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바는 고대 호라즘 문명의 중심지 중 하나로, 현재 우즈베키스탄 호라즘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6세기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10세기 아랍 지리서에 처음 등장한다. 16세기 초 히바 칸국의 수도가 되었고, 17세기부터 노예 시장으로 번성하여 "세계의 노예 수도"로 불리기도 했다. 1873년 러시아 제국에 점령된 후, 1920년 호라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가, 1924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1990년 이찬 칼라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레즘주 - 우르겐치
    우르겐치는 우즈베키스탄 호라즘주에 있는 도시로 아무다리야 강 근처에 위치하며, 과거 호라즘 지역의 중심지였으나, 13세기 몽골 침략과 16세기 아무다리야 강 흐름 변화 이후 소비에트 시대에 건설되어 면화와 비단 무역으로 번성하였고 현재는 히바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관문 역할을 하는 냉대 사막 기후의 도시이다.
  • 호레즘주 - 이찬 칼라
    이찬 칼라는 우즈베키스탄 히바에 위치한 10세기부터 20세기에 건설된 역사적인 성곽 도시로, 고대 호라즘 건축 양식을 반영하며 코냐 아르크, 주마 모스크 등 다양한 건축 유적을 보유하고 있어 1990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우즈베키스탄의 유적 - 사마르칸트
    사마르칸트는 우즈베키스탄 남동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다양한 왕조의 지배를 거치며 이슬람 문화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티무르 제국의 수도로서 건축과 문화가 번성했으며, 현재는 역사적인 건축물과 다양한 종교 시설을 보유한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도시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유적 - 이찬 칼라
    이찬 칼라는 우즈베키스탄 히바에 위치한 10세기부터 20세기에 건설된 역사적인 성곽 도시로, 고대 호라즘 건축 양식을 반영하며 코냐 아르크, 주마 모스크 등 다양한 건축 유적을 보유하고 있어 1990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우즈베키스탄의 도시 - 페르가나
    페르가나는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았고, 1875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석유 생산과 섬유 제조업이 주요 산업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도시 - 나보이
    나보이는 우즈베키스탄 나보이주에 위치한 도시로 알리셰르 나보이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실크로드의 중요한 지점이었고, 나보이광산제련콤비나트와 나보이아조트 같은 산업 시설과 자유산업경제구역, 역사 유적지, 국제공항, 철도 역 등을 갖춘, 2024년 기준 약 161,300명이 거주하는 도시다.
히바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Xiva / Хива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Khiva
현지어 명칭Xiva
Хива
건립일기원전 6세기
국가우즈베키스탄
행정 구역호라즘 주
시장테무르 다블레토프
우편 번호220900
지역 번호+998
공식 웹사이트히바 시 공식 웹사이트
지리
좌표41°22′53″N 60°21′40″E
인구
총 인구 (2021년)115,000명
기타
시간대UTC+5

2. 역사

히바는 기원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동이란어군에 속하는 호라즘어를 사용하는 아리아인들이 거주했다. 10세기에 튀르크족이 이란계 지배층을 대체하면서 점차 튀르크어족 사용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지역으로 변모했다.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히바 칸국을 병합하여 보호령으로 만들었다. 1919년, 지배 왕조의 마지막 칸이 숙청된 후 히바는 호라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1924년, 호라즘 오아시스는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현대 우즈베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의 일부로 분할되었다.[6]

히바는 실크로드의 중요한 거점 도시 중 하나였으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6세기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흔적이 발견된다. 그러나 히바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0세기 무슬림 여행자들의 기록에서 나타난다.[7] 17세기 초, 히바는 칭기스칸의 후예인 왕조가 통치하는 히바 칸국의 수도가 되었다.[7]

현대 히바의 모습은 주로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의 히바 칸국 시대의 건축 양식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러나 고고학 발굴 조사를 통해 "새로운" 건물 유적 아래에서 기원전 3세기, 혹은 그 이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지층이 발견되고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히바는 호라즘 문명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6세기에 이미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있지만, 10세기 무슬림 여행자들의 기록에 히바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나타난다.[7] 10세기 경 아랍 지리서에는 히바가 히와크(Khīwaq) 또는 하이와크(Khaywaq)로 기록되어 있다.[37]

초기 히바 주민들은 동이란어군에 속하는 호라즘어를 사용했던 아리아인들이었다. 그러나 10세기 이후 튀르크계 민족이 유입되면서 튀르크어가 주류 언어가 되었다.[6] 712년 아랍에 정복된 후 히바는 이슬람화되었다.[36]

메르브에서 쿠흐나 우르겐치(옛 우르겐치)로 이어지는 대상로 중간에 있던 샘을 중심으로 마을이 발전했다는 전승이 있으며, 현재도 이찬 카라 안에서 샘이 솟아나고 있다.[35]

2. 2. 히바 칸국 시대

16세기 초, 아무다리야 강의 수로 변화로 인해 쿠냐 우르겐치가 쇠퇴하면서 히바가 히바 칸국의 수도가 되었다.[36] 17세기 전반에 히바는 우르겐치 칸국의 새로운 수도로 선정되었고, 칸국의 이름은 수도의 이름을 따서 히바 칸국으로 불리게 되었다.

