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 영화제 감독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칸 영화제 감독상은 칸 영화제에서 수여하는 영화상으로, 1946년에 처음 제정되었다. 심사위원의 결정에 따라 공동 수상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1983년에는 특별히 '감독 창조 대상'이 수여되기도 했다. 코엔 형제가 3회로 최다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 감독 중에서는 율리야 솔른체바가 최초로 수상했다. 황금종려상과 감독상을 동시에 수상한 경우는 드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독상 - 전미 비평가 협회 감독상
전미 비평가 협회 감독상은 전미 비평가 협회에서 1945년부터 매년 영화 감독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데이비드 린과 마틴 스코세이지가 최다 수상 감독으로 기록되어 있다. - 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자 - 에토레 스콜라
에토레 스콜라는 사회 비판적 시각과 휴머니즘을 결합한 작품들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이탈리아의 영화감독이자 각본가로, 《우리는 서로를 너무나 사랑했네》, 《특별한 날》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말년에는 오페라 연출가로도 활동했다. - 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자 - 미하엘 하네케
오스트리아 출신의 영화 감독 미하엘 하네케는 철학, 심리학, 연극을 전공 후 텔레비전 감독으로 데뷔, 사회적 문제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독특한 연출 스타일로 국제적인 찬사와 논쟁을 일으키며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두 차례 수상하는 등 영화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칸 영화제 -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은 1946년부터 수여되어 칸 영화제에서 권위 있는 상 중 하나이며, 이자벨 위페르 등이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1979년부터 1981년까지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주연 또는 조연 역할에 대해 시상한다. - 칸 영화제 - 1993년 칸 영화제
1993년 칸 영화제는 루이 말 심사위원장 아래 첸 카이거 감독의 《패왕별희》와 제인 캠피온 감독의 《피아노》가 황금종려상을 공동 수상한 프랑스 칸에서 개최된 영화제이다.
칸 영화제 감독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수상 대상 | 최고의 연출 업적 |
주최 | 칸 영화제 |
국가 | 프랑스 |
첫 시상 | 1946년 |
최근 수상자 | 미겔 고메스 《그랜드 투어》 (2024년) |
웹사이트 | 칸 영화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칸 영화제 감독상은 1946년 영화제에서 처음으로 수여되었다. 하지만 초창기에는 상설 부문이 아니었기 때문에 수여되지 않은 해도 많았다. 1947년을 시작으로 1953년, 1954년, 1960년, 1962년부터 1964년까지, 1971년, 1973년, 1974년, 1977년, 1980년 등 총 12번 상이 수여되지 않았다. 또한, 1948년, 1950년, 2020년에는 영화제 자체가 열리지 않아 수상 기록이 없다. 1968년에는 프랑스 전역에서 68운동이 일어나면서 영화제가 중단되어 수상자를 내지 못했다.
칸 영화제 감독상은 1946년에 처음 수여되었다. 하지만 처음부터 항상 시상된 것은 아니어서, 1947년, 1953년, 1954년, 1960년, 1962년~1964년, 1971년, 1973년, 1974년, 1977년, 1980년에는 감독상이 수여되지 않았다. 총 12차례 수여되지 않았다. 또한 1948년, 1950년, 2020년에는 영화제 자체가 열리지 않았고, 1968년에는 프랑스 68혁명의 영향으로 영화제가 중단되어 수상 기록이 없다.
1946년 영화제에서 처음 수여되었으나, 초기에는 상설 부문이 아니어서 수여되지 않은 해도 많았다. 1947년, 1953년, 1954년, 1960년, 1962년부터 1964년까지, 1971년, 1973년, 1974년, 1977년, 1980년에는 감독상이 수여되지 않았다. 또한 1948년, 1950년에는 영화제가 열리지 않았고,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영화제가 취소되었다.[8] 1968년에는 68 혁명의 여파로 영화제가 중단되어 시상하지 못했다.
파고 (1996),
때로는 심사위원들의 의견이 나뉘어 한 명이 아닌 두 명의 감독에게 공동으로 상이 수여되기도 한다. 현재까지 총 7번의 공동 수상이 있었으며, 해당 연도는 1955년, 1969년, 1975년, 1983년, 2001년, 2002년, 2016년이다. 2019년에는 이례적으로 감독 개인이 아닌 감독팀 전체가 수상했는데, 영화 《영 아메드》를 연출한 장피에르 다르덴과 뤼크 다르덴 형제가 그 주인공이다.
