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기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기운은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하버드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카네기 멜론 대학교, UC 샌디에이고 등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전북대학교 연구 교수를 거쳐 KAIST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3년 기초과학연구원 우주이론물리센터(CTPU)의 초대 센터장을 역임했다. 2007년 과학재단-톰슨사이언티픽 과학 인용상, 국가 석학으로 선정되었으며, 2011년 한국과학상과 대한민국 과학기술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 문미옥
    문미옥은 물리학 박사 출신 과학기술인으로, 연구교수, 과학기술 정책 분야 실장, 제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보좌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을 역임하고 조국혁신당에 합류한 정치인이다.
  •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방효충
    방효충은 위성 자세제어 분야 전문가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남대학교, KAIST 등에서 인공위성 개발 및 연구에 기여했으며 젊은과학자상과 과학기술훈장을 수상하고 국가우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항공우주공학자이다.
  • 서울대학교 동문 - 김태권
    김태권은 서울대학교에서 미학과 서양고전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만화가이자 작가로, 2002년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로 데뷔하여 역사, 인문학, 사회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문학적 깊이와 풍자, 해학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들을 발표해왔다.
  • 서울대학교 동문 - 박주선
    박주선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대통령비서실 법무비서관을 거쳐 국회의원, 국회 부의장, 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한석유협회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최기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최기운
로마자 표기Choe Giun
한자 표기崔基雲
출생일1959년 11월 7일
국적대한민국
분야물리학
입자물리학
우주론
표준 모형을 넘어서는 물리학
역학적 대칭성 깨짐
끈 현상론
직장하버드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카네기 멜런 대학교
UC 샌디에이고
전북대학교
KAIST
기초과학연구원
출신 대학서울대학교
학위 논문 제목Dynamical solutions of the strong CP problem (강한 CP 문제의 역학적 해)
구글 학술 검색Kiwoon Choi - Google Scholar Citations
한국과학기술한림원한국과학기술한림원 - 회원 - 회원소개
과학동아과학기술 석학 한 자리에…한림원, 신입 정회원 31인 영입
웹사이트Center for Theoretical Physics of the Universe
수상
수상 내역대한민국 과학상
국가 석학
Scientific Citation Laureate

2. 학력

wikitext

연도학위학교전공
1981년학사서울대학교물리학
1983년석사서울대학교물리학
1986년박사서울대학교물리학[4]


3. 경력

미국으로 건너가 1986년 하버드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존스 홉킨스 대학교(1987년), 카네기 멜론 대학교(1988년~1990년), UC 샌디에이고(1990년~1992년)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5] 귀국 후에는 전북대학교에서 2년간 연구 교수를 지냈다. 이후 대전의 KAIST에서 오랫동안 재직하며, 1994년 조교수를 시작으로 1996년 부교수를 거쳐 2001년 정교수가 되었다. 2013년 11월부터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산하 우주이론물리센터(CTPU)의 초대 센터장을 맡고 있다.[6][7]

3. 1. 기초과학연구원 우주이론물리센터 (CTPU)

최기운은 KAIST 정교수로 재직하던 중, 2013년 11월 설립된 기초과학연구원 (IBS) 산하 우주이론물리센터 (CTPU)의 초대 센터장으로 부임하였다.[6][7] CTPU는 물리학의 기본 이론적 틀을 이해하고 표준 모형 너머의 물리학을 연구하며, 입자 물리학을 통해 우주의 기원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8][9]

4. 수상

5. 저서


  • 정재승, 강봉균, 이정모, 이현숙, 최기운 공저,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 낮은산, 2012년 7월 20일. ISBN 9788989646822

참조

[1] 웹사이트 Kiwoon Choi - Google Scholar Citations https://scholar.goog[...] 2019-01-18
[2] 웹사이트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회원 - 회원소개 https://www.kast.or.[...] 2019-01-11
[3] 웹사이트 과학기술 석학 한 자리에…한림원, 신입 정회원 31인 영입 2019-01-11
[4] 웹사이트 최기운 - 네이버 인물검색 https://people.searc[...] 2019-01-11
[5] 웹사이트 최기운 KAIST 물리학과 교수: 이론 입자물리학의 대가 http://www.scinews.k[...] 2019-01-11
[6] 웹사이트 IBS, 2차 연구단장에 로드니 루오프·최기운씨 선임: 3년간 20개 연구팀 단장 선정 2019-01-11
[7] 웹사이트 미래부, 2013년 2차 연구단장 최기운 선정 2019-01-11
[8] 웹사이트 Center for Theoretical Physics of the Universe (Particle Theory and Cosmology Group) https://www.ibs.re.k[...] 2019-01-18
[9] 웹사이트 Delving into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the fundamental laws of nature https://www.ibs.re.k[...] 2021-03-04
[10] 웹사이트 박종일·최기운·노정혜 교수, 한국과학상 받아: 젊은과학자상에 권성훈·안종현·정운룡·김수민 시상식 16일 오후 3시 서울프레스센터 2019-01-11
[11] 웹사이트 IBS, 신규 연구단장에 로드니 루오프·최기운 교수 선정 2019-01-11
[12] 웹사이트 루오프 교수·최기운 단장, IBS 연구단장으로 추가 선정 아시아경제 2019-01-11
[13] 웹사이트 충남대 류동수 교수등 ‘국가석학’ 15명 선정 2019-01-11
[14] 웹사이트 김영민 교수 등 15명 '국가석학' 선정 서울경제 2019-01-11
[15] 웹사이트 포스텍 안진흥·박종문 교수, 독창적 연구영역 개척 과학자에: 톰슨사이언티픽사 한국인 9명 선정 2019-01-11
[16] 웹사이트 ‘독창적 연구분야 개척’ 한국 과학자 7명 선정 쿠키뉴스 2019-01-11
[17] 웹인용 Kiwoon Choi - Google Scholar Citations https://scholar.goog[...] 2019-01-18
[18] 웹인용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회원 - 회원소개 https://www.kast.or.[...] 2019-01-11
[19] 웹인용 과학기술 석학 한 자리에…한림원, 신입 정회원 31인 영입 2019-01-11
[20] 웹인용 포스텍 안진흥·박종문 교수, 독창적 연구영역 개척 과학자에: 톰슨사이언티픽사 한국인 9명 선정 2019-01-11
[21] 웹인용 ‘독창적 연구분야 개척’ 한국 과학자 7명 선정 쿠키뉴스 2019-01-11
[22] 웹인용 충남대 류동수 교수등 ‘국가석학’ 15명 선정 2019-01-11
[23] 웹인용 김영민 교수 등 15명 '국가석학' 선정 서울경제 2019-01-11
[24] 웹인용 박종일·최기운·노정혜 교수, 한국과학상 받아: 젊은과학자상에 권성훈·안종현·정운룡·김수민 시상식 16일 오후 3시 서울프레스센터 2019-01-11
[25] 웹인용 IBS, 신규 연구단장에 로드니 루오프·최기운 교수 선정 2019-01-11
[26] 웹인용 루오프 교수·최기운 단장, IBS 연구단장으로 추가 선정 아시아경제 2019-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