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상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된 직책으로, 일반적으로 최고위 행정 관리, 정부 수반, 외교 또는 법무 관련 직책을 의미한다. 중국에서는 황제를 보좌하는 최고위 행정 관리, 즉 재상(宰相)을 지칭했으며, 유럽 각국에서도 왕실 재상, 대재상 등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정부 수반, 핀란드와 스웨덴의 법무 관련 직책, 미국의 법원 판사, 에스토니아의 부처 업무 지휘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상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또한 교육 기관의 총장, 종교 단체의 주요 기록 보관인 등 다양한 직책을 지칭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상 - 페슈와
    페슈와는 '가장 앞선 지도자'라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데칸 지역 술탄국들의 재상을 지칭했으며, 바트 가문이 세습하면서 마라타 왕국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으나, 이후 쇠퇴하여 영국-마라타 전쟁 후 폐지되었다.
  • 재상 - 영윤
    영윤은 초나라의 재상 관직으로, 두기를 시작으로 여러 인물들이 역임하며 초나라의 정치, 군사적 발전에 기여했다.
  • 관직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관직 - 부왕
    부왕은 왕을 대리하는 자를 의미하며, 스페인 제국 시대에 광대한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고, 대영제국에서는 인도 총독이 부왕으로 불리는 등 다양한 국가에서 유사한 직책이 존재했다.
재상
기본 정보
직책 종류정부 관료
관할 부서정부 부처
임명권자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
보고 대상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
다른 이름재상
영어 명칭Chancellor
역할 및 권한
주요 역할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을 보좌
정부 정책 결정 및 집행에 참여
내각 또는 행정부의 주요 구성원
권한 범위국가마다 상이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행정 권한 보유)
역사적 기원
어원라틴어 cancellarius (칸첼리, 격자)
칸첼리에서 일하는 관리
역사고대 로마: 법정의 문지기
중세 유럽: 군주의 비서관, 서기관
현대: 정부의 고위 관료, 수상 (예: 독일, 오스트리아)
현대적 의미
수상일부 국가 (예: 독일, 오스트리아)에서 정부 수반의 직함
고위 관료정부 부처의 장관급 관료
대학 총장일부 국가 (영국, 미국, 캐나다 등)에서 대학의 명예직 총장
유사 직책 (한국)
역사적 직책정승 (조선 시대)
현대적 직책국무총리
참고
관련 용어수상, 총리, 정부 수반, 내각, 행정부

2. 어원

중국어로 재상(宰相)의 '재(宰)'는 제사에 쓸 동물을 잡고 제사 고기를 배분하는 사람을 뜻하며, '상(相)'은 고대에 의식을 진행하고 손님을 접대하는 사람을 의미하였다.[24]

3. 역사적 용례

역사적으로 챈슬러(Chancellor)는 다양한 국가에서 여러 직책을 의미했다.[14][15][16][17][18][19][20][21][22][23]


