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Flash Back 201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Flash Back 2012'는 1984년 극장판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기억하고 있습니까'의 엔딩을 보완하기 위해 제작된 뮤직 비디오 형식의 OVA 작품이다. 링 밍메이의 콘서트 장면과 메가로드-01의 출발을 묘사하며, TV 시리즈와 극장판의 편집 필름, 미키모토 하루히코의 일러스트를 활용했다. 이이지마 마리가 부른 여러 곡이 수록되었으며, TV 시리즈 엔딩 테마 '런너'의 듀엣 버전도 포함되어 있다. 작품은 링 밍메이, 하야세 미사, 이치조 히카루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며, 메가로드-01의 설정과 VF-4 라이트닝 III 등의 메카닉 디자인을 선보인다. 본 작품의 엔딩은 극장판 비디오, LD, DVD에 삽입되었으며, DVD는 재발매 및 블루레이 디스크로도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크로스 - 마크로스 플러스
    《마크로스 플러스》는 2040년을 배경으로 인류와 젠트라디 전쟁 종전 후 새로운 가변 전투기 개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애니메이션 OVA 및 극장판으로, 파일럿 이사무와 굴드가 인공지능 샤론 애플의 폭주에 맞서 싸우며 유인 전투기의 가치를 증명하는 이야기이다.
  • 마크로스 -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초시공요새 마크로스》는 1982년 일본에서 방영된 SF 애니메이션으로, 지구와 외계 종족 젠트라디의 전쟁, 삼각관계, 가변 전투기 발키리 등을 소재로 하며, 변신 로봇 붐과 버추얼 아이돌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1987년 애니메이션 - 불새 (만화)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불새》는 윤회와 영생을 주제로, 불멸의 존재인 ‘불새’를 중심으로 인간의 욕망과 갈등을 그린 여러 독립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제작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 1987년 애니메이션 - 오바케의 Q 타로
    《오바케의 Q 타로》는 후지코 F. 후지오의 만화로, 개를 무서워하는 귀신 Q타로와 인간 친구 쇼타의 코믹한 일상을 그린 작품이며, 애니메이션 방영으로 큰 인기를 얻고 후대 작품에 영향을 주는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지속적인 인기를 누리다 절판 후 복간되었다.
  • 로봇 애니메이션 - 건담
    건담은 토미노 요시유키 감독의 『기동전사 건담』으로 시작된 일본의 로봇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우주세기를 배경으로 '모빌 슈트'라 불리는 인간형 병기를 중심으로 전쟁과 평화, 인간의 존엄성 등 심오한 주제를 다루며 일본 대중문화의 중요한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 로봇 애니메이션 - 마법기사 레이어스
    클램프의 만화 《마법기사 레이어스》는 세 명의 여중생이 세피로라는 이세계로 소환되어 마법기사가 되어 에메랄드 공주를 구출하고 세피로의 붕괴를 막는 이야기로, 애니메이션, OVA,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었으며, 독창적인 세계관과 매력적인 등장인물들이 특징이다.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Flash Back 2012 - [영화]에 관한 문서
작품 정보
원제초시공요새 마크로스 Flash Back 2012
장르드라마, 메카, 밀리터리 SF
원작스튜디오 누에
OVA 정보
감독카와모리 쇼지
음악하네다 켄타로
제작사아트랜드, 타츠노코
라이선스빅 웨스트 (라이선싱), 디즈니 플랫폼 배급 (전 세계 스트리밍 라이선스)
출시일1987년 6월 21일
상영 시간30분

2. 제작 배경

본 작품은 1984년에 개봉한 극장판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기억하나요》에서 여러 사정으로 인해 제작되지 못했던 링 밍메이의 콘서트 장면, 즉 엔딩 필름을 재현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원래 마크로스 시리즈는 애니메이션과 팝 뮤직의 미디어 믹스를 추구했기에, 이 작품 역시 1980년대 후반 뮤직 비디오 기법을 사용하여 아이돌 가수의 라이브 및 이미지 필름 풍으로 제작되었다.

극장판 엔딩은 원래 링 밍메이의 콘서트 장면으로 구성될 예정이었으나, 제작 여건상 실현되지 못했다. 이후 팬들의 요청과 카와모리 쇼지 감독의 의지로 이 장면을 뮤직 비디오 형식으로 재현하게 되었다.

