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타 미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타 미노르는 우즈베키스탄 히바에 위치한 미완성 미나레트이다. 1852년 무함마드 아민 칸의 지휘 아래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1855년 칸의 사망으로 인해 29m 높이에서 중단되었다. 원래 70~80m, 혹은 110m 높이로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유약 타일로 덮인 독특한 장식으로 유명하다. 미나레트에는 시인 오가지의 시가 새겨져 있으며, 1996-97년 히바 건국 2500주년을 기념하여 글씨가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탑 - 타슈켄트 타워
타슈켄트 타워는 라디오 및 TV 송신을 주 목적으로 하며, 전망 데크와 정원을 갖춘 타워이다.
칼타 미노르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히바, 우즈베키스탄 |
건축 양식 | 이슬람 건축 |
착공 | 1852년 |
완공 | 1855년 |
높이 (미완성) | 29m |
재료 | 벽돌, 유약 타일 |
보수 | 1996-97년 |
건축 | |
건축가 | 무함마드 아민 칸 |
기타 | |
좌표 | 41° 22′ 41.9″ N, 60° 21′ 28.7″ E |
2. 역사
무함마드 아민 칸 시기 히바 칸국은 이슬람 국가에서 제일 큰 미나렛을 건설하고자 했다. 원래 계획은 미나렛을 70~80m 높이로 건설하고, 높아질수록 지름을 줄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무하마드 아민 칸은 심지어 73미터 높이의 인도 쿠트브 미나르를 능가하는 세계 최고 높이의 첨탑을 건설하려 했다.[2] 기초 직경은 14.2m이며, 일부 자료에서는 110m 높이로 건설할 예정이었다고도 한다.[3]
1852년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1855년 첨탑 높이가 29m에 이르렀을 때 갑작스럽게 중단되었다. 히바의 역사가이자 작가에 따르면, 1855년 무함마드 아민 칸이 사라흐스 근처 전투에서 사망하면서 건설이 완료되지 못했다.[3] 역사학자 물라 올림 막둠 하지는 "투르키스탄의 역사"에서 무함마드 아민 칸이 군대를 이끌고 이란과의 전투에 참여했다가 순교하여 첨탑 건설이 미완성으로 남았다고 기록했다.[4]
이 첨탑은 히바의 시인이자 역사가이며 정치가인 무하마드 리자 오가지가 직접 건설 과정을 지켜보았다. 무하마드 아민 칸 첨탑에는 오가지 시의 역사적인 구절 16개 중 12개가 새겨져 있었다. 내부 나무 계단은 여러 번 수리되었다. 복원 과정에서 원래 형태로 복원된 비문은 첨탑을 천국에서 자라는 투보 나무에 비유하며, 하늘의 아치, 즉 천국의 돔을 지탱하는 기둥이라고 칭한다. 오가지는 첨탑 완공을 위한 여러 시적인 날짜를 기록했는데, 그 중 하나는 아름다운 유약 타일에 쓰여 있다. 이 글들은 소련 통치 기간 동안 훼손되었으나, 우즈베키스탄 독립 후 오가지의 원고를 통해 복원되었다. 글자는 장인 루스탐 토히로프가 복원했다. 칼타 미노르는 미완성 상태뿐만 아니라 독특한 장식으로도 유명하며, 유약 타일로 완전히 덮인 유일한 첨탑이다.[5]
히바 칸국의 역사학자 무함마드 리자 아가키에 따르면, 이 미나렛은 1855년 무함마드 아민 칸의 사망으로 건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한다. 전설 상에서는, 부하라 토후국에서 히바에서 독특한 미나렛을 만든다는 것을 알고 동일한 미나렛을 부하라에서도 짓고 싶었고, 히바의 건축가를 동원하여 히바의 건축 작업을 끝낸 후 부하라에서도 건축하기로 했다는 말이 있다. 이에 대해 히바의 칸은 그 건축가가 히바에서 건축 작업을 끝내는 즉시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 소식이 건축가에게 들리자, 건축가는 미나렛을 채 다 짓지 않고 도망갔다는 말이 있다.
