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키나파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르키나파소는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초기 역사는 기원전 12000년경부터 시작되어 모시족을 중심으로 여러 왕국이 번성했다. 1896년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고, 1960년 독립하여 여러 차례의 쿠데타를 겪었다. 1984년 국호를 부르키나파소로 변경했으며, 2015년 민간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2022년과 2024년의 쿠데타를 거치며 불안정한 정세를 겪고 있다. 지형은 평원과 사암 지괴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후는 열대 사바나 기후로, 가뭄과 홍수가 빈번하다. 모시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이슬람교가 다수를 차지한다. 농업이 주된 산업으로 면화, 금 등의 수출에 의존하며, 경제 수준은 아프리카 최저 수준이다. 문화적으로는 구전 전통, 가면극, 음악, 영화 등이 발달했으며, 와가두구에서 열리는 FESPACO 영화제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정치는 대통령 중심의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13개 주로 행정 구역이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코포니 회원국 - 세네갈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세네갈 공화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 이슬람교를 배경으로 농업, 어업, 관광 등의 경제 부문을 기반으로 하며,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후 비교적 안정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는 다중 언어 국가이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가봉
가봉은 중앙아프리카 서부에 위치한 대통령 공화제 국가로,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후 봉고 가문이 장기 집권했으나 2023년 쿠데타로 알리 봉고 온딤바 대통령이 축출되었으며,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자원 의존적인 경제 구조와 부정부패 문제를 안고 있다. - 내륙국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 내륙국 - 에스와티니
에스와티니 왕국은 아프리카 남부의 내륙국으로, 영국에서 독립 후 국명을 변경했으며, 국왕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잠비크와 국경을 접하며,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를 가지고 있고, 높은 HIV/AIDS 감염률과 빈곤이 사회 문제이다. -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부르키나파소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명칭 | 부르키나파소 |
현지 명칭 | |
표어 (번역) | 조국 또는 죽음, 우리는 승리하리라 |
국가 | 디타니에 |
수도 | 와가두구 |
최대 도시 | 수도 |
공용어 | 무어어 줄라어 풀라어 |
작업 언어 | 영어 프랑스어 |
면적 | 274,223 km² |
인구 (2023년 추정) | 22,489,126 명 |
인구 밀도 | 64 명/km² |
통화 | 서아프리카 CFA 프랑 |
통화 코드 | XOF |
시간대 | UTC+00:00 |
날짜 형식 | dd/mm/yyyy |
차량 통행 방향 | 우측 |
국제 전화 코드 | +226 |
ISO 3166 코드 | BF |
국가 도메인 | .bf |
민족 | |
민족 구성 (2010년 추정) | 모시족: 52% 풀라족: 8.4% 구르마족: 7% 보보족: 4.9% 구룬시족: 4.6% 세누포족: 4.5% 로비족: 2.4% 투아레그족: 1.9% 줄라족: 0.8% |
종교 | |
종교 (2019년) | 이슬람 63.8% 기독교 26.3% 전통 신앙 9.0% 기타 0.9% |
정치 | |
정부 형태 | 군사 정부 하의 단일 국가 공화국 |
임시 대통령 및 MPSR 의장 | 이브라힘 트라오레 |
총리 | 장 에마뉘엘 우에드라오고 |
입법부 | 국가 과도 입법 의회 |
역사 | |
오트볼타 공화국 선포일 | 1958년 12월 11일 |
프랑스로부터 독립 | 1960년 8월 5일 |
1966년 오트볼타 쿠데타 | 1966년 1월 3일 |
2014년 부르키나파소 봉기 | 2014년 10월 28일 ~ 11월 3일 |
2022년 1월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 2022년 1월 23일 ~ 24일 |
2022년 9월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 2022년 9월 30일 |
경제 | |
GDP (PPP) (2023년) | $627억 8,800만 |
GDP (PPP) 순위 | 114위 |
1인당 GDP (PPP) (2023년) | $2,682 |
1인당 GDP (PPP) 순위 | 171위 |
명목 GDP (2023년) | $207억 8,500만 |
명목 GDP 순위 | 124위 |
1인당 명목 GDP (2023년) | $888 |
1인당 명목 GDP 순위 | 180위 |
지니 계수 (2021년) | 37.4 |
인간 개발 지수 (2022년) | 0.438 |
인간 개발 지수 순위 | 185위 |
2. 역사
현재 부르키나파소 지역에는 선사 시대부터 수렵 채집인들이 거주했으며, 기원전 3600년경부터는 농업 정착촌이 형성되었다.[24] 기원전 1200년경부터는 철기 시대가 시작되어 제련과 단조 기술이 발달했으며,[26][27] 기원전 8세기경의 철 제련 유적은 고대 철 야금 유적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28] 11세기경부터 모시족이 이주하여 와가두구, 야텐가, 텐코도고 등 여러 모시 왕국을 세웠으며, 이 왕국들은 19세기까지 이 지역의 주요 세력이었다.[32][257] 이들은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주변의 말리 제국, 송가이 제국 등과 경쟁하거나 교류했다.[33]
19세기 말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프랑스의 침략을 받아 1896년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고,[35] 이후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일부로 편입되었다.[258] 1919년 프랑스령 상볼타 식민지가 설립되었으나, 1932년 경제적 이유 등으로 해체되어 주변 식민지에 분할되었다가 1947년 다시 부활했다.[258] 식민 통치 기간 동안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되고 원주민들은 차별과 강제 노동, 징병 등에 시달렸으며,[36] 이에 맞선 볼타-바니 전쟁과 같은 저항 운동도 일어났다.[3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8년 프랑스 공동체 내의 자치 공화국을 거쳐, 1960년 8월 5일 상볼타 공화국으로 완전한 독립을 달성했다.[38] 초대 대통령 모리스 야메오고는 곧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했으나,[258] 1966년 상굴레 라미자나가 이끄는 군부 쿠데타로 실각했다. 이후 부르키나파소는 정치적 불안정과 연이은 쿠데타로 혼란을 겪었다. 1980년과 1982년에도 쿠데타가 발생하며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었다.[39][40][258]
1983년 토마스 상카라 대위가 쿠데타로 집권하여 사회주의 노선을 표방하며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1984년 국호를 '정직한 사람들의 땅'이라는 의미의 부르키나파소로 변경하고,[249] 토지 개혁, 문맹 퇴치 운동, 여성 인권 신장(여성 성기 절제 및 강제 결혼 금지 등)과 같은 정책을 통해 국민들의 높은 지지를 받았다.[249] 상카라는 청렴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력으로 '아프리카의 체 게바라'로 불리며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1987년 상카라의 동료였던 블레즈 콩파오레가 쿠데타를 일으켜 상카라를 살해하고 정권을 찬탈했다. 콩파오레는 상카라의 사회주의 노선을 폐기하고 서방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권위주의 통치를 이어갔다. 그는 1991년 이후 선거를 통해 집권 연장을 거듭하며 총 27년간 장기 집권했으나, 2014년 헌법 개정을 통한 추가 집권 연장 시도에 반대하는 대규모 민중 봉기로 축출되었다.[259]
콩파오레 축출 이후 과도 정부를 거쳐 2015년 로크 마르크 크리스티앙 카보레가 대통령에 당선되어 민정이 복귀되었으나, 2010년대 중반부터 알카에다 및 ISIL과 연계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 세력의 활동이 격화되면서 치안 불안이 극심해졌다.[250] 결국 2022년, 악화되는 치안 상황을 명분으로 군부가 두 차례의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장악했으며, 현재 이브라힘 트라오레 대위가 이끄는 군사 정권이 통치하고 있다. 군정 수립 이후 프랑스와의 관계가 악화되었으며, 아프리카 연합(AU)과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로부터 회원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255] 2024년에는 ECOWAS 탈퇴를 선언했다.[256]
2. 1. 초기 역사
현재 부르키나파소의 북서부 지역은 기원전 14,000년부터 기원전 5,000년까지 수렵 채집인들이 거주했다. 긁개, 끌, 화살촉 등의 도구들은 1973년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발견되었다.[24] 기원전 3600년에서 2600년 사이에 농업 정착촌이 형성되었으며, 건물 흔적을 통해 영구적인 정착 생활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24] 철, 도자기, 연마된 돌의 이용은 기원전 1500년에서 1000년 사이에 발달했으며, 이는 매장 유물 등을 통해 확인된다.철기 시대의 부라 문화는 오늘날 니제르 남서부와 부르키나파소 남동부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문명이었다.[25] 도구와 무기 제작을 위한 제련과 단조를 포함한 철 산업은 기원전 1200년경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발달했다.[26][27] 현재까지 부르키나파소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철 제련의 증거는 기원전 800년에서 700년 사이의 것으로, 이는 부르키나파소의 고대 철 야금 유적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28] 서기 3세기부터 13세기까지 철기 시대 부라 문화가 번성했다.
