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재그 (잡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그재그는 1969년 피트 프레임에 의해 창간된 영국의 음악 잡지이다. 언더그라운드 음악을 다루며 록 계보를 처음으로 소개했다. 카리스마 레코드의 토니 스트래턴스미스에게 인수된 후 월간지로 바뀌었고, 펑크 록 시기에는 펑크 잡지로 변모했다. 1981년 믹 머서가 편집을 맡았으며, 이후 폐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창간 -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는 1969년 한국일보 자매지로 창간된 스포츠 신문으로, 스포츠호치와의 제휴, 코스닥 상장, 중앙일보 계열사 편입, JTBC PLUS 합병, KG그룹 매각 등 소유권 변동과 구조조정을 겪으며 경영 및 편집 방향에 변화를 겪었다. - 1969년 창간 - 소년중앙
소년중앙은 1969년 홍진기에 의해 창간되어 다양한 만화가 연재되었으나 1994년 폐간된 월간 잡지이다. - 1986년 폐지 - 신정사회당
신정사회당은 1980년대 이후 다양한 진보 정당 및 사회운동 단체 출신 인물들이 합류하여 형성된 대한민국의 진보 정당으로, 민중연합당과 민중당 출신 당원들이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자료 부족으로 인해 구체적인 당원 명단과 활동 내용은 제한적으로만 알려져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1986년 폐지 - 상대동 (포항시)
상대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상도동과 대도동을 법정동으로 하며, 대도초등학교, 상대초등학교, 상도중학교 등 교육 기관과 포항문화예술회관, 포항시외버스터미널 등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영국의 음악 잡지 - 스타일러스 매거진
- 영국의 음악 잡지 -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는 1952년 창간된 영국의 음악 잡지이며, 영국 싱글 차트 발표, 1960년대 영국 밴드 지지, 펑크 록 시대의 사회적 메시지 전달, 힙합 음악 다루기 등 변화를 시도하며 온라인으로 전환하여 NME.com을 운영하고 NME 어워드를 개최하며 2023년 격월간 인쇄 잡지를 재발행할 예정이다.
지그재그 (잡지) | |
---|---|
기본 정보 | |
![]() | |
언어 | 영어 |
범주 | 음악 |
발행 빈도 | 월간 |
창간일 | 1969년 4월 16일 |
최종 발행일 | 1986년 1월 |
국가 | 영국 |
ISSN | ISSN |
발행 | |
회사 | (정보 없음) |
유료 발행 부수 | (정보 없음) |
비유료 발행 부수 | (정보 없음) |
총 발행 부수 | (정보 없음) |
발행 부수 년도 | (정보 없음) |
편집자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2. 역사
1969년 피트 프레임이 창간한 《지그재그》는 초기에 언더그라운드 음악을 다루는 잡지였다. 프레임은 1973년 2월까지 29호를 편집했으며, "록 계보(Rock family trees영어)"라는 독특한 콘텐츠를 선보였다. 존 토블러는 창간 직후 합류하여 잡지에 글을 기고했다.
1974년 카리스마 레코드의 토니 스트래턴스미스가 잡지를 인수하면서 월간지로 바뀌고, 창간 5주년 기념 콘서트가 열리는 등 변화를 겪었다. 이후 편집자는 코너 맥나이트, 앤디 차일즈 등으로 바뀌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지그재그》는 펍 록과 초기 펑크 록 밴드들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1977년 크리스 니즈가 편집장이 되면서 펑크 잡지로 완전히 변신했다. 1981년 말에는 믹 머서가 편집자 자리를 이어받았다.
믹 머서 시기에는 포스트 펑크와 초기 고스 문화를 다루었으며, 1982년에는 지그재그 클럽이 개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1983년 출판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고, 1986년 1월 140호를 마지막으로 폐간되었다.
이후 1988년 노던 & 셸에 인수되었으나, 1990년 5월 한 권만 발행된 후 다시 폐쇄되었다. EMAP은 새로운 록 잡지 모조를 창간했다.
