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자총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자총통은 조선 시대에 사용된 화포의 일종이다. 약통, 격목통, 부리로 구성되며, 부리에는 죽절이 있어 냉각 및 파열 방지 기능을 했다. 발사물로는 장군전과 수철연의환이 사용되었으며, 유통식 점화 방식으로 발사되었다. 최무선이 대형 총통을 만들 때에도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신기비결》과 《화포식언해》에 기록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총통 - 현자총통
    현자총통은 조선 시대에 사용된 화포의 일종으로, 임진왜란 시기 수군의 주력 무기였으며, 국립진주박물관과 국립광주박물관에 보물로 지정된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 총통 - 천자총통
    천자총통은 조선시대에 사용된 화포로, 근접전 상황에 대비한 무기 장착이 가능했으며, 다양한 타격 무기와 함께 판옥선, 거북선 등에 탑재되어 임진왜란 해전에서 활약했다.
  • 국립진주박물관 소장품 - 현자총통
    현자총통은 조선 시대에 사용된 화포의 일종으로, 임진왜란 시기 수군의 주력 무기였으며, 국립진주박물관과 국립광주박물관에 보물로 지정된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 국립진주박물관 소장품 - 중완구
  • 105 mm 포 - 10.5 cm 38호 대공포
    10.5 cm 38호 대공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사용된 10.5cm 구경의 대공포이며, 요새나 도시 방어용으로 사용되거나 궤도 고사포로 활용되었고, 140mm 장갑을 관통하는 철갑 유탄을 사용하며 분당 12~15발 발사가 가능했다.
  • 105 mm 포 - 10.5 cm 18호 경곡사포
    10. 5 cm 18호 경곡사포는 독일이 개발한 105mm 야전 곡사포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의 주력 사단급 야포로 사용되었으며, 10,675m의 최대 사정거리와 분당 6발의 발사 속도를 가진다.
지자총통
기본 정보
지자총통
지자총통
이름지자총통 (地字銃筒)
지정 번호862
지정 연월일1986년 3월 14일
소재지국립진주박물관
제작 시기조선 명종 12년(1557년)
기본 정보
이름지자총통 (地字銃筒)
지정 번호863
지정 연월일1986년 3월 14일
소재지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2가 1
동아대학교 박물관
제작 시기조선 명종 12년(1557년)

2. 구조 및 특징

지자총통은 최무선이 고려 말에 대형 총통을 만들 때에도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전기 총통에 관한 기록인 국조오례서례 병기도설의 일총통이 지자총통의 전신이다. 지자총통에 대한 문헌 기록은 《신기비결》과 《화포식언해》에 잘 남아 있어 그 일반적인 특징을 알 수 있다.

지자총통은 크게 약통, 격목통, 부리 세 부분으로 나뉜다. 약통은 화약을 채우는 곳이며, 격목통은 화약 폭발력을 높이는 장치를 하는 곳이다. 부리는 발사물을 넣는 곳으로, 한국 총통만의 특징인 죽절이라는 마디가 있다. 지자총통의 발사물로는 장군전과 수철연의환이 있었고, 철환은 납을 입힌 무쇠로 만들었다. 《화포식언해》에 따르면 철환은 토격을 이용하여 200개를 발사하였으며, 장군전은 격목을 이용하여 발사하였는데, 그 사거리는 800보에 이르렀다. 발사 방식은 한국 전통 화기의 점화 방식인 유통식으로, 약선 한 가닥을 부리 안으로 밀어 넣고 절반은 밖으로 내놓은 뒤 부리 구멍에 화약을 재고 격목으로 막은 다음 대장군전을 장치하거나 철환을 토격에 박아 다진 후 약선에 불을 붙여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였다.

2. 1. 약통

지자총통의 기본적인 발사물 형태는 약통, 격목통, 부리 세 부분으로 나뉜다. 약통은 화약을 채우는 부분으로, 불심지를 넣는 약선혈이 뚫려 있다. 격목통은 약통 속 화약 폭발 시 발사물에 작용하는 폭발력을 크게 하는 격목이나 토격을 장치하는 부분으로, 약통과 부리 사이에 있다. 부리는 철환이나 화살 등 발사물을 넣는 곳으로 격목통 앞부분에 있으며, 죽절이라 불리는 마디가 등 간격으로 6~8개 정도 둘러져 있다. 죽절은 한국 총통만의 특징으로, 사격 과정에서 부리의 온도를 낮추고 파열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2. 2. 격목통

지자총통의 발사물은 기본적으로 약통, 격목통, 부리 세 부분으로 나뉜다. 격목통은 약통 속 화약 폭발 시 발사물에 작용하는 폭발력을 크게 하는 격목이나 토격을 장치하는 부분으로, 약통과 부리 사이에 있다. 부리는 발사물인 철환이나 화살을 넣는 곳으로 격목통 앞부분에 있으며, 죽절이라 불리는 마디가 등 간격으로 6~8개 정도 둘러져 있다. 이 총통의 발사물은 장군전과 수철연의환이며, 철환은 납을 입힌 무쇠로 만들었다. 《화포식언해》에 따르면 철환은 토격을 이용하여 200개를 발사하였으며, 장군전은 격목을 이용하여 발사하였는데, 그 사거리는 800보에 이르렀다고 한다.