17세기에 히바는 노예 시장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수세기 동안 부하라와 히바는 주요 노예 무역 중심지로 알려졌으며, 히바의 노예 무역은 "세계의 노예 수도"로 불렸다.[8] 19세기 전반기에 약 3만 명의 페르시아인과 수가 알려지지 않은 러시아인이 노예로 팔려갔다. 그들 중 상당수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이찬 칼라의 건물 건설에 동원되었다.[7]

2014년 히바의 팔반 문 사진. 19세기 초에 건설되었으며 대규모 노예 시장과 처벌 및 처형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한때 부하라의 자니드 왕조에 의해 지배되었고, 1740년에는 이란나디르 샤의 공격을 받아 히바는 파괴된다.[36]

2. 3.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 시대

1873년,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복 과정에서 러시아 장군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이 히바를 공격하여 5월 28일에 함락시켰다.[6] 러시아 제국히바 칸국을 장악했지만, 히바 칸국은 명목상 준독립적인 보호령으로 남아 있도록 허용되었다.

러시아군의 히바 공략을 그린 바실리 베레시차긴의 그림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러시아에서 권력을 장악한 후, 1920년 4월부터 히바는 호라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1920-1924)의 수도가 되었다.[6] 1920년 당시 히바에는 94개의 모스크(사원), 63개의 마드라사(신학교) 외에도 많은 바자르와 공방이 존재했다. 1924년 소련에 편입되기 전 민족 경계 설정 작업의 결과, 호라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은 폐지·분할되어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성립되었고, 히바는 우즈베키스탄에 할당되었다.[6]

3. 어원

'히바'라는 지명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여러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전통적인 이야기에 따르면, 노아의 아들 이 홍수 후 사막에서 잠들었다가 300개의 타오르는 횃불을 꿈꿨다고 한다. 그는 이 징조를 기뻐하며 꿈에서 본 횃불 배치대로 배 모양의 도시를 건설하고 케이바크(Kheyvak) 우물을 팠는데, 그 물맛이 놀라웠다고 한다. 이 우물은 오늘날에도 히바 시 내부 도시인 이찬 칼라에서 볼 수 있다.[5]

또 다른 주장은 '히바'라는 이름이 호라즘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으며, 튀르크어 차용 과정에서 히바레젬(Khivarezem)으로 변형된 후 히바(Khiva)로 줄었다는 것이다.

이 도시는 페르시아어 خیوه|Xīvehfa로도 알려져 있으며, 다른 이름이나 역사적인 이름으로는 ''오르군제(Orgunje)'', ''히바(Kheeva)'', ''호라삼(Khorasam)'', ''호라즘(Khoresm)'', ''호라즘(Khwarezm)'', ''호라즘(Khwarizm)'', ''호라즘(Khwarazm)'', ''코레즘(Chorezm)'', خوارزمar 및 خوارزمfa 등이 있다.

메르브에서 쿠흐나 우르겐치(옛 우르겐치)로 이어지는 대상로 중간에 있던 샘을 중심으로 마을이 발전했다는 전승이 남아 있으며, 현재도 이찬 칼라 안에서 샘이 솟아나고 있다.[35]

4. 문화유산

히바는 '박물관 도시'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 히바의 모습은 주로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의 히바 칸국 시대 건축 양식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러나 고고학 발굴 조사 결과, 기원전 3세기 혹은 그 이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지층도 발견되고 있다.

히바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 디찬 칼라(Dichan Kala): 외곽 도시는 이전에 11개의 문이 있는 성벽으로 보호되었다.
  • 이찬 칼라(Itchan Kala): 내곽 도시. 기초가 10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여겨지는 벽돌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현재의 톱니 모양의 성벽은 17세기 후반에 지어졌으며 높이가 10미터에 달한다.


히바의 건축물 대부분은 도시 중심부인 이찬 칼라에 집중되어 있다. 이찬 칼라는 세계의 각 방향에 네 개의 문이 있는 강력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 속의 도시"이다. 주요 도로 중 하나는 서쪽 문에서 동쪽 문까지 이어지며, 주요 기념비적인 건물들이 이 도로를 따라 밀집해 있다.

