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지동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지동물은 분화된 상순(윗입술)과 첫 번째 '중대뇌 다리 쌍'을 특징으로 하는 범절지동물의 한 분류이다. 엽족동물과 유조동물은 눈 앞에 부속지가 달리거나 윗입술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전대뇌' 다리 쌍을 가진다. 중지동물의 계통에 대한 여러 가설이 존재하며, 일부 연구에서는 이속시스목, 대협강, 푸시엔후이아목 및/또는 우지류가 절지동물 왕관군 바깥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지동물 - 대하 (생물)
    대하는 서해안과 중국에 서식하며 20~30cm까지 자라는 큰 새우로, 한국 서해안에서 가장 큰 새우 종이며, 다양한 요리법으로 즐겨 먹고, 일본에서 "다이쇼 에비"라고도 불리며, 중국에서는 개체 수 감소에 대응하여 어린 대하 방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절지동물 - 더듬이
    더듬이는 절지동물, 유조동물, 엽족동물, 연체동물의 머리에 위치한 감각 기관으로, 접촉, 기류, 냄새, 미각 등을 감지하며, 분류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중지동물 - [생물]에 관한 문서
중지동물군
학명Deuteropoda
학명 명명자Ortega-Hernández 2016
하위 분류아문 및 강
하위 분류†에라투스
†쿠쿠메리크루스?
†킬린시아
†펑정기아
†키소르토키아
†부시제이아
†대협강
†이속시스목
†우지류
†푸시엔후이아목
협각아문
대악류
초기 후지류인 킬린시아의 복원도
초기 후지류인 킬린시아의 복원도
수루시카리스의 복원도
수루시카리스의 복원도

2. 특징 정의

중지동물의 구성종들은 분화된 상순(윗입술)과 분화된 첫 번째 '중대뇌 다리 쌍'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2] 반면, 엽족동물(줄기하군의 일부) 및 유조동물의 경우 부속지가 눈 앞에 달리거나 현생 절지동물의 윗입술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전대뇌' 다리 쌍을 가진다.[3]

3. 계통

범절지동물의 계통에 대한 여러 가설이 존재하며, 분기도는 추정되는 계통 관계를 나타낸다. 일부 연구에서는 이속시스목, 대협강, 푸시엔후이아목 및/또는 우지류가 절지동물 왕관군 바깥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우지류의 경우 대악류보다는 협각아문과 더욱 근연임을 발견했다.[7]

3. 1. 계통도

하단의 분기도는 Zeng et al. 2020 및 O'Flynn at al. 2022 논문에서 제시된 범절지동물의 계통도에 기반하여, 절지동물의 줄기하군과 줄기상군의 분화 차이를 고려하여 작성되었다.[4][5] (현생군은 굵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이속시스목, 대협강, 푸시엔후이아목 및/또는 우지류가 절지동물 왕관군 바깥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이 분기도의 모든 부분이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6][7] 또 다른 일부 연구에서는 우지류의 경우 대악류보다는 협각아문과 더욱 근연임을 발견했다.[7]

'''중지동물'''은 라디오돈트목에서 분기된 이후의 절지동물을 나타낸다.

참조

[1] 저널 A large pelagic lobopodian from the Cambrian Pioche Shale of Nevada https://www.cambridg[...] 2023-12-13
[2] 저널 Making sense of 'lower' and 'upper' stem-group Euarthropoda, with comments on the strict use of the name Arthropoda von Siebold, 1848
[3] 저널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euarthropod labrum
[4] 저널 An early Cambrian euarthropod with radiodont-like raptorial appendages 2020-11
[5] 저널 A new euarthropod with large frontal appendages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biota 2022
[6] 저널 Three-dimensional morphology of the biramous appendages in Isoxys from the early Cambrian of South China, and its implications for early euarthropod evolution 2023-04-26
[7] 저널 The origin and early evolution of arthropods https://onlinelibrar[...] 202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