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세리에 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세리에 B는 이탈리아의 프로 축구 리그로, 세리에 A 다음으로 높은 수준의 리그이다. 1904년 세콘다 카테고리아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1929년에 전국 리그 형태로 개편되었다. 현재는 20개 팀이 참가하며, 정규 시즌 상위 팀들은 세리에 A로 승격되고 하위 팀들은 세리에 C로 강등된다. 세리에 B 최다 우승팀은 제노아 CFC이며, 1929-30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 총 91번의 시즌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라리가
    라리가는 스페인의 프로축구 1부 리그로, 20개 구단이 더블 리그 방식으로 총 38경기를 치르며, 상위 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와 유로파리그에 진출하고, 하위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된다.
  • 192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세군다 디비시온
    세군다 디비시온은 1929년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에 의해 출범한 스페인의 프로 축구 2부 리그로, 2024-25 시즌에는 22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상위 2팀은 라리가로 승격, 하위 4팀은 프리메라 페데라시온으로 강등된다.
  • 이탈리아의 프로 스포츠 리그 - 레가 바스켓 세리에 A
  • 이탈리아의 프로 스포츠 리그 -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은 1999년 웨일스-스코틀랜드 리그로 시작하여 여러 명칭을 거쳐 202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럭비 유니온 대회이며, 아일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이탈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팀들이 참가하여 9월부터 5월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고, 상위 8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우승팀을 가린다.
  • 유럽의 축구 2부 리그 - 2. 분데스리가
    2. 분데스리가는 1974년 출범한 독일 2부 리그로, 초기에는 2개 리그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18개 클럽이 참가하여 분데스리가 승격을 놓고 경쟁하며, 상위 두 팀은 자동 승격하고 3위 팀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유럽의 축구 2부 리그 - EFL 챔피언십
    EFL 챔피언십은 24개 팀이 경쟁하는 잉글랜드 풋볼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로, 상위 두 팀은 프리미어리그로 자동 승격하고 3~6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하며 하위 세 팀은 EFL 리그 원으로 강등된다.
세리에 B
기본 정보
세리에 B 로고
국가이탈리아
연맹UEFA
창립1929년
주최레가 B
참가 팀 수20개 팀
상위 리그세리에 A
하위 리그세리에 C
국내 컵코파 이탈리아
대륙 컵UEFA 유로파리그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 자격)
최근 우승팀파르마 (1회 우승)
현재 시즌2024-25 시즌
최다 우승팀제노아 (6회)
최다 출장루이지 카니 (483회)
최다 득점슈테판 슈보흐 (135골)
방송사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DAZN
공식 웹사이트legab.it
명칭
이탈리아어Serie B (세리에 비)
이전 명칭세콘다 디비시오네 (1922년 시범 운영)

2. 역사

이탈리아 축구 리그는 복잡한 역사를 거쳐 발전해 왔다. 1904년 세콘다 카테고리아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연하 선수권 대회는 세리에 A 출범 이후에도 이어졌다. 초기에는 지역별로 리그가 운영되었으나, 1928년 FIGC의 레안드로 아르피나티 회장의 개혁으로 1929년 전국 단위 리그인 세리에 B가 출범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리그가 잠시 중단되기도 했지만, 1948년 전국 리그가 재개된 후 20세기 후반까지 대부분 20개 구단 체제로 운영되었다. 2003-04 시즌에는 일시적으로 24개 구단이 참가하기도 했으나, 이후 22개 구단으로 개편되면서 플레이오프 제도가 도입되었다.

