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려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려전은 2018년 일본 장기 연맹이 창설한 여류 기전으로, 휴릭배 청려전으로 시작하여 다이세이 건설배 청려전으로 변경되었다. 이 기전은 현역 여류 기사 전원이 참가하며, 예선, 본선, 도전기를 거쳐 퀸 청려 칭호가 수여된다. 5번기 승자가 새로운 청려가 되며, 예선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쇼기 기전 - 명인전 (쇼기)
    명인전은 종신 명인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1937년 도입된 일본 쇼기의 실력제 기전으로, 순위전 우승자가 명인에게 도전하는 7번기 승부로 진행되며, 통산 5회 이상 우승자에게는 영세 명인 칭호가 수여되는 오랜 역사와 권위를 자랑하는 대회이다.
  • 쇼기 기전 - 왕장전
    왕장전은 마이니치 신문사와 스포츠 닛폰 신문사가 주최하는 일본 쇼기 기전으로, 모든 프로 기사에게 개방되어 예선과 도전자 결정 리그를 거쳐 왕장 칭호 보유자와 도전자가 7번기를 통해 새로운 왕장을 결정하며, 오야마 야스하루와 하부 요시하루는 영세왕장 칭호를 획득했다.
청려전
기본 정보
이벤트 명칭청려전
분류여류 타이틀전
정식 명칭대성건설배 청려전 (제3기 -)
구 명칭휼릭배 청려전 (제1기 - 제2기)
종류청려
일정
개최 시기예선: 전년 10월 - 4월
본선: 5월 - 6월
타이틀전: 7월 - 8월
최초 개최2019년도
타이틀전8월 - 9월
예선,본선: 1월 - 7월
진행 방식
제한 시간예선: 2시간
본선: 3시간
타이틀전: 4시간
결승도전 5번기
승수제5번승부
상금 및 후원
우승 상금700만 엔
주최대성건설, 일본 장기 연맹 (제3기 -)
이전 주최휼릭, 일본 장기 연맹 (제1기 - 제2기)
기록
전기 우승자후쿠마 카나 (제6기)
영세 자격퀸 청려: 후쿠마 카나
최다 우승후쿠마 카나 (통산 5기)
최장 연패후쿠마 카나 (3연패 = 제4-6기)
웹사이트
웹사이트대성건설배 청려전|기전|일본 장기 연맹
기타

2. 역사

"청려전"은 2019년에 창설된 여류 쇼기 타이틀전으로, 현재 서열 2위이다. 5번기로 타이틀 보유자인 '청려'를 결정한다. 창설 당시에는 휴릭이 주최했으나, 2021년부터는 대성건설이 주최하고 있다.

예선 토너먼트에 더블 일리미네이션 방식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며, 이는 여류 기사의 대국 수를 늘리는 데 기여했다.

2022년 제5기부터는 기전 명칭 표기 방식이 변경되었다. 기존의 "제4기 '''대성건설배''' 청려전"과 같은 '기수·관명·기전명' 순서 대신, "'''대성건설배''' 제5기 청려전"처럼 '관명·기수·기전명' 순서로 표기한다.

2. 1. 창설 배경

휴릭의 회장 니시우라 사부로(西浦三郎)는 일본쇼기연맹 회장 사토 야스미츠와 개인적인 친분이 있었으며, 2018년부터 기성전을 특별 협찬하는 등 쇼기 연맹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었다. 니시우라 회장은 여류 기사들의 대국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이야기를 듣고 새로운 여류 기전 창설을 추진하게 되었다.[9]

2018년 12월 12일, 일본쇼기연맹은 기자회견을 열어 새로운 여류 기전인 "휴릭배 청려전"의 창설을 공식 발표했다.[6] 이는 2011년에 창설된 여류 왕좌전 이후 8년 만에 신설되는 여류 타이틀전이었다.[6] 기자회견에서 니시우라 회장은 "타이틀전은 남성 기전이 8개, 여류 기전이 6개이다. 여류 기전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고 기전 창설의 취지를 밝혔다.[10][2]

같은 기자회견에서 당시 일본쇼기연맹 상무이사였던 시미즈 이치요 여류 7단은 타이틀 명칭인 '청려(清麗)'에 대해 "맑고(清) 아름다운(麗), 여성다운 화려함이 드러나는 기전명을 골랐다"고 설명했다.[11][4]

청려전의 우승 상금은 700만으로 책정되어, 당시 최고 상금액이었던 마이나비 여자 오픈과 리코배 여류 왕좌전의 500만을 넘어서는 최고액 기전이 되었다.[6] 이로 인해 청려전은 창설과 동시에 서열 1위의 여류 타이틀전으로 자리매김했다.[4]

2. 2. 명칭 유래

'청려'(清麗)라는 명칭은 '맑음'(清)과 '아름다움'(麗)을 의미한다. 이는 여성다운 화려함을 담은 것으로, 일본쇼기연맹 상무이사인 시미즈 이치요 여류 7단이 제안했다.

