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청 철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징청 철로는 1937년 9월 7일에 공사가 시작되어 1938년 4월 1일에 개업한 철도이다. 베이징과 청더를 연결하며, 일제강점기 및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여러 차례 노선 변경과 개량이 이루어졌다. 2021년에는 베이징-선양 고속철도의 베이징-청더 구간이 개통되어 더 빠르고 직결된 경로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시의 교통 - 징후 철로
징후선은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복선 전철화된 주요 철도 노선으로, 1968년 난징 창장 대교 개통으로 전 구간이 연결되었으며, 현재는 화물 운송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 베이징시의 교통 - 징광 철로
징광 철로는 베이징과 광저우를 잇는 중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징한선과 월한선을 우한 양쯔강 대교로 연결하여 통합되었으며, 중국 경제의 핵심 지역을 관통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수송량 분산 및 현대화가 이루어졌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빈쑤이 철로
빈쑤이 철도는 하얼빈역과 쑤이펀허역을 잇는 544.5km의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를 사용하며 하얼빈-무단장 구간은 복선으로 운영되고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연결되며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역이 위치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철도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징후 철로
징후선은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복선 전철화된 주요 철도 노선으로, 1968년 난징 창장 대교 개통으로 전 구간이 연결되었으며, 현재는 화물 운송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징청 철로 | |
---|---|
노선 정보 | |
노선 종류 | 철도 노선 |
기점 | 베이징 역 |
종점 | 청더 역 |
전체 길이 | 256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역 수 | 17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기화 구간 | 전 구간 (25kV AC) |
운영 정보 | |
운영 주체 | 중국철로 베이징국 그룹 유한공사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역사 | |
개통 | 2000년 |
2. 역사
1937년 (민국 26년) 9월 7일 징청 철로 공사가 시작되어,[1] 1938년 (민국 27년) 2월 26일 전 노선이 완성되었고, 같은 해 4월 1일 개업하였다.[1] 화북교통(zh) 설립에 따라 베이징~구베이커우 구간은 '''징구선''', 진저우~구베이커우 구간은 '''진구선'''이 되었다.[1] 1946년 (민국 35년) 구베이커우~청더 구간이 폐지되었다.[1]
1955년 9월 화이러우에서 창지루를 경유하는 새 선로 건설이 시작되어, 1960년 10월 새로운 노선이 개업하였다.[1] 동변문에서 화이러우까지의 징청선은 65.86km로 1938년 베이핑을 점령한 일본에 의해 건설되었다.[1] 화이러우에서 샹반청까지 남은 169km 구간은 1955년부터 1959년까지 건설되었다.[1] 이 노선은 만리장성 북쪽의 청쯔루에서 나와 싱룽현과 잉서우잉쯔를 거쳐 샹반청에 도달하며, 이곳에서 징저우-청더 철도와 연결되어 청더로 이어진다.[1]
2021년에 개통된 베이징-선양 고속철도의 베이징-청더 구간은 베이징과 청더 사이를 유사하지만 더 직결되고 빠른 경로로 운행한다.
