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석조 불상이다. 돌로 만든 본존불과 좌우 협시불로 구성된 삼존불 형식이며, 본래 읍내리에 있었으나 1961년 용암사로 옮겨져 보호각에 봉안되었다. 본존불은 마모되었지만 소박한 미소를 띠고 있으며, 귀가 턱까지 내려오고 목에는 삼도가 표현되어 있다. 좌우 협시불은 조각 방식이 유사하며, 섬세한 옷자락과 특징적인 손 모양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양군의 문화유산 - 청양 모덕사 최익현 초상
청양 모덕사 최익현 초상은 채용신이 1909년에 이모한 작품으로, 73세 최익현의 오사모와 단령 차림의 전신좌상이며, 구한말 유학자의 풍모를 형상화한 작품으로 모덕사에 소장되어 최익현의 삶과 정신을 기리고 채용신의 초상화 기법을 보여준다. - 청양군의 문화유산 - 우산성
충청남도 청양군 우성산에 있는 테뫼식 석축 산성인 우산성은 백제 시대에 축조되어 조선 시대까지 사용된 전략적 요충지로, 길이모쌓기 방식으로 축조된 965m 둘레의 성벽 내부에 건물 터, 저장 시설, 우물 등이 있다. - 충청남도의 보물 - 논산 노강서원 강당
논산 노강서원 강당은 1675년 김수항의 발의로 윤황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전학후묘 배치를 특징으로 하는 17세기 말 서원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 충청남도의 보물 -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된 높이 4.1m의 석탑으로, 2중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석탑이며, 각 면 기둥 형태 조각과 1층 탑신 문비 조각이 특징이고 통일신라 후기 석탑 양식을 보여주는 보물이다. - 입상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은 김대성이 발원하여 조성된 불상으로, 이상적인 비례와 사실적인 옷 주름, 아미타정인 중 상품하생인의 수인, 주형 광배와 연화대좌를 갖추고 있으며, 명문을 통해 8세기 신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 입상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높이 13m의 화강암 마애불로서, 부드러운 신체 표현과 힘있는 얼굴 선이 특징이며, 과거 목조 건축물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구멍이 있고, 덕주 공주 창건 설화가 전해지나 조성 시기와 차이가 있으며, 고려 초기 지방 호족 세력의 불교 번성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문화재 정보 | |
이름 |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 (Cheongyang Eumnae-ri Stone Standing Buddha Triad) |
![]() | |
유형 | 보물 |
번호 | 197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주소 |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칠갑산로9길 58 (읍내리)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국유 |
수량 | 3구 |
문화재청 ID | 12,01970000,34 |
2. 상세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은 본존불과 좌·우 협시보살로 구성된 삼존불상이다. 본존불, 좌협시보살, 우협시보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2. 1. 본존불
본존불은 당당한 체구의 불상으로 머리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있고, 직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서는 강인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하며 군데군데 옷 사이로 드러난 신체 역시 당당하고 강인한 느낌을 준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가슴에서 발목 부분까지 U자형의 주름을 이루면서 내려오고 있으며, 다리 사이에는 바지 자락이 표현되어 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는 배(舟) 모양으로 불상과 같은 돌로 만들었는데, 파손이 심해서 세부 표현을 확인하기 어렵다. 얼굴은 마모되어 윤곽만 남아 있지만 소박한 미소를 띠고 있는 모습이다. 귀는 턱까지 내려왔으며 목에는 수행의 단계를 상징하는 삼도가 표현되어 있다. 대좌는 앞면에 3개, 옆면에 2개씩 코끼리의 눈을 닮은 안상을 새겼는데 이는 고려시대의 방식으로 보인다.[1]2. 2. 좌협시보살
왼쪽 협시보살은 왼쪽 어깨에서부터 오른쪽 허리까지 부러진 것을 복원한 것이다.[1] 얼굴은 본존불과 같은 형태지만 훨씬 부드러우며, 허리를 왼쪽으로 약간 틀어 몸의 중심을 본존 쪽으로 두고 있다.[1] 옷은 밑부분이 넓게 퍼져 무겁고 둔중한 느낌이 든다.[1] 섬세한 옷자락 사이로 목걸이 장식이 보이고, 옷자락은 3가닥씩 T자형으로 늘어져 있다.2. 3. 우협시보살
오른쪽 협시보살은 모든 면에서 왼쪽 협시보살과 같으나 윤곽이 둥글고 앳된 모습이라는 점이 다르다.[1]3. 양식 및 특징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를 따로 가지고 있는 독립된 불상이 삼존불(三尊佛)을 이루고 있다.
본존불은 당당한 체구의 불상으로 머리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있고, 직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서는 강인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하며 군데군데 옷 사이로 드러난 신체 역시 당당하고 강인한 느낌을 준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가슴에서 발목 부분까지 U자형의 주름을 이루면서 내려오고 있으며, 다리 사이에는 바지 자락이 표현되어 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는 배(舟) 모양으로 불상과 같은 돌로 만들었는데, 파손이 심해서 세부 표현을 확인하기 어렵다.
왼쪽 협시보살도 왼쪽 어깨에서부터 오른쪽 허리까지 부러진 것을 복원하여 놓은 것이다. 얼굴은 본존과 같은 형태지만 훨씬 부드러우며, 허리를 왼쪽으로 약간 틀어 몸의 중심을 본존쪽으로 두고 있다. 옷은 밑부분이 넓게 퍼져 무겁고 둔중한 느낌이 든다. 오른쪽 협시보살 역시 모든 면에서 왼쪽과 같으나 윤곽이 둥글고 앳된 모습이 다르다.
당당한 신체 표현, 강인한 신체 묘사, 유려한 각선 등에서 상당한 기량을 보이고 있지만, 평판적인 신체 묘사와 형식화된 조각 기법으로 볼 때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4. 발굴 및 이전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은 원래 인근 사찰 터에서 삼층 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8호)과 함께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1년에 현재 위치인 우산(牛山) 남쪽 기슭으로 옮겨졌으며, 1981년에 보호각을 세웠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