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암스트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스 암스트롱은 한국 및 동아시아 현대사 전문가로, 예일 대학교에서 중국학 학사 학위를 받고,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시카고 대학교에서 한국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콜롬비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사, 미국-동아시아 관계 등을 강의했으며, 저서 『북한 혁명, 1945–1950』 등을 집필했다. 그러나 그의 저서 《약자의 폭정》이 표절 및 사료 조작 의혹에 휩싸여 존 페어뱅크 상을 반납하고, 컬럼비아 대학교 조사 결과 표절이 확정되어 교수직에서 사직했다. 또한 성추행 혐의로 조사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학자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한국학자 - 오선화
오선화는 대한민국 출신으로 일본으로 귀화한 평론가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호스티스 경험을 바탕으로 작가 데뷔 후 한일 관계와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했다. - 21세기 역사가 - 아키라 이리에
아키라 이리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외교사에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여 국제 관계 연구를 확장하고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냉전 시대 아시아 등에 대한 연구로 학계에 기여했으며, '역사의 국제화'를 주장하며 국제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21세기 역사가 - 세일라 벤하비브
세일라 벤하비브는 튀르키예 출신의 정치철학자이며, 문화의 순수성을 부정하고 다원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을 주장하며, 저서로 『타자의 권리』 등이 있고 북미철학회상 등을 수상했다. -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 미셸 오바마
미셸 오바마는 버락 오바마의 부인이자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의 퍼스트레이디로, 건강한 식습관 장려 캠페인을 펼쳤으며, 《나는 되고 있다》의 저자이다.
찰스 암스트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찰스 암스트롱 |
원어명 | Charles Armstrong |
본명 | Charles King Armstrong |
국적 | 미국 |
직업 | 역사학자 교수 |
소속 | 컬럼비아 대학교 |
2. 학력
3. 경력
찰스 암스트롱은 한국 및 동아시아 현대사 전문가로, 현대 및 동시대 한국, 더 나아가 동아시아 지역(베트남 및 일본 포함)과 냉전에 관한 다수의 저서를 집필하거나 편집했다.
1996년 콜롬비아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2020년 퇴임하기 전까지 한국사, 미국-동아시아 관계, 베트남 전쟁, 국제 및 세계사 접근법에 대한 강의를 했다.
2003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북한 혁명, 1945–1950』은 주로 미국 국립 문서 보관소에 보관된 북한 문서를 바탕으로 하며, 북한을 보다 지역적 수준에서, 그리고 기존의 냉전 또는 한국 전쟁 중심 접근 방식을 넘어 이해하려는 노력에 기여했다.[2] 그는 김일성의 만주 게릴라 유산,[3] 한국의 "문화 냉전",[4] 및 북한학 전체에 대한 평가 등과 같은 주제에 대해 동료 심사를 거친 저널에 논문을 게재했다.[5]
2008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 교수를 역임했으며, 주요 아시아학 학술 회의에서 기조 강연을 했고,[6] 다큐멘터리 영화 및 텔레비전을 포함하여 한반도에 대한 미국 언론 보도에 정기적으로 출연하고 있다.[7][8]
4. 주요 연구 분야
찰스 암스트롱은 한국 및 동아시아 현대사 전문가로, 현대 및 동시대 한국, 더 나아가 동아시아 지역(Vietnam영어 및 日本일본어 포함)과 냉전에 관한 다수의 저서를 집필하거나 편집했다.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사, 미국-동아시아 관계, 베트남 전쟁, 국제 및 세계사 접근법에 대한 강의를 했다.[2]
