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스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스함은 스웨덴 블레킹에 지방에 위치한 도시이다. 미에온 강이 바다로 흘러나가는 곳에 위치해 있으며, 1664년 칼 10세 구스타브 국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세기에는 농산물과 광물 제품을 기반으로 산업이 발전했고, 1874년 철도 개통으로 주변 지역과의 연결이 강화되었다. 현재는 항구, 문화 시설, 교육 기관을 갖춘 도시로, 특히 해양성 기후와 다양한 문화 행사로 관광객의 관심을 끌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도시 - 스톡홀름
    스톡홀름은 발트해와 멜라렌호 사이에 위치한 스웨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1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 스웨덴의 도시 - 말뫼
    말뫼는 스웨덴 남서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항구 도시로, 한자 동맹의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나 산업혁명 이후 쇠퇴를 겪었지만, 외레순 다리 건설과 말뫼대학교 설립 등으로 재도약을 시도하며 다문화적인 국제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칼스함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메인 광장
칼스함 시 문장
위치스웨덴 블레킹에 주
지방블레킹에
자치구칼스함 자치구
도시 지위 획득1664년
면적13.48 제곱킬로미터
인구 (2010년 12월 31일 기준)19,075명
인구 밀도1415 명/제곱킬로미터
시간대CET (+1)
서머타임CEST (+2)
이름
스웨덴어칼스함 (Karlshamn) sv

2. 역사

항구


미에온 강


칼스함은 미에온 강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에 있던 "보데쿨"이라는 항구와 어촌, "보데토르프"라는 농장에서 시작되었다. 뫼룸온 강 하류에서는 연어 어업이 활발했다.

1658년 로스킬레 조약으로 스웨덴이 이 지역을 지배하면서 칼스함의 역사는 전환점을 맞았다. 칼 10세 구스타브는 이곳의 아름다운 항구를 발견하고 에리크 달베리가 설계한 요새를 건설했다. 1664년 국왕의 이름을 딴 "칼의 항구", 즉 칼스함이 설립되어 빠르게 성장했으나, 1710년 역병으로 인구가 감소하기도 했다.

18세기 산업 발전과 19세기 철도 건설 등 칼스함은 꾸준히 현대화되었다. L.O. 스미스의 아쿠아비트 생산과 식물성 기름 생산은 칼스함을 대표하는 산업이었다. 1960년대에는 제지 공장과 새 병원이 건설되었다.

최근 칼스함은 칼스크로나 해군 기지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전략적 요충지로 간주되어 노르트 스트림 2 가스관 건설 관련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4]

2. 1. 초기 역사 (17세기 이전)

미에온 강 시내가 바다로 흘러나가는 곳에 "보데쿨"이라는 항구와 어촌, 그리고 "보데토르프"라는 농장이 있었다. 뫼룸온 하류에는 번성하는 연어 어업이 있었다.

2. 2. 도시 건설과 발전 (17세기 ~ 19세기)

스웨덴은 1658년 로스킬레 조약을 통해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얻었다. 국왕 칼 10세 구스타브는 즉시 해안을 시찰했고 이곳에서 매우 아름답고 비할 데 없는 항구를 발견했다. 에리크 달베리가 설계한 요새가 1659년 보온에, 1675년에는 "카스텔레트"라고 불리는 프리슬홀멘에 세워졌다. 덴마크 국왕에게 충성하는 군대는 1676~78년에 이 도시를 두 번이나 공격했다.[4] 이 지역은 외국 상인들을 끌어들였고, 1664년에는 국왕의 이름을 따서 "칼의 항구"라는 뜻의 도시를 설립하기 위한 왕실 특권이 발급되었다. 정착지는 빠르게 확장되어 1700년에는 647명의 시민을 헤아리게 되었다. 1710년에는 역병으로 인해 인구가 감소했다.

18세기에는 농산물과 광물 제품을 기반으로 한 산업이 설립되었다. 1763년의 화재로 도시 북부가 파괴되었고, 1790년에는 또 다른 화재가 발생했다. 1810년의 대륙간 전쟁은 칼스함에 상품을 거래할 수 있는 드문 기회를 제공했고 시민들은 번영했다. 펀치, 담배, 코담배 가루가 도시에서 생산되었다. 산업 생산이 시작된 1880년경까지 수공예가 흔했다. 1883년에는 도시 인구가 6529명이었고, 도시 계획은 63ha를 차지했으며, 693개의 부지에 건물이 세워졌다. 1874년에 개통된 철도는 칼스함과 북부 지방의 비스란다를 연결했다. 1890년에는 해안 철도가 건설되었다.