도곤족의 유물이 부르키나파소의 북쪽과 북서쪽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도곤족은 15세기와 16세기 사이 반디아가라 벼랑에 정착하기 위해 그곳을 떠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부르키나파소 남서쪽과 코트디부아르 일부 지역에서는 높은 벽으로 둘러싸인 유적이 발견되었으나, 이를 건설한 주체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8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모시족, 풀라족, 디울라족과 같은 현재 부르키나파소의 여러 민족 집단이 여러 차례에 걸쳐 이 지역에 도착했다. 전설에 따르면 11세기경, 모시족이 이 지역에 침입하여 모시 왕국을 건설했다. 모시 왕국은 실제로는 여러 왕국의 연합체 형태로, 가장 강력한 와가두구 왕국을 중심으로 야텐가나 텐코도고 등 몇몇 왕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모시 왕국은 14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전성기를 맞이하여, 말리 제국이나 송가이 제국과 같은 니제르강 유역의 제국들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 이후 주변 지역으로의 침략은 줄어들었지만, 모시 왕국 연합은 이 지역에서 결속력을 유지하며 독립적으로 19세기까지 존속했다.[257] 15세기와 16세기 동안 부르키나파소는 송가이 제국에게 중요한 경제적 지역이었다.
2. 2. 식민지 시대
1890년대 초 유럽 열강의 아프리카 분할 경쟁 속에서 프랑스 군 장교들은 현재 부르키나파소 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군사적 충돌과 조약을 병행하며 진출했다. 영국과의 경쟁 끝에, 1896년 프랑스는 와가두구를 중심으로 한 모시 왕국을 무력으로 점령하고 프랑스 보호령으로 만들었다.[35][258] 동부와 서부 지역은 강력한 지도자 사모리 투레 세력과의 대립으로 복잡한 상황이었으나, 1897년 프랑스에 의해 점령되었다. 1898년까지 부르키나파소 영토 대부분이 명목상 프랑스 지배하에 들어갔지만, 많은 지역에서 프랑스의 통제는 여전히 불안정했다.[24]
1898년 6월 14일, 프랑스와 영국 간의 조약을 통해 양국 식민지 간의 경계선이 확정되면서 오늘날 부르키나파소의 국경이 형성되었다. 이후에도 프랑스는 약 5년간 현지 세력을 완전히 복속시키기 위한 정복 전쟁을 지속했다. 1904년,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식민 제국 재편 과정에서 볼타강 유역은 바마코를 수도로 하는 상세나가르와 니제르 식민지의 일부로 통합되었다.[258]
식민 통치 아래 프랑스어가 행정과 교육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나, 공교육 시스템은 매우 미미한 수준에서 시작되었다. 고등 교육은 다카르에서 제한적으로만 제공되었다. 원주민들은 심각한 차별을 겪었는데, 예를 들어 아프리카 어린이가 자전거를 타거나 나무에서 과일을 따는 행위조차 금지되었고, 이를 어길 경우 부모가 투옥될 수도 있었다.[36] 프랑스는 이 지역에서 간접 통치를 시행하여 모시 왕국 등 기존의 권력 구조를 일부 존속시키기도 했다.[258]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많은 부르키나파소 남성들이 징병되어 유럽 전선에서 세네갈 총기병 부대의 일원으로 싸워야 했다. 1915년부터 1916년 사이에는 부르키나파소 서부와 말리 동부 국경 지대에서 식민 통치에 대한 대규모 무장 저항인 볼타-바니 전쟁이 발발했다.[37] 프랑스 정부는 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대규모 원정군을 파견해야 했으며, 북부 사헬 지역에서도 투아레그족 등이 무장 저항을 이어갔다.
1919년 3월 1일, 프랑스는 무장 봉기의 재발을 막고 경제적 효율성을 높인다는 명분 하에 이 지역을 상세나가르와 니제르에서 분리하여 프랑스령 상볼타 식민지를 새롭게 설립했다.[258] 식민지의 이름은 볼타강 상류에 위치한다는 의미에서 유래했으며, 프랑수아 샤를 알렉시 에두아르 에슬링이 초대 총독으로 부임했다. 에슬링 총독은 도로 건설 등 기반 시설 확충과 수출용 면화 생산 장려 정책을 추진했으나, 강압적인 면화 정책은 실패로 돌아가고 식민지 재정 수입은 정체되었다.

1932년 9월 5일, 프랑스령 상볼타는 해체되어 코트디부아르, 프랑스령 수단, 니제르 식민지로 분할되었다. 특히 인구가 많고 주요 도시인 와가두구와 보보디울라소가 포함된 가장 큰 지역이 코트디부아르에 편입되었다.[25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프리카 전역에서 반식민 운동이 거세지자, 프랑스는 1947년 9월 4일 상볼타 식민지를 이전의 경계대로 프랑스 연합의 일부로서 다시 부활시켰다.[258] 1956년 기본법(프: Loi Cadre) 통과 이후 프랑스 해외 영토 조직 개편이 진행되면서 각 영토에 상당한 자치권이 부여되었다. 1958년 12월 11일, 상볼타는 자치권을 획득하여 상볼타 공화국이 되었고, 프랑스 공동체(프: Communauté française)에 가입했다. 마침내 1960년 8월 5일, 상볼타 공화국은 프랑스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으며,[38] 모리스 야메오고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2. 3. 독립 이후
1958년 프랑스 공동체 내 자치 공화국이었던 상볼타 공화국은 1960년 8월 5일 프랑스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볼타 민주 연합(UDV)의 지도자 모리스 야메오고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으며, 1960년 헌법은 5년 임기의 대통령과 국회를 보통선거로 선출하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야메오고는 집권 직후 UDV를 제외한 모든 정당 활동을 금지했다.[258] 독립 이후에도 극심한 가난과 혼란이 이어졌으며, 학생, 노동조합, 공무원들의 시위와 파업 등 사회 불안이 계속되었다.결국 1966년 1월 3일, 상굴레 라미자나 중령이 이끄는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야메오고 대통령을 축출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군정은 헌법을 정지시키고 국민의회를 해산했다. 라미자나는 군정 또는 군민 혼합 정부의 형태로 1970년대 내내 집권했다. 1970년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어 4년간의 과도기를 거쳐 민정으로 이양하기로 했고, 라미자나는 1978년 공개 선거를 통해 대통령에 재선되었다. 하지만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사헬 가뭄으로 인한 기근이 발생하는 등 어려움이 많았다.
