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정 6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정 6호는 중국의 액체 연료 우주 발사체이다. 1단 로켓은 등유와 액체 산소를 사용하며, 군사적 목적으로 개조될 가능성이 있다. 창정 6호는 2015년 9월 19일 첫 발사 이후 여러 차례 성공적인 발사를 기록했으며, 창정 6A는 고체 로켓 부스터를 사용하는 파생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발사한 우주선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2015년 발사한 우주선 - 리사 패스파인더
리사 패스파인더는 유럽 우주국 주도로 2035년 발사 예정인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LISA) 임무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우주 공간에서 두 개의 시험 질량을 중력 자유 낙하 상태로 유지하고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중력파 관측 기술 검증 임무로, LISA 임무에 필요한 핵심 기술들을 검증하고 우주 기반 중력파 관측소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준 후 2017년 6월 30일에 비활성화되었다. - 2013년 우주 개발 - 선저우 10호
2013년 발사된 중국 유인 우주선 선저우 10호는 3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톈궁 1호와의 도킹, 우주 실험, 과학 활동, 최초의 우주 수업 등을 진행하며 중국 우주 프로그램 발전에 기여했다. - 2013년 우주 개발 - 창어 3호
2013년 달의 폭풍의 바다에 착륙한 중국의 무인 달 착륙선 창어 3호는 중국 최초로 달 착륙 및 탐사 로버를 성공적으로 운용하며 달 표면 조사, 우주 환경 감지, 월면 천체 관측 등 다양한 과학적 목표를 수행했고, 현재까지도 운용되며 달 탐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창정 로켓 - 창정 1호
창정 1호는 둥펑 4호 IRBM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 둥팡훙 1호를 발사한 3단 로켓으로, 왕시지가 수석 설계자가 맡아 1970년과 1971년에 각각 둥팡훙 1호와 스젠 1호 발사에 성공했다. - 창정 로켓 - 창정 9호
창정 9호는 중국에서 개발 중인 초대형 발사체로, 지구 저궤도에 140톤 이상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030년 최초 발사를 목표로 국제 달 연구 기지 건설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창정 6호 | |
---|---|
개요 | |
![]() | |
기능 | 소형 발사체 |
제조사 | 상하이 우주 비행 기술 아카데미 |
원산지 | 중국 |
제원 | |
높이 | 29 m |
지름 | 3.35 m |
질량 | 103,000 kg |
단수 | 3단 |
성능 | |
태양 동기 궤도 (SSO) | 700 km 고도에서 1,080 kg |
발사 이력 | |
계열 | 장정 |
비교 대상 | 미노타우르-C PSLV-CA |
상태 | 운용 중 |
발사장 | 타이위안 LA-16 |
총 발사 횟수 | 13회 |
성공 횟수 | 13회 |
최초 발사 | 2015년 9월 19일 |
마지막 발사 | 2024년 10월 22일 |
1단 | |
종류 | 1단 |
지름 | 3.35 m |
추진제 질량 | 61,000 kg ~ 76,000 kg |
엔진 | YF-100 1개 |
추력 | 1,188 kN |
비추력 | 해수면: 300초 진공: 335초 |
연료 | RP-1/액체 산소 |
2단 | |
종류 | 2단 |
지름 | 2.25 m |
추진제 질량 | 15,000 kg |
엔진 | YF-115 1개 |
추력 | 180 kN |
비추력 | 진공: 341.5초 |
연료 | RP-1/액체 산소 |
3단 | |
종류 | 3단 |
지름 | 2.25 m |
엔진 | 1개 |
추력 | 6.5 kN |
비추력 | 306.9초 |
연료 | N₂O₄ / UDMH |
2. 무게
창정 6호와 비슷한 무게를 가진 다른 나라의 우주 로켓 및 미사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무게 | 국가 | 연료 | 발사일 | 발사장 | 비고 |
---|---|---|---|---|---|---|
LGM-118 피스키퍼 | 91ton | 고체연료 | 2005년 9월 19일 퇴역 | 핵탄두 12개, 사거리 14,000 km | ||
엡실론 (로켓) | 91ton | 고체연료 | 2013년 9월 14일 | 우치노우라 우주공간 관측소 | ||
광명성 로켓 | 90ton | 액체연료 | 2016년 2월 7일 | 서해 위성 발사장 |
창정 6호의 1단 로켓 연료는 등유이며, 산화제는 액체산소를 사용하는 액체연료 로켓이다.[1] 액체산소는 극저온 연료로서 군용 미사일로는 부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상용 우주로켓 연료 중에서는 가장 저렴하다고 알려져 있다.[1]
액체산소는 극저온 연료로서, 군용 미사일로는 부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온 연료는 액체산소보다 비싸지만, 안전성이 높아 핵잠수함용 SLBM, 지상용 ICBM 등에서 많이 사용한다.
