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소관심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소관심종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서 사용하는 분류로, 멸종 위험이 낮은 종을 의미한다. 2001년부터 "LC"라는 약어를 사용하며, 2006년 기준으로 14,033종의 동물, 101개의 아종, 약 1,500개의 식물 분류군이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되었다. 참새, 집비둘기, 생쥐와 같은 친숙한 종과 사람도 이 범주에 속한다. 다른 레드 리스트에서는 캐나다의 COSEWIC에서 "비위기종"으로, NatureServe에서는 "Secure"로, WWF에서는 "relatively stable/relatively intact"로 분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UCN 적색 목록 - 멸종위기종
    멸종위기종은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기'로 분류될 정도로 멸종 위험에 처한 종을 의미하며, 서식지 파괴,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국제적 협약과 법적 보호 노력이 필요하고 생태계 건강과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보호 노력이 요구된다.
  • IUCN 적색 목록 - 취약종
    취약종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하는 범주 중 하나로, 멸종위기종이나 위기종은 아니지만 멸종 위험이 높은 종을 의미하며, 개체 수 감소, 좁은 분포 범위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최소관심종
정보
최소관심종
IUCN Red List version 3.1에 따른 최소관심종 (LC)
과학적 분류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강: 파충강
목: 뱀목
과: 뱀과
속: 능구렁이속
종: 능구렁이
학명Rhadinophis persa
명명자(Filippi, 1865)
동의이명Coluber persa Filippi, 1865
Rhadina persa (Filippi, 1865)
보전 상태
IUCN최소관심종
학명 정보
학명의 의미Rhadinophis: 가는 뱀
persa: 페르시아의

2. 평가

2001년부터 IUCN 2001 범주 및 기준(버전 3.1)에 따라 "LC"라는 약어를 사용했다.[1] 2001년 이전에는 "최소관심"이 "낮은 위험" 범주의 하위 범주였으며, "LR/lc" 또는 "lc" 코드가 할당되었다. IUCN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최소관심 분류군의 약 20%(15,636개 중 3,261개)는 여전히 "LR/lc" 코드를 사용하는데, 이는 2000년 이후 재평가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5]

3. 종수

2006년 IUCN 적색 목록에서는 15,636 분류군을 최소관심 범주에 할당했다. 이 범주에는 동물 종 14,033종(미기재종 포함), 동물 아종 101개, 식물 분류군 1,500개(1,410종, 55개 아종, 35개 변종)가 포함된다. 균류나 원생생물은 이 분류를 가진 종이 없지만,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해당 계 내에서 4종을 평가했다. 인간은 2008년에 최소관심 종으로 공식 평가[3]되었다. 참새, 집비둘기, 생쥐 등 친숙한 종이 최소관심종으로 평가되고 있다.[7]

4. 다른 레드 리스트에서의 분류

최소관심종은 각 국가 및 단체별로 사용하는 레드 리스트의 보전 상태 분류 기준에 따라 다르게 분류될 수 있다. 세계자연보호기금(WWF) 등에서는 최소관심종에 해당하는 분류 기준을 마련해 두고 있지만, 일본과 미국의 경우 별도의 최소관심종 분류 기준을 두지 않고 멸종 위험이 없는 종은 목록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4. 1. 캐나다

캐나다의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생물에 관한 위원회(COSEWIC)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 않은 종을 '''비위기종'''(Not At Risk, '''NAR''')으로 분류한다.[1]

4. 2. NatureServe

NatureServe (en)의 레드 리스트에서는 "광범위하게 다수의 개체군이 안정적으로 생존하고 있는" 종을 '''Secure''' ('''G5''')라는 카테고리에 분류하고 있다.[1]

4. 3. 세계자연보호기금(WWF)

WWF에서는 최소관심종에 해당하는 범주로 '''relatively stable/relatively intact''' ('''RS''')를 사용한다.[1]

4. 4. 일본

일본 환경성이 정한 레드 데이터 북에는 최소관심종에 해당하는 범주가 없으며, 멸종 위험이 없는 종은 목록에 게재되지 않는다.[4]

4. 5. 미국

미국의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보존에 관한 법률에서 작성된 레드 리스트에는 최소관심종에 해당하는 범주가 없으며, 멸종 위험이 없는 종은 목록에 게재되지 않는다.[4]

참조

[1] 웹사이트 2001 Categories & Criteria (version 3.1) http://jr.iucnredlis[...] 2015-05-22
[2] 웹사이트 Philautus sp. nov. 'Kalpatta' http://www.redlist.o[...] 2006-12-19
[3] 간행물 "''Homo sapiens'' (human)"
[4] 웹사이트 レッドリストについて: IUCNのレッドリストによる危機の評価 http://www.wwf.or.jp[...] WWF Japan 2017-03-09
[5]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Comparison between versions 2.3 (1994) and 3.1 (2001) http://s3.amazonaws.[...] 2017-03-09
[6] 웹사이트 Philautus sp. nov. 'Kalpatta' http://www.redlist.o[...] 2006-12-19
[7] 뉴스 Homo sapiens http://www.iucnredli[...] IUCN Red List
[8] 웹인용 2001 Categories & Criteria (version 3.1) http://jr.iucnredlis[...] 2015-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