라미자나 정부 역시 노동조합과의 갈등을 겪었고, 1980년 11월 25일 수도경비사령관 사예 제르보 대령이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 라미자나를 축출했다. 제르보는 국가 진흥을 위한 군사 회복 위원회를 최고 기구로 삼고 1977년 헌법을 폐지했다. 그러나 제르보 정권 역시 노동조합의 저항에 부딪혔고, 1982년 11월 7일 장바티스트 우에드라고 소령이 이끄는 쿠데타로 다시 전복되었다. 우에드라오고가 이끄는 인민 구원 평의회(CSP)는 정당 활동을 금지했지만 민정 이양과 새 헌법 제정을 약속했다.[39][40][258]
1983년 8월 4일, 개혁 성향의 총리였던 토마스 상카라 대위가 동료 블레즈 콩파오레 대위와 함께 프랑스 식민 잔재 청산을 명분으로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우에드라오고 정권을 무너뜨렸다. 상카라는 국가혁명위원회(CNR) 의장으로서 국가 원수가 되었고, 사회주의 노선을 표방하며 급진적인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행정 조직을 개편하고, 과중한 인두세를 폐지했으며, 과감한 토지 재분배를 실시했다. 또한 여성의 권리 신장을 위해 일부다처제와 여성 성기 절제를 금지하고, 전국적인 문맹 퇴치 운동과 예방 접종 캠페인을 벌였다. 상카라는 1984년 8월 4일, 국가의 자긍심을 높이고 식민 유산을 청산한다는 취지에서 국명을 오트볼타(상볼타)에서 부르키나파소('정직한 사람들의 땅'이라는 의미)로 변경하고, 새로운 국기와 국가를 제정했다. 그의 집권 4년 동안 부르키나파소는 농업 생산량이 크게 늘어 식량 자급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 과정에서 노동조합 활동을 금지하고 언론을 통제하는 등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을 보이기도 했다. 상카라는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력과 반제국주의 노선으로 '아프리카의 체 게바라'로 불리며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249]
그러나 1987년 10월 15일, 상카라의 오랜 동지이자 2인자였던 블레즈 콩파오레가 쿠데타를 일으켜 상카라를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콩파오레는 상카라의 급진적인 사회주의 노선을 비판하며 이를 폐기하고, 1991년 다당제와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새 헌법을 채택했다. 1992년 총선을 통해 대통령에 선출된 콩파오레는 이후 7년 임기를 두 번, 임기 제한 비판 속에 5년으로 단축된 임기를 다시 두 번 연임하며 총 27년간 장기 집권했다. 콩파오레 정권은 초기에는 정치적 안정을 가져오는 듯했으나, 점차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패 문제로 비판에 직면했다. 2014년, 콩파오레가 3선 연임을 금지한 헌법 조항을 개정하여 다시 대선에 출마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전국적으로 발생했다. 시위가 격화되어 수십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혼란이 커지자 군부가 개입하여 콩파오레 정권은 붕괴되었다.[259]
콩파오레 축출 이후, 군부는 처음 오노레 트라오레 육군참모총장을 국가 원수로 내세웠으나 군 내부와 시민들의 반발로 이삭 지다 중령이 잠정 국가 원수가 되었다.[260] 이후 아프리카 연합 등 국제사회의 압력 속에 민간인 출신 미셸 카판도가 임시 대통령으로, 지다가 임시 총리로 임명되어 과도 정부를 이끌었다.[261] 과도 정부는 2015년 선거를 통해 민정 이양을 목표로 했으나, 그 과정에서 콩파오레 충성파 군인들이 쿠데타를 시도하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졌다.
2015년 11월, 로크 마르크 크리스티앙 카보레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민선 정부가 출범했다. 그러나 카보레 정부는 2010년대 중반 이후 급증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 세력의 테러와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며 치안 불안이 심화되었다. 알카에다 및 ISIL과 연계된 무장 단체들의 활동으로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와 약 200만 명에 달하는 국내 실향민이 발생하는 등 국가적 위기가 고조되었다.[250]
결국 2022년 1월 24일, 폴앙리 산다오고 다미바 중령이 이끄는 군부가 치안 악화와 정부의 무능을 이유로 쿠데타를 일으켜 카보레 대통령을 축출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군정은 '보호와 회복을 위한 애국 운동'(MPSR)을 통해 국가를 통치하겠다고 밝혔으나, 국제사회는 이를 비난하며 아프리카 연합(AU)과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부르키나파소의 회원 자격을 정지시켰다.[255] 그러나 다미바 군정 역시 치안 상황을 개선하지 못했고, 2022년 9월 30일 이브라힘 트라오레 대위가 이끄는 또 다른 군부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켜 다미바를 축출하고 정권을 잡았다. 현재 트라오레가 이끄는 군정이 부르키나파소를 통치하고 있으며, 민정 이양 일정은 불투명한 상태이다. 군정 수립 이후 부르키나파소는 프랑스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2024년 1월 28일에는 말리, 니제르와 함께 ECOWAS 탈퇴를 선언했다.[256]
2. 4. 블레즈 콩파오레 시대
1987년 10월 15일, 상카라의 동료였던 블레즈 콩파오레(Blaise Compaoré)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상카라를 살해하고 대통령 자리에 올랐다. 초기에는 앙리 총고(Henri Zongo), 국방장관 장 밥티스테 링가이(Jean-Baptiste Lingani)와 함께 삼두정을 펼쳤으나, 1989년 9월 이들 두 명을 정부 전복 음모 혐의로 체포하여 처형하고 권력을 독점했다. 콩파오레는 상카라가 추진했던 사회주의적 개혁 정책들을 중단시키고 권위주의 통치를 강화하며 반대파를 탄압했다. 그의 집권으로 부르키나파소는 다시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콩파오레는 1991년, 1998년, 2005년, 2010년 선거에서 승리하며 4선 대통령으로 장기 집권했다. 그러나 2014년 10월, 5선 연임을 위한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이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2014년 부르키나파소 반정부 시위)가 발생했고, 결국 군사 쿠데타로 인해 10월 31일 실각했다.[259]
콩파오레 정권 붕괴 이후, 군부는 오노레 트라오레(Honoré Traoré) 육군 참모총장을 임시 국가 원수로 발표했으나 군 내부와 시민들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11월 1일 이삭 지다(Isaac Zida) 중령이 잠정 국가 원수로 취임했다.[260] 이후 민간인 출신 미셸 카판도(Michel Kafando)가 잠정 대통령에, 지다가 잠정 총리에 임명되었으나[261], 실질적인 군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민간 정부로의 완전한 정권 이양을 요구하는 국내외의 압력이 거세지는 가운데, 2015년 9월 17일에는 콩파오레의 측근이었던 질베르 디앵데레(Gilbert Diendéré)가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국내외의 반대로 엿새 만에 실패하고 임시 정부에 권력을 반환했다.
2015년 11월 29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는 전 총리인 로크 마르크 크리스티앙 카보레(Roch Marc Christian Kaboré)가 당선되었다. 그러나 오랜 독재와 심각한 빈부 격차로 인한 사회 불안이 계속되었고, 연이은 테러와 시위로 어려움을 겪었다.
2022년 쿠데타 이후 다시 군사 정권이 들어섰다. 군정은 프랑스와의 관계를 멀리하고 사헬 지역의 다른 쿠데타 발생 국가들과의 연대를 강화하여 사헬 국가 연합을 결성했다. 또한, 모레어(Mooré), 비사어(Bissa), 줄라어(Dyula), 풀라어(Fula)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기존 공용어였던 프랑스어는 영어와 함께 실무 언어로 지위가 변경되었다.
2. 5. 민정 복귀와 불안정한 정세
1966년 군사 쿠데타로 모리스 야메오고 대통령이 물러나고, 상굴레 라미자나(Sangoulé Lamizana) 중령이 군부 지도자로서 정권을 장악했다. 군부는 4년간 집권 후 1970년 새로운 헌법을 통해 민정 이양을 약속했으나, 라미자나는 1970년대 내내 군정 또는 군민 혼합 정부의 대통령으로 집권했다. 1978년 라미자나는 대선을 통해 대통령에 다시 취임했지만, 1980년 11월 수도경비사령관인 대령 사예 제르보(Saye Zerbo)가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 라미자나 대통령을 축출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제르보 대령은 국가 진흥을 위한 군사 회복 위원회를 최고 정부 권력으로 설립하고 1977년 헌법을 폐지했다.[39][40]제르보 대령 또한 노동 조합의 저항에 직면했고, 1982년 11월 장바티스트 우에드라고(Jean-Baptiste Ouédraogo) 소령과 인민 구원 평의회(CSP)에 의해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CSP는 정당과 단체를 금지했지만, 민정 이양과 새로운 헌법 제정을 약속했다.[39][40]
1987년 10월 15일, 토마스 상카라의 동료였던 블레즈 콩파오레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상카라를 배신하고 살해한 뒤 대통령에 올랐다. 콩파오레는 앙리 총고, 국방장관 장 밥티스테 링가이와 함께 삼두 정치를 펼쳤으나, 이들 두 명은 1989년 9월 정부 전복 음모 혐의로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콩파오레는 상카라의 사회주의적 개혁 정책들을 중단하고 권위주의적 통치를 강화하며 부르키나파소의 발전을 저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반대파를 탄압하며 1991년, 1998년, 2005년, 2010년 선거에서 승리하여 27년간 장기 집권했다.
2014년, 콩파오레가 5선 연임을 위해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국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고, 이는 수도 와가두구에서 수십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폭동으로 번졌다. 군부가 개입하여 내각을 총사퇴시키고 야간 통행 금지령을 내리며 정권을 장악했고, 콩파오레는 10월 31일 실각하여 망명했다.[259]
군부는 처음 오노레 트라오레(Honoré Traoré) 육군 참모총장을 국가 원수로 내세웠으나, 군 내부와 시민들의 반발로 11월 1일 이삭 지다(Isaac Zida) 중령이 임시 국가 원수로 취임했다.[260] 같은 달, 민간인 출신 미셸 카판도(Michel Kafando)가 임시 대통령에 취임하고 지다를 임시 총리로 임명했지만[261], 실질적인 군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2015년 9월 17일, 콩파오레의 측근이었던 질베르 디앵데레가 쿠데타를 일으켜 국가 최고 지도자에 올랐으나, 국내외의 압력으로 엿새 만에 물러나고 임시 정부에 정권을 반환했다.