  • 중국에서 재상은 황제를 보좌하는 최고위 행정 관리에게 주어진 명칭으로, 일반적으로 중국어의 '자이샹'(중국어: 宰相, zǎixiàng) 또는 '청샹'(丞相중국어, chéngxiàng)의 번역으로 사용된다. 당나라의 재상을 참고하라.
  • '''태정대신'''(다이조-다이진)은 나라 시대 및 그 이후, 그리고 잠시 메이지 헌법 아래에서 태정관의 수장이었다.
  • 신성 로마 제국 정부의 직책으로 재상이 있었다.
  • 고대 이집트에는 때때로 재상으로 번역되는 두 가지 명칭이 있었다. "왕실 봉인관"(xtmtj-bity 또는 xtmw-bity)은 제1왕조(기원전 3000년경)부터 증명된 직함으로, 왕실에서 특정 지위를 나타냈다. 이 직책을 맡은 사람으로는 임호테프와 헤마카 등이 있다. "왕실 봉인 관리자"(또는 ''봉인 감독관'' 또는 ''재무관''—imy-r xtmt)는 국가의 수입을 책임졌다. 이 직위는 기원전 2000년경에 나타났다. 이 직책을 맡은 관리로는 베이 또는 이르수, 케티, 메케트레, 및 낙티가 있다.
  • 수세기 동안, 프랑스 왕은 프랑스 재상(샹슬리에 드 프랑스/Chancelier de France프랑스어)을 임명했는데, 이 직책은 왕관의 주요 관리 중 하나로, 봉인 관리자의 직책과 연관되었다. ''샹슬리에''는 일부 사법 절차를 담당했다. 루이 18세, 샤를 10세 및 루이 필리프 시대에는 프랑스 재상이 프랑스 왕실 의회의 상원인 귀족원을 주재했다.
  • 14세기 폴란드 왕국에서는 왕실 재상(''칸클레시/Kanclerzpl'')이 있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1569–1795)에서는 4명의 재상이 국가의 10명의 최고위 관리 중 하나였다. 폴란드리투아니아는 각각 대재상과 부재상을 두었으며, 각자 상원 의석을 가졌고, 왕국의 모든 업무를 담당했으며, 자체 재무처를 가지고 있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직책을 참조하라.
  • 재상은 부르고뉴 공국 정부에서 세습되지 않는 최고위 직책이었다.
  • 러시아 제국에서 재상은 등급표에 의해 정의된 최고위 문관이었으며, 원수대제독과 같은 등급이었다. 알렉산드르 고르차코프 및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베스투제프-류민과 같은 가장 뛰어난 정부 관리만이 이 등급으로 승진했다.
  • 노르웨이에서 노르웨이 재상(현대 노르웨이어: ''Norges rikes kansler'', "노르웨이 왕국의 재상")은 중세 시대에 노르웨이 왕의 가장 중요한 측근이었다. 그는 법률과 규정을 발행하고, 왕국의 일상적인 행정을 담당했다. 1270년부터 재상은 베르겐에 거주했다. 노르웨이의 호콘 5세는 재상의 거처를 오슬로로 옮겼다. 1314년 8월 31일 성 마리아 교회의 교구 신부가 영구적으로 재상이 되었다. 그는 왕국의 대봉인을 "영원히" 받았다. 재상은 원래 성직자 중에서 선택되었다. 이 직책은 옌스 비엘케의 재임 이후 중요성을 잃었으며 1679년에 폐지되었다.
  • 스코틀랜드 대재상.
  • 중세 웨일스의 ''canghellor''는 왕의 영지의 농민들을 관리하고, 왕의 탄원과 "폐기물"을 처리하는 책임을 맡았다.
  • "국가 재상"(독일어: Staatskanzler)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오스트리아 공화국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후 오스트리아에서 정부 수장이었다. 두 번 모두 국가 재상은 카를 레너였다.

3. 1. 동아시아

3. 1. 1. 중국

중국에서 재상(宰相)은 황제를 보좌하는 최고위 행정 관리에게 주어진 명칭이다. 재(宰)는 제사에 쓸 동물을 잡고 제사 고기를 배분하는 사람을 뜻하며, 상(相)은 고대에 의식을 진행하고 손님을 접대하는 사람을 의미하였다.[24] 일반적으로 '宰相'(zǎixiàng) 또는 '丞相'(chéngxiàng)으로 번역된다.

3. 1. 2. 일본

일본에서 '''태정대신'''(太政大臣, 다이죠다이진/太政大臣일본어)은 나라 시대 및 그 이후, 그리고 잠시 메이지 헌법 아래에서 태정관의 수장이었다.

3. 2. 유럽

3. 2. 1. 신성 로마 제국

재상은 신성 로마 제국 정부의 직책이었다.

3. 2. 2. 프랑스

수세기 동안, 프랑스 왕은 프랑스 재상(Chancelier de France)을 임명했는데, 이 직책은 프랑스 왕관 대관 중 하나로, 봉인 관리자의 직책과 연관되었다.