그의 저서 『북한 혁명, 1945–1950』은 주로 미국 국립 문서 보관소에 보관된 북한 문서를 바탕으로 하며, 북한을 보다 지역적 수준에서, 그리고 기존의 냉전 또는 한국 전쟁 중심 접근 방식을 넘어 이해하려는 노력에 기여했다.[2] 그는 김일성의 만주 게릴라 유산,[3] 한국의 "문화 냉전",[4] 및 북한학 전체에 대한 평가 등과 같은 주제에 대해 동료 심사를 거친 저널에 논문을 게재했다.[5]
5. 《약자의 폭정》 논란
찰스 암스트롱의 저서 《약자의 폭정: 북한과 세계, 1950-1992》는 2013년 코넬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간되어 2014년 미국 역사 협회에서 존 페어뱅크 상을 수상했다.[50] 이 책은 냉전 시기 북한의 외교 정책을 다루며, 여러 언어의 기록 보관소와 자료를 활용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이 책은 출간 직후 여러 북한학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특히 표절 및 사료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5. 1. 표절 및 사료 조작 의혹
헝가리 출신 북한학자 샬론타이 벌라즈는 암스트롱의 《약자의 폭정》이 자신의 저서 《흐루쇼프 시대의 김일성》과 내용이 매우 유사하며, 암스트롱이 존재하지 않거나 날조된 사료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51][52][53][54][55] 샬론타이는 이러한 문제 사례 76개(이후 90개로 확장)를 목록으로 작성했다.[56] 전 주북한 임시대리대사 제임스 허어는 이 문제들이 명백한 착오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57] 암스트롱은 처음에는 논란에 대해 언급하지 않다가,[51] 이후 자신의 블로그에 52개 문제점을 수정하여 출판사에 제출했다고 밝혔다.[58] 그러나 해당 블로그 게시물은 현재 삭제된 상태이다. 이 논란은 한국어,[59] 영어,[60] 중국어[61] 매체에서 보도되었다.5. 2. 존 페어뱅크 상 반납 및 컬럼비아 대학교 조사
2017년, 암스트롱은 미국 역사 협회의 요구에 따라 존 페어뱅크 상을 반납했다.[62] 2019년, 컬럼비아 대학교는 암스트롱의 행위를 조사하여 그가 표절을 한 것을 확정하고, 2020년에 교수직에서 사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47]6. 기타 저작 관련 의혹
'''약자의 폭정''' 외에도 암스트롱의 다른 논문 및 저서에서도 표절과 위조 사료 사용 의혹이 제기되었다. 여러 북한사 연구자들은 2005년 암스트롱의 논문 "형제적 사회주의"[63], 2006년 공저 "중심에 있는 한반도"[64], 2008년 단독 저서 "두개의 코리아"[65], 2016년 책 챕터 "북한과 소원의 교육"[66]에서 '''약자의 폭정'''과 유사한 문제가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67][68]
2020년 2월 10일, 암스트롱의 2005년 논문 "#REDIRECT 형제 사회주의': 북한의 국제적 재건, 1953–61"는 '자료 조작 및 위조'를 이유로 『냉전사』에 의해 철회되었다. 그러나 컬럼비아 대학교는 이 의혹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7. 성추행 혐의
2014년 암스트롱의 글로벌 장학생 여름 강좌에 등록한 한 여학생은 2020년 암스트롱을 강간 혐의로 고발했다.[35][36] 컬럼비아 스펙테이터(Columbia Spectator)에 따르면, 암스트롱은 성관계에 합의했다고 주장했다.[35] 컬럼비아 대학교 평등 기회 및 긍정적 조치 사무국은 이 혐의에 대한 내부 조사를 실시하여 암스트롱에게 괴롭힘 혐의와 교수와 학생 간의 관계를 금지하는 대학 정책 위반 혐의를 인정했다.
8. 저작
찰스 암스트롱은 북한 관련 연구를 진행하며 단행본, 논문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해왔다.
8. 1. 단행본
8. 2. 편집된 서적 및 교과서
8. 3. 논문 및 책 챕터
8. 4. 워킹 페이퍼
참조
[1]
웹사이트
faculty bio notes
http://www.columbia.[...]
[2]
간행물
The North Korean Revolution, 1945–1950 (review)
2003
[3]
간행물
Centering the Periphery: Manchurian Exile(s) and the North Korean State
1995
[4]
간행물
The Cultural Cold War in Korea, 1945-1950
2003-02
[5]
간행물
Trends in the Study of North Korea
2011-05
[6]
웹사이트
The Korean War and the East Asian Peace by Professor Charles Armstrong (Columbia University)
https://www.soas.ac.[...]
