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브 클럽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은 카리브해 국가의 클럽팀들이 참가하는 축구 대회로, 1997년 창설되어 2022년 폐지될 때까지 CONCACAF 챔피언스리그의 카리브해 지역 예선을 겸했다. 2017년 CONCACAF 리그 출범 이후 우승팀은 챔피언스리그에, 준우승 및 3위 팀은 CONCACAF 리그에 진출했으며, 2022년 이후에는 CONCACAF 카리비언컵으로 대체되었다. 이 대회는 카리브 축구 연맹 회원국의 프로 리그 우승팀 등이 참가 자격을 얻었으며, 2019년부터는 프로 리그를 보유한 국가 및 지역의 팀만 참가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유러피언 슈퍼리그
유러피언 슈퍼리그는 유럽 주요 축구 클럽들이 주도하여 창설하려 했던 폐쇄형 리그 구상이었으나, 2021년 4월 창립 발표 후 거센 반발에 부딪혀 대부분 클럽이 탈퇴하며 사실상 무산되었고, 이후 재추진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UEFA와 FIFA의 제재 및 축구계의 반대에 직면해 있다. -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인터내셔널 챔피언스컵
인터내셔널 챔피언스컵은 RSE 벤처스가 소유 및 운영하는 클럽 친선 축구 대회로, 2013년에 시작되어 미국에서 유럽 클럽 간 경기로 시작하여 개최 장소가 확대되었으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중단되었다. - 199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DFL-리가포칼
DFL-리가포칼은 독일에서 1972년 특별 행사로 시작해 1997년부터 분데스리가 상위 팀 등이 참가하는 컵 대회로 확대되었으나 2008년 중단 후 DFB 슈퍼컵으로 대체되어 폐지되었으며, FC 바이에른 뮌헨이 최다 우승팀이다. - 199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UEFA U-19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U-19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유럽 축구 연맹 주관의 19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대회로, 1998년 U-18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2001년부터 U-19 선수권 대회로 변경되었고, 2회마다 FIFA U-20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을 겸하며, 독일과 스페인이 최다 우승국이다.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 | |
---|---|
대회 정보 | |
이름 |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 |
주최 | CFU CONCACAF |
창립 | 1997년 |
폐지 | 2022년 |
지역 | 카리브 제도 |
참가 팀 수 | 다양함 |
현재 챔피언 | 비올레트 (1회 우승) (2022)}} |
최다 우승 클럽 | W 커넥션 조 퍼블릭 푸에르토리코 아일랜더스}} 포트모어 유나이티드 센트럴 하버 뷰 (각각 2회 우승) |
웹사이트 | CFU 홈페이지 |
미국 | 아니요 |
2. 역사
1997년에 설립되었다. 카리브해 축구 연합에 가맹하는 30개 국가 및 지역의 클럽팀 랭킹을 바탕으로 출전권을 설정하고, 해당 국가 및 지역의 국내 1부 리그 상위 클럽들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토너먼트를 벌였다.[1] 2019년부터는 프로 리그를 보유한 국가 및 지역에만 출전권이 주어지며, 세미 프로 및 아마추어 리그 팀은 카리비안 클럽 실드에 참가한다.[1]
초기에는 결승 진출팀과 3위 결정전 승리팀까지 총 3팀이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했으나, 2017년 대회부터는 우승팀만 다음 해 본선 출전권을 얻는다.[1] 준우승팀, 3위팀, 그리고 플레이오프 승자(4위팀과 카리비안 클럽 실드 우승팀 간 대결)는 CONCACAF 리그에 진출하여 중미 지역 및 캐나다 클럽들과 본선 진출권을 다툰다.[1]
2. 1. 설립 배경 (1997년 이전)
1997년 이전까지 카리브해 국가들은 북중미 클럽 선수권 대회인 CONCACAF 챔피언스컵(현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 직접 참가했지만, 출전권 확보를 위한 예선 성적이 좋지 않아 매년 출전이 불투명했다.[1] 이에 CONCACAF 챔피언스리그의 카리브해 예선으로 간주되는 대회를 설립하게 되었다.[1]2. 2. 초기 대회 (1997년 ~ 2006년)
1997년에 설립되었다. 그전까지 카리브해 국가들은 북중미 클럽 선수권 대회인 CONCACAF 챔피언스컵(챔피언스리그)에 직접 참가했지만, 출전권 확보를 위한 예선 성적에 따라 매년 출전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었다.그래서 CONCACAF 챔피언스리그의 카리브해 예선으로 간주되는 대회를 설립했다. 카리브해 축구 연합(CFU)에 가맹하는 국가 및 지역의 클럽팀 랭킹을 바탕으로 출전권을 설정하고, 그 출전권에 해당하는 국가 및 지역의 국내 1부 리그 상위 클럽들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토너먼트를 벌였다. 2019년 이후 출전권은 역내 프로 리그를 보유한 국가 및 지역에만 한정되며, 세미 프로 및 아마추어 리그 팀은 새롭게 창설된 대회인 카리비안 클럽 실드에 출전한다.
