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경찰청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경찰청장은 경찰위원회의 동의를 받아 행정안전부 장관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며, 치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경찰청장은 국가경찰 사무를 총괄하고 경찰청 업무를 관장하며 소속 공무원 및 각급 국가경찰기관의 장을 지휘·감독한다. 미군정 시기에는 경무국장, 경무부장 직책이 있었으며, 제1공화국부터 제4공화국까지는 내무부 치안국장, 제4공화국부터 노태우 정부까지는 내무부 치안본부장이 경찰청장의 역할을 수행했다. 노태우 정부 이후 경찰청이 외청으로 독립하면서 경찰청장이 임명되었으며, 역대 경찰청장들의 명단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경찰청장 - 이철성 (1958년)
    이철성은 1982년 순경으로 경찰에 입문하여 제20대 경찰청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으로, 경찰청장 재임 중 음주운전 사고 은폐, 박근혜 대통령 5촌 조카 살인사건 재수사 거부, 최순실 인사 청탁 의혹 등으로 논란이 되었다.
  • 대한민국의 경찰청장 - 민갑룡
    민갑룡은 1988년 경찰에 입문하여 경찰청 차장을 거쳐 제21대 경찰청장을 역임하며 검경 수사권 조정에 기여했으나, 재임 중 여러 논란에 휩싸인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이다.
  • 대한민국의 경찰총수 - 이철성 (1958년)
    이철성은 1982년 순경으로 경찰에 입문하여 제20대 경찰청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으로, 경찰청장 재임 중 음주운전 사고 은폐, 박근혜 대통령 5촌 조카 살인사건 재수사 거부, 최순실 인사 청탁 의혹 등으로 논란이 되었다.
  • 대한민국의 경찰총수 - 조지호 (경찰공무원)
    조지호는 대한민국 경찰청장을 역임한 경찰공무원으로, 경찰대학을 졸업하고, 1990년 경위로 임관하여 수사, 기획, 인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으며, 2024년 8월 10일 제24대 경찰청장으로 임명되었으나 비상계엄 가담 혐의로 직무정지되었다.
  • 대한민국 경찰청 - 대한민국의 경찰청 차장
    대한민국의 경찰청 차장은 경찰청장을 보좌하며 청장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는 직위로, 미군정 경무부 차장으로 시작하여 여러 변천을 거쳐 1991년 경찰청 차장으로 개편되었고, 격변기 잦은 교체와 경찰 개혁 과제 추진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 대한민국 경찰청 - 서울특별시경찰청
    서울특별시경찰청은 서울특별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 기관으로, 과거 여러 명칭을 거쳐 2021년 자치경찰제 도입으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나, 과거 촛불집회 관련 언론 보도 요청 및 2022년 이태원 압사 참사 당시 부실 대응 등으로 논란과 비판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찰청장
기본 정보
경찰청 로고
경찰청 로고
직위
명칭경찰청장
국가대한민국
현직조지호
취임일2024년 8월 10일
임기2년
초대김원환
성립1991년
웹사이트경찰청 웹사이트

2. 임명

경찰청장은 경찰위원회의 동의를 받아 행정안전부장관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국회는 임명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한다.

3. 역할

경찰청장은 치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1] 경찰청장은 국가경찰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고 경찰청 업무를 관장하며, 소속 공무원 및 각급 국가경찰기관의 장을 지휘·감독한다.[2]

4. 역대 청장

wikitext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노태우 정부초대김원환1991년 7월 31일~1992년 7월 15일
2대이인섭1992년 7월 15일~1993년 3월 4일
김영삼 정부3대김효은1993년 3월 5일~1993년 9월 20일
4대김화남1993년 9월 20일~1994년 12월 26일
5대박일용1994년 12월 26일~1996년 12월 2일
6대황용하1996년 12월 2일~1998년 3월 9일
김대중 정부7대김세옥1998년 3월 9일~1999년 1월 11일
8대김광식1999년 1월 11일~1999년 11월 14일
9대이무영1999년 11월 14일~2001년 11월 9일
10대이팔호2001년 11월 9일~2003년 3월 21일
노무현 정부11대최기문2003년 3월 21일~2005년 1월 19일
12대허준영2005년 1월 19일~2005년 12월 30일
-최광식2005년 12월 31일~2006년 2월 9일직무대행
13대이택순2006년 2월 10일~2008년 2월 9일
이명박 정부14대어청수2008년 2월 11일~2009년 1월 30일
-이길범2009년 1월 31일~2009년 3월 8일직무대행
15대강희락2009년 3월 9일~2010년 8월 5일건설현장 관련 민원과 인사 청탁 명목으로 뇌물을 받아 사퇴[3]
-모강인2010년 8월 6일~2010년 8월 29일직무대행
16대조현오2010년 8월 30일~2012년 4월 9일
-김기용2012년 4월 10일~2012년 5월 1일직무대행
17대김기용2012년 5월 2일~2013년 3월 28일
박근혜 정부18대이성한2013년 3월 29일~2014년 8월 22일
19대강신명2014년 8월 24일~2016년 8월 23일경찰대학 출신[4]
20대이철성2016년 8월 24일~2018년 6월 30일첫 순경 출신 청장[5], 첫 정년 퇴임[6]
문재인 정부
-민갑룡2018년 7월 1일~2018년 7월 23일직무대행
21대2018년 7월 24일~2020년 7월 23일
22대김창룡2020년 7월 24일~2022년 7월 5일
윤석열 정부
-윤희근2022년 7월 6일~2022년 8월 10일직무대행
23대2022년 8월 10일~2024년 8월 9일
24대조지호2024년 8월 10일~2024년 12월 11일서울특별시경찰청장 재직 중 경찰청장 후보자에 지명[9][10], 2024년 7월 3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11][12][13], 2024년 8월 10일 임기 시작[14][7][8]
-이호영2024년 12월 11일~직무대행