2010년에는 세리에 A와 세리에 B가 분리되어 각각 레가 세리에 A와 레가 세리에 B로 재조직되었다. 리그 명칭은 스폰서에 따라 '세리에 B TIM', '세리에 브윈'[19], '세리에 B 콘테'[20] 등으로 변경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04년 ~ 1929년)

1904년,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의 세리에 A 주요 토너먼트가 7번 개최된 이후, 이탈리아의 연하 선수권 대회가 창설되었다. 이 대회는 세콘다 카테고리아라고 불렸으며, 도시 클럽의 성인 팀과 도시 클럽의 유소년 팀으로 구성되었다. 전자가 우승하면 프리마 카테고리아로 승격되어 리그 규모가 커졌다. 이 영예를 처음으로 안은 팀은 1907년 프로 베르첼리였으며, 1908년에는 스쿠데토까지 획득했다. FIGC는 강등 제도 도입을 시도했지만, 1921년 북부 리그의 CCI 분리주의자가 도입하는데 그쳤고, 북부 리그는 1부와 2부 리그로 나뉘었다. 처음으로 강등된 구단은 비첸차인테르였는데, FIGC의 재통합 이후 규정 변경으로 베네치아밀라노 연고 구단 대신 강등되었다. 같은 리그 소속이어도, 1부 리그와 대조되게, 2부 리그는 지역 단위, 혹은 연고에 따라 편성되었다.

1928년이 되어서야 FIGC의 레안드로 아르피나티 회장이 대개혁을 단행했고, 그 이듬해 전국 단위의 2부 리그가 1부 리그와 동일한 형태로 새로이 출범했다. 세리에 B는 1929년에 18개 구단이 참가하는 리그로 출범했다.[19]

2. 2. 세리에 B 출범과 발전 (1929년 ~ 현재)

1928년 FIGC(이탈리아 축구 연맹)의 레안드로 아르피나티 회장이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했고, 그 이듬해인 1929년에 전국 단위의 2부 리그가 1부 리그와 동일한 형태로 출범했다. 세리에 B는 1929년에 18개 구단으로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북부와 남부 리그로 잠시 분할되기 전까지 유지되었다.[19] 전국 리그는 1948년에 재개되어 20세기 후반 대부분 기간 동안 20개 구단이 참가하는 리그로 운영되었다. 2003-04 시즌에는 이탈리아 리그 역사상 최다인 24개 구단이 참가하기도 했으나, 2004년 이후로는 22개 구단으로 개편되어 플레이오프 제도가 도입되었다.[19]

2010년 7월 7일, 세리에 A가 세리에 B와 분리되면서 레가 세리에 A와 레가 세리에 B로 각각 재조직되었다. 세리에 B는 2010-11 시즌과 2011-12 시즌에 브윈과 협찬 계약을 맺어 '세리에 B TIM'에서 '세리에 브윈'으로 리그 명칭이 변경되었다.[19] 이후 협찬사 변경으로 리그 명칭은 '세리에 B 콘테'가 되었다.[20]

토리노, 유벤투스, 밀란, 로마, 라치오는 세리에 B가 최하위 리그였던 5개 구단이다.

2. 3. 명칭 변화

1904년, 이탈리아의 연하 선수권 대회가 FIGC의 주요 대회 출범 7년 만에 시작되었다. 출범 당시 명칭은 세콘다 카테고리아였다. 1921년 북부 리그는 1부와 2부 리그로 나뉘었는데, 2부 리그는 1부 리그와 달리 지역 단위로 편성되었다.

1928년, FIGC의 레안드로 아르피나티 회장이 대개혁을 단행했고, 이듬해 전국 단위의 2부 리그가 1부 리그와 동일한 형태로 출범했다. 세리에 B는 1929년에 18개 구단이 참가하는 리그로 시작되었다.

2010년 7월 7일, 세리에 A는 세리에 B와 분리되어 세리에 A와 세리에 B 사무국으로 각각 재조직되었다. 2010-11 시즌과 2011-12 시즌에는 브윈과 협찬 계약을 맺어 리그 명칭이 세리에 B TIM에서 세리에 브윈으로 변경되었다.[19] 이후 협찬사 변경으로 리그 명칭은 세리에 B 콘테가 되었다.[20]

3. 리그 진행 방식

세리에 B는 1929년에 현재의 리그 형태를 갖추었다. 2019-20 시즌부터 20개 클럽이 참가하며, 전기(girone di andatait, 9월-12월)와 후기(girone di ritornoit, 12월-다음 해 5월)로 나누어 경기를 진행한다. 2010년 시즌 이후부터는 레가 칼초에서 분리되어 Lega Bit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카데티(cadettiit), 캄피오나토 카데토(campionato cadettoit)라고도 불린다.

