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승리를 향하여 앞으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후의 승리를 향하여 앞으로"는 북한의 찬가로, 김일성 생일 100주년을 기념하는 열병식에서 김정은의 연설 구절을 인용하여 제작되었다. 이 노래는 한반도 통일을 염원하며, 군인, 시민들의 단결과 국가의 번영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선중앙텔레비전을 통해 뮤직 비디오가 방영되었으며, 북한 매체는 이 노래가 국민들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외 평론가 알렉시스 페트리디스는 군 합창단의 웅장함에 호평하면서도 반복적인 군사적 박자에 대한 지루함을 언급했으며, 1970년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곡과 비교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제 가요 - 김일성 장군의 노래
김일성 장군의 노래는 1946년 북한에서 창작되어 김일성을 항일 영웅이자 국가 건설의 지도자로 칭송하며, 가사 변화를 통해 김일성 개인 숭배 및 권력 공고화에 기여하고 북한 사회와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은 군가풍의 노래이다. - 관제 가요 - 김정일 장군의 노래
김정일 장군의 노래는 1997년 발표된 북한의 대표적인 선전가요로, 김정일의 업적을 찬양하며 고난의 행군 시기 개인 숭배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고, 방송 시작 시 애국가와 함께 연주되거나 선전선동 활동에 활용되었으며, 예술이 지배 수단으로 전락한 북한 사회의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로도 분석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래 - 내 나라 제일로 좋아
조국에 대한 애정을 노래하는 "내 나라 제일로 좋아"는 이국에서의 경험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통해 자신이 사는 나라가 제일 좋다는 애국심을 강조하는 곡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래 - 김일성 장군의 노래
김일성 장군의 노래는 1946년 북한에서 창작되어 김일성을 항일 영웅이자 국가 건설의 지도자로 칭송하며, 가사 변화를 통해 김일성 개인 숭배 및 권력 공고화에 기여하고 북한 사회와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은 군가풍의 노래이다. - 김정은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김정은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최후의 승리를 향하여 앞으로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곡 정보 | |
제목 | 최후의 승리를 향하여 앞으로 |
작사 | 김문혁 |
작곡 | 윤두근 |
2. 가사
우리 수백만 시민의 단결된 마음의 정신력을 폭발시킴으로써, 우리의 무패 군대가 백 번의 전투에서 승리를 자랑하듯이, 새 세기의 새로운 산업 혁명의 등불을 높이 듦으로써, 위대한 백두산 국가 최후의 승리를 향하여 나아간다.[1] 최후의 승리는 한반도 통일을 의미한다.[2]
조선중앙텔레비전에서는 이 찬가가 2분 41초 길이의 영상 몽타주와 함께 방영된다.[4] 영상은 북한의 산 풍경, 군인 및 시민들의 행진, 군사 장비(열병식의 핵미사일, 함선 및 항공기, 발사되는 포병 로켓과 어뢰), 산업 기계 등의 장면을 조합했으며, 때때로 전통적인 사회주의 리얼리즘 양식의 손으로 그린 선전 미술 작품이 겹쳐 나타난다.[4]
가디언의 음악 평론가 알렉시스 페트리디스는 군 합창단이 찬송가를 부르는 "엄청난 맹렬함"에 호평을 보냈지만, 쉴 새 없이 이어지는 군사적 박자가 몇 분 지나면 꽤나 지루해진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페트리디스에 따르면, "최후의 승리를 향하여 앞으로"는 적어도 보천보전자악단과 같은 단체의 현대 음악 결과물처럼 "지옥처럼 지루하지" 않으며, 그의 노래는 전형적인 1970년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곡과 비교되었다.[5]
이 가사는 김일성 생일 100주년을 기념하여 열린 열병식에서 진행된 김정은의 연설 『』의 한 구절에서 따왔다.[7] 종류상으로는 김정은을 칭송하는 노래에 속하지만, 김정은 본인의 이름이 언급된 적은 없다.[7] 북한 지도자들을 찬양하는 노래에서 이례적으로 김정은 자신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성한 번영의 국가"라는 메시지가 강조되었지만, 이전 선전 자료와 달리 더 이상 ''대국''으로 언급되지 않고 ''국가''로 언급되었다.[1] 강성대국을 짙게 반영한 내용을 담고 있다.[6]
3. 뮤직 비디오
4. 평가
로동신문은 이 노래가 "국민들에게 열렬히 환영받고" 있다고 보도했다.[1] 조선중앙통신은 "이 노래가 한국군과 인민의 높은 민족적 자긍심으로 조국 번영에 헌신하려는 의지를 굳건하게 한다"고 보도했다.[3]
4. 1. 해외 평가
가디언의 음악 평론가 알렉시스 페트리디스는 군 합창단이 찬송가를 부르는 "엄청난 맹렬함"에 호평을 보냈지만, 쉴 새 없이 이어지는 군사적 박자가 몇 분 지나면 꽤나 지루해진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페트리디스에 따르면, "최후의 승리를 향하여 앞으로"는 적어도 보천보전자악단과 같은 단체의 현대 음악 결과물처럼 "지옥처럼 지루하지" 않으며, 그의 노래는 전형적인 1970년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곡과 비교되었다.[5]
4. 2. 북한 내 평가
로동신문은 이 노래가 "국민들에게 열렬히 환영받고" 있다고 보도했다.[1] 조선중앙통신은 "이 노래가 한국군과 인민의 높은 민족적 자긍심으로 조국 번영에 헌신하려는 의지를 굳건하게 한다"고 보도했다.[3]
5. 같이 보기
5. 1. 관련 인물
5. 2. 관련 주제
참조
[1]
뉴스
Kim Jong Un's Official New Theme Song, Translated
https://www.theatlan[...]
2012-07-05
[2]
뉴스
North Korea's Latest Hit Single: The Kim Jong-un Theme Song!
http://www.cbc.ca/st[...]
2012-07-06
[3]
뉴스
North Korea's Kim Jong-un gets new official theme song
https://www.theguard[...]
2012-07-06
[4]
뉴스
North Korea releases Kim Jong-un official theme song - video
https://www.theguard[...]
2012-07-06
[5]
뉴스
Onwards Toward the Final Victory – review
https://www.theguard[...]
2012-07-06
[6]
뉴스
Kim Jong Un's Official New Theme Song, Translated
http://www.theatlant[...]
2012-07-05
[7]
뉴스
North Korea's Kim Jong-un gets new official theme song
http://www.guardian.[...]
2012-07-06
[8]
뉴스
Kim Jong Un's Official New Theme Song, Translated
https://www.theatlan[...]
2012-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