3. 2. 3. 폴란드

14세기 폴란드 왕국에서는 왕실 재상(''Kanclerz'')이 있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1569–1795)에서는 4명의 재상이 국가의 10명의 최고위 관리 중 하나였다.

3. 2. 4. 부르고뉴

재상은 부르고뉴 공국 정부에서 세습되지 않는 최고위 직책이었다.

3. 2. 5.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에서 재상은 등급표에 의해 정의된 최고위 문관이었으며, 원수 및 대제독과 같은 등급이었다.

3. 2. 6. 노르웨이

노르웨이에서 노르웨이 재상(Norges rikes kansler, "노르웨이 왕국의 재상")은 중세 시대에 노르웨이 왕의 가장 중요한 측근이었다.

3. 2. 7.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 대재상

3. 2. 8. 웨일스

중세 웨일스의 ''canghellor''는 왕의 영지의 농민들을 관리하고 왕의 탄원과 "폐기물"을 처리하는 책임을 맡았다.

3. 2. 9. 독일-오스트리아 공화국

"국가 재상"(슈타츠칸츨러/Staatskanzlerde)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오스트리아 공화국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후 오스트리아에서 정부 수반이었다.

4. 정부 직책

4. 1. 정부 수반

4. 1. 1.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연방수상(분데스칸츨러/Bundeskanzlerde)은 오스트리아 정부의 수반이다. 2021년부터 오스트리아 연방수상은 카를 네함머이다.

4. 1. 2. 독일

독일 연방총리(Bundeskanzlerde)는 독일의 정부 수반이다.[2] 2021년 이후, 독일 연방총리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의 올라프 숄츠이다. (올라프 숄츠는 중도좌파 성향으로, 민주당과 정책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많다.)

독일 제국, 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은 행정부 수반으로서 Reichskanzlerde에 해당하는 직책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1934년에서 1945년 사이, 아돌프 히틀러는 국가 원수, 정부 수반, 집권당 대표의 역할을 결합하여 공식적으로 "Führer und Reichskanzlerde" (문자 그대로 "지도자 겸 총리")라는 직함을 가졌다. (아돌프 히틀러는 극우 파시스트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탄압하고 독재 정치를 펼쳤으며, 이는 민주당의 가치와는 정반대된다.)

4. 1. 3. 스위스

스위스의 연방총리는 연방 평의회의 수장이 아닌, 연방 행정부의 수장이다.

4. 2. 외교 관련 직책

상호간의 수도에 설치하는 최고위급 외교 공관대사관인데, 대사관은 Chancellor의 사무소라는 의미에서 Chancery라고 부른다.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재상"에 해당하는 직위(Cancilleres, Chancelerpt)는 일반적으로 외무부 장관 직책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종종 외무부 장관의 정식 직함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대륙의 스페인어 사용 국가의 외무부는 ''Cancillería'' 또는 포르투갈어 사용 국가인 브라질에서는 ''Chancelaria''로 불린다. 그러나 스페인에서는 ''canciller''라는 용어가 외교 관련 기술적 문제를 담당하는 스페인 외교관공무원을 지칭한다. 독일 외교부의 경우, ''Kanzler''(재상)라는 용어는 외교 공관의 행정 수장을 지칭한다.

4. 3. 법무 관련 직책

4. 3. 1. 핀란드

핀란드에서, 법무감찰관(오이케우스칸슬레리/Oikeuskanslerifi, 유스티티에칸슬레른/Justitiekanslernsv)은 정부가 취하는 행동의 적법성을 감독하고 기본 시민 자유의 시행을 감시한다. 이 특별한 기능으로 법무감찰관은 핀란드 각료회인 핀란드 국무원에도 참여한다.

4. 3. 2. 스웨덴

스웨덴에서 법무총장 또는 유스티티예칸슬렌/Justitiekanslernsv은 스웨덴 정부의 법무부 장관 역할을 한다. 이 직책은 스웨덴의 칼 12세에 의해 1713년에 도입되었다. 역사적으로는 대법관 또는 릭스칸슬레르/Rikskanslersv가 스웨덴 국무원의 최고위 구성원이었다. 이 외에도 고등 교육을 담당하는 국립 고등 교육 기관을 이끄는 대학 총장 또는 유니베르시테트칸슬레르/Universitetskanslersv이 있다.

