을 논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기도 한다.
하와이 침입 종 위원회(Hawaiʻi Invasive Species Committee)는 길고양이의 야생동물 사냥을 억제하기 위해 애완 고양이의 실내 사육을 권장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한편, 알래스카에서는 TNR 프로그램이 불법화되었으나, 중성화된 고양이에 대해서는 예외를 두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로스앤젤레스 시에서는 한때 TNR 프로그램을 중단한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길고양이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참조
[1]
논문
Better trap–neuter–return for free-roaming cats: Using models and monitoring to improve population management
https://journals.sag[...]
2015-08-25
[2]
뉴스
Stray Cats Boosting Rabies Risk in Brevard. 16 Rabid Cats Reported Statewide in 2018
https://www.floridat[...]
2019-02-08
[3]
논문
Review and synthesis of the global literature on domestic cat impacts on wildlife
https://besjournals.[...]
2022
[4]
서적
Neighborhood Cats TNR Handbook: The Guide to Trap-Neuter-Return for the Feral Cat Caretaker
https://www.neighbor[...]
Neighborhood Cats, Inc.
[5]
웹사이트
Barn Cat Program
http://www.kitsap-hu[...]
Kitsap Humane Society
2014-06-19
[6]
웹사이트
Trap-Neuter-Return (TNR) Program For Community Cats {{!}} Humane Society of the Pikes Peak Region
https://www.hsppr.or[...]
2019-03-22
[7]
웹사이트
Feral Cat Program
http://www.noahsark.[...]
2019-03-22
[8]
논문
Free-ranging domestic cat abundance and sterilization percentage following five years of a trap–neuter–return program
2021-12-23
[9]
논문
Rabie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ts in the Context of Trap, Neuter, Vaccinate, Release Programs
https://stacks.cdc.g[...]
2014-06
[10]
간행물
How the "No Kill" Movement Betrays its Name
https://www.newyorke[...]
2023-12-25
[11]
논문
Do trap-neuter-return (TNR) practices contribute to human–coyote conflicts in southern California?
https://digitalcommo[...]
2023-Spring
[12]
웹사이트
How Effective and Humane Is Trap-Neuter-Release (TNR) for Feral Cats?
https://edis.ifas.uf[...]
University of Florida
[13]
논문
A renewed call for conservation leadership 10 years further in the feral cat Trap-Neuter-Return debate and new opportunities for constructive dialogue
2022-01-17
[14]
뉴스
Denver Animal Shelter partners up to help reduce feral cat population
http://www.denverpos[...]
The Denver Post
2014-06-12
[15]
웹사이트
How to Help: Financial Donations
http://www.delta.ca/[...]
Corporation of Delta
2014-08-06
[16]
웹사이트
Trap / Neuter / Vaccinate / Return (TNVR): What is TNVR?
http://humanesociety[...]
Humane Society of Tampa Bay
2014-06-15
[17]
웹사이트
Do you know about our TNRM program?
http://www.spca.com/[...]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Montreal, Quebec
2013-07-05
[18]
웹사이트
NPA's TTVAR Program: Trap, Test, Vaccinate, Alter and Release
http://www.fanciers.[...]
National Pet Alliance
2014-06-15
[19]
웹사이트
Trap-Vasectomy-Hysterectomy-Return (TVHR) Is No Substitute for Trap-Neuter-Return (TNR)
https://www.alleycat[...]
2019-03-17
[20]
논문
Estimation of effectiveness of three methods of feral cat population control by use of a simulation model
2013-08-15
[21]
웹사이트
Tufts researchers say TNR is not most effective method to control feral cat population
http://veterinarynew[...]
2013-09
[22]
웹사이트
Million Cat Challenge {{!}} Return to Field
https://www.millionc[...]
2019-03-30
[23]
웹사이트
The Global Impact of Feral Cats {{!}} The Ecology Global Network
http://www.ecology.c[...]
2013-08-27
[24]
웹사이트
Trap-Neuter-Release: Does TNR Really Save Cats?
https://www.peta.org[...]
2021-02-10
[25]
웹사이트
What is PETA's stance on programs that advocate trapping, spaying and neutering, and releasing feral cats?
https://www.peta.org[...]
2010-07-07
[26]
웹사이트
IWRC Education and Resources for Wildlife Conservation Worldwide: Feral Cats and Dogs Position Statement
https://theiwrc.org/[...]
2014-09
[27]
웹사이트
Effects of an Invasive Species: Domestic Cats
http://wildlife.org/[...]