감독상 최다 수상 기록은 총 3회를 수상한 코언 형제의 조엘 코언이 유일하게 가지고 있다. 여성 감독으로는 1961년 소련의 율리야 솔른체바가 영화 《불타는 세월의 연대기》로 처음 수상했다.
감독상 수상자가 자신의 작품으로 영화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까지 동시에 받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지금까지 단 두 번의 사례만 기록되어 있는데, 1991년 코언 형제의 조엘 코언이 《바톤 핑크》로 두 상을 모두 수상했고,[1] 2003년 구스 반 산트 감독이 《엘리펀트》로 수상했다.[2]
3. 특징
심사위원들의 의견이 엇갈릴 경우, 두 감독에게 공동으로 상을 수여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총 7번의 공동 수상이 있었다 (1955년, 1969년, 1975년, 1983년, 2001년, 2002년, 2016년). 2019년에는 《영 아메드》를 연출한 다르덴 형제 (장피에르 다르덴, 뤼크 다르덴)가 감독 개인이 아닌 팀 전체가 수상하는 특별한 사례도 있었다.
감독상 최다 수상 기록은 3번 수상한 코헨 형제가 가지고 있다. 여성 감독으로는 1961년 소련의 율리야 솔른체바가 《불타는 세월의 이야기》로 처음 수상했다.
감독상 수상자가 같은 작품으로 영화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까지 동시에 받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현재까지 단 두 번의 사례만 있는데, 1991년 코헨 형제의 《바톤 핑크》와 2003년 구스 반 산트 감독의 《엘리펀트》이다.[9][10]
4. 역대 수상자
심사위원단의 결정에 따라 공동 수상이 이루어지기도 했는데, 현재까지 총 7번(1955년, 1969년, 1975년, 1983년, 2001년, 2002년, 2016년)의 공동 수상이 있었다. 2019년에는 《영 아메드》를 연출한 다르덴 형제(장피에르 다르덴, 뤼크 다르덴)가 감독팀으로서 함께 수상했다.
코엔 형제는 《바톤 핑크》(1991), 《파고》(1996),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2001)로 총 3회 수상하여 최다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다. 르네 클레망, 세르게이 유트케비치, 로베르 브레송, 존 부어만은 각각 2회 수상했다. 여성 감독으로는 1961년 《불타는 세월의 이야기》의 율리야 솔른체바가 최초 수상자이다.
감독상과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동시에 수상한 경우는 드물며, 1991년 코엔 형제의 《바톤 핑크》와 2003년 구스 반 산트의 《엘리펀트》 단 두 차례뿐이다.[9][10][1][2]
1983년에는 정식 감독상 대신 예외적으로 '감독 창조 대상'(Grand Prix du cinéma de creation)이라는 이름으로 시상하였는데, 이는 대상 수상을 조건으로 작품 출품을 요구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노스탤지아》)와 로베르 브레송(《돈》) 두 감독에게 공동 수여하는 특별 조치였다.× 공동수상 연도 감독 영화 원제 1940년대 1946 르네 클레망 철로변 전투 La Bataille du rail 1947 수상자 없음 1948 영화제 미개최, 수상자 없음 1949 르네 클레망 말라파가의 성벽 Au-delà des grilles 1950년대 1950 영화제 미개최, 수상자 없음 1951 루이스 부뉴엘 잊혀진 사람들 Los Olvidados 1952 크리스티앙 자크 팡팡 튤립 Fanfan la Tulipe 1953 수상자 없음 1954 수상자 없음 1955 줄스 다신 × 리피피 Du rififi chez les hommes 세르게이 바실례프 × 시프카의 영웅 Герои Шипки 1956 세르게이 유트케비치 오델로 Отелло 1957 로베르 브레송 사형수 탈출하다 Un condamné à mort s'est échappé ou Le vent souffle où il veut 1958 잉마르 베리만 생명에 가까이 Nära livet 1959 프랑수아 트뤼포 400번의 구타 Les Quatre Cents Coups 1960년대 1960 수상자 없음 1961 율리야 솔른체바 불타는 세월의 이야기 Повесть пламенных лет 1962 수상자 없음 1963 수상자 없음 1964 수상자 없음 1965 리비우 치우레이 목매단 자의 숲 Pădurea spânzuraților 1966 세르게이 유트케비치 폴란드의 레닌 Ленин в Польше 1967 페렝 코사 만 개의 태양 Tízezer