2015년 11월 29일 대통령 선거에서 전 총리인 로크 마르크 크리스티앙 카보레(Roch Marc Christian Kaboré)가 당선되어 민정 복귀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오랜 독재와 빈부격차, 그리고 2010년대 중반 이후 사헬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한 알카에다 및 ISIL 계열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 세력의 활동 증가로 인해 카보레 정부는 연이은 테러와 시위로 어려움을 겪었다. 치안 상황은 계속 악화되어 2023년 2월 말 기준으로 약 200만 명의 국내 실향민이 발생했다.[250]
결국 2022년 1월, 치안 회복을 명분으로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카보레 대통령을 축출하고 폴앙리 산다오고 다미바 중령이 이끄는 군사 정권이 들어섰다. 그러나 다미바 정권 역시 치안 개선에 실패하자, 같은 해 9월 이브라힘 트라오레 대위가 다시 쿠데타를 일으켜 집권했다. 현재까지 군사 정권이 유지되고 있다.
군사 정권은 프랑스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러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말리, 니제르 등 주변의 군사 정권 국가들과 협력하여 사헬 국가 연합을 결성했다. 2024년 1월에는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탈퇴를 선언했다.[256] 또한, 2024년 1월 시행된 신헌법에 따라 기존 공용어였던 프랑스어는 영어와 함께 실무 언어로 격하되었고, 모레어(Mooré), 비사어(Bissa), 줄라어(Dyula), 풀라어(Fula) 등 주요 토착 언어들이 새로운 공용어로 지정되었다.[251] 2022년 쿠데타 이후 프랑코포니와 아프리카 연합(AU)으로부터 회원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이다.[255]
3. 지리
부르키나파소의 국토는 대부분 기복이 심하지 않고 평탄한 편이며, 해발 180m에서 300m 정도의 고원을 이루고 있다. 드문드문 언덕이 솟아 있으며, 대부분 선캄브리아 시대의 지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서쪽에는 사암질의 지층이 나타나는데, 이곳에 부르키나파소의 최고 지점인 테나코루(Ténakourou) 봉우리가 해발 749m 높이로 솟아 있다.[287] 국토의 평균 해발 고도는 약 400m이며,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의 고도 차이는 600m 이내로 크지 않다. 이 때문에 지역적인 지리적 특색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곳은 드물며, 평면상의 지형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다소 유사하다.
국토를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세 갈래의 볼타 강 지류는 부르키나파소의 중요한 지리적 특징이다. 가장 서쪽에 흑볼타 강(무운 강)이 흐르고, 중앙부에는 적볼타 강(나짐베 강), 동쪽에는 백볼타 강(나캉베 강)이 흐른다.[257] 이 세 강은 부르키나파소의 옛 국명인 '상볼타'(Haute-Volta, 즉 '볼타 강 상류'라는 의미)의 유래가 되었다. 이 강들은 남쪽의 가나에서 합류하여 최종적으로 기니 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강수량은 대체로 위도에 비례하여 북쪽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남부 지역은 케펜 기후 구분 상 사바나 기후(Aw)에 해당하며 넓은 사바나 초원이 펼쳐져 있다. 비가 가장 많이 내리는 남서부 지역의 연간 강수량은 약 1150mm에 달한다. 수도 와가두구를 포함한 중부 지역은 스텝 기후(BS)에 속한다. 국토의 북부는 건조한 사헬 지대에 해당하며, 사막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북단 지역의 연간 강수량은 250mm 정도로 매우 적다.[287]
부르키나파소는 서아프리카의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코끼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사자, 표범, 물소 등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이러한 동식물 자원은 4개의 국립공원(아를리 국립공원, 두 발레 국립공원, 카보레 탐비 국립공원, W 국립공원)을 통해 보호받고 있다.
3. 1. 기후
부르키나파소는 전체적으로 열대기후에 속하지만, 크게 우기와 건기로 나뉜다. 우기는 대략 4개월 동안 이어지며, 보통 5월이나 6월에 시작하여 9월까지 지속된다. 이 기간 동안의 평균 강우량은 600mm에서 900mm 정도이며, 북쪽으로 갈수록 강우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특히 국토 북부의 사헬 지대는 연간 강우량이 600mm 미만으로 매우 건조하며, 기온 변화가 커서 최저 5°C에서 최고 47°C까지 오르내린다. 이 사헬 지대는 부르키나파소 국경 끝까지 넓게 펼쳐져 있다.
위도 11°3'에서 13°5' 사이에 해당하는 지역은 강우량과 기온에 따라 기후 변화가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 지역은 건조한 사헬 지대와 상대적으로 비옥한 수단 지역의 특성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반면, 남쪽 지역으로 내려가면 연간 강우량이 900mm 이상으로 많아지고, 기온은 상대적으로 낮아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보인다.
3. 2. 수자원
부르키나파소에서 1년 내내 물이 흐르는 강은 무운 강(Mouhoun)이 유일하며, 남서쪽으로는 코모에 강(Comoé)과 함께 흐른다. 국토의 27%를 차지하는 나이저 강 퇴적분지에는 여러 강줄기가 있지만, 이들은 산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경향이 있어 1년 중 4~6개월 정도만 물이 흐른다.주요 호수로는 팅그렐라(Tingrela) 호수, 밤뎀(Bam) 호수, 뎀(Dem) 호수 등이 있다. 작은 연못 수준의 물웅덩이도 다수 존재하지만, 특히 북부 지방에서는 물 부족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사회적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한편, 국가급수위생청(ONEA)은 상업적 방식으로 운영되는 국영 공익사업체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성공적인 공익사업체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75] ONEA는 높은 자율성과 전문성을 갖춘 경영진 덕분에 깨끗한 물의 생산과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켰다.[175] 2000년 이후 부르키나파소의 4대 주요 도시 지역에서 약 200만 명의 주민이 추가로 물 공급 혜택을 받게 되었다. ONEA는 낮은 누수율(18% 미만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며 수도 시설의 질을 높게 관리하고 있으며, 재정 보고 시스템을 개선하고 연평균 수입을 인플레이션율보다 훨씬 높은 12%씩 증가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175] 그러나 일부 주민들의 수도 요금 납부 어려움과 기반 시설 확장을 위한 국제 원조 의존성 등의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175] 이러한 상업적 운영 방식의 국영 기업은 부르키나파소가 물 관련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를 달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했다.[175]
지난 수십 년간 식수 접근성은 꾸준히 개선되었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15년 사이 농촌 지역의 식수 접근율은 39%에서 76%로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도시 지역의 식수 접근율은 75%에서 97%로 향상되었다.[176]
4. 인구와 주민
부르키나파소의 인구는 약 2,100만 명이며, 이 중 100만 명 이상이 국내 실향민이다.[298]
주민 구성은 모시족이 약 40%[298]에서 50%[13] 가량을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그 외 풀라니족(페울족), 굴만체족, 그룬시족, 보보족, 로비족, 만데족 등 60개 이상의 다양한 민족 집단이 공존한다.[298] 부르키나파소의 민족들은 크게 볼타어군(Gur languages)과 만데어군(Mandé peoples, 공통어는 디울라어)이라는 두 주요 서아프리카 문화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187]
볼타어군에 속하는 모시족은 서기 1100년경 현재의 가나 북부 지역에서 이주해 온 전사들의 후손으로 여겨지며, 800년 이상 지속된 제국을 건설했다.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전통적인 지도자인 모호 나바(Mogho Naba)의 궁정은 수도 와가두구에 있다.[187][13]
인구는 대부분 남부와 중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일부 지역의 인구 밀도는 km²당 48명을 넘는다.[187] 수십만 명의 부르키나파소 국민들은 계절에 따라 농업 노동을 위해 이웃 나라인 코트디부아르와 가나로 이동한다. 이러한 노동력 이동은 외부 상황에 영향을 받는데, 예를 들어 2002년 코트디부아르에서 발생한 쿠데타 시도와 이어진 분쟁으로 인해 수십만 명의 부르키나파소 국민이 본국으로 돌아오면서 지역 경제가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187]
부르키나파소의 합계출산율은 2014년 기준으로 여성 1인당 5.93명으로 추산되었으며, 이는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에 속한다.[195]
한편, 2009년 미국 국무부의 ''인신매매 보고서''는 부르키나파소 내에 여전히 노예제가 존재하며, 특히 어린이들이 희생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183] 사헬 지대 국가들의 노예제는 사하라 사막 횡단 노예 무역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고질적인 문제로 남아있다.[184] 2018년 글로벌 노예 지수는 부르키나파소에서 약 82,000명이 "현대판 노예" 상태에 있는 것으로 추산했다.[185]
=== 주요 도시 ===
다음은 2019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한 부르키나파소의 주요 도시 목록이다.[186]
도시 | 지역 | 인구 |
---|---|---|
와가두구 | 중앙 | 2,415,266 |
보보디울라소 | 오트바생주 | 904,920 |
쿠두구 | 중서부주 | 160,239 |
사아바 | 중앙 | 136,011 |
우아히구야 | 북부 | 124,587 |
카야 | 중북부주 | 121,970 |
방포라 | 카스카드주 | 117,452 |
푸이탱가 | 중동부주 | 96,469 |
운데 | 오트바생주 | 87,151 |
파다 누르마 | 동부 | 73,200 |
5. 언어
부르키나파소는 다언어 사용 국가이다. 총 69개 언어가 사용되는 것으로 추산되며, 그 중 약 60개 언어가 토착어이다.[190]
과거 헌법 35조에 따라 프랑스어가 유일한 공식어였으며, 교육 언어로도 사용되었다.[305] 부르키나파소는 프랑스어사용국기구인 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305] 2006년 인구조사에서는 문자 해독자의 96% 이상이 프랑스어를 해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랑스어만 해독하는 경우도 96%에 달했다.[305]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는 모레어(모시어)로, 수도 우아가두구 주변 중앙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의 약 절반(2006년 기준 40.5%)이 사용한다.[191] 그 외 주요 언어로는 풀라어(9.3%), 구르망셰어(6.1%), 밤바라어(4.9%), 비사어(3.2%) 등이 있다.[191] 서부 지역에서는 디울라어(줄라어), 보보어, 사모어, 마르카어 등 만데어족 언어가, 북부에서는 풀라어, 동부에서는 구르망셰어, 남부에서는 비사어가 주로 사용된다.