3. 연료
1960년대 미국의 HGM-25A Titan I은 지하 사일로에서 액체산소를 주입해 발사하기도 하였다.[1] 그러나 밀폐된 공간에서 액체산소를 주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여, 타이탄 사일로가 자주 폭발했다.[1] 그래서 미국은 기존의 액체산소 엔진을 약간만 개조하여 상온 연료를 사용해 안전성을 높인 LGM-25C Titan II 미사일을 개발했다.[1]
현재 미국 등 서방은 ICBM에 고체연료를 주로 사용하지만, 러시아, 중국, 북한 등은 상온 연료인 적연질산, UDMH 등을 주로 사용한다.[1] 상온 연료는 액체산소보다 비싸지만 안전성이 높아 핵잠수함용 SLBM, 지상용 ICBM 등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인체에 유해한 독성이 있다.[1] 북한의 스커드, 노동, 무수단, 광명성 로켓은 모두 상온 연료를 사용한다.[1] 반면에 고체연료는 안전성과 독성 문제가 없으나, 상온 연료보다 더 비싸다.[1]
창정 6호는 군용 미사일로 쓰기에는 부적합한 액체산소 엔진을 사용한다.[1] 그러나 미국 타이탄의 사례처럼, 기존의 액체산소 엔진을 활용해 상온 연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군용으로 개조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다.[1]
4. 군사적 이용
1960년대 미국의 HGM-25A Titan I은 지하 사일로에서 액체산소를 주입해 발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밀폐된 공간에서의 액체산소 주입은 매우 위험하여, 타이탄 사일로가 자주 폭발했다. 그래서 미국은 기존의 액체산소 엔진을 그대로 사용하되, 약간만 개조를 하여, 상온 연료를 사용해 안전성을 높였다. 그것이 LGM-25C Titan II 미사일이다.
현재 미국 등 서방은 ICBM에 고체연료를 주로 사용하는데, 러시아, 중국, 북한 등은 상온 연료인 적연질산, UDMH 등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인체에 유해한 독성이 있다. 반면에 고체연료는 안전성도 높고, 독성도 없으나, 상온 연료보다 더 고비용이 든다.
4. 1. 북한의 로켓 개발
액체산소는 극저온 연료로서, 군용 미사일로는 부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에 상용 우주로켓의 연료 중에서는 가장 싸다. 그러나 상온 연료는 액체산소보다 비싸지만, 안전성이 높아 핵잠수함용 SLBM, 지상용 ICBM 등에서 많이 사용한다. 북한의 스커드, 노동, 무수단, 광명성 로켓은 모두 상온 연료를 쓴다.
창정 6호는 군용 미사일로 쓰기에는 부적합한 액체산소 엔진을 사용한다. 그러나 미국 타이탄의 사례처럼, 기존의 액체산소 엔진을 그대로 사용해서 상온 연료를 사용할 수 있기에, 군용으로 개조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5. 발사 기록
타이위안 위성 발사 센터에서 발사된 창정 6호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총 13번의 발사가 이루어졌으며, 모두 성공했다. 창정 6호는 주로 태양 동기 궤도나 저궤도에 위성을 투입하는 데 사용되며, 현재까지 100%의 발사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다.
5. 1. 발사 목록
23:01NS-2
ZJ-1, ZJ-2
Tiantuo 3
NUDT-Phone-Sat
Xingchen 1/2/3/4
LilacSat 2
XY-2
DCBB
Xiwang-2A/2B/2C/2E/2F
04:50
06:35
닝샤-1 02
닝샤-1 03
닝샤-1 04
닝샤-1 05
03:19
03:20
Qilu-4
Foshan-1
Zhongan Guotong-1
Tianqi-9
Origin Space NEO-1
Tai King II 01
Golden Bauhinia-1 01
Golden Bauhinia-1 02
11:59
Zhuzhou-1 02
Zhuzhou-1 03
Zhuzhou-1 04
Zhuzhou-1 05
11:01
KL-Beta B
02:19
04:50
Yunyao-1 04–08
Tianjin Binghai-1
23:50
스옌 16B
스옌 17
03:18
18:30
00:10
Tianping-3 B01
Tianping-3 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