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소곡서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창녕 소곡서당(昌寧 蘇谷書堂)은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우천리에 있는 서당입니다. 1650년경 창건된 소곡서원이 200여 년 후 퇴락함에 따라, 1856년(철종 7년) 원래 서원 터에서 약 500m 떨어진 북쪽 산기슭에 현재의 소곡서당을 건축했습니다.
소곡서당은 청민공(淸敏公) 노변소(盧抃素), 만취공(晩翠公) 노침(盧沈), 절효공(節孝公) 노홍언(盧弘彦) 3인을 합향(合享)하고 있으며, 2005년 7월 2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7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주요 내용:
- 건립 배경 및 연혁: 소곡서당은 장연 노씨 3현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소곡사(蘇谷祠)라는 이름으로 건립되었으나, 정확한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1857년(철종 8년) 소곡서원으로 승격되었고, 1868년(고종 5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이후 소곡서당으로 개칭되어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습니다.
- 건축 양식: 소곡서당은 튼 ㅁ자형 배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남북 축선 상에 대문채와 강당이 있고, 그 정면 좌우에 관리사와 영사정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중당협실형(中堂夾室形) 건물로, 조선 후기 창녕 지방 서당 건축의 형식과 구조를 잘 보여줍니다.
- 주변: 소곡서당 남쪽 약 500m 지점에는 청민공 묘(경상남도 기념물 제153호)가 있고, 북쪽 약 500m 지점에는 절효공 노침의 묘가 있습니다.
- 영사정: 서당 좌측의 영사정(永思亭)은 1825년에서 1830년경에 창건된 건물로, 1925년에 강당 동편으로 옮겨 중건되었으며, 1998년에 지붕 등을 크게 수리했습니다.
참고 자료: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0%BD%EB%85%95_%EC%86%8C%EA%B3%A1%EC%84%9C%EB%8B%B9](https://ko.wikipedia.org/wiki/%EC%B0%BD%EB%85%95_%EC%86%8C%EA%B3%A1%EC%84%9C%EB%8B%B9)
- 창녕군청: [https://www.cng.go.kr/tour/cul/00001248.web](https://www.cng.go.kr/tour/cul/00001248.web)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aks.ac.kr/univ/board.do?p_idx=17958](https://aks.ac.kr/univ/board.do?p_idx=17958)
창녕 소곡서당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창녕 소곡서당 |
한자 표기 | 昌寧 蘇谷書堂 |
유형 |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 376 |
지정일 | 2005년 7월 21일 |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우천리 775 |
소유자 | 장연노씨 소곡재 종친회 |
수량 | 1동 |
꼬리표 | 창녕 우곡서당 |
문화재청 ID | 31,03760000,38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