2. 3. 부리

지자총통은 약통, 격목통, 부리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부리는 격목통 앞부분에 있으며, 철환이나 화살을 넣는 곳이다. 지자총통의 발사물로는 장군전과 수철연의환이 있었고, 철환은 납을 입힌 무쇠로 만들었다. 《화포식언해》에 따르면, 철환은 토격을 이용하여 200개를 발사했고, 장군전은 격목을 이용하여 발사했는데, 사거리가 800보에 달했다. 발사 방식은 한국 전통 화기의 점화 방식인 유통식으로, 약선 한 가닥을 부리 안으로 넣고 절반은 밖으로 꺼낸 뒤, 부리 구멍에 화약을 재고 격목으로 막은 다음 대장군전을 장치하거나 철환을 토격에 박아 다진 후 약선에 불을 붙여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했다.

2. 3. 1. 죽절

지자총통의 부리는 발사물인 철환이나 화살을 넣는 곳으로 격목통 앞부분에 위치하는데, 죽절이라 불리는 마디가 등 간격으로 6~8개 정도 둘러져 있다. 이 죽절은 한국 총통만의 특징으로, 사격 과정에서 부리의 온도를 냉각시키고 부리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만들어졌다.

3. 발사물 및 발사 방식

지자총통의 발사 방식은 한국 전통 화기의 점화 방식인 유통식이다. 먼저 약선 한 가닥을 부리 안으로 밀어 넣고 절반은 밖으로 내놓는다. 그 뒤 부리 구멍으로 화약을 재고 격목으로 막은 다음, 대장군전을 장치하거나 철환을 토격에 박아서 다진다. 마지막으로 약선에 불을 붙여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해 발사한다.

3. 1. 발사물

지자총통의 기본적인 형태는 약통, 격목통, 부리 세 부분으로 나뉜다. 약통은 화약을 채우는 부분으로 불심지를 넣는 약선혈이 뚫려 있다. 격목통은 약통 속 화약 폭발 때 발사물에 작용하는 폭발력을 크게 하는 격목이나 토격을 장치하는 부분으로 약통과 부리 사이에 있다. 부리는 발사물인 철환이나 화살을 넣는 곳으로 격목통 앞부분에 있는데, 죽절이라 불리는 마디가 등 간격으로 6∼8개 정도 둘러져 있다. 이 죽절은 한국 총통만의 특징으로 사격 과정에서 부리의 온도를 낮추고 부리가 파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들어졌다. 지자총통의 발사물은 장군전과 수철연의환이며, 철환은 납을 입힌 무쇠로 만들었다. 《화포식언해》에 따르면 철환은 토격을 이용하여 200개를 발사하였으며, 발사는 한국 전통 화기의 점화 방식인 유통식으로 약선 한 가닥을 부리 안으로 밀어 넣고 절반은 밖으로 내놓은 뒤 부리 구멍으로 화약을 재고 격목으로 막은 다음 철환을 토격에 박아서 다진 뒤 약선에 불을 붙여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였다.

3. 1. 1. 장군전

최무선이 고려 말 대형 총통을 만들 때 지자총통도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전기 총통에 관한 기록인 국조오례서례 병기도설의 일총통이 지자총통의 전신이다. 지자총통에 대한 문헌 기록은 《신기비결》과 《화포식언해》에 잘 남아 있어 그 일반적인 성격을 알 수 있다.

지자총통의 발사물은 장군전과 수철연의환이며, 철환은 납을 입힌 무쇠로 만들었다. 《화포식언해》에 따르면 철환은 토격을 이용하여 200개를 발사하였으며, 장군전은 격목을 이용하여 발사하였는데, 그 사거리는 800보에 이르렀다고 한다. 발사는 한국 전통 화기의 점화 방식인 유통식으로, 약선 한 가닥을 부리 안으로 밀어 넣고 절반은 밖으로 내놓은 뒤 부리 구멍으로 화약을 재고 격목으로 막은 다음 대장군전을 장치하거나 철환을 토격에 박아서 다진 뒤 약선불을 붙여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였다.

