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를 통해 FIFA 공인 경기를 시작했다.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처음 출전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4년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3위, 2015년 올 아프리카 게임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서아프리카 축구 연합(WAFU) B존 우먼컵에서 두 번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 9월 기준, 선수 명단과 FIFA 여자 월드 랭킹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1992년, 2015년, 2023년에 우승했으며, FIFA 월드컵에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3회 연속 본선에 진출했다.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코트디부아르에서 8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아비장과 부아케에서 개최되어 카메룬이 나이지리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집트의 타헤르 아부제이드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를 대표하는 팀으로,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등의 초기 성적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SAFF 여자 챔피언십 4연패 등으로 부활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 본선 진출은 아직 이루지 못했으며, 현재 주장은 Loitongbam Ashalata Devi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 아라비아컵으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나, 국제 대회 성적은 저조하고 AFC 여자 아시안컵 및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며, 정보 부족으로 선수 명단이나 코칭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다.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FIFA 트리그램 | CIV |
FIFA 최고 랭킹 | 59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17년 3월 |
FIFA 최저 랭킹 | 78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07년 12월 |
협회 정보 | |
협회 | 코트디부아르 축구 연맹 |
하위 연맹 | 서아프리카 축구 연맹(서아프리카) |
대륙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아프리카) |
코칭 스태프 | |
감독 | 클레망틴 투레 |
주장 | 신시아 조호레 |
유니폼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civ20h pattern_b1: _civ20h pattern_ra1: _civ20h pattern_sh1: _civ20h pattern_so1: _civ20h leftarm1: FF8000 body1: FF8000 rightarm1: FF8000 shorts1: FF8000 socks1: FF8000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civ20a pattern_b2: _civ20a pattern_ra2: _civ20a pattern_sh2: _civ20a pattern_so2: _civ20a leftarm2: 0e6b51 body2: FFFFFF rightarm2: 0e6b51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통계 | |
첫 경기 | 0–3 }} (포산 시, 중국; 1988년 6월 1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11–0 }} (아비장, 코트디부아르; 2021년 10월 25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0–10 }} (오타와, 온타리오 주, 캐나다; 2015년 6월 7일) |
월드컵 출전 횟수 | 1 |
월드컵 첫 출전 | 2015년 |
월드컵 최고 성적 | 조별 리그 (2015년) |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 | 2 |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첫 출전 | 2012년 |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최고 성적 | 3위 (2014년) |
아프리칸 게임 출전 횟수 | 1 |
아프리칸 게임 첫 출전 | 2015년 |
아프리칸 게임 최고 성적 | 동메달 (2015년) |
2. 역사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8년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FIFA 공인 첫 경기를 치렀다.[3] 당시 코트디부아르를 포함한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존재하지 않았다.[2]
