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혜공 (희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 혜공은 춘추 시대 진나라의 군주로,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다는 평을 받았으나, 여희의 난으로 인해 망명 생활을 겪었다. 망명 중 진(秦)나라의 지원을 받아 귀국하여 군주가 되었지만, 약속을 어기고 주변국을 배신하는 행위를 반복했다. 결국 진(秦)나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포로가 되었고, 이후 진(秦)나라에 종속되는 상황을 맞았다. 그는 기원전 637년에 사망했으며, 아들인 진 회공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637년 사망 - 송 양공
송 양공은 춘추 시대 송나라의 군주로, 제 환공 사후 패권을 차지하려 했으나 굉수 전투에서 초나라에 패배하고 '송양지인'이라는 고사성어를 남기며 어리석음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진나라의 군주 (희성) - 진 문공
진 문공은 춘추 시대 진나라의 군주로, 여희의 난으로 망명 생활을 거쳐 즉위 후 주나라 왕실을 안정시키고 초나라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패권을 확립했으며, 군사 및 정치 개혁을 통해 진나라의 국력을 강화했다. - 진나라의 군주 (희성) - 당숙 우
주나라 무왕의 아들이자 주 성왕의 동생인 당숙 우는 성왕의 장난스러운 약속으로 당나라에 봉해졌으며, 그의 후손인 진후 섭이 국명을 진으로 바꾸어 춘추전국시대 강국의 기반을 다졌다.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진 혜공 (희진) | |
---|---|
기본 정보 | |
이름 | 혜공 (惠公) |
성 | 희 (姬) |
씨 | 진 (晉) |
휘 | 이오 (夷吾) |
시호 | 혜공 (惠公) |
생몰년 | 기원전 637년 사망 |
통치 정보 | |
작위 | 진의 군주 |
재위 기간 | 기원전 650년 - 기원전 637년 |
이전 군주 | 희 탁자 |
다음 군주 | 희 첩 |
가계 | |
아버지 | 헌공 |
어머니 | 소융자 (小戎子) |
자녀 | 희 첩, 희 겹 |
2. 사적
어린 시절부터 기지가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으며, 태자 신생이 죽은 후에는 중이와 함께 차기 군주의 후보 중 한 명이었다. 그러나 여희가 해제를 낳자 굴읍에 봉해졌다.[1]
기원전 652년, 여희에 의해 헌공 암살 혐의를 받게 되자 (여희의 난), 극예의 헌언에 따라 양으로 망명하여, 그 공녀를 아내로 맞아 두 아들을 두었다. 다음 해 기원전 651년, 리극 등 진나라 국내의 대부들에 의해 해제와 그 뒤를 이은 탁자가 잇달아 살해되자, 진의 목공의 후원을 얻어 귀국하여 기원전 650년에 진공이 되었다.[3][5]
군주가 된 이후, 혜공은 명성이 높은 중이의 귀국을 두려워하여 자객을 보냈고, 자신을 따르지 않거나 해제와 탁자를 살해하고 혜공을 맞이한 리극 등 대부들을 가혹하게 탄압했다.
또한 진(晉)에서는 연이어 흉작이 지속되었으므로, 기원전 647년, 즉위 시 후원해 준 인접국인 진(秦)에 지원을 요청했다. 혜공은 즉위 시의 약속이었던 영토 할양을 파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진(秦)의 목공은 기꺼이 이에 응하여, 대량의 식량을 강에 띄워 진(晉)에 보냈다. 다음 해인 기원전 646년에는 진(秦)이 흉작이 되자 목공은 그 해 풍작이었던 진(晉)에 지원을 요청했다. 이를 들은 혜공은, 엉뚱하게도 진(秦)을 쳐부술 기회가 지금이라고 기뻐하며, 다음 해인 기원전 645년, 진(秦)에 출병했다. 목공은 분노하여, 진(秦)과 진(晉)은 한원(韓原)(현재의 산시성 한청시)에서 격돌하게 되었다. 전투는 진(秦)의 압승으로 끝나, 혜공은 포로가 되었다.[12]
목공은 혜공을 진(秦)으로 데려가 조상의 영혼에게 희생으로 바치려 했지만, 목공의 비(妃)인 목희(穆姬)는 진(晋)의 헌공(献公)의 딸이자 혜공의 누이였으므로, 목공에게 목숨을 걸고 간청했다. 또한, 진(晋)의 대부(大夫)들도 혜공의 목숨을 살려달라고 간절히 청했다. 가신들은 혜공을 죽일 것을 진언했지만, 목공은 혜공을 살려주었다. 그러나, 회공(懐公)(진)인 태자 어(太子圉)를 인질로 삼았고, 이후 진(晋)은 진(秦)에 종속되는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그 후, 기원전 637년 10월에 사망했다.[3]