4. 3. 3. 영국


  • 재무부 장관은 재무부 장관이다. 국가의 주요 직위 중 하나인 재무부 장관은 일반적으로 정치적 영향력에서 총리 다음으로 간주된다. 이 직함은 잉글랜드 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 정치에서 "재상"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는 거의 항상 재무부 장관을 지칭한다. "재무부의 제2장관"으로서 재무부 장관은 런던의 10번가 다우닝가에 있는 "재무부의 제1장관"인 총리 옆, 11번가 다우닝가에 공식 관저를 두고 있다.

  • 대법관(''대법관'', ''국왕 재상'')은 잉글랜드 왕국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그리고 의회보다 오래된 가장 오래된 국가 직위 중 하나이다. 이론적으로 대법관은 "대영 제국의 재상"이다. 북아일랜드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아일랜드를 떠난 1922년에 이전 "아일랜드 재상" 직위는 폐지되었다. 대법관은 의전 서열에서 (캔터베리 대주교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비왕족 인물이다. 현재 주로 형식적인 재상으로서의 의무 외에도, 이 직위는 현재 법무부 장관이 맡고 있으며, 법무부 장관은 법무부의 정치적 수장이다. 이전에 재상은 다음과 같은 역할도 했다.

  • 영국의 수장, 스코틀랜드는 제외. 이전 세기에 대법관은 '''재판소'''의 유일한 판사였다. 1873년에 그 법원이 다른 법원과 통합되어 고등 법원을 형성했을 때, 대법관은 재판소 부서의 명목상 수장이 되었다. 대법관은 상원의 사법 심리에 참여할 수 있었고, 상원에서 항소를 심리할 위원회를 선택하기도 했다. 재판소 부서의 ''실질적인'' 수장은 부총장이었고, 항소 위원회를 선택하는 역할은 실제적으로 상임 상고 재판관이 수행했다.
  • 상원 의장. 이러한 의무는 현재 상원 의장이 수행한다. 잭 스트로는 1578년 경 크리스토퍼 해튼 이후 상원이나 그 전신인 Curia Regis의 구성원이 아닌 하원 의원이었던 최초의 대법관이었다.[6][7]

  • 고등 법원 재상은 고등 법원 재판소 부서의 수장이다. 2005년 이전에는 이 직위를 맡은 판사가 부총장으로 알려졌으며, 대법관은 부서의 명목상 수장이었다.

  • 팔라틴 자치주 또는 자유 지역에서 지방 영주가 다른 곳에서는 국왕에게 유보된 개인적 관할권을 행사하는 경우, 영주의 행정부 수장은 종종 "재상"이라는 직함을 받았다. 영주가 주교인 경우 (예: 엘리 주교 in 엘리 섬 또는 요크 대주교 in 헥섬셔) 이 관리들은 주교의 교회 재상과 구별하기 위해 '''세속 재상'''이라고 불렸습니다. 팔라틴 및 자유 지역 관할권은 사실상 폐지되었지만, 형식적인 재상 직함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 랭커스터 공작 재상: 실질적으로 무임소 장관 직위로, 종종 선임 정치인에게 주어져 내각에 자리를 마련한다.
  • 콘월 재상, 대인장 관리인, 콘월 공작령 내에서 스타나리 경 다음으로 두 번째이다.

4. 3. 4. 미국

일부 미국 델라웨어, 테네시, 미시시피와 같은 주들은 여전히 형평법원을 별도로 유지하여 형평법 사건에 대한 관할권을 행사한다. 해당 법원의 판사들은 재상이라고 불린다.