코트디부아르의 초기 국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회 | 경기일 | 장소 | 상대팀 | 결과 |
---|---|---|---|---|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 | 1988년 6월 1일 | 포산 | 네덜란드 | 0-3 패 |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 | 1988년 6월 3일 | 포산 | 캐나다 | 0-6 패 |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 | 1988년 6월 5일 | 광저우 | 중국 | 1-8 패 |
제1회 리옹컵 여자대회 | 1992년 4월 17일 ~ 20일 | 리옹 | 미국 U-20 | 0-4 패 |
제1회 리옹컵 여자대회 | 1992년 4월 17일 ~ 20일 | 리옹 | CIS | 0-3 패 |
제1회 리옹컵 여자대회 | 1992년 4월 17일 ~ 20일 | 리옹 | 프랑스 | 1-6 패 |
여자 솔리다리테 토너먼트 | 2005년 5월 18일 | 다카르 | 말리 | 1-6 패 |
여자 솔리다리테 토너먼트 | 2005년 5월 20일 | 다카르 | 세네갈 | 3-3 무 |
2006년 5월 17일 | 다카르 | 토고 | 3-3 무 | |
5개국 토너먼트 | 2007년 9월 2일 | 와가두구 | 말리 | 1-1 무 |
5개국 토너먼트 | 2007년 9월 5일 | 와가두구 | 토고 | 5-0 승 (토고 클럽팀 출전으로 자격 박탈) |
5개국 토너먼트 | 2007년 9월 6일 | 와가두구 | 말리 | 1-2 패 |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예선 | 2010년 | 기니 | 5-1 승 | |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예선 | 2010년 | 말라위 | 2-4 패 | |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예선 | 2010년 | 가봉 | 2-1 승, 3-1 승 | |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예선 | 2010년 | 나이지리아 | 1-2 패, 1-3 패 |
2002년 2경기,[18] 2003년과 2004년 무경기,[18] 2005년 3경기,[18] 2006년 2경기를 치렀다.[18] 2005년 세네갈 다카르에서 열린 여자 솔리다리테 토너먼트에서 최하위를 기록했고,[6] 2007년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에서 열린 5개국 토너먼트에서 토고를 5-0으로 이겼지만, 토고가 클럽팀을 출전시켜 자격이 박탈되었다.[8] 2011년 올 아프리카 게임에는 참가하지 않았다.[11]
2006년 기준 U-17 또는 U-20 대표팀은 없었다.[18] 2012년 6월 FIFA 랭킹은 67위, CAF 랭킹은 6위였다.[12] 이는 2012년 3월 세계 랭킹 71위보다 4계단 상승한 것이다. 2011년에는 세계 랭킹 136위로 최악의 랭킹을 기록하기도 했다.[13]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는 식민 시대에 제한적인 발전을 겪었다. 식민 열강이 가부장제와 여성 스포츠 참여에 대한 제한적인 개념을 가져왔기 때문이다.[16]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교육 기회 제한, 여성 빈곤, 사회적 불평등과 같은 요인들이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발전을 저해했다.[14] 또한, 대륙 전체적으로 자금 지원 부족 문제도 존재한다.[15]
1975년 코트디부아르에 여자 축구 프로그램이 설립되었고,[17] 2006년에는 610명의 등록된 여자 선수가 있었다.[18] 2009년에는 여자 시니어 팀 36개와 유소년 팀 4개가 운영되었다.[17] 코트디부아르 축구 협회는 1960년에 설립되었고 1964년 FIFA에 가입했다.[18][20][19]
2014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며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사상 처음으로 진출했다.[1] 그러나 본선 조별리그에서 독일, 태국, 노르웨이에 3전 전패를 당하며 최하위로 탈락했다.[1]
2. 1. 초창기
1985년 당시 코트디부아르를 포함한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없었다.[2] 코트디부아르는 1988년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처음으로 FIFA 공인 경기를 치렀다.[3]코트디부아르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회 | 경기일 | 장소 | 상대팀 | 결과 |
---|---|---|---|---|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 | 1988년 6월 1일 | 포산 | 네덜란드 | 0-3 패 |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 | 1988년 6월 3일 | 포산 | 캐나다 | 0-6 패 |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 | 1988년 6월 5일 | 광저우 | 중국 | 1-8 패 |
제1회 리옹컵 여자대회 | 1992년 4월 17일 ~ 20일 | 리옹 | 미국 U-20 | 0-4 패 |
제1회 리옹컵 여자대회 | 1992년 4월 17일 ~ 20일 | 리옹 | CIS | 0-3 패 |
제1회 리옹컵 여자대회 | 1992년 4월 17일 ~ 20일 | 리옹 | 프랑스 | 1-6 패 |