2022년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이후 군사정권이 집권하면서 언어 정책에 변화가 생겼다. 프랑스와의 관계가 소원해지고 사헬 국가 연합 등 주변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2023년 12월 정부는 주요 국민어인 모레어, 비사어, 줄라어(디울라어), 풀라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했다.[188] 2024년 1월에는 기존 공식어였던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에서 제외하고, 영어와 함께 실무 언어로 지정하였다.[189][19]
6. 종교
2019년 부르키나파소 정부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63.8%가 이슬람교를 믿으며, 이들 대다수는 수니파에 속한다.[15][192] 소수는 시아파를 따른다.[193] 상당수의 수니파 무슬림은 티자니야 수피 교단과 관련이 있다. 부르키나파소의 이슬람은 수니파의 말리키 학파가 우세하다.[298]
같은 조사에서 인구의 26.3%는 기독교 신자(20.1%는 로마 가톨릭교도, 6.2%는 개신교)이며, 9.0%는 아프리카 전통 종교(예: 도곤 종교)와 같은 전통 토착 신앙을 따른다. 그 외 0.2%는 다른 종교를 믿고, 0.7%는 무종교이다.[15][192]
애니미즘을 믿는 사람들은 특히 수드-우에스트 지역에서 가장 큰 종교 집단을 이루며, 해당 지역 인구의 48.1%를 차지한다.[15]
2006년 국립통계인구소의 인구조사에서는 이슬람교 60.53%, 기독교 23.18%(가톨릭 19.00%), 정령신앙(애니미즘) 15.34%, 기타 종교 0.57%, 무종교 0.38%로 나타났다. 1960년에는 정령신앙이 68.7%였던 점을 고려하면, 독립 이후 이슬람교가 빠르게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7. 경제
국제통화기금(IMF) 추계에 따르면, 2013년 부르키나파소의 국내총생산(GDP)은 120억달러이다. 1인당 GDP는 711USD로, 인접국 가나와 코트디부아르의 절반 수준이며 세계 평균의 10% 미만이다.[289] 유엔에서는 최빈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하며, 아프리카에서도 생활 수준이 가장 낮은 나라 중 하나이다.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연평균 5.0%의 경제 성장을 기록했으나,[306] 천연자원이 부족하고 산업 기반이 취약한 내륙국으로서 경제 활동의 상당 부분을 국제 원조에 의존하고 있다.[22] 경제는 주로 농업과 축산업에 기반하며, 불규칙한 강우 패턴과 척박한 토양 등 기후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22]
'''주요 산업'''
- 농업: 농업은 GDP의 32%를 차지하고 노동 인구의 80%가 종사하는 핵심 산업이다.[163] 하지만 토양은 대부분 척박한 라테라이트이며 관개 시설 부족으로 천수농업이 주를 이룬다.[290] 주요 재배 작물은 수수, 기장, 옥수수, 땅콩, 쌀 등이며, 남부와 남서부에서는 잉여 농산물을 판매하기도 한다.[163] 조 생산량은 세계 6위, 옥수수는 세계 10위(2002년 기준)이며, 잡곡(대부분 수수) 생산량은 세계 7위(2014년 기준)이다.[291] 주요 수출 작물은 목화와 참깨이다. 목화는 2017년 기준 1.9869999999999999억달러(총 수출의 8.3%)[164]를 기록한 주요 상품 작물이며,[22] 세계 7위 생산량을 자랑하는 참깨는 2015년 기준 총 수출의 7.8%를 차지했다.[291] 사헬 지역에 위치하여 가뭄과 홍수 등 극심한 기후 변화[143]와 메뚜기, 귀뚜라미 등 해충의 공격[145]에 취약하여 식량 안보가 불안정하다.[142][144] 이로 인해 많은 가정이 농업 외 소득원을 찾아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한다.[146][147] 과거 프랑스 식민지 시대부터 인구 과잉으로 인해 코트디부아르 등 인접국으로의 임금노동 이주가 활발했으며, 주로 카카오 농장 등에서 일했다.[288][292]

- 광업: 부르키나파소의 주요 천연자원은 금, 망간, 석회암, 대리석, 인산염, 부석, 소금, 구리, 철, 카시테라이트(주석 광석) 등이다.[171] 특히 금 채굴은 고대부터 중요했으며 현대 경제의 중추 역할을 한다. 1991년 이후 국영 기업의 민영화[282]를 통해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금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다(2008년 5톤 → 2014년 36톤[282] → 2015년 36톤[173] → 2018년 55톤 예상[174]). 2011년에는 아프리카 4위의 금 생산국이 되었으며,[172] 2017년 보석 및 귀금속 수출은 19억달러로 총 수출의 78.5%를 차지했다.[164]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등의 외국 자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282] 금 외에 망간, 아연, 구리 등 다른 광물 자원의 개발과 생산 다변화가 필요한 과제로 지적된다.[174] 또한 영세 광산에서의 위험한 노동 환경과 아동 노동 문제가 존재한다.[295] 품질 높은 망간 광산 개발 계획도 있다.
- 서비스업: 서비스업은 전반적으로 낙후되어 있으나, 국영 공익사업체인 국가급수위생청(ONEA)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성과가 좋은 공익사업체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75] ONEA는 높은 자율성과 효율적인 경영을 통해 깨끗한 물 생산과 접근성을 개선했으며, 누수율을 낮게 유지하고 재정적으로도 성장했다.[175] 2000년 이후 주요 도시 지역에서 약 200만 명이 추가로 물 공급 혜택을 받았고,[175] 1990년부터 2015년 사이 식수 접근율은 농촌 지역에서 39%에서 76%로, 도시 지역에서 75%에서 97%로 크게 향상되었다.[176] 그러나 일부 요금 납부 문제와 인프라 확장을 위한 국제 원조 의존성은 과제로 남아있다.[175] 테러 위협 등으로 인해 관광 산업은 2018년 기준 대부분 지역에서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167]
'''무역, 재정 및 국제 관계'''
부르키나파소는 만성적인 수입 초과 상태이며, 1994년 이후 무역액 증가와 함께 무역 적자 규모도 커지고 있다. 2011년 27.7억달러이었던 수출액은 2012년 7.54억달러로 감소하기도 했다.[163] 주요 수입품은 기계류, 자동차, 석유제품 등이다.
