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질베르 베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질베르 베코는 프랑스의 가수, 작곡가, 배우이다. 1927년 툴롱에서 태어나 1950년대 후반부터 "La Corrida", "Le Jour où la Pluie Viendra", "C'est Merveilleux L'amour"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가수로 데뷔했다. 그는 1960년 "Je t'appartiens"의 영어 버전인 "Let It Be Me"가 에벌리 브라더스에 의해 히트하고, "Et Maintenant"는 "What Now My Love"로 번역되어 여러 가수에 의해 불리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배우로 활동하며 영화에도 출연했으며, 1987년에는 내한 공연을 가졌다. 2001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툴롱 출신 - 미레유 다르크
    프랑스 배우이자 영화 감독인 미레유 다르크는 1960년대부터 활동하며 《주말》 등의 영화와 알랭 들롱과의 공동 출연작으로 인기를 얻었고, 1988년 영화 감독 데뷔 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훈했다.
  • 툴롱 출신 - 라이무
    라이무는 1899년 프랑스에서 무대 데뷔 후 영화와 연극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으며, 40대 후반 프랑스에서 가장 존경받는 배우 중 한 명으로 1946년 사망했다.
  • 프랑스의 남자 배우 - 앙드레 부르빌
    앙드레 부르빌은 프랑스의 배우, 가수, 작곡가로서, 다양한 직업을 거쳐 보드빌리언으로 활동하다 영화에 데뷔, 루이 드 퓨네스와 코미디 명콤비로 인기를 얻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과 더불어 다양한 장르의 영화 출연 및 300여 곡의 노래를 작곡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프랑스의 남자 배우 - 미셸 피콜리
    미셸 피콜리는 1945년 데뷔하여 170편이 넘는 영화에 출연한 프랑스 배우로, 칸 영화제와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1990년대부터는 감독으로도 활동하다 2020년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남자 싱어송라이터 - 알랭 바리에르
    프랑스의 샹송 가수 알랭 바리에르는 1961년 자작곡으로 우승 후 196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국제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Elle était si jolie" 등의 히트곡으로 프랑스 최고 스타가 되었고, 독립 레이블 설립, 미국 생활, 재기 후에도 활동하다 2019년 사망했다.
  • 프랑스의 남자 싱어송라이터 - 샤를 아즈나부르
    샤를 아즈나부르는 프랑스의 샹송 가수이자 배우, 외교관으로, 1924년 파리에서 아르메니아 이민자 부모에게서 태어나 9세에 연예계에 데뷔하여 샹송 가수로 명성을 얻었으며, 60편 이상의 영화에 출연하고, 5개 국어로 노래했으며, 아르메니아 유네스코 대사 및 스위스 주재 아르메니아 대사를 역임하다 2018년 사망했다.
질베르 베코
기본 정보
1965년의 베코
본명프랑수아 질베르 레오폴 실리
출생일1927년 10월 24일
출생지툴롱, 프랑스
사망일2001년 12월 18일
사망지불로뉴비양쿠르, 프랑스
배우자모니크 니콜라스 (1952년 결혼, 이혼)
키티 생존 (1973년 결혼)
자녀5명
별칭10만 볼트 씨
활동 장르현대 음악, 재즈, 샹송, 팝 음악
직업음악가, 작곡가, 배우, 싱어송라이터
활동 기간1948년–2001년
악기보컬, 기타, 피아노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jilbɛʁ beko

2. 이력

질베르 베코는 1927년 프랑스 툴롱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를 배우고 니스 음악원에 다녔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참여했다.[3] 1948년 작사가 모리스 비달랭을 만나 작곡을 시작했고, 마리 비제를 위해 작곡하면서 베코, 비달랭과 함께 트리오를 이루어 1950년까지 성공적인 협업을 이어갔다.

1952년 모니크 니콜라스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4][5] 1973년에는 키티 세인트존과 재혼하여 두 자녀를 더 두었다.[5]

에디트 피아프의 권유로 1953년 가수로 데뷔했으며, 이듬해 첫 공연을 가졌다. 1950년대 후반 "La Corrida"(1956), "르 주르 우 라 플뤼 비앵드라"(Le Jour où la Pluie Viendra, 1957), "C'est Merveilleux L'amour"(1958) 등의 히트곡을 발표했다. 1956년 영화 '내가 온 나라(The Country I Come From)'를 시작으로 배우 활동도 병행했다.