여자 솔리다리테 토너먼트 | 2005년 5월 18일 | 다카르 | 말리 | 1-6 패 |
여자 솔리다리테 토너먼트 | 2005년 5월 20일 | 다카르 | 세네갈 | 3-3 무 |
2006년 5월 17일 | 다카르 | 토고 | 3-3 무 | |
5개국 토너먼트 | 2007년 9월 2일 | 와가두구 | 말리 | 1-1 무 |
5개국 토너먼트 | 2007년 9월 5일 | 와가두구 | 토고 | 5-0 승 (토고 클럽팀 출전으로 자격 박탈) |
5개국 토너먼트 | 2007년 9월 6일 | 와가두구 | 말리 | 1-2 패 |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예선 | 2010년 | 기니 | 5-1 승 | |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예선 | 2010년 | 말라위 | 2-4 패 | |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예선 | 2010년 | 가봉 | 2-1 승, 3-1 승 | |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예선 | 2010년 | 나이지리아 | 1-2 패, 1-3 패 |
2002년에는 2경기,[18] 2003년과 2004년에는 경기를 치르지 않았다.[18] 2005년에는 3경기,[18] 2006년에는 2경기를 치렀으며,[18] 주 3회 훈련을 실시했다.[18] 2005년 세네갈 다카르에서 열린 여자 솔리다리테 토너먼트에서는 결승 진출에 실패했고, 최종 순위는 최하위였다.[6] 2007년 와가두구에서 열린 5개국 토너먼트에서 9월 5일 토고를 5-0으로 이겼지만, 토고가 클럽팀을 출전시켜 자격이 박탈되었다.[8] 2011년 올 아프리카 게임에는 참가하지 않았다.[11]
국가대표팀은 아비장에서 훈련을 받았다.[17] 2006년 기준으로 U-17 또는 U-20 대표팀은 없었다.[18] 2012년 6월 FIFA 랭킹 67위, CAF 랭킹 6위를 기록했다.[12] 이는 2012년 3월 세계 랭킹 71위보다 4계단 상승한 것이다. 최악의 랭킹은 2011년 세계 136위였다. 그 외 2006년 73위, 2007년 75위, 2008년 74위, 2009년 92위, 2010년 77위를 기록했다.[13]
2. 2. 발전 과정
식민 시대에 식민 열강이 아프리카 대륙에 축구를 전파했을 당시, 여성 축구의 초기 발전은 제한적이었다. 당시 식민 열강은 그 지역의 문화에 이미 뿌리내린 유사한 개념과 함께 가부장제와 여성의 스포츠 참여 개념을 가져왔기 때문이다.[16] 이후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국제적 수준에서의 발전 부족은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요인의 결과인데, 여기에는 교육 기회의 제한, 사회 전반의 여성 빈곤, 그리고 여성 특유의 인권 침해를 가끔 발생하게 하는 사회적 불평등이 포함된다.[14] 실력 있는 여자 축구 선수들이 배출되더라도 더 나은 기회를 찾아 해외로 나가는 경향이 있다.[15] 대륙 전체적으로 자금 지원도 문제인데, 대부분의 개발 자금은 FIFA가 아닌 국가 축구 협회에서 나오지 않는다.[15]아프리카 여성 축구의 미래 성공은 여성들이 시설을 개선하고 이용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현재 대륙 전역에서 많은 유소년 및 여성 축구 캠프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축구를 상업화하고 수익성 있게 만드는 것이 해결책이 아님을 알 수 있다.[16] 핸드볼, 농구, 육상에 이어 축구는 코트디부아르에서 네 번째로 인기 있는 여자아이 스포츠이다.[18] 1975년 코트디부아르에 여자 축구 프로그램이 설립되었고,[17] 학교에서 여자아이 축구가 행해진다.[18] 선수 등록은 9세부터 시작된다.[17]
2006년에는 610명의 등록된 여자 선수가 있었는데, 그중 560명이 시니어 선수였고 50명이 18세 미만이었다.[18] 이는 2002년 130명, 2003년 220명, 2004년 253명, 2005년 428명이었던 것에 비해 증가한 수치이다.[18] 2006년에는 코트디부아르에 123개의 축구 클럽이 있었고, 그중 11개가 여성 전용 팀이었다.[18] 2009년 현재 여자 시니어 팀 36개와 유소년 팀 4개가 있다.[17] 학교 기반 대회도 존재한다.[17]
코트디부아르 축구 협회는 1960년에 설립되었고 1964년 FIFA에 가입했다.[18][20][19] 유니폼은 주황색 상의, 흰색 반바지, 녹색 양말이다.[20] 국가 위원회에는 여자 축구를 담당하는 전담 직원이 없고,[18] 여성 축구의 대표성은 협회 헌장에 보장되지 않는다.[18] FIFA 코드는 CIV이다.[21] 2007년 코트디부아르에서 FIFA가 주관하는 여자 축구 MA 코스가 개설되었다.[17]
2. 3. 2015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
2014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3위에 입상하며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사상 처음으로 진출했다. 그러나 본선에서는 독일, 태국, 노르웨이를 상대로 승점을 1점도 얻지 못한 채 3전 전패·B조 최하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대회 순위에서도 24팀 가운데 23위라는 처참한 성적을 기록했다.[1]3. 국제 대회 경력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 올림픽,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아프리칸 게임, 서아프리카 축구 연합(WAFU) B존 우먼컵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해왔다.