3. 1. 정규 시즌

정규 시즌에 각 구단은 서로 2경기씩 치르며(2회 리그전 방식), 한 번은 안방에서 치르고 다른 한 경기는 상대 안방으로 원정을 가서 치르며, 총 38번의 경기를 치른다. 전반기 경기(andata)와 후반기 경기(ritorno)는 맞대결을 펼치는 선수가 동일하다. 경기에서 승리하면 승점을 3점, 무승부를 거두면 1점을 얻을 수 있지만, 패하면 승점을 추가할 수 없다.

2006-07 시즌부터 2019-20 시즌까지 세리에 B를 우승하면 ''승리의 날개 트로피''(Ali della Vittoria)를 들어올릴 수 있었다. 이 우승컵은 63cm 높이에 질량이 5kg이다. 트로피의 형태는 그리스 신화의 승리의 여신 니케로부터 영감을 받아, 올림픽 성화를 받든 형태와 유사했다. 2021-22 시즌을 기점으로, ''결합의 컵''(Coppa Nexus)을 받기 시작했다.[5]

다음은 세리에 B의 시기별 역대 참가 구단의 변천사이다:

기간참가 구단 수
1929–193318개 구단
1933–193426개 구단 (2개조)
1934–193532개 구단 (2개조)
1935–193618개 구단
1936–193716개 구단
1937–193817개 구단
1938–194318개 구단
1946–194760개 구단 (3개조)
1947–194854개 구단 (3개조)
1948–195022개 구단
1950–195121개 구단
1951–195222개 구단
1952–195818개 구단
1958–196720개 구단
1967–196821개 구단
1968–200320개 구단
2003–200424개 구단
2004–201822개 구단
2018–201919개 구단
2019–현재20개 구단


3. 2. 승격

매 시즌이 끝나면, 상위 3개 구단이 세리에 A승격된다. 상위 2개 구단은 자동 승격되며, 3위 구단은 4위 구단과의 승점 차가 10점 이상이면 자동 승격된다. 그렇지 않으면 3위부터 8위까지의 구단들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마지막 승격 구단을 결정한다.[6]

2013-14 시즌부터는 3위부터 6개 구단 간의 승점 차가 14점 이하일 경우, 3위 구단도 플레이오프에 참가해야 했다. 플레이오프는 최대 3경기까지 진행되며, 준플레이오프는 상위 구단의 홈에서 단판 승부로, 결승전은 두 차례 맞대결로 진행된다. 정규 시간 내에 동점일 경우 연장전을 치르며, 연장전 후에도 동점이면 상위 순위 구단이 다음 경기로 진출한다.[6]

플레이오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3라운드로 진행된다.[6]

라운드경기 방식비고
예선 라운드5위 vs 8위, 6위 vs 7위 단판 승부 (정규 시즌 순위가 높은 팀 홈)정규 시간 동점 시 연장전, 연장전 후에도 동점 시 정규 시즌 순위가 높은 팀 진출
준결승1차전: 예선 라운드 승리 팀 홈, 2차전: 정규 시즌 3, 4위 팀 홈총점 동점 시 연장전 및 승부차기 없이 정규 시즌 순위가 높은 팀 진출
결승2차전 (2차전은 리그 순위가 높은 팀 홈)동점 시 연장전이나 승부차기 없이 정규 시즌 순위가 높은 팀이 세리에 A로 승격 (정규 시즌 동점 시 연장전, 승부차기 진행)


3. 3. 강등

매 시즌이 끝나면 하위 4개 구단은 세리에 C로 강등된다. 하위 3개 구단(18위, 19위, 20위)은 자동 강등되며, 16위 구단이 17위 구단과 승점 5점 이상 차이가 나면 17위 구단이 추가로 강등된다. 그렇지 않으면, 16위와 17위 구단은 강등 플레이아웃전("플레아웃")을 치러 잔류와 강등을 결정한다.[6]