2017년 주요 수출 품목[164] | 수출액 (USD) | 비중 (%) |
---|---|---|
보석 및 귀금속 (금 등) | 19억달러 | 78.5 |
목화 | 1.9869999999999999억달러 | 8.3 |
광석, 슬래그, 재 | 1.376억달러 | 5.8 |
과일, 견과류 | 7659.999999999999만달러 | 3.2 |
유지 종자 (참깨 등) | 5950만달러 | 2.5 |
2017년 경제 성장률은 금 생산 증가와 인프라 투자 확대로 전년(5.9%) 대비 상승한 6.4%를 기록했다.[165] 그러나 재정 적자는 2016년 GDP의 3.5%에서 2017년 7.7%로 증가했으며, 정부는 이를 충당하기 위해 국제 원조와 대출에 의존하고 있다.[165] 2018년 예측에 따르면 재정 적자는 GDP의 4.8%, 2019년에는 2.9%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168] 국가 부채는 2017년 기준 GDP의 36.9%로 추산되었다.[168]
부르키나파소는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UMEOA) 회원국으로 서아프리카 CFA 프랑을 사용하며, 서아프리카 중앙은행(BCEAO)의 통화 정책 관리를 받는다.[166] 또한 아프리카 사업법 조화기구(OHADA) 회원국이다.[169][294] 국제 연합, 국제통화기금, 세계은행, 세계무역기구 등 국제기구에도 가입되어 있다.[170] 그러나 2022년 군사 쿠데타 이후 프랑코포니와 아프리카 연합(AU)에서 회원 자격이 정지되었고,[255] 2024년 1월에는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탈퇴를 선언했다.[256]
'''인프라 및 에너지'''
부르키나파소의 교통 인프라는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도로는 총 15000km 중 2500km만 포장되어 있다.[180] 철도는 카야에서 코트디부아르의 아비장까지 와가두구, 쿠두구, 보보디울라소, 반포라를 잇는 단일 노선이 운행 중이다.[179] 주요 국제공항은 와가두구 공항과 보보디울라소 공항이다.
국내 전력 수급이 부족하여 인접국에서 전력을 수입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30년까지 전력 수요의 30%를 태양광 발전으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293] 2017년 11월 수도 와가두구 인근 자그툴리에 33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가동했다. 이는 당시 서아프리카 최대 규모였다.[177]
'''경제 전망 및 과제'''
세계은행과 아프리카개발은행그룹은 단기 및 중기적으로 부르키나파소 경제가 긍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165][168] 여러 위험 요인을 지적했다. 높은 유가(수입 부담 증가), 금과 목화 가격 하락(수출 감소), 말리 등 인접국의 불안정한 정세, 테러 위협 및 부패,[178] 노동쟁의 등이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이다.[22][165] 취약한 안보 상황은 경제 회복 노력을 위협하는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22]
8. 문화
부르키나파소의 문학은 여전히 중요한 구전 전통을 기반으로 한다. 프랑스 식민 지배 시기인 1934년, 딤-돌롭솜 우에드라오고는 모시족의 구전 역사를 기록한 ''Maximes, pensées et devinettes mossi''(''모시족의 격언, 생각 및 수수께끼'')를 출판했다.[221] 1960년대 독립 이후 나지 보니와 로저 니키에마 같은 작가들은 구전 전통의 영향을 받아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222] 이 시기에는 희곡 작가들의 활동도 활발해졌다.[221] 1970년대부터는 더 많은 작가들이 작품을 출판하면서 부르키나파소 문학은 더욱 발전했다.[223]
부르키나파소의 연극은 전통적인 공연 양식과 식민지 시기 프랑스의 영향, 그리고 독립 후 농촌 주민들을 교육하려는 노력이 결합되어 독특한 형태로 발전했다. 여러 민족 집단의 전통 의식에는 오랫동안 가면을 쓰고 추는 춤이 포함되어 왔다. 서구식 연극은 식민 시대에 프랑스 연극의 영향을 받아 보급되었다. 독립 이후에는 포럼 연극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형태의 연극이 등장하여 농촌 주민들의 교육과 오락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슬램 시는 시인 말리카 우타라의 노력에 힘입어 인기를 얻고 있다.[224] 그녀는 슬램 시를 통해 헌혈, 백색증, COVID-19의 영향과 같은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활동을 하고 있다.[225][226]
부르키나파소의 음악은 60개가 넘는 다양한 민족 집단의 민속 음악을 아우른다. 인구의 약 40%를 차지하며 수도 와가두구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모시족을 비롯하여, 남쪽에는 구룬시족, 구르마족, 다가바족, 로비족 등 구르어족 계열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이 분포한다. 북쪽과 동쪽에는 사헬 지역의 풀라니족이, 남쪽과 서쪽에는 사모족, 비사족, 보보족, 세누포족, 마르카족 등 만데어족 계열 민족들이 거주한다. 부르키나파소의 전통 음악은 여전히 활발하게 연주되고 있으며 매우 다채롭다. 대중 음악은 주로 프랑스어로 불리며, 아직 범아프리카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가수는 배출하지 못했다.
부르키나파소의 요리는 서아프리카 요리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수수, 기장, 쌀, 옥수수, 땅콩, 감자, 콩, 야마, 오크라 등이 주식으로 사용된다.[237] 주요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은 닭고기, 달걀, 민물고기이다. 대표적인 음료로는 발효된 야자 수액인 반지(팜 와인)와 부르키나파소의 국민 음료로 알려진 줌콤("곡물 물")이 있다. 줌콤은 물과 곡물을 기반으로 한 우윳빛 음료로, 주로 차갑게 마신다. 시골 지역에서는 발효된 기장으로 만든 술인 돌로(Dolo)를 맛볼 수 있다.[238] 식량 위기 시에는 부르키나파소 원산의 콩인 ''Zamnè''가 주요 요리나 소스로 활용되기도 한다.[239]
부르키나파소에서는 다양한 문화 축제가 열린다. 2년마다 수도 와가두구에서는 아프리카 대륙 최대 규모의 영화제 중 하나인 와가두구 팬아프리카 영화 및 텔레비전 페스티벌(FESPACO)이 홀수년 2월에 개최된다. 또한 1988년부터 짝수년 10월 말에서 11월 초에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예술 및 수공예품 박람회인 와가두구 국제 예술 공예 박람회(SIAO)가 열린다. 와가두구에서 약 35km 떨어진 우브리탕가 주의 라옹고에서는 2년마다 라옹고 화강 조각 심포지엄이 개최된다. 부르키나파소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보보디울라소에서는 2년마다 부르키나파소 국가 문화 주간(La Semaine Nationale de la Culture, SNC)이 열리며, 데두구에서는 전통 아프리카 가면을 기념하는 국제가면예술축제(FESTIMA)가 2년마다 개최된다.
부르키나파소의 스포츠는 널리 행해지며, 축구, 농구, 사이클링, 럭비 유니온, 핸드볼, 테니스, 권투, 무술 등이 포함된다. 축구는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 전국적으로 프로팀과 아마추어팀이 활동한다. 국가대표팀은 옌넨가 공주의 전설적인 말을 상징하는 "Les Etalons"("종마들")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부르키나파소는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개최했으며, 이를 위해 보보디울라소에 종합 경기장을 건설했다. 201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결승에 진출하여 나이지리아에 0-1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아직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240]
농구 역시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241] 남자 국가대표팀은 2013년 아프리카 최고 권위의 농구 대회인 아프로바스켓 본선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육상 선수 위그 파브리스 장고가 남자 세단뛰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부르키나파소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안겼다.[242] 최근에는 크리켓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으며, 크리켓 부르키나파소는 10개 클럽으로 구성된 리그를 운영하고 있다.[243]
8. 1. 예술 및 공예

부르키나파소는 여러 부족의 풍부한 전통 예술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수도 와가두구(Ouagadougou)에는 많은 예술가 공동체가 활동하며, 이들이 생산하는 공예품 상당수는 성장하는 국가 관광 산업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부르키나파소는 와가두구 국제 예술 공예 박람회(Salon International de l'Artisanat de Ouagadougou, SIAO)를 개최한다. 프랑스어 약칭인 SIAO로 더 잘 알려진 이 박람회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수공예품 박람회 중 하나로 꼽힌다.