2. 1. 망명 시절
이오는 헌공의 애첩 여희가 아들 해제를 태자로 세우려 하자, 신생, 중이와 함께 서울에서 쫓겨나 굴 땅에 봉해졌다.[3] 그는 신생과 중이와 함께 어질었으나, 아버지 진 헌공에게서 소원해졌다.[3]기원전 655년, 중이와 함께 입조했을 때, 태자 신생은 여희의 참소로 자결했다. 여희는 중이와 이오도 신생의 암살 음모에 가담했다고 참소했고, 중이와 이오는 각자의 봉읍인 포와 굴로 달아나 수비 태세를 갖추었다.[3] 기원전 653년, 헌공은 가화를 보내 굴을 치고 이오를 죽이려 했으나, 이오는 극예(郤芮)[2]의 조언에 따라 진나라와 친한 양(梁)나라로 망명했다.[3][4]
양나라에서 양나라 공녀와 혼인하여 아들 회공(어)와 딸 첩을 낳았다. 양백(혜공의 장인)은 점을 쳐 아들은 신하, 딸은 첩이 될 것이라 예언했다.[3]
기원전 651년 음력 9월, 진 헌공이 사망한 후, 역희는 해제를 왕위에 앉혔으나, 리커가 해제를 살해했다.[1] 리커는 탁자마저 살해하고, 중이에게 귀국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리커는 이오에게 같은 제안을 했고, 이오는 이를 받아들여 진나라 공작으로 즉위했다.[1]
2. 2. 즉위
헌공 26년(기원전 651년), 헌공이 죽고 뒤를 이은 해제와 탁자를 이극이 차례로 죽이자, 공자 이오는 진나라의 힘을 빌려 본국으로 돌아가 즉위했다.[3][5] 당시 패자였던 제 환공도 진나라의 혼란을 바로잡고자 제후들을 모아 진나라로 갔으나, 이미 진나라가 출병했다는 말을 듣고 사신으로 습붕을 보내 함께 진 혜공을 세웠다.[3]《사기》와 《국어》의 기록에 따르면, 이극은 해제와 탁자를 죽인 뒤, 공자 중이를 진후로 모시려 했으나 중이가 사양했다. 이에 이극은 공자 이오를 세우려 했고, 이오는 귀국하려 했으나, 여생과 극예는 국내 공자들의 의심을 우려하여 즉위 후 황하 이서를 진나라에 할양하고 이극에게 분수 이북(분양) 땅을 뇌물로 주는 조건으로 지원을 요청하도록 제안했다. 이오는 이를 받아들였고, 진 목공은 군대를 보내 이오의 귀국과 즉위를 도왔다.[3]
《국어》에서는 이극과 비정보가 도안이를 보내 공자 중이를, 여생은 극칭과 함께 포성오를 보내 공자 이오를 모셔오려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중이는 호언의 조언으로 귀국하지 않으려 했고, 이오는 기예(극예)의 말을 따라 뇌물을 통해 국내외 지지를 확보하고 귀국하려 했다. 여생의 의견으로 진나라 대부들은 진 목공에게 임금을 정해주길 부탁했고, 진 목공은 공자 접(公子縶)을 보내 중이와 이오의 사람됨을 비교했다. 공자 접은 이오가 공석에서는 울기만 하고 사석에서는 진나라에 황하 이서 다섯 성, 이극에게 분수 이북, 비정에게 부채 땅을 주겠다고 약속하며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보고, 중이가 이오보다 어질다고 판단했다. 결국 진 목공은 이오를 진나라 임금으로 결정했다.[5]
역희의 음모로 후궁 역희가 자신의 아들에게 왕위를 확보하기 위해 희제의 형제들을 수도에서 내쫓았을 때, 의생(이오)은 징현에 해당하는 이구를 방어하기 위해 보내졌다. 기원전 651년 음력 9월 진 헌공이 죽은 후, 역희는 15세의 희제를 왕위에 앉히고 순식을 재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리커가 희제를 살해하고, 11월에는 탁자와 역희까지 살해했다. 순식은 자살했고, 역희의 여동생이자 탁자의 어머니인 소희는 투옥되었다. 이후 리커는 중이에게 진나라로 돌아와 공작이 될 것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하자, 의생에게 같은 제안을 했고, 의생이 이를 받아들여 진 혜공으로 즉위했다.
어린 시절부터 기지가 뛰어나다는 평을 받은 이오는 태자 신생이 죽은 후 중이와 함께 차기 군주 후보 중 한 명이었다. 그러나 여희가 해제를 낳자 굴읍에 봉해졌다.[1] 기원전 652년, 여희에 의해 헌공 암살 혐의를 받게 되자 (여희의 난), 극예의 조언에 따라 양으로 망명하여 그곳 공녀를 아내로 맞이했다. 기원전 651년, 리극 등 진나라 대부들에 의해 해제와 탁자가 잇달아 살해되자, 목공의 후원을 얻어 귀국하여 기원전 650년에 진공이 되었다.
