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초 포자 192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초 포자 1920은 1920년 창단된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1963-64 시즌에 세리에 A로 승격하여 196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즈데네크 제만 감독 부임 이후 '제만란디아' 시대를 열며 공격적인 축구로 세리에 A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1990년대 후반 재정난으로 세리에 C2까지 강등되는 암흑기를 겪었다. 2002-03 시즌 파스콸레 마리노 감독 아래 세리에 C1으로 승격하고, 2007년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부활의 조짐을 보였다. 2010년 재정 문제로 세리에 D로 강등되었으나, 2019-20 시즌 세리에 D에서 우승하며 세리에 C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풀리아주의 축구단 - SSC 바리
이탈리아 바리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인 SSC 바리는 1928년 창단 후 세리에 A와 B를 오가며 부침을 겪었으나, SSC 나폴리 회장에게 인수된 후 세리에 B까지 승격했고, 1990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된 스타디오 산 니콜라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US 레체와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있다. - 풀리아주의 축구단 - US 레체
US 레체는 1908년에 창단되어 세리에 A에 소속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B와 C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2021-22 시즌 세리에 B 우승으로 세리에 A에 복귀했다. - 세리에 C - 칼초 카타니아
칼초 카타니아는 1908년 창단되어 세리에 A, B, C 등에서 활동하며 1953-54 시즌 세리에 B 우승, 1960-61 시즌 세리에 A 8위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파산 후 재창단되어 세리에 D에서 세리에 C로 승격한 이탈리아 시칠리아섬 카타니아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세리에 C - 칼초 파도바
칼초 파도바는 1910년 창설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A 원년 멤버이자 네레오 로코 감독 시절 최고 성적을 기록했으나, 재정난으로 파산 후 여러 부침을 겪으며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우승과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우승 등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세리에 C 구단 - 칼초 카타니아
칼초 카타니아는 1908년 창단되어 세리에 A, B, C 등에서 활동하며 1953-54 시즌 세리에 B 우승, 1960-61 시즌 세리에 A 8위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파산 후 재창단되어 세리에 D에서 세리에 C로 승격한 이탈리아 시칠리아섬 카타니아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세리에 C 구단 - 바레세 칼초
바레세 칼초는 1910년 창단되어 흰색과 보라색을 클럽 색상으로 사용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여러 차례 재창단을 거쳐 세리에 A에 진출하는 전성기를 누렸으나 재정 문제로 해산 후 A.S.D. 치타 디 바레세로 재창단되었다.
칼초 포자 1920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칼초 포자 1920 S.r.l. |
별칭 | 로소네리 (The Red and Blacks, 적흑 군단) 사타넬리 (The Little Satans, 작은 악마들) 다우니 (The Daunians, 다우니아인) |
창단 | 1920년 (US 포자) |
해체 | 해당 없음 |
경기장 | 스타디오 피노 자케리아, 포자, 이탈리아 |
수용 인원 | 25,085명 |
구단주 | Corporate Investments Group S.r.l. (80%) 다비데 펠루시 (20%) |
회장 | 니콜라 카노니코 |
감독 | 에치오 카푸아노 |
리그 | 세리에 C |
웹사이트 | 칼초 포자 1920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b1: _macronmiram1rb body1: FF0000 pattern_la1: 해당 없음 leftarm1: FF0000 pattern_ra1: 해당 없음 rightarm1: FF0000 pattern_sh1: _redbottom shorts1: 000000 pattern_so1: _redtop socks1: 000000 |
원정 유니폼 | pattern_b2: _foggia2021a body2: FFFFFF pattern_la2: _foggia2021a leftarm2: FFFFFF pattern_ra2: _foggia2021a rightarm2: FFFFFF pattern_sh2: 해당 없음 shorts2: FFFFFF pattern_so2: 해당 없음 socks2: FFFFFF |
세 번째 유니폼 | body3: 35FD3B pattern_b3: _foggia2021t pattern_la3: _macroncanopus19ngs leftarm3: 35FD3B pattern_ra3: _macroncanopus19ngs rightarm3: 35FD3B pattern_sh3: 해당 없음 shorts3: 35FD3B pattern_so3: 해당 없음 socks3: 35FD3B |
2. 역사
1920년 5월, '스포르티바 클럽 포자'(Sportiva Club Foggia)로 설립되었다.[10] 그 직후 US 아틀레타, 마체스테, US 프로 포자, 그리고 스포르팅 클럽 포자가 통합하여 리그에 참가했고, 1957-58 시즌에는 SC 포자와 포자 인세디토가 통합하여 SC 포자 & 인세디토(''US Foggia & Incedit'')가 되었다.