8. 2. 영화
부르키나파소의 영화는 서아프리카 영화 산업과 아프리카 영화 전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235] 부르키나파소의 아프리카 영화에 대한 기여는 1969년 수도 와가두구에서 시작된 와가두구 팬아프리카 영화 및 텔레비전 페스티벌(FESPACO)의 설립으로 대표된다. 이 영화제는 아프리카 최대 규모의 영화제 중 하나로 성장했다.오랫동안 전아프리카 영화 제작자 연맹(FEPACI)의 본부는 와가두구에 있었으며, 1983년 토마스 상카라 대통령의 적극적인 지원과 자금 제공으로 활동 부진기를 벗어나기도 했다. (2006년 FEPACI 사무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전했지만, 본부는 여전히 와가두구에 있다.)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가장 잘 알려진 감독으로는 가스통 카보레, 이드리사 우에드라오고, 다니 쿠야테 등이 있다.[236] 부르키나파소는 ''레 보보디우프''와 같은 인기 있는 텔레비전 시리즈를 제작하며, 이드리사 우에드라오고, 가스통 카보레, 야메오고, 다니 쿠야테와 같이 국제적으로 알려진 영화 제작자들이 이러한 인기 텔레비전 시리즈 제작에 참여하기도 한다.
9. 정치
1960년 프랑스로부터 상볼타 공화국으로 독립한 부르키나파소는 초기부터 가뭄, 기아, 부패 문제와 함께 잦은 쿠데타로 정치적 불안정을 겪어왔다.
1983년 블레즈 콩파오레가 주도한 쿠데타로 토마스 상카라가 대통령으로 집권하여 국가 발전을 위한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사회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문맹 퇴치 운동, 농민을 위한 토지 재분배, 철도 및 도로 건설 등 사회 기반 시설 확충에 힘썼다. 또한 여성 성기 절제, 강제 결혼, 일부다처제를 불법화하며 여성 인권 신장에도 기여했다. 1984년에는 국가 정체성 확립의 일환으로 국호를 '정직한 사람들의 나라'라는 의미의 부르키나파소로 변경하고 새로운 국가를 직접 작사하기도 했다. 상카라는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력으로 국민적 지지를 받았으며 '아프리카의 체 게바라'로 불리기도 했다. 외교적으로는 프랑스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쿠바, 리비아, 북한 등 사회주의 국가들과 우호 관계를 맺는 비동맹 노선을 추구했다.
그러나 1987년 상카라는 자신이 과거 쿠데타 동지였던 블레즈 콩파오레에 의해 축출되고 암살당했다. 이후 콩파오레는 27년간 장기 집권하며 1991년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여 준대통령제 정부 형태를 도입했다. 초기 헌법은 7년 임기의 대통령이 의회를 해산할 수 있도록 규정했으나, 2000년 개헌을 통해 대통령 임기는 5년으로 단축되고 연임 제한 규정이 신설되었다. 의회는 단원제인 국민의회(111석, 임기 5년)로 구성되었다. 콩파오레 정부는 권력 분산 명목으로 지방 분권을 추진했으나, 정치권에 대한 불신과 국민들의 무관심 속에서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49] 또한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정치적 자유는 심각하게 제한되었으며, 정부에 비판적인 언론인이나 활동가들에 대한 국가 폭력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150][151]
콩파오레 정권은 2014년 민중 봉기로 막을 내렸고, 이후 록 마르크 크리스티앙 카보레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카보레 정부는 2018년 헌법 개정을 통해 대통령 임기를 총 10년(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제한하고 탄핵 절차를 명시했으며, 식수 접근권, 주거권, 시민 불복종권 등 새로운 시민 권리를 포함시키려 했으나 야당의 반대로 국민투표가 예정되었다가 무산되었다.[153][154]
2010년대 중반부터 알카에다 및 이슬람 국가 연계 무장 세력의 활동이 격화되면서 부르키나파소의 치안 상황은 급격히 악화되었다. 2023년 2월 기준으로 약 200만 명의 국내 실향민이 발생하는 등[250] 사회 불안이 가중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2022년 1월, 군부가 치안 회복을 명분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카보레 대통령을 축출하고 헌법 효력을 정지시켰다.[155] 군정은 잠시 헌법을 복원했으나,[156] 같은 해 9월 또 다른 쿠데타가 발생하여 헌법은 다시 효력이 정지된 상태이다.[157]
정부 수반인 총리는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민의회의 동의를 얻는다. 총리는 내각 구성원을 대통령에게 추천하는 역할을 한다.[152]
주요 정당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정당 | 약칭 | 2015년 의석 수 |
---|---|---|
진보인민운동 | MPP | 55석 |
진보개혁연합 | UPC | 33석 |
민주진보회의 | CDP | 18석 |
- '''진보인민운동(MPP)'''은 2014년 봉기 이후 집권한 카보레 전 대통령의 정당이다.
- '''진보개혁연합(UPC)'''은 주요 야당이다.
- '''민주진보회의(CDP)'''는 콩파오레 전 대통령의 여당이었으나, 정권 붕괴 후 2015년 선거에서는 18석을 얻어 제3당이 되었다.
9. 1. 행정 구역
부르키나파소는 13개 지역(Région), 45개 주(Province), 301개 군(Département)으로 나뉜다. 각 지역은 주지사가 관리한다.지역 | 주 |
---|---|
부클 뒤 무웅주 | 코시주, 술주, 나야라주, 바레주, 방와주, 무웅주 |
카스카드주 | 코모에주, 레라바주 |
중부 지역 | 카디오고주 |
중동부 지역 | 크리텐가주, 쿨페라고주, 부르그주 |
중북부 지역 | 상마텡가주, 나메텡가주, 밤주 |
중서부 지역 | 상기에주, 시시리주, 질로주, 부르키안데주 |
중남부 지역 | 즌드웨오고주, 나울리주, 바제가주 |
동부 지역 | 그나그나주, 굴마주, 코몽잘리주, 콤피엥가주, 타포아주 |
오트바상주 | 케네두그주, 튀주, 후에주 |
북부 지역 | 존드마주, 파솔레주, 야텡가주, 롤름주 |
플라토-센트랄주 | 우브리텡가주, 강줄주, 쿨웨고주 |
사헬주 | 우달랑주, 숨주, 세노주, 야가주 |
남서부 지역 | 이오바주, 눈비엘주, 부그리바주, 포니주 |
9. 2. 외교 관계
부르키나파소는 유럽 연합, 아프리카, 아시아 국가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08년 4월 24일에는 코소보를 승인하였으며, 코소보와의 강력한 연대 구축에 관심을 표명했다.[307]대한민국과는 1962년 오트볼타 시절 수교하였으며, 국호를 부르키나파소로 변경한 이후에도 외교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현재 주코트디부아르 대사관이 부르키나파소 관련 업무를 겸임하고 있으며, 양국 간에는 의료 기술 및 무역 협정이 체결되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도 오트볼타 시절 수교하였고, 국호 변경 후에도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및 대만과의 관계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61년 12월부터 1973년 10월까지는 대만과, 1973년 9월부터 1994년 2월까지는 중국과 국교를 맺었다.[280] 1994년 2월 다시 대만과 복교하고 중국과 단교했으나, 2018년 5월 24일 대만과의 단교를 발표하고 이틀 뒤인 5월 26일 중국과 복교하였다. 2017년에는 중국으로부터 500억달러의 지원을 조건으로 중국과의 복교 및 대만과의 단교 제안을 받았으나 당시에는 거절한 바 있다.[281]
일본과는 1960년 부르키나파소(당시 상볼타 공화국)의 독립과 동시에 국가 승인을 통해 관계를 맺었으며, 1979년부터 경제 협력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식량 및 비료 지원 중심이었으나 점차 수자원, 교육 분야로 확대되었고, 현재는 보건, 농업, 환경 분야까지 협력하고 있다. 일본과의 무역에서는 일본이 큰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일본은 주로 기계류와 자동차를 수출하고 부르키나파소는 참깨를 주로 수출한다. 2016년 기준 부르키나파소의 대일 수출액 중 96.3%가 참깨였으며,[282] 2017년에는 일본의 참깨 수입국 1위(일본 전체 참깨 수입량의 약 27%)를 차지하기도 했다.[283] 2009년 1월에는 와가두구에 주 부르키나파소 일본대사관이 개설되어 경제 협력 외 문화 및 인적 교류도 활발해졌다. 같은 해 부르키나파소 최초로 문부과학성 국비 유학생 선발 시험이 실시되었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축구 선수 윌프리드 사누가 J리그의 우라와 레즈와 교토 상가 FC에서 활동했고,[284] 2015년 8월에는 야구 선수 산호 라시나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의 고치 파이팅독스와 계약하며 부르키나파소 최초의 프로 야구 선수가 되었다.[285] 2021년 1월 기준 부르키나파소 내 일본인 체류자는 59명이며,[286] 2019년 12월 기준 일본 내 부르키나파소인 거주자는 178명이다.