플레이아웃은 16위와 17위 구단이 두 차례 맞대결을 펼치는 방식이며, 16위 구단이 2차전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두 경기의 합계 점수가 높은 구단이 세리에 B에 잔류하고, 패배한 구단은 세리에 C로 강등된다. 2차전 후에도 합계 점수가 같으면, 16위 구단이 잔류하고 17위 구단이 강등된다. 단, 두 구단의 승점이 같은 경우에는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강등 구단을 결정한다.[6]

4. 구단



2023-24 시즌 세리에 B에는 20개 팀이 참가했다.

세리에 B는 1929-30 시즌부터 2024-25 시즌까지 91번의 시즌을 거치며 총 142개의 구단이 참가했다.[7] 1943년부터 1945년까지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었고, 1945-46 시즌 북부 리그는 승격 결과가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FIGC에서 통계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역대 세리에 B 최다 우승팀은 제노아(6회)이며, 아탈란타, 팔레르모(이상 5회)가 그 뒤를 잇고 있다.[15]

4. 1. 2023-2024 시즌 참가 구단

2023-2024 시즌 세리에 B 참가 구단은 다음과 같다.

연고 도시경기장수용 인원2022-23 시즌
아스콜리아스콜리피체노치노 에 릴로 델 두카12,461세리에 B 12위
바리바리산 니콜라58,270세리에 B 3위
브레시아브레시아마리오 리가몬티19,500세리에 B 16위
카탄차로카탄차로니콜라 체라볼로14,650세리에 C 그룹 C 우승
치타델라치타델라피에르 체사레 톰볼라토7,623세리에 B 15위
코모코모주세페 시니갈리아13,602세리에 B 13위
코센차코센차산 비토-지지 마룰라24,209세리에 B 17위
크레모네세크레모나조반니 지니20,641세리에 A 19위
페랄피살로살로 및 로나토 델 가르다레오나르도 가릴리21,668세리에 C 그룹 A 우승
레코레코리가몬티-체피
스타디오 유가네오
4,995
18,060
세리에 C 플레이오프 우승
모데나모데나알베르토 브라글리아21,151세리에 B 10위
팔레르모팔레르모렌초 바르베라36,365세리에 B 9위
파르마파르마에니오 타르디니22,352세리에 B 4위
피사피사아레나 가리발디14,000세리에 B 11위
레지아나레조 에밀리아마페이 스타디움21,525세리에 C 그룹 B 우승
삼프도리아제노바루이지 페라리스33,205세리에 A 20위
스페치아라스페치아알베르토 피코11,968세리에 A 18위
쥐트티롤볼차노드루소5,539세리에 B 6위
테르나나테르니리베로 리베라티22,000세리에 B 14위
베네치아베네치아피에르 루이지 펜초11,150세리에 B 8위


4. 2. 세리에 B 참가 시즌 수

구단 수시즌
181929–1933
261933–1934
321934–1935
181935–1936
161936–1937
171937–1938
181938–1943
601946–1947
541947–1948
221948–1950
211950–1951
221951–1952
181952–1958
201958–1967
211967–1968
201968–2003
242003–2004
222004–2018
192018–2019
202019–현재



다음은 1929-30 시즌부터 2024-25 시즌까지 91번의 세리에 B 시즌에 참가한 142개 구단의 목록이다.[7]


  •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3년부터 1945년까지 리그가 중단되었다.
  • 1945-46 시즌 북부 리그는 승격 결과가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FIGC에서 통계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굵게''' 표시된 팀은 2024-25 시즌 세리에 B에서 경쟁한다. ''이탤릭체''로 표시된 팀은 해체된 팀을 나타낸다. 괄호 안의 연도는 가장 최근 참가 연도를 나타낸다.