1961-62 시즌, 도메니코 로사 로사가 신임 회장, 오론조 풀리에세가 감독으로 취임하여 세리에 B로 승격했다. 로사 로사 & 풀리에세 체제에서 1963-64 시즌 세리에 A로 승격, 3년 연속 잔류했다. 1965년 1월 31일에는 엘레니오 에레라의 인테르를 3-2로 꺾기도 했다.
토마소 마에스트렐리는 1966-67 시즌부터 3시즌 동안 포자를 지휘했고, 1973-74 시즌 SS 라치오 감독으로 부임하여 라치오에 사상 첫 스쿠데토를 안겨주었다.
1972-73 시즌, 라우로 토네아토 감독 체제로 싸웠지만, 스포츠 재판에서 -6점의 페널티를 받았다. 1970년대에는 1976-77 시즌과 1977-78 시즌 두 차례 세리에 A 무대를 밟았다. 당시 회장은 안토니오 페셰, 감독은 에토레 푸리첼리였다.
1984년 4월 24일, 안토니오 리오체, 프라텔리 파스쿠알레, 아니엘로 카실로를 중심으로 한 포자 출신 인사들이 모여 로소네리(포자 서포터 그룹)를 결성, US 포자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었다. 1988-1989 시즌 세리에 C 지로네 B에서 팔레르모와 마지막까지 경쟁하여 세리에 B 승격을 확정했다.
1989년 즈데네크 제만 감독 부임 후 포자는 급격히 강해졌다. 로베르토 람바우디, 프란체스코 바이아노, 주세페 시뇨리를 보유하고 4-3-3 포메이션으로 존 프레싱 전술을 활용, 세리에 A로 복귀했다. 1991-92 시즌에는 화려한 축구로 세리에 A에서 돌풍을 일으켰고, 이 시기는 제만란디아(제만의 낙원)로 불렸다. 그러나 1992-93 시즌 개막 전 시뇨리, 바이아노, 람바우디가 이적했다. 1993-94 시즌에는 조반니 스트로파, 브라이언 로이 등이 활약했지만,[11] 1994-95 시즌 개막 전 제만 감독이 떠나면서 세리에 B로 강등, 암흑기에 접어들었다.
파스콸레 카실로 회장, 주세페 파보네 스포츠 디렉터 체제였지만, 주전 선수들의 이탈로 1998년 세리에 C1, 1999년 세리에 C2로 연이어 강등되었다.
2002-03 시즌, 파스콸레 마리노 감독을 영입, 로베르토 데 제르비, 미켈레 파치엔차 등의 활약으로 4년 만에 세리에 C1으로 승격했다. 2007년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결승에 진출, 쿠네오를 3-1로 꺾고 우승하며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9-10 시즌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 지로네 B에서 강등 위기에 처했지만, 플레이아웃에서 승리하며 잔류했다. 2010년 7월 14일, 파스콸레 카실로에서 마테오 비안코피오레로 회장이 교체되었고, 제만이 세 번째로 감독에 임명되어 세리에 A를 노렸으나 1년 만에 사임했다. 2010-11 시즌 종료 후 재정 문제로 레가 프로 참가가 불허, ACD 포자 칼초(''Associazione Calcistica Dilettantistica Foggia Calcio'')라는 신생 팀으로 세리에 D에서 재출발했다. 2012-13 시즌 후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로 승격했다.
2021년 6월 19일, 즈데네크 제만이 네 번째로 포자 감독에 취임했다.[12]
2. 1. 창단 초기 (1920-1960년대 초)
1920년 포자 칼초(Foggia Calcio)로 창단되었다.[10] 클럽은 초창기에 하위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1933년 아마추어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20년 5월, ''스포르티바 클럽 포자''(Sportiva Club Foggia)로 설립되었고,[10] 그 직후 US 아틀레타, 마체스테, US 프로 포자, 그리고 스포르팅 클럽 포자가 통합하여 리그에 참가했다.1957-58 시즌에 포자 칼초와 포자 인체디트(Foggia Incedit)가 합병하여 현재의 유에스 포자(Unione Sportiva Foggia)가 되었다.[10] 1961-62 시즌에는 도메니코 로사 로사가 신임 회장으로 취임하고 오론조 풀리에세가 감독으로 취임하여 세리에 B로 승격했다.