1960년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인 "L'enfant à L'étoile"를 작곡하고, "Je t'appartiens"의 영어 버전인 "렛 잇 비 미"(Let It Be Me)가 에벌리 브라더스에 의해 히트했다.[16] 1961년 프랑스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싱글 중 하나인 "Et Maintenant"를 작곡 및 녹음했으며, 이 곡은 "사랑은 이제 없네"(What Now My Love)로 번역되어 셜리 베이시,[16] 프랭크 시나트라 등 여러 가수에 의해 히트했다.[3]

1962년 2막 오페라 ''L'Opéra d'Aran''을 완성하여 샹젤리제 극장에서 초연했다.[7] 1964년 피에르 델라누아의 가사에 "나탈리"를 작곡했으며, 이 곡은 소련의 이미지를 부드럽게 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2]

1967년 "Seul sur son étoile"는 "잇 머스트 비 힘"으로, 1968년 "L'important c'est la rose"는 "Importance of Your Love"라는 제목으로 영어권에서 히트했다. 1974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에서 슈발리에 훈장을 받았다.[3] 1975년 "A Little Love and Understanding"이 영국 싱글 차트 10위에 올랐다.[3]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활동이 감소했지만, 다양한 편집 앨범을 발매하고 순회공연을 계속했다. 2001년 12월 18일, 74세의 나이로 폐암으로 사망했으며,[15][16] 파리의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3]

3. 작품 활동

질베르 베코는 50여 년 동안 400여 곡을 작곡하고 불렀으며, '그리고 지금(Et Maintenant)', '나탈리', '중요한 것은 장미(L'important c'est la rose)' 등 20여 곡은 세계적으로 히트하여 샹송의 고전이 되었다.[3]

1949년 영화배우로 데뷔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1953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 특집 방송에서 노래를 부른 것을 계기로 레코드 회사와 계약을 맺고 가수로 데뷔했다. 1961년 유로비전 콩쿠르에서 '두 사람은 연인'을 불러 그랑프리를 수상하기도 했다.

에디트 피아프의 권유로 "내 손(Mes Mains)", "십자가(Les Croix)"를 직접 부르기 시작했고, 1956년 '내가 온 나라'로 영화 배우 활동을 시작했다. 1960년에는 프랑스 레코드 대상을 수상하고, 크리스마스 칸타타 "L'enfant à L'étoile"를 작곡했다.

1961년 발매한 "그리고 지금은(Et Maintenant)"은 프랑스 음악사에서 가장 큰 히트 싱글 중 하나이며, "What Now My Love"라는 영어 버전으로 번역되어 프랭크 시나트라를 포함한 여러 가수들이 불렀다.

1974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Chevalier) 칭호를 받았으며, 1980년에는 닐 다이아몬드와 함께 "Love on the Rocks"를 공동 작곡하여 세계적으로 히트했다. 1990년대에는 활동이 다소 주춤했지만, 뤽 베송 감독의 영화 '레옹' 예고편에 그의 곡 "오렌지(L'Orange)"가 사용되기도 했다.

그의 곡들은 셜리 베이시[16], 엘비스 프레슬리, 프랭크 시나트라 등 유명 가수들에 의해 영어, 독일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안되었다.[3]

베코는 주로 루이 아마드, 모리스 비달랭, 피에르 드라누아 세 명의 작사가와 함께 곡을 만들었으며, 샤를 아즈나부르를 비롯한 많은 아티스트로부터 가사를 제공받았다.