2017-03
[28]
웹사이트
Cats Indoors
https://abcbirds.org[...]
2019-03-22
[29]
웹사이트
A review of trap-neuter-return (TNR) for the management of unowned cats
https://kb.rspca.org[...]
RSPCA Australia
[30]
웹사이트
Free-roaming owned, Abandoned, and Feral Cats
https://www.canadian[...]
CVMA
[31]
웹사이트
Management of cats in Australia
https://www.ava.com.[...]
AVA
[32]
웹사이트
Feral Cats FAQ
http://www.aspca.org[...]
ASPCA
2014-06-20
[33]
웹사이트
Our position on cats
https://www.humaneso[...]
2019-03-18
[34]
문서
Environmental aspects of domestic cat care and management: implications for cat welfare.
[35]
문서
First reported cases of SARS-CoV-2 infection in companion animals—New York, March–April 2020.
[36]
웹사이트
Animal Welfare Policy & Position Statements
https://www.american[...]
2012-08
[37]
웹사이트
RSPCA policies on animal welfare
https://www.rspca.or[...]
2014
[38]
논문
Reproductive performance in a cat colony over a 10-year period
https://journals.sag[...]
1970-04-01
[39]
논문
An Examination of an Iconic Trap-Neuter-Return Program: The Newburyport, Massachusetts Case Study
2017-10-31
[40]
논문
Use of matrix population models to estimate the efficacy of euthanasia versus trap-neuter-return for management of free-roaming cats
2004-12-15
[41]
웹사이트
A Generalized Population Monitoring Program to Inform the Management of Free-Roaming Cats.
http://www.acc-d.org[...]
2014-11
[42]
논문
Decrease in Population and Increase in Welfare of Community Cats in a Twenty-Three Year Trap-Neuter-Return Program in Key Largo, FL: The ORCAT Program
2019
[43]
논문
Application of a Protocol Based on Trap-Neuter-Return (TNR) to Manage Unowned Urban Cats on an Australian University Campus
2018-05-17
[44]
웹사이트
Animal Euthanasia: Detailed Discussion
https://commons.law.[...]
Michigan State University Animal Legal & Historical Center
2017-09
[45]
웹사이트
Pet Statistics
https://www.aspca.or[...]
2019-03-23
[46]
웹사이트
Our policies
https://www.humaneso[...]
2019-03-23
[47]
웹사이트
FAQs About Trap/Neuter/Return (TNR)
http://www.spcamhc.o[...]
2019-03-23
[48]
논문
The Effects of Implementing a Feral Cat Spay/Neuter Program in a Florida County Animal Control Service
https://www.research[...]
2019-03-23
[49]
뉴스
Port Orange expanding feral cat program
http://www.news-jour[...]
The Daytona Beach News-Journal
2013-05-07
[50]
웹사이트
New Survey Reveals Widespread Support for Trap-Neuter-Return
https://faunalytics.[...]
2019-03-23
[51]
논문
Public Opinions on Strategies for Managing Stray Cats and Predictors of Opposition to Trap-Neuter and Return in Brisbane, Australia
2019
[52]
논문
The Caring-Killing Paradox: Euthanasia-Related Strain Among Animal-Shelter Workers1
2005
[53]
논문
Reproductive capacity of free-roaming domestic cats and kitten survival rate
2004-11-01
[54]
웹사이트
Free-roaming Abandoned and Feral Cats
https://www.avma.org[...]
2019-03-25
[55]
논문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urban feeding groups of neutered and sexually intact free-roaming cats following a trap-neuter-return procedure
2011-05-01
[56]
논문
Updates on feline aelurostrongylosis and research priorities for the next decade
2016-07-07
[57]
뉴스
Quick release after surgery results in gruesome feral cat deaths
https://www.wfla.com[...]
2022-04-20
[58]
웹사이트
Neutering your cat ! International Cat Care
https://icatcare.org[...]
2019-03-23
[59]
논문
Implementation of a feral cat management program on a university campus
2002
[60]
논문
Invasive predators and global biodiversity loss
2016-10-04
[61]
웹사이트
GISD
http://www.iucngisd.[...]
2019-03-30
[62]
웹사이트
issg Database: Ecology of Felis catus
http://issg.org/data[...]