  • '''66''' 시즌: '''브레시아''' (2025)
  • '''53''' 시즌: 베로나 (2019), '''모데나''' (2025)
  • '''49''' 시즌: '''바리''' (2025)
  • '''47''' 시즌: '''팔레르모''' (2025)
  • '''40''' 시즌: 몬차 (2022)
  • '''39''' 시즌: 페스카라 (2021), 베네치아 (2024)
  • '''38''' 시즌: 파도바 (2019), '''피사''' (2025)
  • '''37''' 시즌: 비첸차 (2022), 코모 (2024)
  • '''36''' 시즌: '''레지아나''' (2025)
  • '''34''' 시즌: 카타니아 (2015), 노바라 (2018), 제노아 (2023)
  • '''33''' 시즌: '''체세나''' (2025), '''크레모네세''' (2025)
  • '''32''' 시즌: 메시나 (2008)
  • '''31''' 시즌: 타란토 (1993), '''살레르니타나''' (2025)
  • '''30''' 시즌: 칼리아리 (2023), 파르마 (2024), 테르나나 (2024), '''카탄차로''' (2025)
  • '''29''' 시즌: 레체 (2022), 페루자 (2023), '''스페치아''' (2025)
  • '''28''' 시즌: 아탈란타 (2011)
  • '''27''' 시즌: 리보르노 (2020), 아스콜리 (2024)
  • '''26''' 시즌: '''코센차''' (2025)
  • '''25''' 시즌: 포자 (2019), 레지나 (2023)
  • '''24''' 시즌: SPAL (2023)
  • '''22''' 시즌: 트리에스티나 (2011), 엠폴리 (2021)
  • '''21''' 시즌: 삼베네데테세 (1989), 안코나 (2010), 바레세 (2015), 알레산드리아 (2022)
  • '''19''' 시즌: 루케세 (1999), 피스토이에세 (2002), 아벨리노 (2018)
  • '''18''' 시즌: 우디네세 (1995), 피아첸차 (2011), '''치타델라''' (2025), '''삼프도리아''' (2025)[8]
  • '''16''' 시즌: 아레초 (2007), 트레비소 (2009)
  • '''15''' 시즌: 크로토네 (2022), '''만토바''' (2025)
  • '''14''' 시즌: 레냐노 (1957)
  • '''13''' 시즌: 프로 파트리아 (1966), 시에나 (2014), 프로 베르첼리 (2018), '''프로시노네''' (2025)
  • '''12''' 시즌: 판풀라 (1954), 나폴리 (2007), 토리노 (2012), 볼로냐 (2015), 레코 (2024)
  • '''11''' 시즌: 비제바노 (1948), 라치오 (1988)
  • '''10''' 시즌: 마르조토 (1961), 프라토 (1964), 키에보 (2021)
  • '''9''' 시즌: 리미니 (2009), 알비노레페 (2012)
  • '''7''' 시즌: 시라쿠사 (1953), 라벤나 (2001)
  • '''6''' 시즌: 세레뇨 (1935), 비아레조 (1948), 브린디시 (1976), 피델리스 안드리아 (1999), 그로세토 (2013), 비르투스 엔텔라 (2021), '''사수올로''' (2025), '''유베 스타비아''' (2025)
  • '''5''' 시즌: 사보나 (1967), 캄포바소 (1987), 피오렌티나 (2004), 포텐차 (1968), 카르피 (2019), 트라파니 (2020), 베네벤토 (2023)
  • '''4''' 시즌: 몬팔코네 (1933), 카살레 (1947), 프로 세스토 (1950), 파비아 (1955), 바를레타 (1991), ''비르투스 란치아노'' (2016), 라티나 (2017)
  • '''3''' 시즌: 데르토나 (1935), ''그리온 폴라'' (1935), L'아퀼라 (1937), 산레메세 (1940), 피옴비노 (1954), 카베세 (1984), 사보이아 (2000), 노체리나 (2012), 포르데노네 (2022), '''카라레세''' (2025), '''쥐드티롤''' (2025)
  • '''2''' 시즌: ''피우마나'' (1942), 비엘레세 (1947), 크레마 (1948), 갈라라테세 (1948), 프로 고리치아 (1948), 리에티 (1948), 스카파테세 (1948), 수차라 (1948), 보게레세 (1948), 트라니 (1965), 밀란 (1983),카세르타나 (1992), 리카타 (1990), 아치레알레 (1995), 카스텔 디 상그로 (1998), 구비오 (2012)
  • '''1''' 시즌: 몰리넬라 (1940), 마체라테세 (1941), ''M.A.T.E.R.'' (1943), ''알바 트라스테베레'' (1947), 아르세날레 타란토 (1947), 포를리 (1947), 메스트리나 (1947), 세스트레세 (1947), 볼차노 (1948), 센테세 (1948), 마젠타 (1948), 비타 노바 (1948), 로마 (1952), 마세세 (1971), 소렌토 (1972), 마테라 (1980), 알차노 비레시트 (2000), 페르마나 (2000), 유벤투스 (2007), 갈리폴리 (2010), 포르토구아로 (2011), 페랄피살로 (2024)

