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경찰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경찰학교는 대한민국 경찰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1984년 설립 계획이 수립되어 1987년 내무부 소속 경찰종합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91년 경찰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조직으로는 학교 운영을 총괄하는 교장, 운영지원과, 교무과, 학생과가 있으며, 신임경찰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찰 학교 - 경찰대학
    경찰대학은 1979년 설립되어 경찰 간부를 양성하는 4년제 교육기관으로, 법학, 경찰학, 사회과학 교육과 체계적인 훈련, 현장 실습을 통해 뛰어난 지식과 실무 능력을 갖춘 경찰관을 양성하며 졸업 후 경찰공무원으로 임용된다.
  • 경찰 학교 - 경찰인재개발원
    경찰인재개발원은 대한민국 경찰 공무원의 교육 및 훈련을 담당하는 경찰청 소속 교육기관으로, 1945년 경찰관 교습소로 시작하여 여러 이름으로 변경되어 2018년 현재의 명칭으로 개편되었으며, 운영지원과, 교무과, 학생과 등의 부서로 구성되어 교육과정 개발, 강사 초빙, 교육생 관리 및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충주시 소재의 관공서 - 충주구치소
  • 충주시 소재의 관공서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는 대한민국 산림청 소속 기관으로, 산림 품종의 품질 향상과 유통 질서 확립을 위해 신품종 심사, 종자 유통 관리, 품종 보호, GMO 안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국제 식물 신품종 보호 연맹과 협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 경찰청 - 대한민국의 경찰청장
    대한민국의 경찰청장은 국가경찰 사무를 총괄하고 경찰청 업무를 관장하며 소속 공무원과 각급 국가경찰기관을 지휘·감독하고, 대통령이 임명하며, 1991년 7월 31일 경찰청장 체제로 개편되기 전에는 여러 직책이 존재했다.
  • 대한민국 경찰청 - 대한민국의 경찰청 차장
    대한민국의 경찰청 차장은 경찰청장을 보좌하며 청장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는 직위로, 미군정 경무부 차장으로 시작하여 여러 변천을 거쳐 1991년 경찰청 차장으로 개편되었고, 격변기 잦은 교체와 경찰 개혁 과제 추진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중앙경찰학교
기본 정보
중앙경찰학교 휘장
중앙경찰학교 휘장
설치 년도1987년 9월 3일
주소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수회리로 138
상급 기관대한민국 경찰청
교장최현석
웹사이트중앙경찰학교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 1984년 5월 17일, 경찰학교 설립 계획이 대통령 인가를 받았다.[4]
  • 1987년 9월 3일, 내무부 소속으로 경찰종합학교가 설치되었으며,[4] 같은 해 9월 18일에 개교하였다.[4]
  • 1991년 7월 31일, 경찰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4] 이후 교육 과정 개선, 시설 확충 등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경찰 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84년 ~ 1991년)

1984년 5월 17일, 경찰학교 설립 계획이 대통령 인가를 받았다.[4] 1987년 9월 3일, 내무부 소속으로 경찰종합학교가 설치되었으며,[4], 같은 해 9월 18일에 개교하였다.[4]

2. 2. 경찰청 소속 변경 이후 (1991년 ~ 현재)

1991년 7월 31일, 경찰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4] 이후 교육 과정 개선, 시설 확충 등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경찰 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3. 조직

3. 1. 교장

중앙경찰학교장은 중앙경찰학교의 최고 책임자로서 학교 운영 전반을 총괄한다.

3. 1. 1. 운영지원과

운영지원과는 중앙경찰학교 운영에 필요한 행정, 재정, 시설 등을 지원한다.[5]

3. 1. 2. 교무과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교수진 관리 등 교육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6]

3. 1. 3. 학생과

학생과는 학생 선발, 생활 지도, 졸업 후 관리 등 학생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7]