3. 1. 음반

연도음반 종류음반 제목비고
1953스튜디오질베르 베코와 그의 노래들 (Gilbert Bécaud et ses chansons)
1954스튜디오사랑의 분위기 속 파리의 청년 (Young Man of Paris in Moods of Love)뉴욕 녹음
1955스튜디오독주회 1호 - 나의 큰 성공들 (Récital N° 1 – Mes grands succès)
1956스튜디오그럼 이야기해 봐 (Alors raconte)
1958스튜디오친구들아 안녕 (Salut les copains)
1959스튜디오필루... 필루... 헤이 (Pilou... Pilou... hé)
1961스튜디오나무토막 머리 (Tête de bois)
1962스튜디오흰 배 (Le Bateau blanc)
1964스튜디오바르샤바의 피아니스트 (Le Pianiste de Varsovie)
1969스튜디오그들 중 하나가 죽음을 발명했다 (LUn dentre eux inventa la mort)
1972스튜디오질베르가 이야기하고 베코가 노래한다 (Gilbert raconte et Bécaud chante)
1974스튜디오어제와 오늘 (Hier et aujourd'hui)
1975스튜디오내가 너를 사랑해, 내 형제야 (Je t'aime mon frère)
1976스튜디오사랑은 사람들의 일이다 (LAmour cest l'affaire des gens)
1978스튜디오9월에 (C'est en septembre)
1980스튜디오나는 노래하고 싶어 (Moi, je veux chanter)
1981스튜디오안녕 인생아 (Bonjour la vie)
1984스튜디오우리는 기다려, 기다려 (On attend, on attend)
1987스튜디오귀환 (Le Retour)
1989스튜디오나에게 신호를 보내줘 (Fais-moi signe)
1993스튜디오소설처럼 한 인생 (Une vie comme un roman)
1996스튜디오함께 (Ensemble)
1999스튜디오해야만 해 (Faut faire avec)
1955–2002라이브올림피아 라이브 공연 실황 음반15장
1960기타별을 바라보는 아이 (Lenfant à Létoile)크리스마스 칸타타, ORTF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1962오페라아란의 오페라 (Lopéra dAran)2막 오페라, 베코 작곡 (노래는 하지 않음)
1965기타피아노 협주곡
1972기타리허설
1976기타물속의 물고기처럼 행복한광고 음악
1986뮤지컬로자 (Roza)
1992오페라아란 오페라 (Lopéra dAran)RCA/BMG 더블 CD, 1966년 라이브 녹음, 베코 노래
1971영화 음악《라 메종 수 레 자르브르》(La Maison sous les arbres)연주곡
2007영화 음악《로망 드 가르》(Roman de gare)
1959컴필레이션크로크미투플 (Croquemitoufle)1953~1958년 곡 모음집
1988컴필레이션베콜로지 (Bécaulogie)9CD 컬렉션
1997컴필레이션베콜림피아 (Bécolympia)2CD, 라이브 곡 38곡 수록, 1955~1983년
2003컴필레이션베콜림피아 (Bécolympia)곡 순서 변경 및 보너스 트랙 1곡 추가 재발매
2002컴필레이션50앙 앙 샹송 (50 Ans en Chansons)3CD 장바구니, 미발매 음원 다수 수록
2004컴필레이션100 샹송 도르 (100 Chansons d'or)4CD, 미발매 트랙 6곡 수록
2009컴필레이션베스트 오브 (Best of)3CD, 49곡 수록
2011컴필레이션베스트 오브 에테르넬 (Best of Eternel)2CD, 리마스터링된 46곡 수록
2011컴필레이션앙톨로지 질베르 베코 1953-1959 (Anthologie Gilbert Becaud 1953–1959)프레모 앤 어소시에 편집, 2CD, 안드레 베르나르 선정 36곡 수록
2011컴필레이션에센시엘 (Essentiel)12CD 박스 세트, 리마스터링된 스튜디오 앨범 9개, 베스트 싱글 + 라이브 2CD (베스트 오브 올림피아 1955-1983) + 보너스 트랙 1CD + 64페이지 분량의 텍스트와 희귀 사진 수록
2012컴필레이션베스트 오브 3CD (Best of 3 CD)올림피아 라이브 공연 + 앨범 "운 비 꼼 어 롬" (Une vie comme un roman) + 앨범 "앙상블" (Ensemble)과 "페즈무아 시뉴" (Fais-moi signe) 일부 + 독일어 보너스 트랙 3곡, 소니 뮤직 발매
2012컴필레이션100 샹송 (100 Chansons)4CD, 1960년 올림피아 공연에서 미발매된 8곡 수록