2. 1. 제작 과정

카와모리 쇼지 감독은 링 밍메이 뮤직 비디오 제작에 대한 평소의 관심과 비디오 편집 기술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과 실사 소재를 결합하는 다양한 시도를 했다.[8] 그는 원래 링 밍메이만의 뮤직 비디오를 만들고 싶어했고, 에필로그를 추가했을 경우 어떤 영화가 될지도 보고 싶어했다. 그래서 속편이 아닌 뮤직 비디오 제작이라는 조건으로 연출을 맡게 되었다.[9]

일러스트레이터가 주업이었던 미키모토 하루히코는 오랜만에 링 밍메이를 그리면서 주변에서 "전혀 닮지 않았네요"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10] 그는 그림쟁이로서 이전과 똑같이 그리는 것은 재미없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현재 자신의 그림체로 표현했지만, 가장 어려웠던 것은 30대 중반의 링 밍메이(검은 상복 차림)였다고 한다.[11]

3. 내용 구성

이 작품은 새로 제작된 〈천사의 그림물감 Part1〉(2012년 콘서트 장면)과 〈천사의 그림물감 Part2〉(메가로드-01의 출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13] 이 외의 곡들은 TV 시리즈와 극장판의 편집 영상, 미키모토 하루히코의 일러스트를 배경으로 사용되었다.[13]

작품에는 명확한 줄거리가 없지만, 링 밍메이가 지구에서의 고별 콘서트 투어를 마치고 메가로드-01에 탑승하여 우주 항해를 떠나는 과정을 통해 전쟁, 연애, 이별,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표현한다.[13]

3. 1. 등장인물

링 밍메이는 지구 출신의 아이돌 가수이다. 밍메이는 고별 콘서트 투어를 마치고 메가로드-01에 탑승한다.[13] 밍메이는 문화 예술의 중요성과 평화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문화 콘텐츠의 힘을 상징한다. 작중에 등장하는 다양한 링 밍메이는 "근미래의 가능성"의 이미지이며, 나이나 상황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13]

하야세 미사는 메가로드-01의 함장으로, 이치조 히카루와 결혼하여 함께 우주 항해를 떠난다. 하야세 미사는 여성 리더십의 중요성과 미래를 향한 도전 정신을 상징한다. 극장판 제작 당시 예정되었던 콘서트 장면에서는 신혼의 이치조 히카루와 하야세 미사가 객석에 정답게 앉아있는 장면이 있었다.

이치조 히카루는 항공대장으로, 하야세 미사와 함께 메가로드-01에 탑승한다. 이치조 히카루는 젊은 세대의 패기와 용기를 상징하는 인물이다. 히카루가 탑승하는 가변전투기 VF-4 라이트닝 III는 이 시점에서 전투기 이외의 변형 형태는 설정되지 않았다.

4. 수록곡

작품에는 총 10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이지마 마리가 부른 곡들이 주를 이룬다. 특히 TV 시리즈 엔딩 테마였던 〈런너〉는 후지와라 마코토와 이이지마 마리의 듀엣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수록곡 및 작사/작곡/편곡 정보는 다음과 같다.

번호곡명작사작곡편곡노래
1천사의 그림물감 Part1이이지마 마리이이지마 마리시미즈 노부유키이이지마 마리
2SUNSET BEACH아사 아카네하네다 켄타로하네다 켄타로이이지마 마리
30-G LOVE아사 아카네하네다 켄타로하네다 켄타로이이지마 마리
4소백룡(小白竜)(샤오파이론)아사 아카네하네다 켄타로하네다 켄타로이이지마 마리
5실버문 레드문아사 아카네하네다 켄타로하네다 켄타로이이지마 마리
6사랑은 흐른다 part2아사 아카네하네다 켄타로하네다 켄타로이이지마 마리
7신데렐라이이지마 마리이이지마 마리이이지마 마리
8사랑.기억하나요야스이 카즈미가토 카즈히코시미즈 노부유키이이지마 마리
9천사의 그림물감 part2이이지마 마리이이지마 마리시미즈 노부유키이이지마 마리
10런너(ランナー) (듀엣 버전)아사 아카네하네다 켄타로하네다 켄타로후지와라 마코토, 이이지마 마리


4. 1. 음원 관련 정보

〈사랑은 흐른다 Part II〉(행진곡 버전)와 〈신데렐라〉(아카펠라 버전)는 본 작품에서만 들을 수 있는 특별한 버전이다.[1]

본 작품에 사용된 곡 중에는 음반에 수록되지 않은 버전이 있다.[1]

  • '''사랑은 흐른다 Part II (행진곡 버전)''': TV판 제27화 〈사랑은 흐른다〉의 최종 결전을 위해 편곡된 곡이다. CD 수록 버전은 1절 후 페이드 아웃으로 끝나지만, 본 작품에서는 2절까지 완전한 버전으로 수록되어 있다.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TV판 방영 후 발매된 상품 중 풀 버전으로 수록된 것은 이 미디어가 유일하다.[1]
  • '''신데렐라 (아카펠라 버전)''': 극장판에서 젠트라디 군의 포로가 된 린 민메이가 부르는 곡이다. TV판 제4화 〈린 민메이〉에서는 린 민메이의 오리지널 곡으로 불렸다. CD-BOX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마크로스 더 컴플리트(Macross the Complete)』에는, 이이지마 마리의 두 번째 앨범 「blanche」에 수록된 가사가 다른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1]
  • '''런너 (듀엣 버전)''': TV판 엔딩 테마를 후지와라 마코토와 이이지마 마리가 듀엣으로 부른 곡이다. 『마크로스 더 컴플리트』에 수록된 버전은 후렴구 마지막 부분을 이이지마 마리 혼자서 불렀지만, 본 작품 수록 버전은 마지막 후렴구 부분을 하세 유와 이이지마가 유니즌으로 불렀다.[1]