대회 | 결과 |
---|---|
FIFA 여자 월드컵 | 1회 본선 진출 (2015년, 조별 리그 탈락) |
올림픽 | 본선 진출 없음 |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 2회 본선 진출 (2012년 조별 리그, 2014년 3위) |
아프리칸 게임 | 1회 참가 (2015년, 3위) |
WAFU B존 여자 컵 | 2회 참가 (2018년, 2019년 준우승)[1] |
3. 1. FIFA 여자 월드컵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한 2014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3위에 입상하며 사상 첫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본선에서는 독일, 태국, 노르웨이를 상대로 승점 1점도 얻지 못한 채 3전 전패·B조 최하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대회 순위에서도 24팀 가운데 23위라는 처참한 성적으로 대회를 마감했다.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1991 | 참가하지 않음 | |||||||
1995 | ||||||||
1999 | ||||||||
2003 | 예선 탈락 | |||||||
2007 | ||||||||
2011 | ||||||||
2015 | 조별 리그 | 23위 | 3 | 0 | 0 | 3 | 3 | 16 |
2019 | 예선 탈락 | |||||||
2023 | ||||||||
2027 | 미정 | |||||||
총계 | 1/10 | - | 3 | 0 | 0 | 3 | 3 | 16 |
2015 | 조별 리그 | 6월 7일 | (독일) | 패 0–10 | TD 플레이스 스타디움, 오타와 | |||||
---|---|---|---|---|---|---|---|---|---|---|
6월 11일 | (태국) | 패 2–3 | ||||||||
6월 15일 | (노르웨이) | 패 1–3 | 몽크턴 스타디움, 몽크턴 |
3. 2. 올림픽
- 무승부에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가 포함됩니다.
- 1996 - 불참
- 2000 - 불참
- 2004 - 불참
- 2008 - 예선 탈락
- 2012 - 예선 탈락
- 2016 - 예선 탈락
3. 3.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는 2번 본선에 올라 그 중 2014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며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역대 최고 성적을 달성했고, 이에 앞선 2012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에티오피아와의 B조 조별 리그 1차전에서 5-0의 대승을 거두며 대회 통산 첫 승을 올리기도 했다.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1 | 불참 | |||||||
1995 | ||||||||
1998 | ||||||||
2000 | ||||||||
2002 | 예선 탈락 | |||||||
2004 | 불참 | |||||||
2006 | 예선 탈락 | |||||||
2008 | ||||||||
2010 | ||||||||
2012 | 조별 리그 | 3 | 1 | 0 | 2 | 7 | 7 | |
2014 | 3위 | 5 | 2 | 1 | 2 | 8 | 8 | |
2016 | 예선 탈락 | |||||||
2018 | 예선 탈락 | |||||||
2020 | 코로나19로 인해 취소 | |||||||
2022 | 예선 탈락 | |||||||
2024 | 예선 탈락 | |||||||
총계 | 2/13 | 8 | 3 | 1 | 4 | 15 | 15 |
3. 4. 아프리칸 게임
2015년 대회에 유일하게 출전하여 이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얻어냈다.아프리카 경기 대회 기록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3 | 불참 | |||||||
2007 | ||||||||
2011 | 예선 탈락 | |||||||
2015 | 3위 | 5 | 4 | 0 | 1 | 6 | 3 | |
2019 | 예선 탈락 | |||||||
2023 | 불참 | |||||||
합계 | 0/4 | 0 | 0 | 0 | 0 | 0 | 0 |
3. 5. 서아프리카 축구 연합(WAFU) B존 우먼컵
코트디부아르는 2018년과 2019년 대회에 연속으로 참가하여 두 대회에서 모두 준우승을 차지했다.[1]WAFU B 지역 여자 컵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2018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11 | 2 |
2019 | 준우승 | 2위 | 5 | 3 | 2 | 0 | 12 | 2 |
4. 선수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정보는 최신 통계가 공식적으로 제공되지 않아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2024년 아프리카 여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참가한 선수 명단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FA 여자 월드랭킹은 2007년 9월 72위로 시작하여, 2012년 6월 67위(최고 순위), 2011년 12월 136위(최저 순위)를 기록했다.[1][2][3]
4. 1. 현재 선수 명단
2023년 9월 2024년 아프리카 여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위해 소집된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22]포지션 | 이름 | 클럽 (소속 국가) |
---|---|---|
GK | 신시아 조호레(Cynthia Djohore) | 아틀레티코 (CIV) |
GK | 모니크 니암인(Monique Gnamien) | AFAN (CIV) |