3. 1. 2. 수철연의환

지자총통은 최무선이 고려 말 대형 총통을 만들 때에도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전기 총통에 관한 기록인 국조오례서례 병기도설의 일총통이 지자총통의 전신이다. 지자총통에 대한 문헌 기록은 《신기비결》과 《화포식언해》에 잘 남아 있어 그 일반적인 성격을 알 수 있다.

지자총통의 기본적인 발사물 형태는 약통, 격목통, 부리 세 부분으로 나뉜다. 약통은 화약을 채우는 부분으로, 불심지를 넣는 약선혈이 뚫려 있다. 격목통은 약통 속 화약 폭발 시 발사물에 작용하는 폭발력을 크게 하는 격목이나 토격을 장치하는 부분으로, 약통과 부리 사이에 있다. 부리는 발사물인 철환이나 화살을 넣는 곳으로 격목통 앞부분에 있으며, 죽절이라 불리는 마디가 등 간격으로 6~8개 정도 둘러져 있다. 이 죽절은 한국 총통만의 특징으로, 사격 과정에서 부리의 온도를 낮추고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지자총통의 발사물은 장군전과 수철연의환이며, 철환은 납을 입힌 무쇠로 만들었다. 《화포식언해》에 따르면 철환은 토격을 이용하여 200개를 발사하였으며, 장군전은 격목을 이용하여 발사하였는데, 그 사거리는 800보에 이르렀다고 한다. 지자총통의 발사는 한국 전통 화기의 점화 방식인 유통식으로, 약선 한 가닥을 부리 안으로 밀어 넣고 절반은 밖으로 내놓은 뒤 부리 구멍으로 화약을 재고 격목으로 막은 다음 대장군전을 장치하거나 철환을 토격에 박아서 다진 뒤 약선에 불을 붙여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였다.

3. 2. 발사 방식

지자총통의 발사물은 크게 약통, 격목통, 부리 세 부분으로 나뉜다. 약통은 화약을 채우는 부분으로 불심지를 넣는 약선혈이 있다. 격목통은 약통과 부리 사이에 위치하며, 화약 폭발 시 발사물에 작용하는 폭발력을 크게 하는 격목이나 토격을 장치하는 부분이다. 부리는 발사물인 철환이나 화살을 넣는 곳으로, 격목통 앞부분에 있으며 죽절이라 불리는 마디가 등 간격으로 6~8개 정도 둘러져 있다. 이 죽절은 한국 총통만의 특징으로 사격 과정에서 부리의 온도를 냉각시키고 부리의 파열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총통의 발사물은 장군전과 수철연의환이며, 철환은 납을 입힌 무쇠로 만들었다. 《화포식언해》에 따르면 철환은 토격을 이용하여 200개를 발사하였으며, 장군전은 격목을 이용하여 발사하였는데, 그 사거리는 800보에 이르렀다고 한다. 발사는 한국 전통화기의 점화방식인 유통식으로, 약선 한 가닥을 부리 안으로 밀어 넣고 절반은 밖으로 내놓은 뒤 부리구멍으로 화약을 재고 격목으로 막은 다음 대장군전을 장치하거나 철환을 토격에 박아서 다진 뒤 약선불을 붙여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였다.

4. 역사적 의의

지자총통은 최무선이 고려 말 대형 총통을 만들 때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전기 총통에 관한 기록인 국조오례서례 병기도설의 일총통이 지자총통의 전신이다. 지자총통에 대한 문헌 기록은 《신기비결》과 《화포식언해》에 잘 남아 있다.

4. 1. 제작 배경

지자총통은 최무선이 고려 말에 대형 총통을 만들 때에도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전기 총통에 관한 기록인 국조오례서례 병기도설의 일총통이 지자총통의 전신이다. 지자총통에 대한 문헌 기록은 《신기비결》과 《화포식언해》에 잘 남아 있어 그 일반적인 성격을 알 수 있다.

4. 2. 관련 기록

최무선이 고려 말 대형 총통을 만들 때 지자총통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전기 총통에 관한 기록인 국조오례서례 병기도설의 일총통이 지자총통의 전신이다. 지자총통에 대한 문헌 기록은 《신기비결》과 《화포식언해》에 잘 남아 있어 그 일반적인 성격을 알 수 있다.

지자총통의 발사물은 장군전과 수철연의환이며, 철환은 납을 입힌 무쇠로 만들었다. 《화포식언해》에 따르면 철환은 토격을 이용하여 200개를 발사하였으며, 장군전은 격목을 이용하여 발사하였는데, 그 사거리는 800보에 이르렀다고 한다.

5.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