3. 2. 싱글

질베르 베코는 수많은 히트 싱글을 발표했으며, 대표적인 곡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원제비고
내 손Mes Mains
십자가Les Croix
메케 메케Mecque Mecque
내가 당신의 것입니다Je t'appartiensLet It Be Me영어
프로방스의 시장Le Marchand de Provence
비가 오는 날Le Jour où la Pluie Viendra
떠돌이 악사들의 발라드La Ballade des Baladins
친구들에게 경례Salut les Copains
사랑은 이제 없네Et MaintenantWhat Now My Love영어
(나이 어린) 나무토막 머리Âge Tendre et Tête de Bois
올리 공항의 일요일Dimanche à Orly
쥘이 바이올린을 켤 때Quand Jules est au Violon
나탈리Nathalie
오렌지L'Orange
시인이 죽었을 때Quand il est mort le Poète
장미가 중요해Limportant cest la Rose
내가 너를 찾으러 돌아온다Je reviens te chercher
9월에C'est en SeptembreSeptember Morn영어
고독은 존재하지 않는다La Solitude, ça n'existe pas
무관심L'Indifférence
약간의 사랑과 우정Un peu damour et damitiéA Little Love and Understanding영어
데지레Désirée
사랑은 죽었다L'Amour est mort
어떻게든 해야 한다Faut faire avec


  • 1955: "Je t'appartiens" / "렛 잇 비 미" (Pierre Delanoë – Gilbert Bécaud)
  • 1957: "Le Jour où la pluie viendra" / "비가 내리던 날" (Pierre Delanoë – Gilbert Bécaud)
  • 1961: "Et maintenant" / "왓 나우 마이 러브" (Pierre Delanoë – Gilbert Bécaud – Elvis Presley)
  • 1966: "Seul sur son étoile" / "잇 머스트 비 힘" (Maurice Vidalin – Gilbert Bécaud)
  • 1966: "Plein soleil" / "Sand and Sea" (Maurice Vidalin – Gilbert Bécaud)
  • 1967: "L'important c'est la rose" / "The Importance of Your Love" (Louis Amade - Gilbert Bécaud)
  • 1972: "Un peu d'amour et d'amitié" / "A Little Love and Understanding" (Louis Amade – Gilbert Bécaud)
  • 1979: "C'est en septembre" / "September Morn" (Neil Diamond – Gilbert Bécaud)


그의 곡들은 셜리 베이시[16], 소니 앤 셰르, 엘비스 프레슬리, 주디 갈랜드, 앤디 윌리엄스, 허브 알퍼트, 프랭크 시나트라 등 유명 가수들에 의해 영어, 독일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안되어 불렸다.[3]

3. 3. 영화

질베르 베코는 배우로도 활동하여 여러 영화에 출연했다. 1956년에는 '내가 온 나라'에서 에릭 퍼서벌/쥘리앙 바레르 역을, 1957년에는 '카지노 드 파리'에서 자크 메르발 역을, 1959년에는 '크로케미투플'에서 베르나르 빌리에 역을, 1973년에는 '자유로운 한 남자'에서 앙리 르페브르 역을 맡았다. 1971년에는 '파리는 안개 속에 잠겨 있다'의 영화 음악 작곡에 참여하기도 했다.[3]

3. 4. 작사가

베코는 주로 다음 세 명의 작사가와 함께 곡을 만들었다.

  • 루이 아마드 (Louis Amade): 시인이자 인도주의자로, "프로방스의 시장(Les Marches de Provence)", "장미는 동경(L' Important C'est la Rose)" 등을 작사했다.
  • 모리스 비달랭 (Maurice Vidalin): 내면의 고뇌와 절망을 많이 그린 작사가로, "무관심(L' Indifference)" 등을 작사했다.
  • 피에르 드라누아 (Pierre Delanoë): 감정적인 긴장감을 주제로 한 작사가로, "내 손(Mes Mains)", "그리고 지금은(Et Maintenant)", "나탈리(Nathalie)", "신의 뜻대로(Je T'appartiens)" 등을 작사했다.


이 외에도 샤를 아즈나부르를 비롯한 많은 아티스트로부터 가사를 제공받았다.

4. 스타일 및 특징

질베르 베코는 "무슈 10만 볼트"라는 별명처럼 정열적이고 활기 넘치는 무대 매너로 유명했다. 그는 항상 남색 바탕에 흰 물방울 무늬 넥타이를 착용했는데, 이는 그의 트레이드 마크이자 부적과 같았다. 베코는 관객석에서 잘 보일 수 있도록 약간 기울어진 독특한 피아노를 연주했다.