이찬 칼라에는 셰르가지 칸 마드라사(Sherghazi Khan madrassah)를 포함하여 여러 개의 마드라사(교육 기관)가 있다. 셰르가지 칸 마드라사는 18세기에 노예들에 의해 건축되었으며, 현재 히바의 중심지인 이찬 칼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이다. 이 마드라사의 유명한 학생들 중에는 우즈베크 시인 라우낙(Raunaq), 카라칼파크족 시인 카시바이율리(Kasybayuly), 투르크멘 시인이자 수피 마그티무굴리가 있다.[10]

코라즘은 세계 문명의 주요 중심지이자 실크로드의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로서, 보편적 중요성을 지닌 가치 목록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4. 1. 이찬 칼라

이찬 칼라는 히바의 내성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10세기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벽돌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현재의 성벽은 17세기 후반에 건설되었다.

이찬 칼라 지역에는 50개 이상의 역사적 기념물과 250개 이상의 오래된 가옥이 보존되어 있다. 주요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주마 모스크: 10세기에 세워졌고 1788~89년에 재건되었지만, 히포스타일 홀에는 여전히 고대 건축물에서 가져온 112개의 기둥이 남아 있다.[9]
  • 칼타 미노르: 중앙 광장에 있는 큰 파란색 탑으로, 원래 미나레트가 될 예정이었다. 1851년 모하메드 아민 칸에 의해 건설되었지만, 칸이 사망하여 후임 칸이 완공하지 못했다.
  • 무함마드 아민 칸 마드라사: 보존된 고등 신학 교육 기관 건물 중 가장 큰 규모이다.
  • 파흘라본 마흐무드 묘역: 사후에 도시의 수호 성인으로 추앙받은 존경받는 히바의 시인을 기념하여 건설되었다.
  • 이슬람호자 마드라사와 미나렛: 45미터 높이의 미나렛은 히바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다.

4. 2. 디샨 칼라

디샨 칼라는 히바의 외성으로, 과거에는 11개의 성문으로 도시를 보호했다. 디샨 칼라 지역에도 많은 고대 건축 기념물이 남아 있다.[35] 히바 칸국 시대에는 디샨 칼라에 직종별로 구획된 지역에 장인들이 거주했다.

5. 산업

"히바카펫" 주식회사, 목화 정제 및 진닝 공장, "히바 길라미" 주식회사 등 여러 카펫 직조 기업과 제빵 공장, 농민 시장 등이 운영되고 있다.[11] 우르겐치 대학교 농업 경영 전문 분교, 우즈베키스탄 과학 아카데미 호라즘 마문 아카데미, 코라쿰 과학 연구소, 사범대학, 의과대학, 관광대학 등이 있다.[11][12] "히바-샤르크 가브하리" 잡지(2001년 창간)와 "히바 통기" 지역 신문이 발행된다.[16]

6. 교통

우르겐치 국제공항이 히바에서 가장 가까운 공항이며, 타슈켄트와 매일 1~2편의 항공편이 운항된다.[16] 우르겐치에서는 버스, 트롤리버스, 마르슈루트카를 이용할 수 있다.

2018년에 우르겐치에서 히바까지 철도가 연장되었다.[16] 히바역은 시내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약 3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타슈켄트와 야간 열차로 연결된다. 2023년 현재 고속철도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1997년에 개통된 트롤리버스 노선이 히바와 우르겐치 사이에 운행 중이다.[16] 버스와 미니버스(마르슈루트카) 노선은 히바를 타슈켄트, 부하라, 나보이, 사마르칸트, 우르겐치, 쿠쉬코피르, 양기아릭 구, 보곳 구, 하조라스프 및 주변 주요 도시와 연결한다.[16]

7. 자매 도시

국가도시
United States|미국영어앤커니
ایران|이란fa니샤푸르
ایران|이란fa야즈드
España|스페인es산로렌소델에스코리알


8. 주요 인물


  • 타마라 아바예바 (1927년생): 역사가.
  • 사이드 압둘라 (1873년–1933년): 1918년–1920년 히바 칸국의 칸.
  • 후다이베르겐 데바노프 (1879년–1940년): 사진가.
  • 이슬람 호자 (1872년–1913년): 히바 칸국의 대비지르.
  • 이스라일 마드리모프 (1995년생): 권투 선수.
  • 베크존 라흐모노프 (1887년–1929년): 정치인.
  • 팔바니야즈 호자 유수포프 (1861년–1936년): 정치인.
  • 무함마드 라힘 칸 2세 (1864년–1910년): 1864년부터 1910년까지 히바 칸국의 칸.