2. 3. 주최사 변경

2020년 10월 6일, 휴릭은 새로운 여류 기전인 백령전·여류 순위전의 창설을 발표했다.[13][3] 이와 함께 기존에 주최하던 청려전은 제3기(2021년도)부터 주최사를 다이세이 건설로 이관한다고 밝혔다.[13][3] 다이세이 건설은 휴릭의 대주주이다.[12]

주최사 변경에 따라 기전 명칭도 '휴릭배 청려전'에서 '다이세이 건설배 청려전'으로 변경되었다.[3] 백령전의 우승 상금이 1500만으로 책정되면서, 창설 당시 700만으로 최고 상금액이었던 청려전은 백령전 창설 이후 서열 2위의 여류 타이틀전이 되었다.[3][4]

2022년에 시작된 제5기부터는 기전명 표기 순서가 변경되었다. 이전까지 사용되던 "제4기 '''다이세이 건설배''' 청려전"과 같은 '기수·관명·기전명' 순서 대신, "'''다이세이 건설배''' 제5기 청려전"과 같이 '관명·기수·기전명' 순서로 표기하고 있다.

3. 경기 방식

청려전은 현역 여류 기사 전원이 참가하는 타이틀전으로[4], 예선과 본선을 거쳐 도전자를 선발한다. 선발된 도전자는 현 청려 타이틀 보유자와 5번기를 두어 최종 승자가 차기 청려가 된다. 예선에서는 패자에게도 재도전 기회를 주는 방식을 채택하여 대국 수를 늘리는 데 기여했다. 전년도 성적이나 타이틀 보유 여부에 따른 시드 배정 등의 혜택 없이 모든 참가자가 거의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한다. 대국 제한 시간은 예선, 본선, 도전기 단계별로 다르며, 모든 대국에서 체스 시계 방식을 사용한다.

3. 1. 예선

시드가 없이 전원이 예선 1라운드부터 참가한다. 더블 일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4]으로 진행되어 1패를 하더라도 재도전 기회가 있으며, 제한 시간은 2시간(체스 시계 방식)에 1분 초읽기이다.

본 기전의 참가 자격은 여류 기사에 한하며, 여성 장려회원과 아마추어는 참가 자격이 없다[4]. 전기의 상위 진출자나 타이틀 보유자라도 기전의 일부 면제 등의 유리한 조건은 없으며, 토너먼트 인원 조정에 의한 1회전 부전승 외에는 기전 출전자 전원이 거의 동등한 조건으로 진행된다.

예선은 "예선 토너먼트"와 그 패자가 출전하는 "재도전 토너먼트"로 나뉜다.

  • 예선 토너먼트: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우승자 1명은 본선에 직행한다.
  • 재도전 토너먼트: 예선 토너먼트의 각 라운드별 탈락자들이 조를 이루어 진행한다. 예선 토너먼트 1~2회전 패자, 3회전 패자(16명), 4회전 패자(8명), 준준결승 패자(4명), 준결승 패자(2명) 별로 5개의 토너먼트 블록으로 나누어 실시한다. 각 블록 승자 5명과 예선 토너먼트 결승 패자 1명을 합한 총 6명을 추첨하여 3개 조로 나누고, 각 조의 승자 3명이 본선에 진출한다.


이러한 더블 일리미네이션 방식은 기존 여류 기전 예선에서 많았던 싱글 일리미네이션 토너먼트와 달리 패자에게도 기회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당시 일본 장기 연맹 회장이었던 사토 야스미츠는 "대국 기회를 늘릴 절호의 찬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구라시키 토우카전과 마찬가지로 모든 출전자가 최소 2국을 둘 수 있다.