4. 3. 5.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에서 재상(칸츨러/Kantsleret)은 부처의 업무를 지휘하고 부처에 속한 기관을 조정하며, 이는 영국의 차관과 유사하다.[9] 부처는 재상이 부재 시 재상의 임무를 수행하는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부재상(Asekantsler)을 둘 수 있다. 사법 재상(외이구스칸츨러/Õiguskantsleret, 현직 Ülle Madise)은 정부가 취한 조치의 적법성을 감독하고 기본 시민 자유의 시행을 감시한다.[10]

5. 기타 직책

5. 1. 교육

총장(Chancellor)은 많은 공립 및 사립 대학교와 관련 기관의 수장으로, 의례적인 역할이나 행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독일에서는 많은 대학 행정 수장이 ''칸츨러/Kanzlerde''(총장)라는 직함을 사용하는 반면, 학술 수장은 ''렉토어/Rektorde''(총장)라는 직함을 사용한다.

미국에서 연방 정부가 설치한 유일한 "재상"은 스미스소니언 협회의 재상으로, 주로 의례적인 직책이며 미국 연방 대법원장이 맡는다. 뉴욕 시 교육부와 컬럼비아 특별구 공립학교의 수장들은 해당 관할 구역의 시립 공립학교를 운영하며 총장이라는 직함을 사용한다.

5. 2. 종교

재상은 교구 또는 교구의 주요 기록 보관인이다.[11] 재상은 공증인이므로 공식 문서를 인증할 수 있으며, 교구 주교의 재량에 따라 다른 의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재상은 사제 또는 부제이지만, 일부 상황에서는 평신도가 이 직책에 임명될 수 있다.[11] 교구 재판소에는 사제 또는 부제가 되어야 하는 재상이 임명되어야 하며, 특별법에 의해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교구 재판소의 모든 행위가 수집 및 정리되어 교구 재판소의 기록 보관소에 보존되도록 하는 것이 주요 의무이다.[12]

영국에서는 잉글랜드 교회의 각 고등 법원이 교구 재상에 의해 주재된다.

연합 감리 교회에서는 각 연회에 연회 재상이 있으며, 연회의 법률 고문이자 대표이다. 연회는 법적 대리가 필요한 문제에 대해 일반적으로 외부 전문 변호사를 고용하지만, 해당 고용 및 대리는 연회 재상의 감독 및 동의 하에 수행된다.[13]

참조

[1] 뉴스 Immigration hardliner Karl Nehammer to take over as Austrian leader https://www.theguard[...] 2021-12-08
[2] 문서 Grundgesetz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3] 웹사이트 Staatskanzlei
[4] 웹사이트 Web site of Geneva Chancellery www.ge.ch/chanceller[...] 2018-03-00
[5] 웹사이트 Web site of the Bern Chancellery (French version) www.rr.be.ch/rr/fr/i[...]
[6] 백과사전
[7] 웹사이트 Constitutional continuity: Jack Straw speech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http://www.justice.g[...] 2009-03-03
[8] 웹사이트 Denmark http://www.worldstat[...]
[9] 법률 VABARIIGI VALITSUSE SEADUS http://www.riigiteat[...]
[10] 법률 ÕIGUSKANTSLERI SEADUS http://www.riigiteat[...]
[11] 법률 CIC 482; CCEO 252—§1
[12] 서적 New Commentary on the Code of Canon Law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13] 웹사이트 Texas Annual Conferenc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www.txcumc.org
[14] 서적 Kenkyusha's New Japanese-English Dictionary Kenkyusha Limited
[15]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1999
[16] 서적 Who's Who in Ancient Egypt Routledge 2001
[17] 서적 Urkunden zur Chronologie der späten 12. Dynastie, Briefe aus Illahun Wien 2006
[18] 서적 Letters from Ancient Egypt Atlanta 1990
[19] 서적 Memoirs Egypt Exploration Society 1958
[20] 웹사이트 Serdab of the Chancellor Meketre http://www.insecula.[...]
[21] 서적 Who's Who in Ancient Egypt Routledge 2001
[22] 서적 Oslo bys historie: Byen ved festningen: fra 1536 til 1814 1992
[23] 서적 Welsh Medieval Law Oxford Univ. 1909
[24] 서적 이중텐, 중국인을 말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