2. 3. 산업화와 현대화 (19세기 후반 ~ 현재)

18세기에는 농산물과 광물 제품을 기반으로 한 산업이 설립되었다. 1763년과 1790년에 발생한 화재로 도시가 파괴되기도 했다. 1810년의 대륙간 전쟁은 칼스함에 상품 거래 기회를 제공하여 시민들이 번영하는 계기가 되었다. 펀치, 담배, 코담배 가루 등이 도시에서 생산되었다. 1880년경까지 수공예가 주를 이루었으나, 이후 산업 생산이 시작되었다. 1883년에는 도시 인구가 6,529명이었고, 도시 면적은 63헥타르였으며, 693개의 부지에 건물이 있었다.

1874년에 개통된 철도는 칼스함과 북부 지방의 비스란다를 연결했다. 1890년에는 해안 철도가 건설되었다. 1876년, L.O. 스미스는 도시에서 아쿠아비트 생산을 시작했고, 1884년에 새로운 증류소를 건설했다가 이후 설탕 정제소로 전환했다. 1912년에는 이전 정제소에서 식물성 기름 생산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AAK라는 상표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1850년부터 1940년경까지 화강암 채석장에서의 석재 절단은 중요한 수출 산업이었다. 뫼룸에는 1962년에 제지 공장이 건설되었다. 1975년부터 칼스함 항구는 점차 운영을 도시 서쪽의 스틸러리드 위치로 이전했다. 1965년에는 새로운 병원 건물이 운영되었다.

2. 3. 1. 노르트 스트림 2 가스관 논란

칼스함은 칼스크로나에 있는 스웨덴 해군 기지에서 약 50킬로미터 떨어진 전략적으로 민감한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간주된다.[4] 가스프롬은 스웨덴 정부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자 칼스함 항구를 임대하여 노르트 스트림 2 가스관을 건설할 예정이었다.[4]

3. 기후

칼스함은 해양성 기후를 띠며, 위도에 비해 비교적 온화한 겨울과 비교적 따뜻한 여름이 특징이다. 해안선 상의 남쪽에 위치하여 해양성 기후의 완화 효과로 인해 특히 가을 평균 기온이 온화하다. 강수량 패턴은 지배적인 풍향에 따라 해마다 변동이 크다.[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11.6°C13°C20.6°C25.5°C27.9°C32°C32°C33°C27°C22.1°C14.8°C12.7°C
평균 최고 기온 (°C)2.5°C2.9°C6.8°C12°C16.7°C20°C22.6°C22°C18°C12.1°C7.7°C4°C
평균 기온 (°C)0.1°C0.2°C2.7°C7°C11.6°C15°C17.9°C17.5°C13.5°C8.5°C5.1°C1.6°C
평균 최저 기온 (°C)-2.2°C-2.4°C-1.3°C1.9°C6.6°C10°C13.3°C12.9°C9.1°C4.9°C2.5°C-0.7°C
최저 기온 기록 (°C)-27°C-22.5°C-19.5°C-5.7°C-3.3°C-1.2°C3°C2.7°C-1.8°C-8.6°C-14°C-20.7°C
평균 강수량 (mm)48.330.937.936.039.844.763.347.756.551.457.949.0
2002-2015년 자료 (강수량 1961-1990; 극값 1901년 이후)[8][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11.6°C16.7°C20.6°C25.5°C27.9°C32°C32°C33°C27.1°C22.1°C14.8°C12.7°C
평균 최고 기온 (°C)2.8°C3.5°C7.1°C12.2°C17°C20.8°C22.7°C22.1°C18.3°C12.4°C7.8°C4.4°C
평균 기온 (°C)0.4°C0.7°C3.1°C7.2°C11.9°C15.8°C18.1°C17.5°C13.9°C8.9°C5.3°C2.2°C
평균 최저 기온 (°C)-2°C-2.1°C-0.9°C2.1°C6.7°C10.7°C13.4°C12.9°C9.5°C5.3°C2.7°C-0.3°C
최저 기온 기록 (°C)-27°C-22.5°C-19.5°C-5.7°C-3.3°C-1.2°C3°C2.7°C-1.8°C-8.6°C-14°C-20.7°C
평균 강수량 (mm)51.837.236.427.039.357.063.862.540.865.362.056.2
2002–2021년 자료 (1901년 이후 극값)[5][6]