4. 1. 경무국장 (미군정)

미군정 시기 경무국장은 다음과 같다.[1]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로렌스 M. 쉬크
(Lawrence M. Schick|로렌스 M. 쉬크영어)
1945년 9월 2일~1945년 11월 14일미군정 헌병사령관, 육군 준장
2대아더 S. 참페니
(Ather S. Champeny|아더 S. 참페니영어)
1945년 11월 14일~1945년 12월 20일미 육군 대령
3대월리엄 H. 매글린
(William H. Maglin|월리엄 H. 매글린영어)
1945년 12월 20일~1946년 12월 31일미 육군 보병 대령
4대조병옥1945년 10월 21일~1946년 1월 15일국회의원 역임
-최경진1946년 1월 4일~1946년 1월 15일대리


4. 2. 경무부장 (미군정, 제1공화국)

조병옥은 미군정과 제1공화국 초대 경무부장으로, 1946년 1월 16일부터 1949년 1월 6일까지 재임하였다.

4. 3. 내무부 치안국장 (제1공화국 ~ 제4공화국)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1공화국초대이호1949년 1월 7일~1950년 3월 1일
-김병완1950년 3월 2일~1950년 4월 23일직무대리
2대김태선1950년 4월 24일~1950년 6월 17일
3대장석윤1950년 6월 17일~1950년 7월 17일
4대김태선1950년 7월 17일~1951년 6월 18일
5대이익흥1951년 6월 18일~1952년 3월 14일
6대홍순봉1952년 3월 18일~1952년 5월 25일제주 4·3 사건 현장 지휘[1]
7대윤우경1952년 5월 25일~1952년 9월 14일
8대문봉제1952년 9월 14일~1953년 3월 27일
9대이성주1953년 10월 5일~1954년 3월 27일
10대김장흥1954년 3월 27일~1956년 5월 26일
11대김종원1956년 5월 26일~1957년 3월 11일
12대서정학1957년 3월 11일~1958년 9월 2일
13대이성우1958년 10월 29일~1959년 3월 25일3·15 부정선거4·19 혁명 진압 가담[2]
14대이강학1959년 3월 26일~1960년 3월 28일
15대조인구1960년 3월 28일~1960년 5월 10일
제2공화국16대강서룡1960년 5월 10일~1960년 11월 22일
17대박주식1960년 11월 25일~1961년 5월 16일
18대조흥만1961년 5월 16일~1961년 6월 24일
19대이소동1961년 6월 24일~1963년 12월 10일육군 군인 출신
제3공화국20대박태원1963년 12월 10일~1964년 7월 8일
21대박영수1964년 7월 8일~1966년 9월 19일
22대한옥신1966년 9월 19일~1967년 10월 7일검찰 출신
23대채원식1967년 10월 7일~1968년 2월 22일
24대박영수1968년 2월 22일~1969년 4월 12일
25대최두열1969년 4월 12일~1970년 3월 6일
26대정상천1970년 3월 6일~1971년 6월 12일
27대장동식1971년 6월 12일~1971년 12월 13일
28대정석모1971년 12월 13일~1973년 1월 16일
제4공화국29대최석원1973년 1월 16일~1974년 8월 22일
30대박현식1974년 8월 22일~1974년 12월 30일