2019-09-13
[7]
웹사이트
Who Are They? – Some Historical Perspective {{!}} Kim's Nuclear Gamble
https://www.pbs.org/[...]
2019-09-13
[8]
웹사이트
North Korea in The Cold War International System,
http://ksp.stanford.[...]
Stanford University, Walter H. Shorenstein Asia-Pacific Research Center
2009-04-10
[9]
웹사이트
John K. Fairbank Prize Recipients
https://www.historia[...]
2019-09-11
[10]
웹사이트
Ivy League professor accused of discrepancies in North Korea book
https://www.nknews.o[...]
2019-09-11
[11]
웹사이트
"Tyranny of the Weak": The row engulfing North Korean studies
https://www.nknews.o[...]
2019-09-11
[12]
웹사이트
Revoking a Recommendation
http://sthelepress.c[...]
2017-01-10
[13]
웹사이트
Speaking truth to power: The biggest scandal in Korean studies should be talked about
https://www.dailynk.[...]
2019-09-25
[14]
웹사이트
Re-revised posting "Revoking a Recommendation"
http://koreanstudies[...]
2016-10-03
[15]
웹사이트
A Table of 76 Examples of Source Fabrication, Plagiarism, and Text-Citation Disconnects in Charles K. Armstrong's Tyranny of the Weak (2013)
http://sthelepress.c[...]
2019-09-11
[16]
웹사이트
Invalid Source Citations in Charles K. Armstrong' s Tyranny of the Weak: A Table of 90 Cases
https://www.academia[...]
2019-09-11
[17]
웹사이트
Corrections to Tyranny of the Weak
https://charleskarms[...]
[18]
트윗
Charles Armstrong responds to critics, issues corrections to Tyranny of the Weak https://charleskarmstrong.com/2016/12/30/corrections-to-tyranny-of-the-weak/ … #NorthKorea
2017-01-11
[19]
웹사이트
After issuing dozens of corrections to high-profile book, historian shuts down his blog
https://retractionwa[...]
2019-09-13
[20]
웹사이트
2014 Fairbank Prize Returned
https://www.historia[...]
2019-04-12
[21]
웹사이트
Charles K. Armstrong Receives 2017 President's Global Innovation Fund Grant from Columbia
http://weai.columbia[...]
2019-09-13
[22]
웹사이트
History book award returned amid questions about citation errors
https://www.insidehi[...]
2019-09-13
[23]
웹사이트
Criticism swirls around high-profile history book about North Korea
http://retractionwat[...]
2016-10-13
[24]
웹사이트
High-profile book on North Korea earns 52 corrections
http://retractionwat[...]
2017-01-31
[25]
웹사이트
http://www.huffingto[...]
2016-10-07
[26]
웹사이트
http://www.huffingto[...]
2017-01-11
[27]
뉴스
https://www.thepaper[...]
2019-09-17
[28]
웹사이트
Columbia professor booted for plagiarizing book on North Korea
https://nypost.com/2[...]
2019-12-11
[29]
웹사이트
DPRK history and plagiarism in Korean Studies – NKNews Podcast Ep.106
https://www.nknews.o[...]
2019-12-11
[30]
웹사이트
Disgraced Korea scholar, formerly of Columbia, loses paper for plagiarism
https://retractionwa[...]
2020-02-23
[31]
웹사이트
History professor Charles Armstrong found guilty of plagiarism, to retire in 2020
http://columbiaspect[...]
2019-09-13
[32]
웹사이트
Award-winning North Korea scholar plagiarized sources, university finds
https://www.nknews.o[...]
2019-09-13
[33]
웹사이트
The Failure of De-Stalinization in North Korea, 1953–1964. The DPRK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 Central European University
http://archive.ceu.h[...]
2019-09-13
[34]
웹사이트
Columbia historian stepping down after plagiarism finding
https://retractionwa[...]