4. 문화

칼스함에서는 다양한 문화 활동이 펼쳐진다. 극단 협회 "테아테르스메단"(Teatersmedjan)은 모든 연령대의 회원을 두고 있지만, 주로 청소년들이 활동한다. 이들은 "록스탈라르나"(Lokstallarna)라는 개조된 기관차 작업장에서 공연하는데, 이곳은 칼스함 출신 음악 프로듀서 요한 "셸백" 슈스터가 지원하는 젊은 음악 밴드 "무지크포룸"(Musikforum)의 공연장이기도 하다.[7]

여러 성악 합창단이 활동 중이며, "칼스함 챔버 합창단"(Karlshamn Chamber Choir)과 "ABF-코렌"(ABF-kören)이 대표적이다. 클래식 음악은 "칼스함 뮤직소사이어티"(Karlshamns musiksällskap)에서 공연하며, "칼스함 무지크코르"(Karlshamns musikkår)는 여름에 시내 중심가를 행진하는 관악기 콘서트 밴드이다. 재즈 협회 "문테"(Munthe)는 레스토랑 "구르메 그린"(Gourmet Grön)에서 공연을 주최한다. 매년 7월 셋째 주에는 야외 음악 축제 외스테르셰페스티발렌이 열린다. 시립 음악 학교도 운영되고 있다.

빌헬름 모베르그의 소설 이민자에서 주인공 칼 오스카와 크리스티나 닐손 가족이 아메리카로 떠난 항구가 칼스함이다.[1]

4. 1. 예술

극단 협회는 "테아테르스메단"(Teatersmedjan)으로, 모든 연령대의 회원을 두고 있지만 청소년이 주를 이룬다. 이들은 "록스탈라르나"(Lokstallarna)라는 개조된 기관차 작업장에서 리허설과 공연을 한다. 이곳은 칼스함 출신 음악 프로듀서 요한 "셸백" 슈스터가 2014년에 경제적으로 구제한 젊은 음악 밴드 "무지크포룸"(Musikforum)의 공연장이기도 하다.[7] 여러 성악 합창단이 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세속 합창단으로는 "칼스함 챔버 합창단"(Karlshamn Chamber Choir)과 "ABF-코렌"(ABF-kören)이 있다. 교구에도 합창단이 있다. 클래식 음악은 "칼스함 뮤직소사이어티"(Karlshamns musiksällskap)에서 공연한다. "칼스함 무지크코르"(Karlshamns musikkår)는 여름 시즌 동안 정기적으로 시내 중심가를 행진하는 관악기 콘서트 밴드이다. 재즈 협회 "문테"(Munthe)는 레스토랑 "구르메 그린"(Gourmet Grön)에서 연주할 음악가들을 초청한다. 야외 음악 축제 "외스테르셰페스티발렌"(Östersjöfestivalen)은 매년 7월 셋째 주에 시내 중심에서 열린다. 시립 음악 학교가 있다.

4. 2. 축제

극단 협회는 Teatersmedjansv이며, 모든 연령대의 회원을 두고 있지만 청소년이 주를 이룬다. 그들은 Lokstallarnasv라고 불리는 개조된 기관차 작업장에서 리허설과 공연을 하며, 이곳은 또한 칼스함 출신 음악 프로듀서 요한 "셸백" 슈스터에 의해 2014년에 경제적으로 구제된 젊은 음악 밴드 Musikforumsv의 공연장이기도 하다.[7] 여러 성악 합창단이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세속 합창단으로는 Karlshamn Chamber Choirsv과 ABF-körensv이 있다. 교구에도 합창단이 있다. 클래식 음악은 Karlshamns musiksällskapsv에 의해 공연된다. Karlshamns musikkårsv는 여름 시즌 동안 정기적으로 시내 중심가를 행진하는 관악기 콘서트 밴드이다. 재즈 협회 Munthesv는 레스토랑 Gourmet Grönsv에서 연주할 음악가들을 초청한다. 야외 음악 축제 외스테르셰페스티발렌이 매년 7월 셋째 주에 시내 중심에서 열린다. 시립 음악 학교가 있다.