2. 2. 세리에 A 승격과 전성기 (1960년대 중반-1990년대)
1963-64 시즌에 칼초 포자는 로사 로사와 오론초 풀리에세 감독의 지휘 아래 처음으로 세리에 A로 승격했다. 1964-65 시즌에는 인테르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는 등 3시즌 연속 1부 리그에서 경쟁했다.[10] 이 시기 미첼리와 노체라는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기도 했다.풀리에세 감독이 로마로 떠난 후, 에지지오 루비노가 후임 감독이 되었으나, 포자는 이듬해 강등되었다. 1970-71 시즌에는 토마소 마에스트렐리 감독과 함께 세리에 A로 복귀했다. 1973-74 시즌에도 세리에 A로 복귀했지만, 밀란과의 홈 경기 심판 관련 부정 행위로 승점 6점이 삭감되어 다시 강등되었다. 1976-77 시즌과 1977-78 시즌에 다시 세리에 A에서 뛰었지만, 이후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1980년대 대부분을 세리에 C1에서 보낸 포자는 1989년 즈데네크 제만 감독 부임 후 전성기를 맞았다. 제만 감독은 4-3-3 포메이션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축구를 구사했고, 이는 '제만란디아'라는 신조어를 탄생시켰다.[11] 1990-91 시즌 세리에 B에서 우승하며 세리에 A로 복귀한 포자는 1991-92 시즌에 "기적의 포자"로 불리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주세페 시뇨리, 프란체스코 바이아노, 로베르토 람바우디 등 스타 선수들이 활약했지만, 이들의 이적과 1993-94 시즌 전력 약화로 인해 1995년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제만 감독 역시 라치오로 떠나면서 '제만란디아' 시대는 막을 내렸다.[12]
2. 3. 쇠퇴와 재창단 (1990년대 후반-현재)
1994-95 시즌을 끝으로 즈데네크 제만 감독이 라치오로 떠나고, 재정 문제까지 겹치면서 포자는 쇠퇴하기 시작했다.[1] 세리에 B에서 두 시즌을 보낸 후, 1997-98 시즌에 세리에 C1으로 강등되었고, 곧이어 세리에 C2로 연속 강등되었다.2002-03 시즌, 파스콸레 마리노 감독과 로베르토 데 제르비, 미켈레 파지엔차 등의 활약으로 세리에 C1으로 승격했다.[1] 그러나 2004-05 시즌, 포자는 다시 재정 문제에 직면했고, 마리노 감독과 주요 선수들을 모두 잃었다.
팬들의 절망 속에서 주세페 코치미글리오가 클럽을 인수하고, 역사적인 이름인 '''유니오네 스포르티바 포자(Unione Sportiva Foggia)'''로 팀명을 변경하여 리그에 잔류했다.[1] 이후 몇 년간 중위권을 맴돌았고, 2007-08 시즌에는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크레모네세에 패했다.
2010년, 파스콸레 카실로가 클럽을 재인수하고 즈데네크 제만을 감독으로 복귀시켰지만,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 참가 자격을 얻지 못해 2012년 여름 '''A.C.D. 포자 칼초'''라는 이름으로 세리에 D에서 다시 시작해야 했다.[3][4][5][6] 이후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로 승격했다.
2018-19 시즌 후, 포자는 다시 세리에 C 참가 자격을 잃었고, 2019년 여름 '''칼초 포자 1920'''으로 재창단되어 세리에 D에서 시작, 곧 세리에 C로 승격했다.
