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편이 방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소 편이 방식(MSK)은 연속적인 위상 변화와 일정한 포락선을 갖는 디지털 변조 방식이다. 수학적으로는 I/Q 방식으로 표현되며, 주파수와 위상을 변조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MSK는 QPSK와 유사한 비트 오류율 성능을 보이며, 전력 스펙트럼 밀도 측면에서 QPSK보다 측엽 레벨이 낮아 채널 간섭에 강하다. MSK의 변형인 가우스 최소 편이 변조(GMSK)는 가우시안 필터를 사용하여 측파대 전력을 줄여 인접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며, GSM, 블루투스, 위성 통신, 자동 식별 시스템(AIS) 등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최소 편이 방식 | |
---|---|
개요 | |
![]() | |
종류 | 연속 위상 변조 |
약자 | MSK |
분야 | 통신 |
설명 | 연속 위상 주파수 편이 방식의 한 종류 |
기술적 특징 | |
변조 방식 | 주파수 편이 방식(FSK) |
위상 | 연속적 |
주파수 편이 | 최소 |
대역폭 효율 | 높음 |
전력 효율 | 높음 |
응용 | |
위성 통신 | 사용됨 |
이동 통신 | 사용됨 |
무선 통신 | 사용됨 |
관련 기술 | |
관련 기술 | 가우스 최소 편이 방식(GMSK) 직교 편이 방식(OQPSK) |
추가 정보 | |
추가 정보 | delta: 0.5 fm |
2. 수학적 표현
MSK 신호는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5] MSK 파형은 I/Q 방식으로 사인파 펄스 성형을 사용하여 OQPSK로 설계할 수도 있다. 연속 위상 변조에서 매핑이 변경되며, 각 비트 시간마다 반송파 위상이 ±90°만큼 변경된다.
2. 1. 신호 표현
MSK 신호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5]:
여기서 와 는 각각 짝수 및 홀수 비트 정보를 나타내는 구형 펄스열이며, ''2T''는 심볼 주기, 는 반송파 주파수이다. 는 에 펄스 에지가 있고 는 에 펄스 에지가 있다.
삼각 항등식을 사용하면 위상 및 주파수 변조가 더 명확하게 나타나는 형태로 다시 쓸 수 있다.
:
여기서 ''bk(t)''는 일 때 +1이고, 부호가 반대일 경우 −1이며, 는 가 1이면 0이고, 그렇지 않으면 이다. 따라서 신호는 주파수와 위상으로 변조되며, 위상은 지속적으로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2. 2. 위상 및 주파수 변조 관점
삼각 항등식을 사용하면 최소 편이 방식(MSK) 신호를 위상 및 주파수 변조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5]:
여기서 ''bk(t)''는 와 의 부호에 따라 +1 또는 -1의 값을 가지며, 는 의 값에 따라 0 또는 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신호는 주파수와 위상으로 변조되며, 위상은 지속적으로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3. 속성
MSK는 연속적인 위상 변화와 일정한 포락선(constant envelope) 특성을 가지므로, 비선형 증폭기에 의한 왜곡에 강하다.
3. 1. 오류율
MSK의 최소 심볼 거리는 QPSK와 동일하다.[7][6] 따라서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이론적인 비트 오류율 경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는 비트당 에너지, 는 잡음 스펙트럼 밀도, 는 Q-함수, 는 보완 오차 함수를 나타낸다.
3.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MSK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는 QPSK에 비해 측엽(sidelobe) 레벨이 낮아 인접 채널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최소 심볼 거리가 QPSK와 동일하기 때문에,[7][6]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이론적인 비트 오류율 경계를 계산할 수 있다.
:
여기서 는 비트당 에너지, 는 잡음 스펙트럼 밀도, 는 Q-함수, 는 보완 오차 함수를 나타낸다.
