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미에시 파지지오르는 폴란드의 권투 선수이자 코치이다. 1935년 라돔에서 태어나 1960년 로마 하계 올림픽 라이트급 금메달리스트이며, 195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60년 선수 은퇴 후 브론 라돔, 자그웽비에 루빈, 그바르디아 브로츠와프 복싱팀 감독을 역임했으며, 2001년 폴란드 재건국 훈장을 수여받았다. 2010년 브로츠와프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폴란드의 남자 권투 선수 - 야누시 고르타트 폴란드의 권투 선수 야누시 고르타트는 1972년과 1976년 올림픽 라이트미들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폴란드의 남자 권투 선수 - 얀 슈체판스키 (권투 선수) 얀 슈체판스키는 폴란드의 권투 선수로서 1972년 뮌헨 올림픽 남자 라이트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폴란드 권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폴란드의 올림픽 복싱 참가 선수 - 야누시 고르타트 폴란드의 권투 선수 야누시 고르타트는 1972년과 1976년 올림픽 라이트미들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폴란드의 올림픽 복싱 참가 선수 - 얀 슈체판스키 (권투 선수) 얀 슈체판스키는 폴란드의 권투 선수로서 1972년 뮌헨 올림픽 남자 라이트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폴란드 권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1935년 폴란드라돔에서 태어난 권투 선수이다. 1960년 하계 올림픽 라이트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선수 은퇴 후에는 권투 코치와 감독으로 활동했다. 2010년 브로츠와프에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과 선수 경력
1935년 라돔에서 노동자인 유제프 파지지오르와 아니엘라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인 유제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에 수용되었다가 사망했다. 이후 야간 기술 학교를 졸업한 후 16세에 브론 라돔에 입단하면서 권투를 시작했으며 헨리크 코지오우의 지도를 받았다. 1956년에는 OWKS 루블린팀과 레기아 바르샤바 소속으로 활동했으나 1958년에 브론 라돔 소속으로 복귀했다.
1957년에 폴란드 국가대표로 발탁되었고 같은 해 5월 체코슬로바키아프라하에서 열린 195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했다. 그는 라이트급에 출전하여 소련의 아나톨리 라겟코와 유고슬라비아의 슬로보단 비티치를 3-0으로 꺾었으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스코틀랜드의 존 키드를 4-1로 꺾었으며 결승에서 핀란드의 올리 매키를 3-0으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1959년 5월에는 스위스루체른에서 열린 195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첫 상대인 이탈리아의 프란체스코 무소를 5-0으로 꺾었으나 다음 상대이자 지난 1957년 대회 결승 상대인 매키에게 1-4로 패하면서 탈락했다. 이듬해인 1960년 8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1960년 하계 올림픽에 폴란드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그는 첫 상대인 이라크의 타하 압둘 카림을 5-0으로 꺾었으며 16강에서 독일의 하리 렘피오를 4-1로 꺾었다. 8강에서는 아랍 연합 공화국의 살라흐 쇼크웨이르를 5-0으로 준결승에서 1956년 하계 올림픽 우승자인 영국의 딕 맥태가트를 3-2으로 꺾으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개최국 이탈리아의 산드로 로포폴로를 4-1로 꺾으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이후 1년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2. 2. 국가대표 경력
1957년 폴란드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같은 해 5월 체코슬로바키아프라하에서 열린 1957년 유럽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 라이트급에 출전하여 국제 대회에 데뷔했다. 이 대회에서 소련의 아나톨리 라겟코와 유고슬라비아의 슬로보단 비티치를 3-0으로, 준결승에서 스코틀랜드의 존 키드를 4-1로 꺾었다. 결승에서는 핀란드의 올리 매키를 3-0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59년 5월에는 스위스루체른에서 열린 1959년 유럽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첫 상대로 이탈리아의 프란체스코 무소를 5-0으로 이겼으나, 다음 라운드에서 1957년 대회 결승 상대였던 올리 매키에게 1-4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1960년 8월 이탈리아로마에서 개최된 1960년 하계 올림픽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다. 라이트급 경기에 출전하여 첫 상대로 이라크의 타하 압둘 카림을 5-0으로, 16강에서 독일의 하리 렘피오를 4-1로 꺾었다. 8강에서는 아랍 연합 공화국의 살라흐 쇼크웨이르를 5-0으로 이겼으며, 준결승에서는 1956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영국의 딕 맥태가트를 3-2로 누르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개최국 이탈리아의 산드로 로포폴로를 4-1로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 3. 은퇴 후
1960년 하계 올림픽 이후 1년 후인 1961년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1962년부터 1964년까지 현역 시절 소속팀인 브론 라돔의 코치를 맡았다. 이후 1970년부터 1979년까지 자그웽비에 루빈 복싱팀 감독을 지냈고, 1979년부터 1986년까지 그바르디아 브로츠와프 복싱팀 감독을 맡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