예선 토너먼트 우승자와 재도전 토너먼트를 통과한 3명, 총 4명이 본선에 진출하여 청려 도전자를 가린다.

=== 제1기 예선 방식 ===

제1기 예선은 여자 기사 전원이 참가하는 더블 일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4]이 적용되었다. 2패를 한 사람은 탈락하고, 통산 6승을 한 사람이 통과하는 방식이었다[6].

출전 여자 기사 62명에게 1-64의 번호가 부여되었고(32, 64는 공석), 승패와 번호에 따라 각 회전의 대진이 결정되었다. 1회전부터 5회전까지는 번호 순서대로 그룹으로 나뉘어, 각 그룹 내에서 전승자와 1패자끼리 대국이 편성되었다. 1, 2회전에서 대국 상대가 공석 번호(32, 64)인 경우 부전승 처리되었다(1회전에서는 당시 타이틀 보유자인 와타나베 아이와 사토미 카나가 해당). 6회전은 그룹 나누기 없이 동일하게 대국이 편성되었고, 7회전은 5승 1패를 기록한 6명이 3개 조로 나뉘어 최종 본선 진출자 3명을 가렸다.

총 62명 ⇒ A 32명[30명+부전승 2명]/B 30명
1회전(A) 1승 0패 : 32명 ⇒ C/D 각 16명(B) 0승 1패 : 30명
⇒ D 16명[14명+부전승 2명]/탈락 14명
2회전(C) 2승 0패 : 16명 ⇒ E/F 각 8명(D) 1승 1패 : 32명
⇒ F 16명/탈락 16명
0승 2패
14명 탈락
3회전(E) 3승 0패 : 8명 ⇒ G/H 각 4명(F) 2승 1패 : 24명
⇒ H 12명/탈락 12명
1승 2패
16명 탈락
-
4회전(G) 4승 0패 : 4명 ⇒ I/J 각 2명(H) 3승 1패 : 16명
⇒ J 8명/탈락 8명
2승 2패
12명 탈락
-
5회전(I) 5승 0패 : 2명 ⇒ K/L 각 1명(J) 4승 1패 : 10명
⇒ L 5명/탈락 5명
3승 2패
8명 탈락
-
6회전(K) 6승 0패
1명 본선 진출
(L) 5승 1패 : 6명
⇒ M 3명/탈락 3명
4승 2패
5명 탈락
-
7회전(M) 6승 1패
3명 본선 진출
5승 2패
3명 탈락
colspan="8"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gold; text-align:center;" | 본선 출전(6승)탈락(2패)


3. 2. 본선

예선을 통과한 4명이 본선에 진출하여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청려 도전자를 결정한다. 제한 시간은 각자 3시간이며, 1분 초읽기가 주어진다. 대국 시계는 체스 시계 방식을 사용한다.[1]

3. 3. 도전기 (5번기)

청려와 도전자가 5번기를 두어 승자가 차기 청려가 된다. 도전기는 예선 및 본선 토너먼트를 통해 결정된 도전자가 청려와 대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전기의 제한 시간은 4시간(체스 시계 방식)이며[1], 1분 초읽기가 적용된다.

4. 퀸 청려

청려전을 통산 5기 획득한 여류 기사에게는 '''퀸 청려''' 칭호가 수여된다.[14][6]


  • 후쿠마 카나: 2024년 퀸 청려 칭호 획득 (제1기(2019년도), 제2기, 제4-6기)

5. 역대 결과

참가 여류 기사 수우승자전적준우승자5번기
진출자
베스트 412019사토미 카나○○○--카이 토모미사토미(3승)
카이(4승)나카무라 마리카
요리모토 나나(0승)62기연도청려전적도전자도전자 결정전
패자
베스트 4토너먼트
참가 여류 기사 수
(청려 제외)
22020사토미 카나○○●●○우에다 하츠미(1승)이토 사에이시모토 사쿠라(4승)
이와네 시노부(2승)6532021사토미 카나●●○○●카토 모모코(0승)스즈키 칸나(1승)카가와 마나오
나카이 히로에(2승)6242022카토 모모코●●●--사토미 카나(2승)니시야마 토모카(3승)야마네 코토미
이토 사에(4승)6452023사토미 카나○●○○-니시야마 토모카(1승)카토 모모카이(5승)
스즈키(4승)6962024후쿠마 카나Q○●○○-카토 모모코(5승)니시야마야마네(4승)
스즈키(2승)74


