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점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점환은 대한민국의 프로 복싱 선수이다. 1983년 프로 데뷔하여 IBF 라이트플라이급과 WBC 미니멈급 두 체급에서 세계 챔피언을 지냈다. 1986년 IBF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이 되었으며, 1989년에는 WBC 미니멈급 챔피언에 올랐으나 1990년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니플라이급 권투 선수 - 최희용
최희용은 1987년 프로 데뷔 후 동양태평양 복싱 연맹 및 세계 복싱 협회 미니멈급과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을 지냈으며, 프로 통산 21전 19승 2패의 전적을 기록했다. - 미니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최희용
최희용은 1987년 프로 데뷔 후 동양태평양 복싱 연맹 및 세계 복싱 협회 미니멈급과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을 지냈으며, 프로 통산 21전 19승 2패의 전적을 기록했다. - 미니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김봉준 (권투 선수)
김봉준은 1983년 프로 데뷔 후 1989년 WBA 미니멈급 챔피언에 올라 5차 방어에 성공했으며, 통산 37전 24승 10패 3무의 전적을 남겼다. - 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이열우
이열우는 1985년 프로 복싱 선수로 데뷔하여 WBC, WBA 챔피언을 석권하고 통산 22전 19승을 기록했으며, 2009년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최점환 | |
---|---|
기본 정보 | |
이름 | 최점환 |
원어 이름 | 최점환 (Choi Jum-hwan) |
출생일 | 1963년 6월 9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사망일 | 알 수 없음 |
사망지 | 알 수 없음 |
체급 | 미니 플라이급 라이트 플라이급 |
스타일 | 오소독스 스탠스 |
선수 경력 | |
전체 경기 수 | 23 |
승리 | 20 |
KO 승리 | 8 |
패배 | 3 |
무승부 | 0 |
무효 경기 | 0 |
2. 생애
1983년 3월 13일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3]
최점환은 1983년 프로로 전향하여 1986년 IBF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1989년 WBC 미니멈급 챔피언에 올랐다.[1]
1984년 5월 13일, 11전 만에 한국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에 올랐다.[3] 같은 해 11월 16일, 무패 행진을 이어가며 13전 만에 세계 챔피언에 처음 도전했으나, IBF 세계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도디 보이 페냐로사(필리핀)에게 15회 판정패하며 프로 첫 패배를 기록했다.[3]
1986년 12월 7일, 페냐로사가 반납해 공석이 된 IBF 세계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자리를 두고 같은 한국인 박조운과 대결을 펼쳐 15회 판정승, 16전 만에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후 3차 방어에 성공했으며, 그중 한 번은 마쓰다 토시히코(킥복서)에게 4RKO승을 거둔 경기였다.[3]
1988년 11월 5일, 4차 방어전에서 타시 마카로스(필리핀)에게 15회 판정패하며 챔피언 벨트를 내주었고, 이후 1년간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3]
1989년 11월 12일, 한 체급 아래인 WBC 세계 미니멈급 챔피언 나파 켓완차이(태국)에게 도전하는 세계 타이틀 도전 경기를 복귀전으로 치렀다. 마지막 라운드인 12회에 TKO승을 거두며 2체급 석권에 성공했다.[3]
1990년 2월 7일, 고라쿠엔 홀에서 오하시 히데유키와 첫 방어전을 가졌으나 9회 KO패를 당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었다.[3]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3]
3. 프로 경력
1983년 3월 13일 프로 데뷔전을 치렀고, 1984년 5월 13일 11전 만에 한국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이 되었다. 같은 해 11월 16일 IBF 세계 라이트 플라이급 챔피언 도디 보이 페냐로사에게 도전했으나 15회 판정패하며 프로 첫 패배를 기록했다. 1986년 IBF 챔피언에 등극, 3차 방어까지 성공했으나 1988년 타시 마카로스에게 패했다. 1989년 WBC 미니멈급 챔피언에 올랐지만, 1990년 오하시 히데유키에게 패하며 타이틀을 잃고 은퇴했다.[1] [3]
3. 1. IBF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1986년 12월 7일, 도디 보이 페냐로사가 반납하여 공석이 된 IBF 세계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자리를 두고 같은 한국인 박조운과 겨루어 15회 판정승을 거두며 16전 만에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3차 방어에 성공했으며, 그중 한 번은 마쓰다 토시히코(킥복서)에게 4RKO승을 거둔 것이다.[1]
1988년 11월 5일, 4차 방어전에서 타시 마카로스(필리핀)에게 15회 판정패하여 챔피언 자리에서 물러났다.[1]
3. 2. WBC 미니멈급 챔피언
1989년 11월 12일, 한 체급 아래인 WBC 미니멈급 챔피언 나파 켓완차이(태국)에게 도전하여 마지막 라운드인 12회 TKO승을 거두며 2체급 석권에 성공했다.[1] 1990년 2월 7일, 고라쿠엔 홀에서 오하시 히데유키와 첫 방어전을 치렀으나 9회 KO패를 당하며 챔피언 자리에서 물러났다.[3]
4. 프로 복싱 전적
5. 은퇴 이후
최점환은 인천 출생으로 부산에서 성장하였다. 중학교 2학년 때 복싱을 시작하여 1983년 3월 13일에 프로 선수로 데뷔하였다. 1986년 12월 7일 IBF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에 올랐으며, 1988년 마닐라에서 열린 4차 방어전에서 패하였다. 1989년 11월 12일 WBC 미니멈급 챔피언이 되었으나, 1990년 2월 1차 방어전에서 패배하였다. 1990년 12월 7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하였다.
6. 평가
최점환은 인천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성장하였다. 중학교 2학년 때 복싱을 시작하여, 1983년 3월 13일에 프로로 데뷔하였다. 1986년 12월 7일 IBF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에 올랐으며, 1988년 마닐라에서 열린 4차 방어전에서 패배하였다. 1989년 11월 12일 WBC 미니멈급 챔피언이 되었으나, 1990년 2월 1차 방어전에서 패배하였다. 1990년 12월 7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Choi Jum-hwan - Lineal Minimumweight Champion
http://www.cyberboxi[...]
The Cyber Boxing Zone Encyclopedia
[2]
웹사이트
川島郭志(ボクシングWBC世界スーパーフライ級元王者/徳島県海陽町出身)×二宮清純 第4回「無敵だったリカルド・ロペス」
http://www.ninomiyas[...]
スポーツ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2016-10-24
[3]
웹사이트
【写真特集】負の連鎖止めた大橋秀行、下馬評覆した竹原慎二ら名勝負5傑/後楽園ホール60年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