참조

[1] PDF Viloyat bo'yicha shahar va qishloq aholisi soni https://www.xorazmst[...] Xorazm regional department of statistics 2022-02-15
[2] 웹사이트 Classification system of territorial unit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https://stat.uz/uplo[...] The State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on statistics 2020-07-00
[3] 서적 Архитектурные памятники Хивы. (Путеводитель), Ташкент, 1972; Хива. (Архитектура. Фотоальбом), Л., 1973; Г. Пугаченкова, Термез, Шахрисябз, Хива, (М„ 1976). Ташкент, Л., М.
[4] 웹사이트 Patrologia Orientalis Tom. Decimus, p.291 https://archive.org/[...]
[5] 서적 Khiva: The City and the Legends Davr Nashriyoti LLC
[6] 웹사이트 khiva https://samarkandtou[...] 2021-03-09
[7] 웹사이트 Khiv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8-05-16
[8] 서적 The First English Explorer: The Life of Anthony Jenkinson (1529-1611) and His Adventures on the Route to the Orient Matador
[9] 웹사이트 Khiva Travel Guide https://caravanistan[...] 2021-03-13
[10] 웹사이트 Shergazi-Khan Madrasah, Khiva https://www.advantou[...] 2021-06-17
[11] 웹사이트 ANATOLIY YERSHOV. XIVA — QO'RIQXONA SHAHAR (1988) https://www.ziyouz.c[...] 2016-08-18
[12] 웹사이트 Xudoybergan Devonov - birinchi o'zbek fotografining boy ijodi va ayanchli qismati https://kun.uz/uz/ne[...]
[13] 웹사이트 Xiva https://uztarix.naro[...]
[14] 웹사이트 Xiva – o'tmishga ochilgan vaqt darvozasi https://otpusk.uz/uz[...]
[15] 웹사이트 Fotojamlanma: Xiva - Jahon merosi durdonasi joylashgan shahar https://kun.uz/uz/ne[...]
[16] 웹사이트 ANATOLIY YERSHOV. XIVA — QO'RIQXONA SHAHAR (1988) https://www.intravel[...]
[17] 웹사이트 Khiva and San Lorenzo del Escorial have become sister cities http://uzdaily.com/e[...]
[18] 웹사이트 Cultural Capital of the Turkic World 2016: Sheki :: TURKSOY http://www.turksoy.o[...] 2016-05-17
[19] 웹사이트 The Cultural Capital of the Turkic World 2018: Kastamonu :: TURKSOY https://www.turksoy.[...]
[20] 웹사이트 Özbekistan'ın Hive şehri 2020 Türk Dünyası Kültür Başkenti seçildi https://www.aa.com.t[...]
[21] 웹사이트 Osmanlı'nın ilk başkenti Bursa 2022 Türk Dünyası Kültür Başkenti seçildi :: TÜRKSOY https://www.turksoy.[...]
[22] 웹사이트 Azerbaycan'ın Şuşa kenti "2023 Türk Dünyası Kültür Başkenti" ilan edildi - Avrasya'dan - Haber https://www.trtavaz.[...]
[23] 웹사이트 Türkmenistan’ın tarihî Anev kenti 2024 Türk Dünyası Kültür Başkenti seçildi https://www.turksoy.[...]
[24] 웹사이트 TÜRKSOY, 2025 yılına ilişkin kararlar aldı - Avrasya'dan - Haber https://www.trtavaz.[...]
[25] 웹사이트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convened the Meeting of the Working Group on Tourism https://www.turkkon.[...]
[26] 웹사이트 TDT Türk Dünyası Turizm Başkenti Kapanış Töreni Şamahı'da gerçekleştirildi https://www.turkicst[...]
[27] 웹사이트 Jalal-Abad announced as the “Turkic World Tourism Capital” for 2025 https://www.turkicst[...]
[28] 웹사이트 Türk Devletleri Teşkilatı Gençlik ve Spordan Sorumlu Bakanlar 7. Toplantısı Azerbaycan'ın Baskal kentinde toplandı https://www.turkicst[...]
[29] 웹사이트 Azerbaycan'ın Guba şehri 'Türk Devletleri Teşkilatı Tarım Başkenti' ilan edildi https://www.trthaber[...] 2023-09-26
[30] 웹사이트 Türk Devletleri Teşkilatının tarım bakanları Kazakistan'da toplandı https://www.aa.com.t[...]
[31] 웹사이트 The Eleventh Summit of the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convened in Bishkek https://www.turkicst[...]
[32] 웹사이트 Turkistan Declaration of the Informal Summit of the Cooperation Council of Turkic Speaking States https://www.turkkon.[...]
[33] 웹사이트 SAMARKAND DECLARATION OF THE NINTH SUMMIT OF THE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https://www.turkkon.[...]
[34] PDF Viloyat bo'yicha shahar va qishloq aholisi soni https://www.xorazmst[...]
[35] 서적 シルクロード事典
[36] 서적 ロシアを知る事典 (러시아를 아는 사전)
[37] 서적 世界地名大事典 (세계 지명 대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