4. 3. 미디어

칼스함은 빌헬름 모베르그의 1850년 역사 소설 이민자에서 칼 오스카와 크리스티나 닐손 부부와 그 가족이 아메리카로 출발한 항구로 등장한다.[1]

19세기에 창간된 일간 신문 "칼스함스 알레한다"는 2003년부터 지역 일간지 "블레킹에 렌스 티드닝"과 합병되었으며, "고타 미디어"가 소유하고 있다.[1] 이 지역을 다루는 다른 신문은 "시드외스트란"이다.[1] 라디오와 텔레비전은 카운티의 주요 도시인 칼스크로나에 지역 지사를 두고 있다.[1]

4. 4. 문학

빌헬름 모베르그의 1850년작 역사 소설 이민자에서 칼 오스카와 크리스티나 닐손 가족이 아메리카로 떠난 항구가 칼스함이다.

5. 건축

보데쿨(Bodekull) 정착지는 자연스럽게 도시 동쪽과 서쪽의 가파른 암석 사이 평평한 지역에 자리 잡았다. 1666년 칼스함의 정규 도시 계획 설계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첫 번째 지도 "보데쿨라의 골목 규제"는 사각형으로 열린 광장을 포함하여 24개의 직사각형 블록을 보여준다. 주요 거리인 "드롯닝가탄(Drottninggatan)"은 강과 평행하며, 내부 항구로 이어지는 항해 가능한 입구와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격자형 구조는 18세기와 19세기에 걸쳐 점차 확장되었다. 이후 도시는 초원과 언덕을 넘어 인접한 아사룸(Asarum), 도시 북쪽의 시골 마을과 합쳐졌다. 광장에는 창립 시대의 두 채의 오래된 집이 남아 있으며, 그 중 하나는 1682년 시청으로 건립된 "아시르스카 하우세트(Asschierska huset)"이다. 도시의 거리는 1~2층 건물로 정돈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한 블록은 고급 거리에 10개, 도시의 빈민가에는 더 작은 구획으로 세분되었다. 교회는 1680~1702년 광장 북쪽에 세워졌으며, 설계는 에릭 달베르그(Erik Dahlbergh)가 승인했다. 별도의 종탑은 1792년에 세워졌다. "스콧스베르스카 고르덴(Skottsbergska gården)"은 1766년부터 방문객에게 공개된 상인 건물의 완전한 세트로 형성된 안뜰이다. 19세기 초, 도시의 상인들은 호황을 누렸고, 이는 외관에 층수와 장식이 추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기 말과 다음 해에 몇몇 공공 건물이 세워졌다. 1864년에 문을 연 광장 동남쪽 모퉁이에 있는 학교, 1879년에 세워진 여자 학교(현재 교구 회의실), 1863년에 세워진 항해 학교(철거), 1883년에 세워진 병원(현재 일부는 경찰서 및 음악 학교), 1909년에 세워진 보데스토르프(Bodestorp) 인민 학교, 군나르 아스플룬드(Gunnar Asplund)가 1912~17년에 설계하고 1929년에 모더니스트/기능주의 스타일로 추가한 "레알스콜라(realskola)"가 있다. 1900년에는 광장 남쪽에 나무 건물을 대체하는 시청이 세워졌다. 이 건물은 1990~95년에 Nyréns 건축가(Nyréns architects)가 설계한 일련의 추가 건물로 대폭 확장되었다.