2. 1. 건설 배경
무함마드 아민 칸 시기 히바 칸국은 이슬람 국가에서 제일 큰 미나렛을 건설하고자 했다. 원래 계획은 미나렛을 70~80m 높이로 건설하고, 높아질수록 지름을 줄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무하마드 아민 칸은 심지어 73미터 높이의 인도 쿠트브 미나르를 능가하는 세계 최고 높이의 첨탑을 건설하려 했다.[2] 기초 직경은 14.2m이며, 일부 자료에서는 110m 높이로 건설할 예정이었다고도 한다.[3]1852년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1855년 첨탑 높이가 29m에 이르렀을 때 갑작스럽게 중단되었다. 히바의 역사가이자 작가에 따르면, 1855년 무함마드 아민 칸이 사라흐스 근처 전투에서 사망하면서 건설이 완료되지 못했다.[3] 역사학자 물라 올림 막둠 하지는 "투르키스탄의 역사"에서 무함마드 아민 칸이 군대를 이끌고 이란과의 전투에 참여했다가 순교하여 첨탑 건설이 미완성으로 남았다고 기록했다.[4]
이 첨탑은 히바의 시인이자 역사가이며 정치가인 무하마드 리자 오가지가 직접 건설 과정을 지켜보았다. 무하마드 아민 칸 첨탑에는 오가지 시의 역사적인 구절 16개 중 12개가 새겨져 있었다. 내부 나무 계단은 여러 번 수리되었다. 복원 과정에서 원래 형태로 복원된 비문은 첨탑을 천국에서 자라는 투보 나무에 비유하며, 하늘의 아치, 즉 천국의 돔을 지탱하는 기둥이라고 칭한다. 오가지는 첨탑 완공을 위한 여러 시적인 날짜를 기록했는데, 그 중 하나는 아름다운 유약 타일에 쓰여 있다. 이 글들은 소련 통치 기간 동안 훼손되었으나, 우즈베키스탄 독립 후 오가지의 원고를 통해 복원되었다. 글자는 장인 루스탐 토히로프가 복원했다. 칼타 미노르는 미완성 상태뿐만 아니라 독특한 장식으로도 유명하며, 유약 타일로 완전히 덮인 유일한 첨탑이다.[5]
2. 2. 건설 과정
무함마드 아민 칸 시기 히바 칸국에서 제일 큰 미나렛으로 지어질 예정이었던 칼타 미노르는 높이가 14.2m에 달한다.[2] 원래 계획에 따르면 미나렛은 70~80m 높이로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높아질수록 미나렛의 지름이 작아져 튼튼하게 만들 예정이었다.[2] 무하마드 아민 칸은 인도의 쿠트브 미나르를 능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첨탑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2] 일부 자료에서는 110미터에 달할 의도였다고 언급한다.[3]1852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1855년에 첨탑의 높이가 29미터에 이르렀을 때 갑작스럽게 중단되었다.[3] 히바의 역사가이자 작가에 따르면, 무하마드 아민 바하두르 칸이 1855년 사라흐스 근처의 전투에서 사망했기 때문에 건설이 완료되지 못했다고 한다.[3]
역사가 물라 올림 막둠 하지는 그의 저서 "투르키스탄의 역사"에서 첨탑 건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마드라사가 완성된 후, 무하마드 아민 칸은 마드라사 옆에 가장 높은 첨탑을 건설하도록 명령했다. 첨탑 건설이 진행 중(1855년)이던 중, 무하마드 아민 칸은 군대를 이란으로 보냈고 전투에서 순교했다. 그 결과 칸이 시작한 첨탑은 미완성으로 남게 되었다.[4]
이 첨탑은 히바의 시인이자 역사가이며 정치가인 무하마드 리자 오가지의 눈 앞에서 건설되었다. 무하마드 아민 칸 첨탑에는 오가지 시의 16개의 역사적인 구절 중 12개가 새겨져 있다.[5] 내부의 나무 계단은 여러 번 수리되었다. 복원 중에 원래 형태로 복원된 비문은 첨탑을 천국에서 자라는 투보 나무에 비유하며, 하늘의 아치, 즉 천국의 돔을 지탱하는 기둥이라고 칭한다.[5] 오가지는 첨탑 완공을 위한 여러 시적인 날짜를 썼고 그 중 하나는 첨탑 위에 아름다운 유약 타일에 쓰여 있는데, 소련 통치 기간 동안 훼손되었다가 우즈베키스탄 독립 후 복원되었다.[5] 칼타 미노르는 미완성 상태뿐만 아니라 유약 타일로 완전히 덮인 유일한 첨탑이라는 독특한 장식으로도 유명하다.[5]