5. 역대 우승 및 승격 구단

시즌우승준우승기타 승격 구단
1929–30카살레레냐노
1930–31피오렌티나바리
1931–32팔레르모파도바
1932–33리보르노브레시아
1933–34삼피에르다레네세바리a
1934–35제노아바리
1935–36루케세노바라
1936–37리보르노아탈란타
1937–38모데나b노바라b
1938–39피오렌티나베네치아
1939–40아탈란타리보르노
1940–41삼피에르다레네세모데나
1941–42바리비첸차
1942–43모데나브레시아
1945–46알레산드리아프로 파트리아a나폴리

1946–47
북부 우승중부 우승남부 우승
프로 파트리아루케세살레르니타나
1947–48

노바라파도바팔레르모
우승준우승기타 승격 구단
1948–49코모베네치아
1949–50나폴리우디네세
1950–51SPAL레냐노
1951–52로마브레시아a
1952–53제노아레냐노
1953–54카타니아프로 파트리아
1954–55비첸차파도바
1955–56우디네세팔레르모
1956–57엘라스 베로나알레산드리아
1957–58트리에스티나바리
1958–59아탈란타팔레르모
1959–60토리노레코카타니아
1960–61베네치아만토바팔레르모
1961–62제노아나폴리모데나
1962–63메시나바리라치오
1963–64바레세칼리아리포자
1964–65브레시아나폴리SPAL
1965–66베네치아레코만토바
1966–67삼프도리아바레세
1967–68팔레르모엘라스 베로나피사
1968–69라치오브레시아바리
1969–70바레세포자카타니아
1970–71만토바아탈란타카탄차로
1971–72테르나나라치오팔레르모
1972–73제노아체세나포자
1973–74바레세아스콜리테르나나
1974–75페루자코모엘라스 베로나
1975–76제노아카탄차로포자
1976–77비첸차아탈란타페스카라
1977–78아스콜리카탄차로아벨리노
1978–79우디네세칼리아리페스카라
1979–80코모피스토이에세브레시아
1980–81밀란제노아체세나
1981–82엘라스 베로나피사삼프도리아
1982–83밀란라치오카타니아
1983–84아탈란타코모크레모네세
1984–85피사레체바리
1985–86아스콜리브레시아엠폴리
1986–87페스카라피사체세나
1987–88볼로냐레체라치오, 아탈란타
1988–89제노아바리우디네세, 크레모네세
1989–90토리노피사칼리아리, 파르마
1990–91포자엘라스 베로나크레모네세, 아스콜리
1991–92브레시아페스카라안코나, 우디네세
1992–93레자나크레모네세피아첸차, 레체
1993–94피오렌티나바리브레시아, 파도바
1994–95피아첸차우디네세비첸차, 아탈란타
1995–96볼로냐엘라스 베로나페루자, 레자나
1996–97브레시아엠폴리레체, 바리
1997–98살레르니타나베네치아칼리아리, 페루자
1998–99엘라스 베로나토리노레지나, 레체
1999–00비첸차아탈란타브레시아, 나폴리
2000–01토리노피아첸차키에보 베로나, 베네치아
2001–02코모모데나레지나, 엠폴리
2002–03시에나삼프도리아레체, 안코나
2003–04팔레르모칼리아리리보르노, 메시나, 아탈란타, 피오렌티나c
2004–05엠폴리토리노a트레비소, 아스콜리
2005–06아탈란타카타니아토리노
2006–07유벤투스나폴리제노아
2007–08키에보 베로나볼로냐레체
2008–09바리파르마리보르노
2009–10레체체세나브레시아
2010–11아탈란타시에나노바라
2011–12페스카라토리노삼프도리아
2012–13사수올로엘라스 베로나리보르노
2013–14팔레르모엠폴리체세나
2014–15카르피프로시노네볼로냐
2015–16칼리아리크로토네페스카라
2016–17SPAL엘라스 베로나베네벤토
2017–18엠폴리파르마프로시노네
2018–19브레시아레체엘라스 베로나
2019–20베네벤토크로토네스페치아
2020–21엠폴리살레르니타나베네치아
2021–22레체크레모네세몬차
2022–23프로시노네제노아칼리아리
2023–24파르마코모베네치아