초기에는 결승전 진출 클럽과 3위 결정전 승리 클럽 등 3팀이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했으나, 2017년 대회 이후에는 우승 클럽만이 다음 해 본 대회 출전권을 얻었다. 준우승 클럽, 3위 클럽과 플레이오프 승자(4위 클럽과 카리비안 클럽 실드 우승 클럽이 대결)는 CONCACAF 리그에 출전하여 중미 지역 및 캐나다 클럽과 본 대회 출전권을 다툰다.
2. 3. CONCACAF 챔피언스리그 개편 이후 (2007년 ~ 2016년)
2007 시즌부터 2016 시즌까지는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 준우승, 3위를 차지한 팀이 CONCACAF 챔피언스컵에 진출했다.[1]2. 4. CONCACAF 리그 출범 이후 (2017년 ~ 2022년)
CONCACAF 리그가 출범한 2017 시즌부터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 우승 팀은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고, 준우승 및 3위 팀은 CONCACAF 리그에 진출했다.[1] 4위 팀은 카리브 클럽 실드 1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러 CONCACAF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1]2018 시즌부터는 1부 리그 성격의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프로 클럽 참가)과 2부 리그 성격의 카리브 클럽 실드(세미 프로, 아마추어 클럽 참가)가 동시에 개최되었다.[1]
2. 5. 대회 폐지 및 CONCACAF 캐리비언컵 신설 (2022년 이후)
2022 시즌을 끝으로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은 폐지되었으며, 이 대회를 대신해 CONCACAF 캐리비언컵이라는 새로운 클럽 대항전이 신설되었다.[4]3. 참가 자격 및 방식
카리브 축구 연맹(CFU) 회원국 리그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에 참가할 자격이 주어졌지만, 모든 회원국이 매년 팀을 파견하지는 않았다. 미국 리그 시스템 소속이었던 앤티가 바라쿠다, 푸에르토리코 아이랜더스, 푸에르토리코 FC도 참가가 허용되었다.[1]
대회 방식은 초기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로 진행되었으나, 조별 리그와 결승 토너먼트를 혼합한 방식으로 변경되기도 했다. CONCACAF 챔피언스리그 및 CONCACAF 리그 진출권 배분 방식은 시기에 따라 변경되었다. 2017년 대회 이후에는 우승 클럽만이 다음 해 CONCACAF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얻고, 준우승 클럽, 3위 클럽, 그리고 4위 클럽과 카리브 클럽 실드 우승 클럽 간 플레이오프 승자는 CONCACAF 리그에 진출하여 중미 지역 및 캐나다 클럽과 경쟁한다.[1]
3. 1. 참가 자격
카리브 축구 연맹(CFU)에 가맹된 31개 국가 협회는 초청을 받아 참가할 수 있었으며, 각 협회는 자국 리그 우승팀과 준우승팀을 파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많은 회원국이 매년 대표팀을 파견하지는 않았다. 또한 CFU는 앤티가 바라쿠다, 푸에르토리코 아이랜더스, 푸에르토리코 FC (모두 현재는 해체됨)가 미국 리그 시스템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출전을 허용했다.[1] 2019년부터 출전권은 프로 리그를 보유한 국가 및 지역으로 제한되었고, 세미 프로 및 아마추어 리그 팀은 카리브 클럽 실드로 분리되었다.[2]역대 대회 참가 횟수는 다음과 같다.[3]
국가 | 대회 참가 횟수 | 연도 |
---|---|---|
아이티 | 19 | 2000–02, 2006–07, 2009–22 |
트리니다드 토바고 | 19 | 1997–98, 2000–04, 2006–07, 2009–18 |
자메이카 | 18 | 1997–98, 2000, 2002–07, 2013–20, 2022 |
수리남 | 16 | 1997, 2000–01, 2003–05, 2007, 2009–12, 2014–17, 2021 |