2. 3. 건설 중단
무함마드 아민 칸 시기 칼타 미노르는 이슬람 국가에서 제일 큰 미나렛으로 지어질 예정이었으며, 그 높이는 14.2m에 달했다.[2] 원래 계획에 따르면 미나렛은 70~80m 높이로 건설될 예정이었고,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 높아질수록 지름이 작아질 예정이었다.[2] 심지어 73미터 높이의 인도 쿠트브 미나르를 능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첨탑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2] 그러나 이 건축물은 29m에서 건설이 중단되었다.[3]히바 칸국의 역사학자 무함마드 리자 아가키에 따르면, 이 미나렛은 1855년 무함마드 아민 칸의 사망으로 건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한다.[3] 물라 올림 막둠 하지는 "투르키스탄의 역사"에서 무함마드 아민 칸이 이란과의 전투에서 순교하여 첨탑이 미완성으로 남았다고 기록했다.[4]
전설에 따르면, 부하라 토후국에서 히바의 독특한 미나렛 건설 소식을 듣고 동일한 미나렛을 부하라에 짓기 위해 히바의 건축가를 초빙하려 했다고 한다. 히바의 칸은 건축가가 히바의 건축을 끝내면 즉시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 소식을 들은 건축가는 미나렛을 완성하지 않고 도망쳤다는 이야기가 있다.
칼타 미노르는 히바 칸국의 칸인 무하마드 아민 바하두르 칸이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크고 높은 첨탑으로 건설을 시작했다.[2]
이 첨탑은 히바의 시인이자 역사가이며 정치가인 무하마드 리자 오가지의 눈 앞에서 건설되었다. 무하마드 아민 칸 첨탑에는 오가지 시의 16개의 역사적인 구절 중 12개가 새겨져 있다. 내부의 나무 계단은 여러 번 수리되었다. 복원 중에 원래 형태로 복원된 비문은 첨탑을 천국에서 자라는 투보 나무에 비유하며, 하늘의 아치, 즉 천국의 돔을 지탱하는 기둥이라고 칭한다. 오가지는 첨탑 완공을 위한 여러 시적인 날짜를 썼다. 그 중 하나는 첨탑 위에 아름다운 유약 타일에 쓰여 있다. 이 글들은 소련 통치 기간 동안 훼손되고 찢겨져 나갔다.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한 후, 오가지의 원고를 통해 이 글들을 찾아 복원했다. 글자는 장인 루스탐 토히로프가 복원했다. 칼타 미노르는 미완성 상태뿐만 아니라 독특한 장식으로도 유명하다. 유약 타일로 완전히 덮인 유일한 첨탑이다.[5]
2. 4. 전설
히바 칸국의 역사학자 무함마드 리자 아가키에 따르면, 이 미나렛은 1855년 무함마드 아민 칸의 사망으로 건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부하라 토후국에서 히바에 독특한 미나렛을 건설한다는 소식을 듣고 부하라에도 동일한 미나렛을 짓기 위해 히바의 건축가를 불렀다고 한다. 히바의 칸은 건축가가 히바에서 건축을 끝내는 즉시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이 소식을 들은 건축가는 미나렛을 완성하지 않고 도망쳤다고 한다.3. 건축 양식
칼타 미노르의 장식에는 기하학적 패턴이 널리 사용된다. 2층에서 미나레트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다. 내부에는 위로 이어지는 나무 계단이 있으며, 계단은 자주 수리되었다. 흰색, 녹색, 청록색 타일이 장식에 사용된다. 청록색 타일이 자주 사용되어 '푸른 미나레트'라고도 불린다.