2019-09-20
[35]
웹사이트
Julie Moon's professor faced no consequences for her alleged rape. Now, she is supporting other survivors of sexual assault in their search for justice – Columbia Spectator
https://www.columbia[...]
2021-12-05
[36]
웹사이트
Incident 8768 ! Academic Sexual Misconduct Database
https://academic-sex[...]
2021-12-05
[37]
웹사이트
Browse Books, Authors, and Articles
https://www.cornellp[...]
2023-02-23
[38]
서적
The Koreas
https://catalogue.nl[...]
Routledge
2014
[39]
웹사이트
Product Details
https://www.cornellp[...]
2019-11-25
[40]
웹사이트
Korean Society: Civil Society, Democracy and the State
https://www.crcpress[...]
2019-11-25
[41]
간행물
Socialist Postmodernism. Conceptual and comparative analysis of recent representative architecture in Pyongyang, Astana and Ashgabat, 1989–2014
https://revistes.uab[...]
2015-07-19
[42]
웹사이트
The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 1950 – 1960'1950–1960 ! The Asia-Pacific Journal: Japan Focus
https://apjjf.org/-C[...]
2019-11-25
[43]
간행물
Statement of Retraction: '"Fraternal Socialism": The International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 1953–62'
https://www.tandfonl[...]
2020-02-10
[44]
서적
North Korean foreign rel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https://catalogue.nl[...]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45]
웹사이트
Juche and North Korea's Global Aspirations
https://www.wilsonce[...]
2019-11-25
[46]
서적
The origins and future demis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man Paterson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Carleton University
1994
[47]
웹인용
History professor Charles Armstrong found guilty of plagiarism, to retire in 2020
https://www.columbia[...]
2019-09-12
[48]
웹인용
Award-winning North Korea scholar plagiarized sources, university finds
https://www.nknews.o[...]
2019-09-12
[49]
문서
Columbia University, faculty bio notes
http://www.columbia.[...]
[50]
웹인용
John K. Fairbank Prize Recipients
https://www.historia[...]
[51]
웹인용
Ivy League professor accused of discrepancies in North Korea book
https://www.nknews.o[...]
[52]
웹인용
"Tyranny of the Weak": The row engulfing North Korean studies
https://www.nknews.o[...]
[53]
웹인용
Revoking a Recommendation
http://sthelepress.c[...]
[54]
웹인용
Speaking truth to power: The biggest scandal in Korean studies should be talked about
https://www.dailynk.[...]
[55]
웹인용
Re-revised posting "Revoking a Recommendation"
http://koreanstudies[...]
2017-01-23
[56]
웹인용
A Table of 76 Examples of Source Fabrication, Plagiarism, and Text-Citation Disconnects in Charles K. Armstrong’s Tyranny of the Weak (2013)
http://sthelepress.c[...]
[57]
웹인용
Margin of error: A response to criticism of "Tyranny of the Weak"
https://www.nknews.o[...]
[58]
웹인용
Corrections to Tyranny of the Weak
https://charleskarms[...]
2017-01-23
[59]
웹인용
미국의 대표적인 북한학자 찰스 암스트롱이 표절 의혹에 휘말렸다
http://www.huffingto[...]
2017-01-23
[60]
웹인용
Criticism swirls around high-profile history book about North Korea
http://retractionwat[...]
[61]
웹인용
被举报的哥大教授回应澎湃新闻:再版时将更正脚注错误
http://news.163.com/[...]
2017-01-23
[62]
웹인용
2014 Fairbank Prize Returned
https://www.historia[...]
2017-06-29
[63]
저널 인용
Fraternal Socialism': The International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 1953-1962
2005
[64]
서적 인용
Korea at the Center
Routledge
2006
[65]
서적 인용
The Koreas
Routledge
2008
[66]
서적 인용
Everyday Life in Mass Dictatorship: Collusion and Evasion
Palgrave MacMillan
2016
[67]
웹인용
Tyranny of the Weak: Part of a decade-long pattern?
https://www.dailynk.[...]
[68]
웹인용
Revoking a Recommendation:(Updated 25 February 2017)
http://sthelepres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