2019-03-30
[63]
논문
The impact of free-ranging domestic cats on wildlife of the United States
2013-01-29
[64]
논문
A Review of Feral Cat Eradication on Islands
2004
[65]
논문
Globally important islands where eradicating invasive mammals will benefit highly threatened vertebrates
2019-03-27
[66]
논문
Feral Cats Are Better Killers in Open Habitats, Revealed by Animal-Borne Video
2015-08-19
[67]
논문
Implications of zoonotic and vector-borne parasites to free-roaming cats in central Spain
2018-02-15
[68]
웹사이트
Gastrointestinal Parasites of Cats
https://www.vet.corn[...]
2019-03-30
[69]
논문
Ectoparasites of free-roaming domestic cats in the central United States
2016-09-15
[70]
논문
Outdoor fecal deposition by free-roaming cats and attitudes of cat owners and nonowners toward stray pets, wildlife, and water pollution
2006-07-01
[71]
웹사이트
CAPC Parasite ProtocolsFeline Arthropods
https://todaysveteri[...]
2015-01-01
[72]
서적
Plague manual: epidemiology, distribution, surveillance and control
1999
[73]
웹인용
QUESTIONS AND ANSWERS ON AVIAN INFLUENZA In relation to animals, food and water
https://www.who.int/[...]
2019-03-30
[74]
간행물
Esporotricose: a evolução e os desafios de uma epidemia
http://iris.paho.org[...]
2010-06
[75]
웹사이트
Felis catus (domestic cat)
https://animaldivers[...]
2019-03-31
[76]
문서
Global prevalence of microsporidia infection in ca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an emerging zoonotic pathogen.
2021
[77]
문서
Global prevalence of Toxocara infection in cats
2020
[78]
문서
Tracking footpri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election signatures in breeding and non-breeding cats.
2022
[79]
웹사이트
War on feral cats: Australia aims to cull 2 million
https://www.smh.com.[...]
2017-02-17
[80]
웹사이트
Australian Feral Cats Eat More Than a Million Reptiles Per Day
https://www.smithson[...]
[81]
웹사이트
The problem with cats - Macleans.ca
https://www.macleans[...]
[82]
뉴스
Merritt, B.C., overrun by stray cats: Bylaw officers ask RCMP to consider mischief charges against animal feeders
http://www.cbc.ca/ne[...]
2012-01-11
[83]
뉴스
City's approach to feral cats not effective
http://www.merritthe[...]
Merritt Herald
2012-01-12
[84]
뉴스
Merritt storefront clear of stray cats
http://www.merritthe[...]
Merritt Herald
2012-08-07
[85]
웹사이트
The Trap, Neuter, Return Program for Feral Cats
http://www1.toronto.[...]
City of Toronto
2014-08-03
[86]
웹사이트
Trap, Neuter, Return Program (TNR) for Feral Cats
https://www.toronto.[...]
2017-10-27
[87]
서적
TNR: Past, Present and Future: A History of the Trap-Neuter-Return Movement
Alley Cat Allies
[88]
웹사이트
Declaration of Rights of the Free-living Cat (translation)
https://archive.toda[...]
École du Chat
2014-10-30
[89]
웹사이트
History of École du chat (translation)
http://www.ecoleduch[...]
École du Chat
2014-10-30
[90]
웹인용
Jerusalem Dilemma in Dealing with Hordes of Stray Cats
https://www.timesofi[...]
2019-12-05
[91]
뉴스
Jerusalem Approves Feeding Program for Stray Cats
https://www.haaretz.[...]
2019-12-05
[92]
간행물
Management of feral domestic cats in the urban environment of Rome (Italy)
2006-12-18
[93]
웹사이트
Stray dog and cat laws and enforcement in Czech Republic and in Italy
https://www.research[...]
2019-04-02
[94]
웹사이트
Cats {{!}} International Aid for Korean Animals
http://koreananimals[...]
2019-04-04
[95]
웹사이트
South Korea's Animal Protection Laws {{!}} International Aid for Korean Animals
http://koreananimals[...]
2019-04-04
[96]
웹사이트
Feral cats
https://www.doc.govt[...]
2019-03-21
[97]
웹사이트
Feral cats
https://www.doc.govt[...]
2024-09-08
[98]
웹사이트
Turkey {{!}} World Animal Protection
https://api.worldani[...]
2019-04-05
[99]
웹사이트
Managing Street Dogs and Cats in Turkey {{!}} Dog and Cat Behavior {{!}} Dog and Cat Behavior
http://animalbehavio[...]
2019-03-21
[100]
웹사이트
Stray Dog and Cat Feral Populations in Europe: from Culling to Care
http://www.animalwel[...]
