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칸네메예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칸네메예리아는 약 3m 크기의 초식성 동물로, 큰 머리와 튼튼한 몸체를 가졌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메리카, 인도, 중국 등지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강력한 부리와 턱 근육을 통해 식물을 씹어 먹는 데 특화되었으며, 육식동물 에리트로수쿠스와 함께 발견되기도 한다. 칸네메예리아속에는 칸네메이예리아 시모케팔루스와 칸네메이예리아 로포리누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궁목 - 수궁류
    수궁류는 펠리코사우루스류에서 진화한 단궁류의 한 분기군으로, 큰 관자창, 몸 아래로 향하는 다리, 분화된 이빨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포유류의 직계 조상을 포함한다.
  • 수궁목 - 리스트로사우루스
    리스트로사우루스는 후기 페름기부터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번성한 멧돼지 크기의 디키노돈트 수궁류 속으로,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이후 판게아 대륙에 빠르게 퍼져나가 초기 트라이아스기 생태계를 지배했으며, 이는 대륙 이동설의 중요한 증거가 된다.
  • 남극의 멸종한 동물 - 칠레주머니쥐목
    칠레주머니쥐목은 유대류의 한 목으로, 칠레주머니쥐속의 칠레주머니쥐 한 종만이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초기 신생대 에오세 시대에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진화했고, 멸종된 테트라고노돈속을 포함하며, 육식 및 잡식성으로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했고,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진화 역사를 추정하고 유전적 연구를 통해 보존 및 생태적 역할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남극의 멸종한 동물 - 리스트로사우루스
    리스트로사우루스는 후기 페름기부터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번성한 멧돼지 크기의 디키노돈트 수궁류 속으로,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이후 판게아 대륙에 빠르게 퍼져나가 초기 트라이아스기 생태계를 지배했으며, 이는 대륙 이동설의 중요한 증거가 된다.
칸네메예리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Kannemeyeria simocephalus 두개골
Kannemeyeria simocephalus 두개골
학명Kannemeyeria
명명자Seeley, 1908년
모식종Kannemeyeria proboscoides
모식종 명명자Seeley, 1908
(Junior synonym of K. simocephalus)
화석 범위아니스기
~
하위 분류
속명 이명
종명 이명
K. simocephalus 동종 이명
생물 분류 (일본어)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아문척추동물아문 Vertebrata
상강사지동물상강 Tetrapoda
단궁강 Synapsida
수궁목 Therapsida
아목이치아목 Anomodontia
하목디키노돈하목 Dicynodontia
칸네메리아과 Kannemeyeriidae
칸네메리아속 Kannemeyeria
학명Kannemeyeria
생물 분류 (한국어)
화석 범위트라이아스기 전기
진핵생물
동물계
척삭동물문
단궁강
수궁목
칸네메리아과
칸네메예리아속
학명(Kannemeyeria)

2. 특징

칸네메예리아 복원도


칸네메예리아는 길이가 3m 정도로, 황소 정도의 크기였다. 큰 머리를 가지고 있었지만, 눈구멍과 코 구멍의 크기 때문에 가벼웠다. 또한, 튼튼하게 만들어진 몸체를 지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거대한 뼈판을 형성하는 사지 골반도 가지고 있었다.[3]

칸네메예리아는 초식 동물로 살아가기에 적합했다.[3] 몸통도 튼튼하게 만들어졌으며, 사지는 짧고 족저보행을 했기 때문에 움직임은 둔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카루 슈퍼그룹(Karoo Supergroup) 지역에서 칸네메예리아는 거대한 육식성 시조류(archosaur) ''에리트로수쿠스(Erythrosuchus)''와 함께 발견된다.[5]

쿠르크-샤앙크는 칸네메예리아의 전신을 기술하면서 그 고환경에 대해서도 언급한 논문을 발표했다.[10]

2. 1. 턱의 구조

칸네메예리아는 강력한 부리와 식물을 자르도록 만들어진 강한 턱 근육을 가지고 있었다.[3] 눈, 콧구멍 및 턱 근육에 유난히 큰 구멍이 있는 거대한 머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뿌리를 파내고, 뿔이 있는 부리로 식물에서 잎을 뜯어내어 이가 없는 턱으로 갈아 먹었던 것으로 보인다.[4]