6. 산업

18세기에 농산물과 광물 제품을 기반으로 한 산업이 설립되었다. 1763년과 1790년에 화재가 발생하여 도시가 파괴되기도 했다. 1810년 대륙간 전쟁은 칼스함에 상품 거래 기회를 제공했고 시민들은 번영했다. 펀치, 담배, 코담배 가루가 도시에서 생산되었다. 1880년경 산업 생산이 시작되기 전까지 수공예가 흔했다. 1876년, L.O. 스미스는 아쿠아비트 생산을 시작했고, 1884년에는 새로운 증류소를 건설했으나 1893년까지 운영된 후 설탕 정제소로 전환되었다. 1912년에는 이전 정제소에서 식물성 기름 생산이 시작되어 AAK라는 상표로 운영되고 있다. 1850년부터 1940년경까지 화강암 채석장에서의 석재 절단은 중요한 수출 산업이었다. 1962년에는 뫼룸에 제지 공장이 건설되었다. 1975년부터 칼스함 항구는 점차 도시 서쪽의 스틸러리드 위치로 이전했다.

7. 교통



유럽 간선도로 E22가 칼스함 자치구를 관통하며, 국도 29번은 항구를 북쪽의 스몰란드 지방과 연결한다. 2006년에 전철화된 블레킹에 해안선은 이 지역의 도시들을 매시간 기차로 연결한다. 스틸레뤼드의 항구는 화물 수송량 기준으로 스웨덴에서 6번째로 크며, 스웨덴 남동부에서 가장 크고 깊으며, 리투아니아클라이페다와 정기 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4] 칼스함의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는 점차 확장되어, 뫼룸-스벵스타-아사룸-칼스함을 연결하고 있다. 도로 네트워크는 주로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다.[4]

8. 교육

칼스함에는 2000년에 블레킹에 공과대학(Blekinge Institute of Technology, BTH)의 분교가 설립되었다. 이곳은 디지털 게임, 디지털 시각 제작, 디지털 오디오 제작, 웹 기술과의 상호 작용 등 미디어 기술에 중점을 둔다.

칼스함의 고등학교(10학년 ~ 13학년)는 베가스콜란(Väggaskolan)이다. 교외 지역에는 여러 초등학교(0학년 ~ 9학년)가 있다.

9. 스포츠

다음 스포츠 클럽이 칼스함에 있다.


  • IFK 칼스함 - ''축구''
  • 회가달스 IS - ''축구''
  • CI85 - ''플로어볼''
  • 칼스함스 HF - ''핸드볼''

10. 인물

인물설명
크리스토퍼 슈뢰더1628년 ~ 1699년, 칼스함 시장 역임.
앨리스 테그너1864년 ~ 1943년, 작곡가.
라르스 올손 스미스1836년 ~ 1913년, 기업인.
얀 M. 셰달1853년 ~ 1939년, 작가.
이다 슈미트1857년 ~ 1932년, 여성 운동가, 교육자, 정치인.
벵트 베리1885년 ~ 1967년, 조류학자, 작가, 사진 작가.
기트 가이1921년 ~ 2007년, 카바레 공연자.
페르 라그나르1941년 출생, 배우.
페르 스벤손1965년 출생, 배우.
올라 린드홀름1970년 출생, TV 진행자.
요한 페테르손1973년 출생, 핸드볼 선수.
빙고 리메르1975년 출생, 사진 작가.
엠마 이겔스트룀1980년 출생, 수영 선수.
블라인디드 콜로니2000년 결성된 메탈 밴드.
셸백본명 요한 슈스터, 1985년 출생,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 음악가.


참조

[1] 웹사이트 Tätorternas landareal, folkmängd och invånare per km2 2005 och 2010 http://www.scb.se/St[...] Statistics Sweden 2011-12-14
[2] 서적 Svenska ortnamn med uttalsuppgifter https://runeberg.org[...]
[3] 웹사이트 Valkommen till Karlshamn, Statistik och Fakta http://www.karlshamn[...] 2017-05-22
[4] 뉴스 Swedish town Karlshamn says 'yes' to port deal with Gazprom https://web.archive.[...] 2017-01-31
[5] 웹사이트 Open Data for Karlshamn https://www.smhi.se/[...] Swedish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Institute 2022-02-26
[6] 웹사이트 Open Data for Karlshamn https://www.smhi.se/[...] Swedish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Institute 2022-02-26
[7] 웹사이트 "Shellback" räddar Musikforum - P4 Blekinge https://sverigesradi[...]
[8] 웹인용 Precipitation Normals 1961-1990 http://data.smhi.se/[...] Swedish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Institute (Karlshamn code 6413) 2019-01-11
[9] 웹인용 Yearly and Monthly Statistics https://web.archive.[...] SMHI 2019-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