5. 1. 특이 기록

청려전의 2패 탈락제 방식은 몇 가지 흥미로운 기록을 만들어냈다. 초기 기전에서는 예선을 전승으로 통과한 기사가 본선 5번기 진출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7], 반대로 예선 첫 경기에서 패배한 기사가 패자부활전을 거쳐 최종적으로 타이틀을 획득하는 이례적인 사례도 발생했다.[7][8] 이는 예선 전승자는 본선에서 단 한 번의 패배로 탈락하지만, 예선에서 패배를 경험한 기사는 패자부활의 기회를 통해 다시 경쟁할 수 있는 독특한 규칙 때문이다.[8]

5. 1. 1. 예선 전승자의 본선 패배

제1기부터 제6기까지 청려전 예선 토너먼트를 전승으로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한 기사는 모두 본선 또는 도전자 결정전에서 패배하여 5번기 진출에 실패했다.[7] 한편, 제2기부터 제5기까지의 5번기 도전자는 본선 진출자 4명 중 예선 토너먼트에서 1패를 경험한 기사였다.[7]

이는 청려전의 2패 탈락제 방식 때문인데, 예선에서는 1패를 하더라도 재도전 토너먼트를 통해 부활할 기회가 주어지지만, 예선 토너먼트를 전승으로 통과한 기사는 이러한 패자 부활의 기회를 유일하게 얻지 못하고 본선에서 패배하면 그대로 탈락하게 되는 구조이다.[8]

5. 1. 2. 예선 첫 경기 패배자의 타이틀 획득

제3기에서 가토 모모코는 예선 토너먼트 첫 경기(1회전)에서 패배했지만, 재도전 토너먼트 첫 경기(2회전)부터 6연승을 거두며 본선에 진출했다[7]。 이후 본선에서도 2연승하여 도전자가 되었고, 5번기 승부에서 최종 3승 2패(2연승 후 2연패, 마지막 판 승리)로 타이틀을 획득했다[7]。 이는 다른 기전이라면 첫 경기 패배로 탈락했을 상황이지만, 청려전 특유의 "2패 실격제" 덕분에 가능했던 사례이다[8]

한편, 가토 모모코는 제5기에서는 예선 토너먼트(2회전부터 참가)를 6전 전승으로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했지만, 도전자 결정전에서 패배하여 탈락했다[7]

참조

[1] 웹사이트 女流新棋戦「ヒューリック杯清麗戦」が誕生 https://www.shogi.or[...] 일본장기연맹 2018-12-12
[2] 뉴스 産経新聞 산케이신문 2018-12-13
[3] 웹사이트 女流新棋戦創設と主催者交代について https://www.shogi.or[...]
[4] 웹사이트 女流将棋界に新タイトル戦「清麗戦」誕生 7大タイトル戦に https://www.hochi.co[...] 스포츠호치 2018-12-12
[5] 웹사이트 第2期ヒューリック杯清麗戦(予選) https://www.shogi.or[...] 일본장기연맹 2019-10-05
[6] 웹사이트 7個目の女流棋戦を新設、過去最高の賞金700万円 https://www.nikkansp[...] 닛칸스포츠 2018-12-12
[7] 문서 歴代五番勝負
[8] 문서 방식
[9] 웹인용 「女流棋士は対局数が少ない」清麗戦主催にかけるヒューリック社の思いとは https://bunshun.jp/a[...] 분게이슌주 2019-08-10
[10] 뉴스 将棋に7つ目の女流タイトル戦「ヒューリック杯清麗戦」 https://www.sankei.c[...] 2018-12-12
[11] 뉴스 女流将棋界に新タイトル戦「清麗戦」誕生 7大タイトル戦に https://hochi.news/a[...] 2018-12-12
[12] 트윗 白玲戦はヒューリックが主催し、今までヒューリックが主催していた清麗戦は大成建設主催に変わります。ヒューリックの西浦三郎会長によると「大株主で、多くの物件を建設して頂いている大成建設さんに気持ちよく引き継いで頂いた」とのことでした。 2020-10-06
[13] 웹인용 女流新棋戦創設と主催者交代について https://www.shogi.or[...] 일본쇼기연맹 2020-10-06
[14] 뉴스 7個目の女流棋戦を新設、過去最高の賞金700万円 https://www.nikkansp[...] 2018-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