히바 건국 2500주년(1996–97)을 기념하여, 칼타 미노르 상부에서 떨어진 유약을 바른 타일 비문이 "Hayot" 합작 회사 설립자에 의해 완전히 복원되었고, 오가히/오가히fa의 페르시아어 "nasta’liq" 글씨도 복원되었다. 글자는 Rustam Tohirov에 의해 복원되었다. 칼타 미노르는 미완성이면서 독특한 장식으로 유명하다. 칼타 미노르는 유약을 바른 타일로 완전히 덮인 유일한 미나레트이다.
3. 1. 외관
칼타 미노르의 기하학적 패턴은 미나레트 장식에 널리 사용된다. 2층에서 미나레트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다. 내부에는 위로 이어지는 나무 계단이 있으며, 계단은 자주 수리되었다. 흰색, 녹색, 청록색 타일이 장식에 사용된다. 청록색 타일이 자주 사용되어 '푸른 미나레트'라고도 불린다.히바 건국 2500주년(1996–97)을 기념하여, 칼타 미노르 상부에서 떨어진 유약을 바른 타일 비문이 "Hayot" 합작 회사 설립자에 의해 완전히 복원되었고, 오가히/오가히fa의 페르시아어 "nasta’liq" 글씨도 복원되었다. 글자는 Rustam Tohirov에 의해 복원되었다. 칼타 미노르는 미완성이면서 독특한 장식으로 유명하다. 칼타 미노르는 유약을 바른 타일로 완전히 덮인 유일한 미나레트이다.
3. 2. 내부 구조
칼타 미노르의 장식에는 기하학적 패턴이 널리 사용된다. 2층에서 미나레트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다. 내부에는 위로 이어지는 나무 계단이 있으며, 이 계단은 자주 수리되었다. 흰색, 녹색, 청록색 타일이 장식에 사용되었으며, 청록색 타일이 많이 사용되어 '푸른 미나레트'라고도 불린다.히바 건국 2500주년(1996–97)을 기념하여, 칼타 미노르 상부에서 떨어진 유약을 바른 타일 비문이 "Hayot" 합작 회사 설립자에 의해 완전히 복원되었고, 오가히의 나스탈리크/نستعلیقfa 글씨도 복원되었다. 글자는 Rustam Tohirov에 의해 복원되었다. 칼타 미노르는 미완성이면서 독특한 장식으로 유명하다. 칼타 미노르는 유약을 바른 타일로 완전히 덮인 유일한 미나레트이다.
3. 3. 오가지의 시
4. 갤러리
5. 현대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Kalta Minor Minaret in Khiva
https://central-asia[...]
2023-11-07
[2]
웹사이트
Qutb Minar and its Monuments, Delhi
https://whc.unesco.o[...]
2023-11-07
[3]
웹사이트
Kalta minor (qisqa minora)
https://meros.uz/obj[...]
2023-09-16
[4]
웹사이트
Muhammad Aminxon. Muhammad Aminxon madrasasi
http://xorazmiy.uz/o[...]
2023-09-15
[5]
웹사이트
1000 yillik tarixga ega ustun, xon o‘limi sabab chala qolgan minora, zamonasining “konditsioner”i. Markaziy Osiyoda saqlanib qolgan yagona shahar-muzey — Ichan qal’aga sayohat
https://daryo.uz/202[...]
2023-09-15
[6]
서적
Firdavsmonand shahar
Xorazm Ma'mun akademiyasi nashriyoti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