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다오 지하철 13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칭다오 지하철 13호선은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칭다오시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2018년 12월 26일에 1기 구간이 개통되었다. 1301 자링장시루역부터 1323 둥자이커우역까지 총 23개의 역이 있으며, 칭다오 지하철 1호선, 6호선 및 중국철도 둥자이커우역과 환승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다오 지하철 노선 - 칭다오 지하철 3호선
칭다오 지하철 3호선은 칭다오 역과 칭다오 북역을 잇는 총 길이 24.472km, 22개 역으로 구성된 노선으로, 2016년 12월 완전 개통되어 칭다오 시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칭다오 지하철 노선 - 칭다오 지하철 1호선
칭다오 지하철 1호선은 중화인민공화국 칭다오시를 운행하며, 2020년과 2021년에 걸쳐 개통되어 현재 총 41.6km의 노선으로 운영되고, 3호선, 2호선 등 여러 노선과 환승 가능하다. - 201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201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 철도 정보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철도 정보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칭다오 지하철 13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칭다오 지하철 13호선 |
![]() | |
노선색 | 진한 녹색 |
노선 번호 | 13호선 |
종류 | 지하철 |
위치 | 칭다오시 |
노선망 | 칭다오 지하철 |
기점 | 자링장시루역 |
종점 | 둥자커우훠처잔역 |
역 수 | 23 |
개통일 | 2018년 12월 26일 |
소유자 | 칭다오 지티에 그룹 |
운영자 | 칭다오 지티에 그룹 |
차량 기지 | 해당사항 없음 |
사용 차량 | 해당사항 없음 |
노선 길이 | 66.813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복선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제3궤조방식 |
최대 경사 | 해당사항 없음 |
최소 곡선 반지름 | 해당사항 없음 |
폐색 방식 | 이동 폐색 |
안전 장치 | 해당사항 없음 |
최고 속도 | 120 km/h |
기타 정보 | |
영어 표기 | Qingdao Metro Line 13 |
2. 노선 특징
총연장은 70.3km로, 2019년 상반기 기준으로 산둥성 및 칭다오시에서 가장 긴 지하철 노선이다. 칭다오개발구의 자링장루역에서 출발하여 링산웨이, 차오양산CBD, 황다오 중심구, 구진구 서비스보장구, 항청CBD를 거쳐 둥자커우역까지 이어진다. 노선은 주로 강산로, 동악중로, 대주산중로, 비우로, 연해대로, 항성계획공북로 및 박리중로를 따라 건설되었다.
2018년 12월 26일, 칭다오 지하철 13호선의 1기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칭다오시 중심부에서 자오저우만을 건너 황다오구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개통 초기에는 다른 칭다오 지하철 노선과 연결되지 않은 외곽 노선이었다. 초기 지하철 개통 시 외곽 노선이 먼저 생기는 경우는 드물지 않으나, 바다를 건너 외곽 노선이 먼저 개통되는 것은 이례적인 사례이다. 13호선은 교외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총 운행 거리가 67km에 달하는 비교적 긴 노선이다.
이 노선은 칭다오시 중심부에서 자오저우만을 건너 개통되어, 개통 초기에는 다른 칭다오 지하철 노선과 연결되지 않은 외곽 노선이었다. 초기 지하철 개통 시 외곽 노선이 먼저 생기는 경우는 드물지 않지만, 바다를 건너 외곽 노선이 먼저 개통되는 것은 이례적인 경우로 평가받는다. 교외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70.3km에 달하는 긴 거리를 운행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2021년 12월 30일 칭다오 지하철 1호선이 자오저우만 해저 터널 구간을 포함하여 황다오구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징강산루역에서 13호선과 환승이 가능해졌다. 이로써 13호선은 더 이상 고립된 외곽 노선이 아니게 되었으며, 황다오구에서 칭다오시의 다른 시가지로 지하철을 이용한 왕래가 가능해졌다.
향후 황다오구에는 칭다오 지하철 6호선도 개통될 예정이며, 13호선과 마찬가지로 모든 역이 황다오구 내에 위치하게 된다.
3. 연혁
개통 당시에는 외곽 노선이었으나, 2021년 12월 30일에 1호선의 자오저우만 해저 터널 구간을 포함한 황다오구 구간이 개통되면서 13호선과 연결되었다. 이로써 징강산루역에서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13호선 이용객들도 지하철을 통해 칭다오시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황다오구에는 6호선의 개통도 예정되어 있으며, 13호선과 마찬가지로 6호선의 모든 역도 황다오구 내에 위치하게 될 예정이다.
4. 역 목록
역 번호 역명 중국어 역명 접속 노선 1301 자링장시루역 嘉陵江西路站중국어 1302 샹장루역 香江路站중국어 1303 징강산루역 井冈山路站중국어 칭다오 지하철 1호선 1304 지미야역 积米崖站중국어 1305 링산웨이역 灵山卫站중국어 1306 쉐위안루역 学院路站중국어 1307 차오양산역 朝阳山站중국어 1308 신툰역 辛屯站중국어 칭다오 지하철 6호선 (공사중) 1309 량허역 两河站중국어 1310 인주역 隐珠站중국어 1311 펑황산루역 凤凰山路站중국어 1312 솽주루역 双珠路站중국어 칭다오 지하철 6호선 (공사중) 1313 스지다다오역 世纪大道站중국어 1314 성하이루・스보청역 盛海路(世博城)站중국어 1315 다주산역 大珠山站중국어 1316 장자러우역 张家楼站중국어 1317 구전커우역 古镇口站중국어 1318 룽완역 龙湾站중국어 1319 랑야역 琅琊站중국어 1320 궁커우완역 贡口湾站중국어 1321 둥자이커우강역 董家口港站중국어 1322 보리역 泊里站중국어 1323 둥자이커우 기차역 董家口火车站중국어 중국철도 둥자이커우역
5.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