2. 3. 거듭되는 배신
혜공 원년(기원전 650년), 비정(邳鄭)을 진나라에 사자로 보내 하서 5성을 주기로 한 약속을 지킬 수 없다고 했으며, 이극에게 약속한 분수 이북 땅을 주지 않고 그 권력을 빼앗았으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약속한 뇌물을 주지 않았다.[3] 4월, 동주 양왕의 사자 주공 기보 · 왕자 당은 제나라의 습붕과 진나라 대부와 회합하여 혜공을 진후로 세웠다.[3][6] 혜공은 이극을 죽였다.[3] 사마천은 《사기》에서 “외국에 중이가 있어 변란을 일으킬 것을 두려워한 까닭”이라고 했다.[3]진나라로 간 비정은 여생 · 극칭 · 기예 셋이 진나라에 뇌물을 못 주게 하는 것이니 이들을 유인하면 자신이 진 혜공을 쫓아내고 공자 중이를 모시겠다고 제안했다. 겨울에 진 목공이 대부 영지를 보내 이 셋을 초빙하자, 셋은 진 목공의 음모를 알아채고 선수를 쳐 비정 · 기거 · 공화 · 가화 · 숙견 · 추천 · 누호 · 특궁 · 산기 등 이극과 비정의 당을 몰살했다.[3][10]
혜공 4년(기원전 647년), 진나라에 거듭 흉년이 들어 혜공은 진나라에 곡식을 팔기를 요청했고, 진 목공은 이를 받아들였다. 혜공 5년(기원전 646년), 진나라에 흉년이 들자 혜공은 하상의 곡식을 진나라에 보내주려 했는데, 괵사가 이미 뇌물을 안 줬으니 이런 것은 줘 봐야 진나라의 원망만 살 뿐이라며 만류하자 혜공은 이를 따랐다.[3]
괵사의 진나라 공격 제안에 따라 혜공은 출병 준비를 했다. 경정이 작년에 입은 은혜를 배반하지 말라고 간언했으나 혜공은 듣지 않았다.[3][11] 이에 진 목공은 한 지역으로 쳐들어갔다. 혜공은 경정이 전차를 모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전투 중 전차가 진흙에 빠지자 혜공은 경정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경정은 그냥 가버렸다. 결국 진나라 군대는 후퇴했고 혜공은 포로로 잡혀 진나라로 끌려갔다.[3]
진 목공은 희진의 생명을 살려주기로 하고, 그를 진나라로 호송하여 음력 11월에 진나라와 동맹을 맺었다. 권력을 되찾은 희진은 즉시 경정을 죽이고 진나라의 정부를 재편했다.
2. 4. 한원 전투
진 혜공은 하서 다섯 성을 주지 않았고, 전년(기원전 647년)에 진나라의 기근으로 진(秦)나라에 곡식을 요청하여 지원을 받았음에도, 다음 해(기원전 646년) 진나라가 기근을 겪자 곡식 지원을 거부했다.[12] 이에 분노한 진 목공은 기원전 645년 봄에 진나라를 공격했다.[12] 진 혜공은 세 번 패하여 한(韓) 땅에 이르렀다. 보양을 융차의 어자로, 가복도를 차우로 삼고 정나라 말 소사를 탔으나, 경정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진 혜공은 이를 무시했다.[12]9월, 진 혜공은 한간을 정탐으로 보내 진나라 군대의 상황을 파악하게 했다. 한간은 진나라 군대가 수적으로는 열세이나 분노로 인해 투지가 매우 높다고 보고했으나, 진 혜공은 싸우러 와서 물러나면 적에게 만만히 여김을 받을 것이라며 전투를 강행했다.[12] 전투 도중 소사가 놀라 수레가 멈추고 진 혜공이 위기에 처하자, 경정을 불렀으나 경정은 가지 않았다. 경정은 양유미, 한간, 괵사에게 진 혜공을 구출하도록 요청했으나, 이들이 진 목공을 놓아주고 오는 사이에 진 혜공은 사로잡혔다.[12]
진 목공은 진 혜공을 풀어주는 대신 태자 어(후의 진 회공)를 볼모로 잡고, 진 혜공이 즉위하며 약속한 하외 5성을 받아갔다.[12] 진 목공은 처음에 진 혜공을 죽이려 했으나, 부인 백희(진 목공의 부인이자 진 혜공의 누이)가 상복을 입고 울면서 반대하여, 기자가 당 숙우를 칭찬하며 그의 후손이 번영할 것이라고 말한 것을 언급하며,결국 진 혜공을 살려주고 11월에 진나라와 동맹을 맺었다.
2. 5. 죽음
혜공은 기원전 638년에 병이 들어, 기원전 637년 9월에 죽었다. 태자 어가 뒤를 이어 즉위했다.[3]3. 가족 관계
- 소융희 (어머니)
- 진 헌공 (아버지)
- * 진 회공 (아들)
- * 첩 (딸)
- * 양나라 공녀
- * 그 외의 아들들
4. 평가
5. 현대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참조
[1]
웹사이트
House of Jin
http://www.guoxue.co[...]
2012-04-12
[2]
문서
진나라 대부로, 봉토를 따라 기예(冀芮)라고도 한다.
[3]
서적
사기 39권 진세가
http://zh.wikisource[...]
[4]
서적
역주 춘추좌씨전 2
전통문화연구회
[5]
서적
국어 제8권 진어 2
[6]
서적
상게서
[7]
서적
상게서
[8]
서적
국어 제9권 진어 3
[9]
서적
위의 책
[10]
서적
위의 책
[11]
서적
위의 책
[12]
서적
위의 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