2. 1. 일제강점기 건설
1937년 9월 7일, 징청 철로 공사가 시작되어[1] 1938년 2월 26일에 전 노선이 완공되었고,[1] 같은 해 4월 1일에 개업하였다.[1] 일제 강점기에 베이핑을 점령한 일본에 의해 건설된 구간은 동변문에서 화이러우까지의 65.86km 구간이다.[1] 화이러우에서 샹반청까지 남은 169km 구간은 1955년부터 1959년까지 건설되었다.[1] 이 노선은 만리장성 북쪽의 청즈루에서 나와 싱룽현과 잉서우잉쯔를 거쳐 샹반청에 도달하며, 이곳에서 징저우-청더 철도와 연결되어 청더로 이어진다.[1]화북교통(zh) 설립에 따라 베이징~구베이커우 구간은 징구선, 진저우~구베이커우 구간은 진구선이 되었다.[1] 1946년에는 구베이커우~청더 구간이 폐지되었다.[1] 1955년 9월, 화이러우 역(zh)에서 창지루 역(zh)으로 가는 새 선로 건설이 시작되어, 1960년 10월에 새로운 노선이 개업하였다.[1]
2021년에 개통된 베이징-선양 고속철도의 베이징-청더 구간은 베이징과 청더 사이를 유사하지만 더 직결되고 빠른 경로로 운행한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55년 9월 화이러우 역(zh)에서 창지루 역(zh)으로 가는 새 선로의 건설이 시작되어, 1960년 10월에 새로운 노선이 개업하였다.[1] 동변문에서 화이러우까지의 징청선은 65.86km로 1938년 베이핑(北平)을 점령한 일본에 의해 건설되었다.[1] 화이러우에서 샹반청까지 남은 169km 구간은 1955년부터 1959년까지 건설되었다.[1] 이 노선은 만리장성 북쪽의 청즈루에서 나와 싱룽현과 잉서우잉쯔를 거쳐 샹반청에 도달하며, 이곳에서 징저우-청더 철도와 연결되어 청더로 이어진다.[1]2021년에 개통된 베이징-선양 고속철도의 베이징-청더 구간은 베이징과 청더 사이를 유사하지만 더 직결되고 빠른 경로로 운행한다.
2. 3. 최근
1937년 9월 7일 공사를 시작하여[1] 1938년 2월 26일 전 노선이 완공되었고, 같은 해 4월 1일 개업하였다.[1] 화북교통(zh) 설립에 따라 베이징~구베이커우 구간은 징구선(京古線), 진저우~구베이커우 구간은 진구선(錦古線)이 되었다.[1] 1946년 구베이커우~청더 구간이 폐지되었다.[1]1955년 9월 화이러우 역(zh)에서 창지루 역(zh)으로 가는 새 선로 건설이 시작되어, 1960년 10월에 새로운 노선이 개업하였다.[1] 동변문에서 화이러우까지의 징청선은 65.86 km로 1938년 베이핑(北平)을 점령한 일본에 의해 건설되었다.[1] 화이러우에서 샹반청까지 남은 169 km 구간은 1955년부터 1959년까지 건설되었다.[1] 이 노선은 만리장성 북쪽의 청즈루에서 나와 싱룽현과 잉서우잉쯔를 거쳐 샹반청에 도달하며, 이곳에서 징저우-청더 철도와 연결되어 청더로 이어진다.[1]
2021년에 개통된 베이징-선양 고속철도의 베이징-청더 구간은 베이징과 청더 사이를 유사하지만 더 직결되고 빠른 경로로 운행한다.
3. 노선 특징
4. 역 목록
베이징 역(0) - 베이징 동역(5) - 솽차오 역(13) - 퉁저우 시 역(18) - 창신 역(31) - 순이 역(42) - 뉴란산 역(55) - 가오거좡 역(60) - 먀오청 역(64) - 화이러우 역(68) - 퉁쥔좡 역(78) - 샤오탕좡 역(86) - 미윈 역(90) - 주거좡 역(102) - 다청쯔 역(115) - 창지루 역(124) - 류다오허쯔 역(135) - 치안웨이탕 역(144) - 싱룽씨안 역(155) - 베이마쥐안쯔 역(169) - 잉서우잉쯔 역(176) - 동먀오허 역(180) - 샤타이쯔 역(186) - 판쟈디엔 역(201) - 난완쯔 역 - 신창쯔 역(217) - 시다먀오 역(234) - 샹판청 남역(234) - 샹판청 역(237) - 청더 동역(246) - 청더 역(256)
5. 연결 철도
베이징 역에서는 징후 선, 징하 선, 징위안 선과 연결된다. 베이징 동역에서는 징바오 선과 연결된다. 솽챠오 역은 징친 선과 연결된다. 화이로우 역은 징퉁 선과 연결된다. 솽판챠오 역은 진청 선과 연결된다.
6.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