4. 1. 무대 매너

질베르 베코는 "무슈 10만 볼트"라는 별명처럼, 정열적이고 활기 넘치는 무대 매너로 유명했다. 공연 중 피아노를 격렬하게 연주하는 모습이 그의 트레이드 마크였다.

4. 2. 물방울 무늬 넥타이

베코는 항상 남색 바탕에 흰 물방울 무늬 넥타이를 착용했는데, 이는 그의 트레이드 마크이자 부적과 같은 존재였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사연이 있다. 베코는 피아노를 배우던 젊은 시절, 자크 다탱을 대신할 피아니스트를 찾는 피아노 바의 오디션을 보게 되었다. 하지만 넥타이를 매지 않은 베코를 본 주인은 가게 분위기와 맞지 않는다며 불합격시켰다. 베코는 함께 있던 어머니의 푸른색 바탕에 흰 물방울 무늬 드레스를 잘라 넥타이처럼 목에 두르고 다시 바 주인을 찾아갔고, 결국 합격했다. 그는 인생의 시작점에서 겪은 이 사건을 가슴에 새기고, 남색 바탕에 물방울 무늬 넥타이를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로 삼았다.

4. 3. 기울어진 피아노

베코는 약간 기울어진 독특한 피아노로 연주했다. 베코는 피아노에 앉았을 때 관객석의 관객들에게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피아노 다리 세 개 중 하나를 잘라 기울기를 주도록 매니저인 잭 디나에게 요청했고, 개조는 파리의 가구 장인이 실행했다. 이렇게 눈에 띄지 않는 기울기는 그의 요구를 충족하기에 충분했으며, 연주에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았다.

5. 한국과의 관계

질베르 베코의 노래는 한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고엽", "설(雪)", "사랑하는 마음" 등 다수의 노래들이 한국어판으로 번안되어 불려지며 인기를 끌었다. 1987년에는 내한 공연을 통해 한국 팬들과 직접 만나기도 했다.

5. 1. 내한 공연

1987년 질베르 베코는 일본에서 내한 공연을 가졌다. 공연 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장소
5월 27일, 28일쇼와여자대학 히토미 기념강당
5월 30일가나가와현민홀
5월 31일오사카 후생연금회관
6월 1일히로시마 후생연금회관
6월 2일교토회관
6월 4일홋카이도 후생연금회관
6월 6일하마마쓰 시민회관
6월 7일쇼와여자대학 히토미 기념강당


참조

[1] 서적 British Hit Singles & Albums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2] 간행물 Paris Match 2001-12-27
[3]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Fifties Music Virgin Books 2002
[4] 웹사이트 Gilbert Bécaud https://www.famousco[...] 2021-03-21
[5] 뉴스 Gilbert Bécaud https://www.theguard[...] 2021-03-21
[6] Youtube Let it Be Me https://www.youtube.[...] 2015-04-20
[7] 웹사이트 Performance: Opéra d'Aran https://data.bnf.fr/[...]
[8] 서적 Gilbert Bécaud's L'Opéra d'Aran – A Rapprochement Peter Lang
[9] 웹사이트 Gilbert Becaud at the entrance to Moscow University invited by the... https://www.gettyima[...] 2015-10-13
[10] 웹사이트 Gilbert BECAUD NATHALIE http://www.bohumildo[...] 2019-10-17
[11] 웹사이트 Новое о песне Жильбера Беко "Натали" https://montrealex.l[...] 2019-10-17
[12] 웹사이트 Nathalie de Gilbert Bécaud https://www.lefigaro[...] 2011-08-01
[13] 간행물 TV Guide 1968-06-15
[14] 웹사이트 Every AMR Top 100 Single in 1975 http://www.top100sin[...] Top100singles.net 2024-03-14
[15] 뉴스 Gilbert Becaud French Singer G ... https://www.washingt[...] 2020-03-09
[16] 웹사이트 The Dead Rock Stars Club 2001 http://thedeadrockst[...] 2019-10-17
[17] 서적 British Hit Singles & Albums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18] 웹사이트 Gilbert Bécaud http://www.goldengl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