2021년 6월 19일, 즈데네크 제만 감독이 4번째로 포자의 감독으로 부임했다.[12]
3. 선수 명단
칼초 포자 1920의 선수 명단은 현역 선수 명단과 역대 선수 명단으로 구분된다.[8]
3. 1. 현역 선수 명단
2024년 8월 29일 기준 선수명단.[8]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피에트로 페리나 | |
2 | DF | 알레산드로 실베스트로 | |
3 | DF | 지안 필리포 펠리치올리 | |
4 | MF | 다비데 마초코 | |
5 | MF | 마리오 가르줄로 | |
6 | DF | 아고스티노 카밀리아노 | |
7 | MF | 마르코 주노 | |
8 | MF | 안드레아 단지 | |
9 | FW | 에마누엘레 산타니엘로 | |
10 | FW | 빈첸초 밀리코 | |
11 | MF | 프란체스코 오를란도 | |
12 | GK | 루카 데 시모네 | |
13 | DF | 마누엘 마르주피오 | |
14 | FW | 야코포 무라노 | |
15 | DF | 루카 에르콜라니 | |
17 | MF | 시모네 타스코네 | |
20 | MF | 야코포 다 리바 | |
21 | MF | 프랑코 베초니 | |
22 | GK | 빅토르 데 루치아 | |
23 | FW | 아마두 사르 | |
26 | MF | 제라르도 아넬리 | |
29 | DF | 조반니 카스탈디 | |
31 | DF | 엠마누엘 살리네스 | |
32 | DF | 줄리오 파로디 | |
33 | DF | 루이지 카릴로 | |
47 | MF | 오라치오 파지엔자 | |
77 | FW | 시모네 아스치오네 | |
90 | FW | 미켈레 엠마우소 |
3. 2. 역대 선수
'''GK'''- 프란체스코 만치니 (1987-1997)
- 파올로 올란도니 (1996-1997)
- 안드리스 노페르트 (2018-2019)
'''DF'''
- 파스콸레 파다리노 (1988-1992, 1994-1995)
- 단 페트레스쿠 (1991-1993)
- 호세 차모 (1993-1994)
'''MF'''
- 루이지 델네리 (1975-1978)
- 네비오 스칼라 (1976-1979)
- 이고르 샤리모프 (1991-1992)
- 브라이언 로이 (1992-1994)
- 루이지 디 비아조 (1992-1995)
- 조반니 스트로파 (1993-1994)
- 조반니 테데스코 (1995-1997)
- 미켈레 파치엔차 (1999-2003)
- 로렌초 인시녜 (2010-2011)
'''FW'''
4.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체사레 말디니 | 1974~1976 |
즈데네크 제만 | 1986~1987 |
즈데네크 제만 | 1989~1994 |
델리오 로시 | 1995~1996 |
주세페 잔니니 | 2004~2005 |
즈데네크 제만 | 2010~2011 |
델리오 로시 | 2023 |
에치오 카푸아노 | 2024~ |
감독 | 임기 |
---|---|
로베르토 피니|Roberto Finiit | 1923–1928 |
세베리노 로소 | 1928–1929 |
벨라 카로이|Béla Károlyhu | 1929–1932 |
토니 카르넬리 | 1932–1933 |
엔젤베르트 쾨니히|Engelbert Königde | 1933–1934 |
실비오 스트리첼(Silvio Stritzel) | 1934–1935 |
조반니 바티스타 레부포(Giovanni Batista Rebuffo) | 1935 |
빌모스 빌헬름|Wilmos Wilhelmhu | 1935–1936 |
벨라 카로이|Béla Károlyhu | 1936–1937 |
안젤로 베닌카사(Angelo Benincasa) | 1937–1939 |
이슈트반 포글|István Foglhu | 1939–1940 |
페렌츠 플레미치|Ferenc Plemichhu | 1940 |
이슈트반 포글|István Foglhu | 1940–1941 |
페렌츠 플레미치|Ferenc Plemichhu | 1941 |
안젤로 베닌카사(Angelo Benincasa) | 1941–1946 |
피에로 안드레올리(Piero Andreoli) | 1946–1947 |
라요스 폴리처|Lajos Politzerhu | 1947–1948 |
안젤로 베닌카사(Angelo Benincasa) | 1948–1949 |
안드라스 쿠티크 | 1949 |
빈첸초 마르시코(Vincenzo Marsico) | 1949–1950 |
안드라스 쿠티크 | 1950 |