4. 역대 기관장

4. 1. 중앙경찰학교장

wikitable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옥기진1986년 1월 17일 ~ 1986년 10월 26일
2대지의택1986년 10월 26일 ~ 1988년 9월 27일
3대여관구1989년 2월 28일 ~ 1989년 9월 1일
4대남상용1989년 9월 2일 ~ 1990년 11월 9일
5대김영두1991년 1월 3일 ~ 1992년 7월 21일
6대기세익1992년 7월 22일 ~ 1993년 3월 14일
7대박일용1993년 3월 15일 ~ 1993년 9월 22일
8대유상식1993년 9월 23일 ~ 1994년 6월 1일
9대이필우1994년 6월 2일 ~ 1994년 12월 27일
10대김문탁1994년 12월 28일 ~ 1995년 3월 28일
11대이희호1995년 7월 6일 ~ 1995년 12월 11일
12대최남진1995년 12월 12일 ~ 1996년 12월 26일
13대박희원1996년 12월 27일 ~ 1998년 1월 14일
14대김덕순1998년 1월 15일 ~ 1998년 12월 31일
15대서재관1999년 1월 28일 ~ 1999년 6월 13일
16대김재희1999년 6월 14일 ~ 1999년 11월 19일
17대조창래1999년 11월 20일 ~ 2000년 12월 6일
18대김종언2000년 12월 7일 ~ 2001년 4월 16일
19대박만순2001년 5월 1일 ~ 2001년 11월 15일
20대허준영(許准榮)2001년 11월 16일 ~ 2002년 11월 17일
21대황학연2002년 11월 18일 ~ 2003년 3월 28일
22대김상봉2003년 3월 29일 ~ 2004년 1월 11일
23대이병진(李秉珍)2004년 1월 12일 ~ 2005년 1월 24일
24대서영호2005년 1월 25일 ~ 2005년 5월 20일
25대이한선2005년 6월 17일 ~ 2006년 2월 20일
26대송강호2006년 2월 21일 ~ 2006년 12월 3일
27대윤재옥(尹在玉)2006년 12월 4일 ~ 2007년 7월 2일
28대윤시영2007년 7월 4일 ~ 2008년 3월 6일
29대이명규2008년 3월 7일 ~ 2009년 3월 11일
30대김수2009년 3월 12일 ~ 2010년 1월 7일
31대박진현2010년 1월 8일 ~ 2010년 12월 5일
32대박웅규2010년 12월 6일 ~ 2011년 11월 27일
33대구은수2011년 11월 28일 ~ 2012년 2월 29일
34대홍성삼2012년 3월 28일 ~ 2013년 4월 10일
35대조길형(趙吉衡)2013년 4월 12일 ~ 2013년 9월 30일
36대최종헌2013년 12월 4일 ~ 2014년 12월 3일
37대박경민(朴勍民)2014년 12월 4일 ~ 2015년 12월 28일
38대김양제2015년 12월 29일 ~ 2016년 11월 30일
39대장향진2016년 12월 1일 ~ 2017년 1월 19일
40대강인철2017년 1월 20일 ~ 2017년 12월 12일
41대박건찬2017년 12월 13일 ~ 2018년 12월 3일
42대정창배2018년 12월 4일 ~ 2019년 6월 19일
43대이은정2019년 6월 20일 ~ 2019년 12월 30일
44대우종수2020년 1월 1일 ~ 2020년 8월 7일
45대최종문2020년 8월 8일 ~ 2021년 1월 7일
46대박지영2021년 1월 8일 ~ 2021년 12월 16일
47대이충호2021년 12월 17일 ~ 2022년 6월 21일
48대이명교2022년 6월 22일 ~ 2023년 4월 7일
직무대리이재영2023년 4월 8일 ~ 2023년 10월 29일
49대김준철2023년 10월 30일 ~ 2024년 2월 4일
50대최현석2024년 2월 5일 ~ 2024년 8월 16일
직무대리강상길2024년 8월 16일 ~


5. 교육 과정

5. 1. 신임경찰교육

34주 과정으로 운영되며, 경찰관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 소양과 전문 지식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교육 과정의 90% 이상을 수강하고, 평균 60점 이상의 성적을 취득해야 졸업할 수 있다.

6. 교통



대중교통 이용 시 충북선 살미역이 가장 가까운 철도역이다. 고속도로 이용 시 중부내륙고속도로 괴산 나들목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참조

[1] 문서 의무경찰 포함
[2] 문서 경찰간부후보생 제외
[3] 법률 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제28조제1항
[4] 법률 대통령령 제13431호
[5] 문서 서기관 또는 총경으로 보함
[6] 문서 총경 또는 경정으로 보함
[7] 문서 총경으로 보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