5. 설정



작품 속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링 밍메이의 모습(검은 상복, 하얀 옷 등)은 "근미래의 가능성"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특정 연령이나 상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13]

'''SDF-2 메가로드-01'''은 원래 두 번째 마크로스급 초시공 요새 우주 전함으로 계획되었으나, 첫 번째 장거리 ''메가로드''급 이주선이 되었다.[2][3] "ASS-1"(이후 ''SDF-1 마크로스'')에서 얻은 '오버 테크놀로지'에 대한 피드백과 지구군의 요구를 바탕으로 설계된 메가로드-01은 크기, 선체 설계 및 전쟁 수행 능력이 훨씬 더 뛰어났다. 또한, SDF-1 마크로스와 달리 메가로드급 이주선은 모듈식 변형을 갖추지 않았다. 하야세 미사가 함장으로 지휘를 맡았으며, 함대에는 그녀의 남편 이치죠 히카루가 스컬 부대 전체를 이끌고 있었고, 아이돌 가수 린 민메이도 탑승하고 있었다.

메가로드-01은 2012년에 은하 중심부를 향해 출발했으나,[4] 2016년 7월, 항해 시작 4년 만에 모든 연락이 끊어졌다.

''메가로드''라는 이름은 첫 번째 ''마크로스'' 시리즈의 제작 전 이름인 "배틀 시티 메가로드"에서 유래했다.[5] 이 제작 전 이름은 "메가로드"(우주를 통한 긴 여정)와 "메가로드"(민간 도시 형태의 대규모 화물)에 대한 의도적인 언어유희였다.[5][6] 메가로드-01은 TV판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당시부터 설정으로 존재했으며, 본작에서 처음 등장한다. OVA판의 디자인은 설정화가 없고, 카와모리 쇼지가 직접 원화를 그렸다. 지구로부터의 출항 장면은 속편 『마크로스7』, 『마크로스F』의 아반 타이틀에서도 재현되었다.

5. 1. VF-4 라이트닝 III

본 작품에서 이치조 히카루가 탑승하는 가변 전투기 VF-4 라이트닝 III는 이 시점에서는 파이터 형태만 설정되었으나, 이후 게임 작품에서 가워크와 배틀로이드 디자인이 추가되었다.[13]

6. 영향 및 평가

본 작품은 극장판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기억하나요》에서 제작되지 못했던 엔딩 필름(링 밍메이의 콘서트 장면)을 재현하기 위해 기획되었다.[8] 이후 발매된 극장판 마크로스의 비디오, LD, DVD에서는 엔딩이 본 작품의 신작 파트 〈천사의 그림물감 part.1〉으로 대체되었고, 제목도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기억하나요 완전판》으로 변경되었다.[14]

2000년 4월에 발매된 본 작품의 DVD는 특전으로 텔레폰 카드가 부속되었는데, 유통량이 적어 한때 온라인 경매에서 고가로 거래되기도 했다. 2008년 2월 22일에는 '마크로스' 25주년 기념으로 DVD가 재발매되었다.

2012년 7월 12일에는 극장판 '마크로스' 블루레이 디스크 (BD) 판 초회 한정판 『30TH ANNIVERSARY BOX (30주년 기념 박스)』 특전으로, 본 작품 등이 수록된 BD가 동봉되었다.[15]

7.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Super Dimension Fortress Macross: Flash Back 2012 Graffiti Shogakukan, Japan 1987
[2] 웹사이트 Translation & Cultural Notes http://www.animeigo.[...] AnimEigo 2001-12-21
[3] 웹사이트 Macross Chronicle http://books.shopro.[...] We've Inc 2009-01-22
[4] 서적 The Super Dimension Fortress Macross: Flash Back 2012 Graffiti Shougakukan, Japan 1987
[5] 웹사이트 Translation & Cultural Notes http://www.animeigo.[...] AnimEigo 2001-12-21
[6] 웹사이트 Mecha Data http://www.animeigo.[...] AnimEigo 2001-12-21
[7] 서적 Mechanic of Macross: SDF-2 "Megalord" Minori Library, Japan 1983-10-10
[8] 간행물 ぜひ制作したい幻のエピローグ 映画『マクロス』監督 河森正治 アニメージュ 1984-01
[9] 간행물 ニュータイプ 角川書店 1987-07
[10] 서적 BEST HIT SERIES 超時空要塞マクロス Flash Back 2012 秋田書店 1987
[11] 간행물 ニュータイプ 1987-07
[12] 간행물 CONTINUE 太田出版 2008
[13] 서적 BEST HIT SERIES 超時空要塞マクロス Flash Back 2012
[14] 문서 2012年に発売されたBD版は完全版と劇場公開版を1ディスクに収録してメニュー画面で任意選択が可能になっているため、タイトルは原典のまま。
[15] 문서 映画本編はHDリマスターを用いた映像が収録されているが、本作品に関してはマスターが現在行方不明のため、アップコンバート収録とな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