2017-04
[101]
웹사이트
Celia Hammond Animal Trust - UK Animal Rescue Charity
https://www.celiaham[...]
2019-03-21
[102]
서적
Feral Cats: An Overview
https://animalstudie[...]
Humane Society Press
2020-09-01
[103]
웹사이트
Wildcat Haven C.I.C
https://www.wildcath[...]
[104]
웹사이트
Toolkit to Address Free-ranging Domestic Cats (Felis catus) on Agency Lands Managed for Native Wildlife and Ecosystem Health
https://www.fishwild[...]
Association of Fish & WIldlife Agencies
2022-04-15
[105]
웹사이트
American Bird Conservancy, David A. Krauss, and Susan Scioli, Plaintiffs, v. Rose Harvey, Commissioner, New York Office of Parks, Recreation, And Historic Preservation, Defendant
https://www.animalla[...]
Michigan State University
2022-04-15
[106]
웹사이트
New York State Parks, American Bird Conservancy Announce Feral Cats Relocated from Jones Beach State Park
https://parks.ny.gov[...]
New York State Office of Parks, Recreation and Historic Preservation
2022-04-15
[107]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Moon Lake Electric Association Incorporated
https://www.animalla[...]
Michigan State University College of Law
2022-05-13
[108]
논문
Domestic cats and their impacts on biodiversity: A blind spot in the application of nature conservation law
2020-02
[109]
웹사이트
Detailed Discussion of Feral Cat and Wild Bird Controversy
https://www.animalla[...]
Michigan State University College of Law
2022-05-13
[110]
웹사이트
Electric Utility Sentenced for Killing Eagles and Hawks (Press Release)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22-05-13
[111]
웹사이트
Resolution 19-2: Keeping Cats Indoors & Using Peer-Reviewed Science
https://dlnr.hawaii.[...]
2019-02-01
[112]
웹사이트
Alaska has far too many impractical cats
https://www.adn.com/[...]
2020-06-23
[113]
서적
Permits for Possessing Live Game
http://www.adfg.alas[...]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2020-06-23
[114]
웹사이트
Urban Wildlands Group v. The City of Los Angeles
http://www.leagle.co[...]
Court of Appeals of California, No. B222696.
2014-08-10
[115]
웹사이트
Get the Facts about the Los Angeles Trap–Neuter–Return Ruling
http://www.alleycat.[...]
Alley Cat Allies
2014-08-12
[116]
논문
Better trap–neuter–return for free-roaming cats: Using models and monitoring to improve population management
https://journals.sag[...]
2021-10-24
[117]
서적
Neighborhood Cats TNR Handbook: The Guide to Trap-Neuter-Return for the Feral Cat Caretaker
https://www.neighbor[...]
Neighborhood Cats, Inc.
[118]
웹인용
Barn Cat Program
http://www.kitsap-hu[...]
Kitsap Humane Society
2014-06-19
[119]
웹인용
Trap-Neuter-Return (TNR) Program For Community Cats {{!}} Humane Society of the Pikes Peak Region
https://www.hsppr.or[...]
2019-03-22
[120]
웹인용
Feral Cat Program
http://www.noahsark.[...]
2019-03-22
[121]
논문
Free-ranging domestic cat abundance and sterilization percentage following five years of a trap–neuter–return program
2021-12-23
[122]
웹인용
How Effective and Humane Is Trap-Neuter-Release (TNR) for Feral Cats?
https://edis.ifas.uf[...]
University of Florida
2022-04-14
[123]
논문
A renewed call for conservation leadership 10 years further in the feral cat Trap-Neuter-Return debate and new opportunities for constructive dialogue
https://conbio.onlin[...]
2022-04-14
[124]
웹사이트
Feral Cats FAQ
http://www.aspca.org[...]
ASPCA
2014-07-02
[125]
웹인용
Our position on cats
https://www.humaneso[...]
2019-03-18
[126]
웹인용
RSPCA policies on animal welfare
https://www.rspca.or[...]
2014
[127]
웹인용
IWRC Education and Resources for Wildlife Conservation Worldwide: Feral Cats and Dogs Position Statement
https://theiwrc.org/[...]
2014-09
[128]
웹인용
Effects of an Invasive Species: Domestic Cats
http://wildlife.org/[...]
2017-03
[129]
웹인용
Cats Indoors
https://abcbirds.org[...]
2019-03-22
[130]
웹인용
What is PETA's stance on programs that advocate trapping, spaying and neutering, and releasing feral cats?
https://www.peta.org[...]
2010-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