GK | 아미나타 디아바테(Aminata Diabate) | 유벤투스 (CIV) |
DF | 파투 쿨리발리(Fatou Coulibaly) | 소속팀 없음 |
DF | 마리암 디아키테(Mariam Diakité) | 플뤼리 (FRA) |
DF | 니나 크파호(Nina Kpaho) | 베일레르베이 (TUR) |
DF | 마토바 시세(Matoba Cissé) | 아틀레티코 (CIV) |
DF | 레이몽드 카쿠(Raymonde Kacou) | 아틀레티코 말라보 (EQG) |
DF | 마리암 시디베 | 인터 다비단 (CIV) |
DF | 마리 드니스 야포(Marie Denise Yapo) | 인테르 다비단 (CIV) |
MF | 레베카 게하이(Rebecca Guehai) | 스포르팅 우엘바 (ESP) |
MF | 베르나데트 아마니(Bernadette Amani) | 에이바르 (ESP) |
MF | 실비안 코코라(Sylviane Kokora) | SC 카사블랑카 (MAR) |
MF | 에스텔 니알리(Estelle Gnaly) | 파룰 콘스탄차(Farul Constanța) (ROU) |
MF | 예티 두두 투레(Yeti Doudou Touré) | 인테르 다비단(Inter d’Abidjan) (CIV) |
MF | 마리 루이즈 니엔 미 옐레(Marie Louise Nien Mi Yele) | 아프리카 스포르트 다비단(Africa Sports d'Abidjan) (CIV) |
FW | 로즈몽드 쿠아시(Rosemonde Kouassi) | 워싱턴 스피릿(Washington Spirit) (US) |
FW | 앙주 니게산(N'Guessan) | UD 테네리페(UD Tenerife) (ESP) |
FW | 산드린 베히난(Behinan) | 인테르 다비단 (CIV) |
FW | 산드린 니아미엔(Niamien) | 인테르 다비단 (CIV) |
FW | 아케비 아브로그아(Akebie Abrogoua) | 아프리카 스포르트 다비단(Africa Sports d'Abidjan) (CIV) |
4. 2. FIFA 여자 월드랭킹
FIFA 여자 월드랭킹이 처음 생긴 2007년 9월 당시 72위로 처음 등장하였다.[1] 이후 2012년 6월에 67위로 최고 순위를 기록했고,[2] 2011년 12월에는 136위로 최저 순위를 기록했다.[3]참조
[1]
웹사이트
FIFA
https://www.fifa.com[...]
[2]
서적
Soccer
https://books.google[...]
ABDO
2012-01-01
[3]
웹사이트
Results: Côte d'Ivoire
https://web.archive.[...]
FIFA
2009-09-29
[4]
웹사이트
Women's FIFA Invitational Tournament 1988
https://www.rsssf.or[...]
Rsssf.com
2011-01-13
[5]
웹사이트
Lyon'ne Cup (Women) 1992–1993
https://www.rsssf.or[...]
Rsssf.com
2003-06-19
[6]
웹사이트
Tournoi de Solidarité (Women) 2005 (Dakar, Senegal)
https://www.rsssf.or[...]
Rsssf.com
2010-01-15
[7]
웹사이트
Results: Togo
https://web.archive.[...]
FIFA
2009-09-29
[8]
웹사이트
Tournoi de Cinq Nations (Women) 2007
https://www.rsssf.or[...]
Rsssf.com
2008-03-06
[9]
웹사이트
Fixtures — African Women Championship 2010 – CAF
http://www.cafonline[...]
Cafonline.com
[10]
웹사이트
Africa — Women's Championship 2010
https://www.rsssf.or[...]
Rsssf.com
[11]
웹사이트
Groups & standings — All Africa Games women 2011 – CAF
http://www.cafonline[...]
Cafonline.com
[12]
웹사이트
The FIFA Women's World Ranking
https://web.archive.[...]
FIFA.com
2009-09-25
[13]
웹사이트
World Rankings
https://web.archive.[...]
FIFA
2009-09-25
[14]
서적
A Beautiful Game: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Women's Football
https://books.google[...]
Berg
2007-12-15
[15]
서적
Soccer Vs. the State: Tackling Football and Radical Politics
https://books.google[...]
PM Press
2011-02-24
[16]
서적
African Soccerscapes: How a Continent Changed the World's Game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2010-03-02
[17]
웹사이트
Goal! Football: Côte d'Ivoire
https://web.archive.[...]
FIFA
2009-11-03
[18]
학술지
Women's Football Today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Goal! Football: Côte d'Ivoire
https://web.archive.[...]
FIFA
2009-11-03
[20]
서적
The Cassell soccer companion : history, facts, anecdotes
Cassell
[2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cce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09-16
[22]
웹사이트
squad for WAFCON qualification
https://twitter.com/[...]
[23]
웹사이트
01/06/1988 Foshan Côte d'Ivoire 0:3 Netherlands
http://www.fif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