nap 1968 68 혁명으로 영화제 중단, 수상자 없음 1969 글라우베 로샤 × 죽음의 안토니우 O Dragão da Maldade contra o Santo Guerreiro 보이테흐 야스니 × 모두 착한 사람들 Všichni dobří rodáci 1970년대 1970 존 부어만 마지막 군주 레오 Leo the Last 1971 수상자 없음 1972 미클로스 얀초 붉은 시편 Még kér a nép 1973 수상자 없음 1974 수상자 없음 1975 미셸 브롤 × 오더러스 Les Ordres 코스타 카브라스 × 스페셜 섹션 Section spéciale 1976 에토레 스콜라 추하고 더럽고 미천한 Brutti, sporchi e cattivi 1977 수상자 없음 1978 오시마 나기사 열정의 제국 愛の亡霊 1979 테렌스 멜릭 천국의 나날들 Days of Heaven 1980년대 1980 수상자 없음 1981 수상자 없음 1982 베르너 헤어초크 피츠카랄도 Fitzcarraldo 1983 로베르 브레송 × 돈 L'Argent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노스탤지아 Nostalghia 1984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시골의 어느 하루 Un dimanche à la campagne 1985 앙드레 테시네 랑데부 Rendez-vous 1986 마틴 스콜세지 특근 After Hours 1987 빔 벤더스 베를린 천사의 시 Der Himmel über Berlin 1988 페르난도 솔라나스 남쪽 Sur 1989 에밀 쿠스트리차 집시의 시간 Дом за вешање 1990년대 1990 파벨 룽긴 택시 블루스 Такси-блюз 1991 조엘 코엔 바톤 핑크 Barton Fink 1992 로버트 알트만 플레이어 The Player 1993 마이크 리 네이키드 Naked 1994 난니 모레티 나의 즐거운 일기 Caro diario 1995 마티외 카소비츠 증오 La Haine 1996 조엘 코엔 파고 Fargo 1997 왕가위 해피 투게더 春光乍洩 1998 존 부어만 제너럴 The General 1999 페드로 알모도바르 내 어머니의 모든 것 Todo sobre mi madre 2000년대 2000 에드워드 양 하나 그리고 둘 一一 2001 조엘 코엔 ×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Man Who Wasn't There 데이비드 린치 × 멀홀랜드 드라이브 Mulholland Drive 2002 폴 토마스 앤더슨 × 펀치 드렁크 러브 Punch-Drunk Love 임권택 × 취화선 2003 구스 반 산트 엘리펀트 Elephant 2004 토니 갓 리프 추방된 사람들 Exils 2005 미카엘 하네케 히든 Caché 2006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바벨 Babel 2007 줄리안 슈나벨 잠수종과 나비 Le Scaphandre et le Papillon 2008 누리 빌게 제일란 쓰리 몽키스 Üç Maymun 2009 브릴얀테 멘도사 일살 Kinatay 2010년대 2010 마티유 아말릭 온 투어 Tournée 2011 니콜라스 빈딩 레픈 드라이브 Drive 2012 카를로스 레이가다스 어둠 뒤에 빛이 있으라 Post Tenebras Lux 2013 아마트 에스칼란테 헬리 Heli 2014 베넷 밀러 폭스캐처 Foxcatcher 2015 허우샤오시엔 자객 섭은낭 刺客聶隱娘 2016 올리비에 아사야스 × 퍼스널 쇼퍼 Personal Shopper 크리스티안 문지우 × 엘리자의 내일[11] Bacalaureat 2017 소피아 코폴라 매혹당한 사람들[12] The Beguiled 2018 파베우 파블리코프스키 콜드 워 Zimna wojna 2019 다르덴 형제 영 아메드 Le Jeune Ahmed 2020년대 2020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영화제 미개최, 수상자 없음 2021 레오스 카락스 아네트[13] Annette 2022 박찬욱 헤어질 결심 2023 쩐아인훙 프렌치 수프 La Passion de Dodin Bouffant 2024 미구엘 고메스 그랜드 투어
5. 최다 수상자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2001)2 르네 클레망 프랑스 철도의 전투 (1946),
말라파가 벽 (1949)로베르 브레송 사형수 탈출 (1957),
돈 (1983)세르게이 유트케비치 소련 오셀로 (1956),
폴란드의 레닌 (1966)존 부어먼 영국 레오 더 라스트 (1970),
더 제너럴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