4. 가우스 최소 편이 변조 (GMSK)
'''가우스 최소 편이 변조'''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가우스 최소 편이 변조영어, '''GMSK''')는 연속 위상 주파수 편이 변조 방식의 일종이다. 주파수 변조를 수행하기 전에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가우스 필터로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표준 최소 편이 방식(MSK)과 구별된다.
GMSK는 측파대 전력을 줄여 인접 주파수 채널 간의 간섭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가우스 필터로 인해 변조 메모리가 증가하고 심볼 간 간섭이 발생하여, 전후 데이터 간의 구별이 어려워져 수신 측에서 적응형 이퀄라이저와 같은 복잡한 이퀄라이제이션 알고리즘이 필요하다.[9]
4. 1. 특징
가우스 최소 편이 방식(GMSK)은 표준 최소 편이 방식(MSK)과 유사하지만,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이 주파수 변조기에 적용되기 전에 먼저 가우시안 필터로 성형된다. 이는 측파대 전력을 감소시켜 인접 주파수 채널의 신호 반송파 간 대역 외 간섭을 줄여준다.[9]하지만, 가우시안 필터는 시스템의 변조 메모리를 증가시키고 심볼 간 간섭을 발생시켜, 서로 다른 전송된 데이터 값을 구별하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수신기에서 적응형 이퀄라이저와 같은 더 복잡한 채널 이퀄라이제이션 알고리즘을 필요로 한다. GMSK는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갖지만, 예를 들어 QPSK보다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더 높은 전력 레벨이 필요하다.
4. 2. 응용
GMSK는 GSM 외에도 블루투스, 위성 통신,[10][11] 자동 식별 시스템(AIS) 등에 사용된다.4. 2. 1.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전 세계 이동 통신 시스템)은 유럽의 디지털 이동통신 표준으로 개발되었으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되는 2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핵심이다. GSM은 가우스 최소 편이 방식(GMSK) 변조 방식을 채택했다. GMSK는 측파대 전력을 줄여 인접 주파수 채널 간의 간섭을 줄이는 효과가 있지만, 심볼 간 간섭을 발생시켜 수신기에서 복잡한 알고리즘을 필요로 한다.[9]4. 2. 2. 대한민국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GMSK
대한민국은 2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초기에 GSM 방식이 아닌 CDMA 방식을 채택했으나, 이후 3G WCDMA 및 4G LTE와 같은 다양한 통신 기술과 함께 GSM 방식이 공존하게 되었다. 현재는 대부분의 통신 서비스가 4G LTE 이상으로 전환되었지만, 여전히 일부 기기 및 시스템에서 GMSK를 포함한 GSM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특히, GSM 로밍 서비스를 통해 해외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사용자, 혹은 한국에서 해외로 나가는 사용자들이 GSM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8][9][10][11]4. 3. 스펙트럼 효율
GMSK는 스펙트럼 효율이 높지만, 같은 양의 데이터를 확실하게 전송하려면 QPSK보다 높은 전력 레벨이 필요하다.[8]참조
[1]
특허
Minimum Shift Data Communication System
http://www.freepaten[...]
[2]
서적
Digital phase modulati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
서적
Digital communications
McGraw-Hill
[4]
서적
Digital phase modulati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
서적
Digital Communication
https://archive.org/[...]
McGraw-Hill Inc.
[6]
웹사이트
Link Budget Analysis: Digital Modulation-Part 2-FSK (Atlanta RF)
http://www.atlantarf[...]
[7]
서적
Communication Systems
John Wiley&Sons. Inc.
[8]
서적
Communication Systems
John Wiley&Sons. Inc.
[9]
웹사이트
What is GMSK Modulation -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http://www.radio-ele[...]
2014-03-23
[10]
논문
Estimation techniques for GMSK using linear detectors in satellite communications
[11]
보고서
An optimum space-to-ground communication concept for CubeSat platform utilizing NASA space network and near earth network
https://ntrs.nasa.go[...]
[12]
특허
Minimum Shift Data Communication System
http://www.freepat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