a 세리에 A 참가 구단 수 감소로 승격되지 못함.

b 모데나와 노바라는 1937-38 시즌에 공동 우승.

c 세리에 A 참가 구단 수가 18개에서 20개로 증가함에 따라 2003-04 시즌에는 6개 구단이 승격.

'''세리에 B 역대 우승 및 승격 구단'''(1929-30 시즌 ~ 2023-24 시즌) 목록은 위와 같다.

{| class="wikitable"

|-

!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 제노아

| 6

| 2

| 1934-35, 1952-53, 1961-62, 1972-73, 1975-76, 1988-89

|-

| 아탈란타

| 5

| 3

| 1939-40, 1958-59, 1983-84, 2005-06, 2010-11

|-

| 브레시아

| 4

| 6

| 1964-65, 1991-92, 1996-97, 2018-19

|-

| 팔레르모

| 4

| 2

| 1931-32, 1967-68, 2003-04, 2013-14

|-

| 바리

| 3

| 6

| 1934-35, 1941-42, 2008-09

|-

| 엘라스 베로나

| 3

| 5

| 1956-57, 1981-82, 1998-99

|-

| 엠폴리

| 3

| 2

| 2004-05, 2017-18, 2020-21

|-

| 코모

| 3

| 2

| 1948-49, 1979-80, 2001-02

|-

| 토리노

| 3

| 2

| 1959-60, 1989-90, 2000-01

|-

| 비첸차

| 3

| 1

| 1954-55, 1976-77, 1999-00

|-

| 바레세

| 3

| 1

| 1963-64, 1969-70, 1973-74

|-

| 피오렌티나

| 3

| 0

| 1930-31, 1938-39, 1993-94

|-

| 레체

| 2

| 3

| 2009-10, 2021-22

|-

| 베네치아

| 2

| 3

| 1960-61, 1965-66

|-

| 노바라

| 2

| 3

| 1937-38, 1947-48

|-

| 페스카라

| 2

| 2

| 1986-87, 2011-12

|-

| 우디네세

| 2

| 2

| 1955-56, 1978-79

|-

| 살레르니타나

| 2

| 1

| 1946-47, 1997-98

|-

| 볼로냐

| 2

| 1

| 1987-88, 1995-96

|-

| 아스콜리

| 2

| 1

| 1977-78, 1985-86

|-

| 리보르노

| 2

| 1

| 1932-33, 1936-37

|-

| SPAL

| 2

| 0

| 1950-51, 2016-17

|-

| 밀란

| 2

| 0

| 1980-81, 1982-83

|-

| 루케세

| 2

| 0

| 1935-36, 1946-47

|-

| 피사

| 1

| 4

| 1984-85

|-

| 모데나

| 1

| 4

| 1942-43

|-

| 칼리아리

| 1

| 3

| 2015-16

|-

| 나폴리

| 1

| 3

| 1949-50

|-

| 파도바

| 1

| 3

| 1947-48

|-

| 페루자

| 1

| 2

| 1974-75

|-

| 라치오

| 1

| 2

| 1968-69

|-

| 프로 파트리아

| 1

| 2

| 1946-47

|-

| 시에나

| 1

| 1

| 2002-03

|-

| 피아첸차

| 1

| 1

| 1994-95

|-

| 레자나

| 1

| 1

| 1992-93

|-

| 포자

| 1

| 1

| 1990-91

|-

| 테르나나

| 1

| 1

| 1971-72

|-

| 만토바

| 1

| 1

| 1970-7

참조

[1] 웹사이트 serie http://www.dipionlin[...] 2021-03-26
[2] 웹사이트 La B cambia nome: si chiamerà Serie BKT fino al 2021 https://www.calcioef[...] 2018-06-22