4. 4. 내무부 치안본부장 (제4공화국 ~ 노태우 정부)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4공화국초대박현식1974년 12월 31일~1975년 5월 26일차관급으로 격상
2대장일훈1975년 5월 26일~1976년 1월 12일
3대김성주1976년 1월 12일~1978년 12월 26일
4대손달용1978년 12월 26일~1980년 5월 27일
5대염보현1980년 5월 28일~1980년 9월 9일
6대유흥수1980년 9월 10일~1982년 1월 5일
제5공화국
7대안응모1982년 1월 5일~1983년 4월 6일
8대이해구1983년 4월 6일~1984년 10월 10일
9대박배근1984년 10월 10일~1986년 1월 9일
10대강민창1986년 1월 9일~1987년 1월 21일
11대이영창1987년 1월 21일~1987년 5월 27일
12대권복경1987년 5월 27일~1988년 5월 20일
노태우 정부
13대조종석1988년 5월 20일~1989년 5월 3일
14대김우현1989년 5월 3일~1990년 6월 20일
15대이종국1990년 6월 20일~1991년 7월 31일


4. 5. 경찰청장 (노태우 정부 ~ 현재)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노태우 정부초대김원환1991년 7월 31일~1992년 7월 15일
2대이인섭1992년 7월 15일~1993년 3월 4일
김영삼 정부3대김효은1993년 3월 5일~1993년 9월 20일
4대김화남1993년 9월 20일~1994년 12월 26일
5대박일용1994년 12월 26일~1996년 12월 2일
6대황용하1996년 12월 2일~1998년 3월 9일
김대중 정부7대김세옥1998년 3월 9일~1999년 1월 11일
8대김광식1999년 1월 11일~1999년 11월 14일
9대이무영1999년 11월 14일~2001년 11월 9일
10대이팔호2001년 11월 9일~2003년 3월 21일
노무현 정부11대최기문2003년 3월 21일~2005년 1월 19일
12대허준영2005년 1월 19일~2005년 12월 30일
-최광식2005년 12월 31일~2006년 2월 9일직무대행
13대이택순2006년 2월 10일~2008년 2월 9일
이명박 정부14대어청수2008년 2월 11일~2009년 1월 30일
-이길범2009년 1월 31일~2009년 3월 8일직무대행
15대강희락2009년 3월 9일~2010년 8월 5일건설현장 관련 민원과 인사 청탁 명목으로 뇌물을 받아 사퇴[3]
-모강인2010년 8월 6일~2010년 8월 29일직무대행
16대조현오2010년 8월 30일~2012년 4월 9일
-김기용2012년 4월 10일~2012년 5월 1일직무대행
17대김기용2012년 5월 2일~2013년 3월 28일
박근혜 정부18대이성한2013년 3월 29일~2014년 8월 22일
19대강신명2014년 8월 24일~2016년 8월 23일경찰대학 출신[4]
20대이철성2016년 8월 24일~2018년 6월 30일첫 순경 출신 청장[5], 첫 정년 퇴임[6]
문재인 정부
-민갑룡2018년 7월 1일~2018년 7월 23일직무대행
21대2018년 7월 24일~2020년 7월 23일
22대김창룡2020년 7월 24일~2022년 7월 5일
윤석열 정부
-윤희근2022년 7월 6일~2022년 8월 10일직무대행
23대2022년 8월 10일~2024년 8월 9일
24대조지호2024년 8월 10일~2024년 12월 11일서울특별시경찰청장 재직 중 경찰청장 후보자에 지명[9][10], 2024년 7월 3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11][12][13], 2024년 8월 10일 임기 시작[14][7][8]
-이호영2024년 12월 11일~직무대행


참조

[1] 뉴스 '돌팔매' 맞기도 전에 '친미 꼭두각시' 변신 https://news.naver.c[...] 2012-08-28
[2] 뉴스 "내 남편은 이승만 경호원이었다" http://www.ohmynews.[...] 2012-03-08
[3] 뉴스 '함바 비리' 강희락 전 경찰청장 징역 6년 http://news.khan.co.[...] 2011-08-10
[4] 뉴스 경찰대 2기 출신 강신명 내정에, 1기 간부들 거취 높은 관심 http://news.donga.co[...] 2018-11-29
[5] 뉴스 경찰청장 이철성 내정, 순경에서 경찰총수 후보까지 http://mbn.mk.co.kr/[...] 2018-07-25
[6] 뉴스 '순경서 총수로'… 37년 만에 경찰청장 첫 정년퇴임 이철성 http://news.khan.co.[...] 2018-07-25
[7] 기타
[8] 기타
[9] 뉴스 [프로필] 조지호 경찰청장 후보자…업무 추진력·리더십 뛰어난 '기획통' https://www.yna.co.k[...] 2024-07-30
[10] 뉴스 '기획통' 조지호 신임 경찰청장 후보자 "막중한 책임감 느껴" [뉴시스Pic] https://www.newsis.c[...] 2024-07-30
[11] 회의록 제416회국회(임시회) 행정안전위원회회의록 제6호 2024-07-30
[12] 뉴스 여야, 조지호 경찰청장 후보자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https://www.news1.kr[...] 2024-07-30
[13] 뉴스 국회, 조지호 경찰청장 후보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https://www.yna.co.k[...] 2024-07-30
[14] 웹사이트 청장소개 https://www.police.g[...] 2024-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