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만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축만제는 조선 후기 수원 화성 서쪽에 축조된 저수지로, 1799년 정조 23년에 수원성 축조 사업의 일환으로 내탕금 3만 냥을 들여 만들어졌다. 화성 서쪽에 위치하여 서호라고도 불렸으며, 천년만년 만석의 생산을 축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축만제는 제방 길이 1,246척, 높이 8척, 두께 7.5척, 수심 7척, 수문 2개의 규모로 조성되었으며, 둔전을 운영하여 수원성 축성고에 수입을 납입했다. 2016년 11월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으로 등재되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시의 문화유산 - 만년제
만년제는 조선 정조가 사도세자의 묘를 옮긴 후 백성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1797년에 세운 제언으로, 둔전 설치와 농업 기반 강화, 상권 보호 등 정조의 권농정책을 보여주는 사적이다. - 수원시의 문화유산 - 수원 화성행궁
수원 화성행궁은 정조가 사도세자의 묘를 옮기고 개혁 정치를 펼치기 위해 건설한 행궁으로, 일제강점기 훼손 후 복원되어 사적 제115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수원 시민의 문화 향유 공간으로 활용된다. - 경기도의 저수지 - 백운호수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백운호수는 주변에 다양한 시설과 볼거리가 있으며, 훼손지 복구 사업으로 문화체육공원 등 4개의 테마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 - 경기도의 저수지 - 광교저수지
광교저수지는 광교산 근처에 위치하며 산책로와 공원이 조성되어 등반객들이 자주 찾는 곳이다. - 대한민국의 인공호 - 광교호수공원
광교호수공원은 수원시에 위치하며, 과거 원천저수지 일대를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던 곳으로, 현재 다양한 시설과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인공호 - 충주호
충주호는 충주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 호수로, 충주시와 제천시가 호수 명칭을 두고 논쟁 중이며 민간에서는 권역별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축만제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수원 축만제 |
로마자 표기 | Suwon Chungmanje |
위치 |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436-1 외 |
개요 | |
유형 | 경기도의 기념물 |
지정 번호 | 200호 |
지정일 | 2005년 10월 17일 |
면적 | 332997m² |
상세 정보 | |
시대 | 미상 |
특징 | 정조가 축조한 저수지 현재까지도 농업용수로 사용 |
보존 상태 | 양호 |
생태 정보 | |
서식 생물 | 서호납줄갱이 |
2. 축조 배경 및 목적
정조는 수원 화성을 건설하면서 도시의 자급자족과 농업 생산 증대를 위해 수리 시설 확충에 힘썼다. 당시 수원성의 동서남북에는 네 개의 호수(四湖)를 만들었는데, 북쪽에는 만석거를, 남쪽에는 만년제를 만들었다. 동쪽에는 현재 위치를 알 수 없는 호수가 있었고, 서쪽에는 축만제가 만들어졌다. 축만제는 국둔전을 통해 관리되었으며, 여기서 발생한 수입은 수원성의 축성고에 납입되었다.
2. 1. 축조 배경
1799년 (정조 23) 수원 화성 건설과 함께 진행된 사업의 일환으로 축조되었다. 내탕금 3만 냥이 투입되었다. 당시 수원성의 동서남북에는 네 개의 호수(四湖)를 만들었는데, 축만제는 화성 서쪽 여기산 아래에 축조한 저수지이다. 축만제는 천년만년 만석의 생산을 축원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화성 서쪽에 있어 일명 '서호'로 불리고 있다.2. 2. 축조 목적
정조는 수원 화성 인근 농경지에 안정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여 생산량을 늘리고, 이를 통해 화성의 경제적 자립 기반을 강화하고자 했다. 정조는 1799년(정조 23)에 수원성을 쌓으면서 내탕금 3만 냥을 들여 축만제를 축조하였다.[1] '축만제'라는 이름에는 천년만년 만석의 생산을 축원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으며,[1] 화성 서쪽에 있어 서호로도 불린다.[1]3. 구조 및 특징
축만제는 제방, 수문, 주변 식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시의 축조 기술을 잘 보여준다. 축만제는 천년만년 만석의 생산을 축원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화성 서쪽에 있어 일명 서호(西湖)라고도 불린다.
3. 1. 규모 및 시설
문헌에 따르면 제방의 길이는 1,246척, 높이 8척, 두께 7.5척, 수심 7척, 수문 2개로 되어 있다. 제방에는 제언절목(堤堰節目)에 따라 심은 듯 아직도 고목들이 서 있다.3. 2. 둔전 운영
축만제 인근에는 축만제둔(祝萬堤屯)을 설치하여 국둔전을 운영하였다. 둔전에서 얻은 수입은 수원성의 축성고(築城庫)에 납입되어 화성 건설 및 운영에 사용되었다.4. 역사적 가치 및 의의
축만제는 조선 후기 화성의 서쪽 여기산 아래 축조한 저수지이다. 1799년(정조 23) 수원성을 쌓을 때 내탕금 3만 냥을 들여 축조하였다. 당시 수원성의 동서남북에는 네 개의 호수(四湖)를 만들었는데, 축만제는 이 중 서쪽에 위치한다. 제방에는 제언절목(堤堰節目)에 따라 심은 듯한 고목들이 서 있으며, 축만제둔(祝萬堤屯)을 설치하여 여기서 생기는 수입은 수원성의 축성고(築城庫)에 납입하였다는 기록을 통해 제방 아래 몽리구역의 농지는 둔전(국둔전)이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4. 1. 서호(西湖)
축만제는 화성 서쪽에 있어 일명 서호(西湖)라고도 불렸다.[1] 축만제는 천년만년 만석의 생산을 축원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1]4. 2.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 등재
축만제는 2016년 11월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1]5. 현대적 활용 및 관리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현대적 활용 및 관리'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대한민국관보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20-1130호
https://www.ngii.go.[...]
2020-03-11
[2]
웹인용
서호납줄갱이
http://species.nibr.[...]
2016-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