퀴라소 | 11 | 2000–01, 2003, 2005–07, 2009–10, 2012, 2014, 2021 |
앤티가 바부다 | 10 | 2000, 2004–07, 2009, 2012–13, 2015, 2017 |
푸에르토리코 | 10 | 2006–07, 2009–14, 2017, 2021 |
가이아나 | 8 | 1997, 2001, 2009–12, 2014–15 |
과들루프 | 7 | 1997–98, 2014–17, 2021 |
케이맨 제도 | 6 | 2002, 2011–12, 2014, 2016–17 |
도미니카 공화국 | 6 | 2016–18, 2020–22 |
도미니카 연방 | 5 | 2000, 2003, 2005, 2007, 2009 |
세인트루시아 | 5 | 2000–02, 2005, 2011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5 | 1997–98, 2010, 2017, 2021 |
아루바 | 4 | 2005–07, 2009 |
버뮤다 | 4 | 2010–12, 2016 |
마르티니크 | 4 | 1997–98, 2002, 2021 |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 4 | 2005–07, 2015 |
바베이도스 | 3 | 1997–98, 2000 |
몬트세랫 | 2 | 2004, 2017 |
신트마르턴 | 2 | 2017, 2021 |
바하마 | 1 | 2015 |
보네르 | 1 | 2021 |
쿠바 | 1 | 2007 |
프랑스령 기아나 | 1 | 2021 |
생마르탱 | 1 | 2004 |
세인트 키츠 네비스 | 1 | 2011 |
다음 협회들은 클럽 챔피언십에 팀을 출전시킨 적이 없다.[4]
- 앵귈라
-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 ''그레나다''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기울임꼴로 표시된 협회들은 카리브 클럽 실드에 팀을 출전시킨 적이 있다.''[5]
3. 2. 대회 방식
초기에는 홈 앤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와 결승 토너먼트를 혼합한 방식으로 변경되기도 했다. CONCACAF 챔피언스리그 및 CONCACAF 리그 진출권 배분 방식은 시기에 따라 변경되었다.1997년에 설립되기 전까지 카리브해 국가들은 북중미 클럽 선수권 대회인 "CONCACAF 챔피언스컵(챔피언스리그)"에 직접 참가했지만, 출전권 확보를 위한 예선 성적에 따라 매년 출전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었다.
그래서 CONCACAF 챔피언스리그의 카리브해 예선으로 간주되는 대회를 설립했다. 카리브해 축구 연합에 가맹하는 30개 국가 및 지역의 클럽팀 랭킹을 바탕으로 출전권을 설정하고, 그 출전권에 해당하는 국가 및 지역의 국내 1부 리그 상위 클럽들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토너먼트를 벌였다. 2019년 이후 출전권은 역내 프로 리그를 보유한 국가 및 지역에만 한정되며, 세미 프로 및 아마추어 리그 팀은 새롭게 창설된 대회인 카리비안 클럽 실드에 출전한다.
결승전 진출 클럽과 3위 결정전 승리 클럽 등 3팀이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했으나, 2017년 대회 이후에는 우승 클럽만이 다음 해 본 대회 출전권을 얻는다. 준우승 클럽, 3위 클럽과 플레이오프 승자(4위 클럽과 카리비안 클럽 실드 우승 클럽이 대결)는 CONCACAF 리그에 출전하여 중미 지역 및 캐나다 클럽과 본 대회 출전권을 다툰다.[1]
4. 역대 결과
카리브 클럽 챔피언십의 역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시즌별 결과'''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클럽별 통산 성적'''과 '''국가별 통산 성적'''은 여기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시즌별 결과
(승부차기 4 – 2)(2 – 1 / 1 – 2)
(1 – 1 / 2 – 1)
(2 – 1 / 4 – 0)
(1 – 0 / 0 – 0)
(승부차기 4 – 3)
(승부차기 4 – 3)
(승부차기 5 – 3)
(승부차기 6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