약 40cm에 달하는 두개골은 튼튼했지만, 안와와 비공이 커서 비교적 가벼웠다. 머리는 매우 크고 튼튼하며, 앞에는 날카로운 부리 모양의 턱과 한 쌍의 굵은 송곳니가 있었다. 다른 디키노돈류가 턱을 앞뒤로 움직이는 것과 달리, 칸네메예리아는 턱을 세로 방향으로 움직여 물건을 씹거나 으깨는 데 더 능숙했다는 것이 후두근의 배치 등으로 나타났다.[9]

3. 분포

''칸네메예리아''의 두개골


칸네메예리아속 화석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버거스도르프 층 B 하위 구역, 잠비아 느타웨레 층, 나미비아 오밍곤데 층, 탄자니아 만다 층 리푸아 지층, 아르헨티나 케브라다 데 로스 포실레스 층에서 발견되었다.[6][7] 또한 남아메리카, 인도, 중국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중국에는 근연종인 시노칸네메예리아가 서식했다.

4. 분류

'''K. simocephalus'''의 생전 모습 재구성


다음은 Kammerer et al. (2013)의 분기도이다:[8]

{| class="wikitable"

|-

! 칸네메이예리형류

|-

|

{| class="wikitable"

|-

| ''안고니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샨시오돈과

|-

|

테트라고니아스
빈케리아



|-

|

샨시오돈
리노디키노돈



|}

|-

|

{| class="wikitable"

|-

| ''디노돈토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샨베이칸네메이예리아''

|-

|

칸네메이예리아 시모케팔루스
칸네메이예리아 로포리누스



|}

|-

|

{| class="wikitable"

|-

|

파라칸네메이예리아
시유칸네메이예리아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돌리쿠라누스''

|-

|

레크니사우루스
우랄로칸네메이예리아



|}

|-

|

{| class="wikitable"

|-

| ''라디오드로무스''

|-

|

{| class="wikitable"

|-

| ''시노칸네메이예리아''

|-

|

{| class="wikitable"

|-

|

라비도사우루스
와디아사우루스



|-

! 스타레케리과

|-

|

{| class="wikitable"

|-

! 플라케리아아과

|-

|

{| class="wikitable"

|-

| ''잠비아사우루스''

|-

|

플라케리아스
모그레베리아



|}

|-

! 스타레케리아아과

|-

|

{| class="wikitable"

|-

| ''스타레케리아''

|-

|

{| class="wikitable"

|-

|

에우브라키오사우루스
상구사우루스



|-

|

자칼레리아
이시구알라스티아



|}

|}

|}

|}

|}

|}

|}

|}

|}

|}

|}

|}

5. 공존했던 생물



''칸네메예리아''는 초식 동물이었으며, 카루 슈퍼그룹(Karoo Supergroup) 지역에서 거대한 육식성 시조류(archosaur) ''에리트로수쿠스(Erythrosuchus)''와 함께 발견된다.[5]

참조

[1] 웹사이트 Kannemeyeria https://paleobiodb.o[...] 2021-12-17
[2] 웹사이트 Kannemeyeria http://www.paleofile[...] 2020-03-12
[3] 서적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Marshall Editions
[4] 서적 Ecology and Behaviour of Mesozoic Reptil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0-03-12
[5] 논문 Biostratigraphy of the Cynognathus Assemblage Zone (Beaufort Group, Karoo Supergroup), South Africa https://doi.org/10.2[...] 2020-06-01
[6] 서적 Forerunners of Mammals: Radiation • Histology • Biolog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20-03-12
[7] 논문 Dicynodonts (Therapsida: Anomodontia) of South America
[8] 논문 On the Validit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Eubrachiosaurus browni, a Kannemeyeriiform Dicynodont (Anomodontia) from Triassic North America
[9] 간행물 A re-evaluation of the cranial morphology and taxonomy of the Triassic dicynodont genus Kannemeyeria
[10] 간행물 The skeleton of the Triassic anomodont Kannemeyeria wilsoni Bro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