빈첸초 마르시코(Vincenzo Marsico) | 1950–1951 |
토니 카르넬리 | 1951–1952 |
체사레 미글리오리니 | 1952 |
빈첸초 마르시코(Vincenzo Marsico) | 1952–1953 |
체사레 미글리오리니 | 1953–1954 |
{{lang | 1954–1955 |
레안드로 레몬디니(Leandro Remondini) | 1955 |
빈첸초 마르시코(Vincenzo Marsico) | 1955–1959 |
레오나르도 코스타글리올라 | 1959–1960 |
파올로 타바넬리(Paolo Tabanelli) | 1960–1961 |
레오나르도 코스타글리올라 | 1961 |
오론조 풀리에세 | 1961–1965 |
에지시오 루비노 | 1965–1966 |
루이지 보니초니(Luigi Bonizzoni) | 1966–1968 |
세라피노 몬타나리 | 1968 |
토마소 마에스트렐리 | 1968–1971 |
에토레 푸리첼리 | 1971–1972 |
라우로 토네아토(Lauro Toneatto) | 1972–1974 |
로베르토 발레스리 | 1976 |
에토레 푸리첼리 | 1976–1978 |
시네시뉴 | 1978–1979 |
조르조 세레니(Giorgio Sereni) | 1979–1980 |
에토레 푸리첼리 | 1980–1981 |
바스코 탈리아비니 | 1981–1982 |
페르난도 베네란다 | 1982 |
람베르토 레오나르디 | 1982–1983 |
람베르토 조르지스(Lamberto Giorgis) | 1983 |
로마노 폴리 | 1983–1984 |
에토레 푸리첼리 | 1984 |
람베르토 조르지스(Lamberto Giorgis) | 1984–1985 |
그라치아노 란도니 | 1985 |
G.B. 파브리(G.B. Fabbri) | 1985 |
코라도 비시아니 | 1985–1986 |
G.B. 파브리(G.B. Fabbri) | 1986 |
로베르토 발레스리 | 1987 |
피포 마르키오로(Pippo Marchioro) | 1987–1988 |
로베르토 발레스리 | 1988 |
주세페 카라마노(Giuseppe Caramanno) | 1988–1989 |
엔리코 카투치 | 1994–1995 |
타르치시오 부르니치 | 1996–1997 |
도메니코 카소 | 1997 |
베니아미노 칸치안(Beniamino Cancian) | 1997–1998 |
도메니코 카소 | 1998 |
로렌조 만차노(Lorenzo Mancano) | 1998–1999 |
파비오 브리니(Fabio Brini) | 1999 |
피에로 브라글리아(Piero Braglia) | 1999–2000 |
로렌조 만차노(Lorenzo Mancano) | 2000 |
이그나치오 아르콜레오 | 2000–2001 |
브루노 파체(Bruno Pace) | 2001–2002 |
카를로 플로림비(Carlo Florimbi) | 2002 |
파스콸레 마리노 | 2002–2004 |
마시모 모르지아(Massimo Morgia) | 2005–2006 |
조르조 루미냐니(Giorgio Rumignani) | 2006 |
실바노 피오루치(Silvano Fiorucci) | 2006 |
스테파노 쿠오기 | 2006–2007 |
풀비오 다데리오(Fulvio D'Adderio) | 2007 |
살바토레 캄필론고(Salvatore Campilongo) | 2007–2008 |
주세페 갈데리시 | 2008 |
라파엘레 노벨리(Raffaele Novelli) | 2008–2009 |
안토니오 포르타(Antonio Porta) | 2009 |
구이도 우골로티 | 2010 |
발테르 보나치나 | 2011 |
파올로 스트린가라 | 2011–2012 |
발테르 보나치나 | 2012 |
파스콸레 파달리노 | 2012–2013 |
로베르토 데 제르비 | 2014–2016 |
조반니 스트로파 | 2016–2018 |
잔루카 그라사도니아 | 2018 |
파스콸레 파달리노 | 2018–2019 |
잔루카 그라사도니아 | 2019 |
아만티노 만시니 | 2019 |
니니 코르다(Ninni Corda) | 2019–2020 |
에지오 카푸아노 | 2020 |
빈첸초 마이우리(Vincenzo Maiuri) | 2020 |
마르코 마르키오니 | 2020–2021 |
즈데네크 제만 | 2021– |
5. 클럽 운영진 및 스태프
Francesco Di Stefano|프란체스코 디 스테파노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