2. 1. 창간과 초기 활동 (1969년 ~ 1973년)
1969년 피트 프레임이 창간호부터 1973년 2월까지 29호를 편집하였다. 프레임은 "영국의 음악 잡지 중 그 어떤 것도 내가 좋아하는 음악을 다루지 않았다. 그들은 모두 대중적인 음악에 집중했으나 나는 언더그라운드 신에 관심이 있었다. 그래서 나는 나와 비슷한 종류의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한 잡지를 시작하기로 결정하였다. 지그재그라는 이름은 캡틴 비프하트의 노래 〈Zigzag Wanderer〉와 롤링 페이퍼 회사 이름 지그재그에서 따왔다."라고 언급했다.[4][1]피트 프레임의 "록 계보(Rock family trees영어)"는 지그재그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1970년 8월 14호의 버즈와 1970년 12월~1971년 1월 17호의 존 메이올이 대표적이다. 이런 계보가 유명해진 것은 21호의 알 쿠퍼 편이었다.
존 토블러는 창간 직후 합류해 2호부터 존 HT(존 휴겐토블러)라는 이름으로 글을 썼다.
2. 2. 카리스마 레코드 인수와 변화 (1974년 ~ 1977년)
카리스마 레코드의 창시자인 토니 스트래턴스미스가 잡지를 인수하면서[5] 1974년 1월부터 약간의 색이 추가된 정기 월간지로 바뀌었다. 스트래턴스미스는 지그재그 창간 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974년 4월 28일 어메이징 지그재그 콘서트 개최를 위한 자금을 지원했다.[5] 코너 맥나이트는 1973년 3월호부터 이듬해 4월호까지 편집자를 맡았으며, 앤디 차일즈는 42호부터 편집자가 되어 18달 동안 활동했다. 앤디 차일즈는 본래 자신의 팬 잡지인 팻 에인절(Fat Angel|팻 에인절영어)이 있었다.2. 3. 펑크 록 시기 (1977년 ~ 1981년)
1970년대 중반부터 지그재그는 펍 록과 초기 펑크 록 밴드, 가령 닥터 필굿이나 더 스트랭글러스와 같은 영국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6] 1977년 8월 편집자가 된 크리스 니즈는 지그재그가 펑크 잡지로 완전히 변신하도록 하였다. 이 무렵 피트 프레임은 잡지와는 거리를 두고 후에 유명해지는 "록 계보" 시리즈의 첫 책을 출판하였다. 70년대 후반에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는 이언 듀리, 버즈콕스, 섹스 피스톨즈, 더 클래시, 블론디와 패트릭 피츠제럴드나 그루포 스포르티보같은 유명하지 않은 음악가가 언급되었다.지그재그는 1981년 말 믹 머서가 편집자 자리를 인계받을 때까지 계속 런던에서 니즈 휘하에서 편집됐다.
2. 4. 믹 머서 시기 (1981년 ~ 1986년)
믹 머서는 1981년 말 지그재그의 편집자 자리를 인계받았다. 1982년 4월, 런던에 지그재그 클럽이라는 라이브 음악 공연장이 문을 열었으나, 그 해 말에 문을 닫았다. 1983년에는 잠시 출판을 중단했다가, 믹 머서가 편집을 맡으면서 재창간되었다. 이 시기에는 포스트 펑크와 초기 고스 문화를 다루었다. 1986년 1월, 140호를 마지막으로 폐간되었다.[3]2. 5. 폐간 이후 (1988년 ~ 현재)
1986년 1월, 140호를 마지막으로 《지그재그》는 폐간되었다.1988년 7월, 《지그재그》는 노던 & 셸(Northern & Shell)에 인수되었다. 1970년대 《지그재그》의 사업 매니저였던 짐 맥과이어는 노던 & 셸의 리처드 데스먼드를 설득하여 타이틀을 다시 쓸 수 있도록 했다. 맥과이어는 EMAP와 출판 계약을 맺었으나, 1990년 5월 한 권만이 발행된 후 폐쇄되었다. 이후 EMAP은 새로운 록 잡지 모조를 창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louds and Clocks - 1999 interview with Pete Frame
http://www.cloudsand[...]
2016-03-04
[2]
서적
The Amazing ZigZag Concert
[3]
뉴스
The Stranglers.(News)
https://www.questia.[...]
Western Mail (Cardiff, Wales)
[4]
웹사이트
Clouds and Clocks - 1999 interview with Pete Frame
http://www.cloudsand[...]
2016-03-04
[5]
서적
The Amazing ZigZag Concert
[6]
뉴스
The Stranglers.(News)
https://www.questia.[...]
Western Mail (Cardiff, Wal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