[3] 뉴스 Dalla nuova Lega Serie B, nasce il campionato Serie bwin http://www.legaserie[...] 2010-07-07
[4] 뉴스 Ecco il calendario ufficiale della Serie B ConTe.it http://www.legab.it/[...] Lega Nazionale Professionisti Serie B 2015-11-11
[5] 웹사이트 Presentata la Coppa Nexus https://www.legab.it[...] 2022-06-14
[6] 웹사이트 COMUNICATO UFFICIALE N. 22/A http://www.figc.it/A[...] 2017-07-20
[7] 웹사이트 Italy – Serie B All-Time Table since 1929 https://www.rsssf.or[...] 2020-08-22
[8] 문서 Pursuant to the Federal Internal Organizational Rules of the Italian Football Federation (NOIF, art. 20, subsection 5), Unione Calcio Sampdoria inherits and continues the sporting tradition of its most valuable ancestor, A.C. Sampierdarenese, which played at Serie B for 5 seasons.
[9] 웹사이트 Coda MVP della stagione https://www.legab.it[...] 2024-08-07
[10] 웹사이트 A Gytkjær il Trofeo MVP dei Playoff https://www.legab.it[...] 2024-08-07
[11] 웹사이트 Lapadula è l’MVP della stagione di Serie BKT 2022/2023 https://www.legab.it[...] 2024-08-07
[12] 웹사이트 Pavoletti è l’MVP dei playoff della Serie BKT 2022/2023 https://www.legab.it[...] 2024-08-07
[13] 웹사이트 Cutrone MVP della Serie BKT 2023/2024 https://www.legab.it[...] 2024-08-07
[14] 웹사이트 La B cambia nome: si chiamerà Serie BKT fino al 2021 http://www.calcioefi[...] 2018-06-22
[15] 웹사이트 Squadre https://www.legab.it[...] 2023-09-03
[16] 문서 セリエAのチーム数増(18→20)のため昇格。
[17] 웹인용 serie http://www.dipionlin[...] 2021-03-26
[18] 웹인용 La B cambia nome: si chiamerà Serie BKT fino al 2021 https://www.calcioef[...] 2018-06-22
[19] 뉴스 Dalla nuova Lega Serie B, nasce il campionato Serie bwin http://www.legaserie[...] 2010-07-07
[20] 뉴스 Ecco il calendario ufficiale della Serie B ConTe.it http://www.legab.it/[...] Lega Nazionale Professionisti Serie B 2015-11-11
[21] 웹인용 Italy – Serie B All-Time Table since 1929 http://www.rsssf.com[...] RSSSF 2020-08-22
[22] 문서 이탈리아 축구 연맹의 연맹 내부 규정에 따라(NOIF 20조 5항) 우니오네 칼초 삼프도리아는 유서 깊은 전신이며 세리에 B에 5시즌 소속되었던 삼피에르다렌세를 계승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