독립 초기에는 프랑스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비동맹 운동 노선을 추구하며 동구권 국가들과 우호 관계를 맺기도 했으나, 1987년 이후로는 프랑스와의 관계를 가장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르키나파소는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 라 프랑코포니, 이슬람 협력 기구(OIC), 국제 연합(UN)의 회원국이며, 아프리카 비핵무기 지대 조약에도 참여하고 있다. 또한 국제 통화 기금(IMF), 세계 은행, 세계 무역 기구(WTO)에도 가입되어 있다.[254] 그러나 2022년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이후 프랑코포니와 아프리카 연합(AU)으로부터 회원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255] 또한, 2023년 12월에는 개발 및 안보 협력을 위해 2014년 결성된 사헬 5개국(G5 Sahel)에서 "국민의 이익에 반하는 외세의 이익을 섬긴다"는 이유로 니제르, 말리와 함께 탈퇴하였다. 2024년 1월 28일에는 마찬가지로 회원 자격이 정지된 상태였던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에서도 탈퇴를 선언했다.[256]
참조
[1]
CIA World Factbook
2019-12-22
[2]
뉴스
Burkina Faso soldiers announce overthrow of military government
https://www.reuters.[...]
2022-10-01
[3]
웹사이트
Appolinaire Jean Kyelem de Tembela : "j'ai toujours voulu faire un livre sur la révolution"
https://www.thomassa[...]
2014-04-04
[4]
웹사이트
Burkina Faso: Apollinaire Kyélem de Tambèla, Captain Traoré's surprise prime minister
https://www.theafric[...]
2022-10-25
[5]
CIA World Factbook
2023-12-25
[6]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BF)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7]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8]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9]
웹사이트
ISO 4217 currency names and code elements
https://web.archive.[...]
2014-04-07
[10]
웹사이트
burkina-faso noun – Definition, pictures, pronunciation and usage notes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at 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http://www.oxfordlea[...]
[11]
웹사이트
ff_Adlm.xml
https://www.unicode.[...]
Unicode, Inc.
[12]
웹사이트
Notes on cataloging in the N'ko script
https://web.library.[...]
Yale University Library
[13]
웹사이트
Burkina Faso Population 2024 (Demographics, Maps, Graphs)
https://worldpopulat[...]
[14]
웹사이트
Burkina Faso restores constitution, names coup leader president
https://www.aljazeer[...]
[15]
웹사이트
Burkina: 48,1% de la population du Sud-ouest pratique l'Animisme (officiel)
https://www.aib.medi[...]
2022-07-01
[16]
웹사이트
Global voices Burkina Faso: Two languages are better than one
https://kappanonline[...]
2014-11-01
[17]
CIA World Factbook
[18]
웹사이트
Burkina Faso: Captain Ibrahim Traoré formalises constitutional amendment in line with national realities
https://afriktimes.i[...]
2024-01-26
[19]
웹사이트
Decret Promulguant La Loi Constitutionnelle N° 045-2023/ALT
https://www.wakatser[...]
2024-01-22
[20]
웹사이트
Countries Resources
http://www.uiowa.edu[...]
[21]
웹사이트
Why the name: Burkina Faso?
https://afrolegends.[...]
2013-09-12
[22]
CIA World Factbook
2018-12-21
[23]
서적
iAfrica – Ancient History UNTOLD
https://books.google[...]
Forbidden Fruit Books LLC
[24]
웹사이트
Burkina Faso
https://www.smoketre[...]
2019-10-23
[25]
웹사이트
Site archéologique de Bura
https://whc.unesco.o[...]
[26]
논문
Early Metal Working in Sub-Saharan Africa: A Review of Recent Research.
[27]
논문
Radiocarbon Chronology of the Iron Age in Sub-Saharan Africa
[28]
웹사이트
Ancient Ferrous Metallurgy Sites of Burkina Faso
http://whc.unesco.or[...]
UNESCO
[29]
참고자료
Rupley
[30]
참고자료
Rupley
[31]
서적
Ethnic Group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32]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the Nations
Advameg, Inc.
[33]
참고자료
Rupley
[34]
참고자료
Rupley
[35]
참고자료
Rupley
[36]
서적
Figures de la révolution africaine, de Kenyatta à Sankara
La Découverte
2014
[37]
서적
West African Challenge to Empire
2001
[38]
웹사이트
More (Language of the Moose people) Phrase Book
http://www.wdl.org/e[...]
2013-02-16
[39]
서적
Revolutionary Overthrow of Constitutional Orders in Africa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Collective
2012
[40]
웹사이트
Burkina Faso's history, also called Upper Volta, endured between 1960 and 1987, 6 military coups and the establishment of 3 republics.
https://www.blaiseco[...]
2020-11-05
[41]
비디오
Thomas Sankara: the Upright Man
California Newsreel
[42]
웹사이트
More (Language of the Mossi Tribe) Phrase Book
https://www.wdl.org/[...]
[43]
서적
Kingfisher Geography Encyclopedia
[44]
서적
Francophone Sub-Saharan Africa: 1880–199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5]
웹사이트
The name is an amalgamation of More burkina ("honest", "upright", or "incorruptible men") and Jula faso ("homeland"; literally "father's house").
[46]
웹사이트
Commemorating Thomas Sankara
https://znetwork.org[...]
2007-11-28
[47]
블로그
Resurrecting Thomas Sankara – My Blog
http://thomassankara[...]
2017-04-25
[48]
뉴스
Thomas Sankara, l'écologiste
https://www.lemonde.[...]
2020-01-03
[49]
뉴스
Reviving Thomas Sankara's spirit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7-04-25
[50]
웹사이트
Who Killed Thomas Sankara
https://www.thenatio[...]
2024-03-13
[51]
웹사이트
Burkina Faso "wants France to release Sankara archives"
https://www.bbc.com/[...]
2024-03-13
[52]
웹사이트
Thomas Sankara murder: Ex-Burkina Faso President Blaise Compaoré found guilty
https://www.bbc.com/[...]
2024-03-13
[53]
웹사이트
Assassination of Thomas Sankara: evidence of a documentary by RAI 3 involve France, CIA and Blaise Compaoré
https://www.thomassa[...]
2009-09-09
[54]
서적
African Leaders
https://books.google[...]
Bankole Kamara Taylor
2011
[55]
뉴스
Burkina Faso Salutes "Africa's Che" Thomas Sankara
https://www.reuters.[...]
2007-10-17
[56]
뉴스
Burkina Faso Profile
BBC NEWS AFRICA
2014-09-24
[57]
뉴스
Burkina opposition calls anti-president demo
http://www.thedailys[...]
2011-04-24
[58]
뉴스
Mayor's Home Burned as Burkina Faso Protests Continue
https://www.nytimes.[...]
2011-04-30
[59]
뉴스
Burkina Faso Riot Police Join Wave of Protests After Government Dissolved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1-04-30
[60]
뉴스
Burkina Faso teachers' strike: Union agrees deal
https://www.bbc.co.u[...]
2011-05-28
[61]
뉴스
Burkina Faso government replaces its governors
http://www.taiwannew[...]
2011-06-11
[62]
뉴스
Burkina Faso capital under curfew after army mutiny
https://www.bbc.co.u[...]
2011-04-17
[63]
웹사이트
List of Least Developed Countrie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1-03-01
[64]
뉴스
Burkina Faso parliament set ablaze
https://www.bbc.com/[...]
2014-10-30
[65]
뉴스
Burkina Faso protesters set parliament on fire, take over state TV and march on presidency
https://www.smh.com.[...]
2014-10-30
[66]
뉴스
Burkina Faso General Takes Power After President Resigns
http://www.businessw[...]
2015-01-02
[67]
뉴스
Burkina Faso's President Resigns, and General Takes Reins
https://www.nytimes.[...]
2014-10-31
[68]
뉴스
Army backs new Burkina Faso leader Isaac Zida
https://www.bbc.com/[...]
2014-11
[69]
뉴스
Burkina Faso talks agree on plan for return to civilian rule
https://www.reuters.[...]
2014-11-09
[70]
뉴스
Burkina Faso coup: military says it now controls country after arresting leaders: live
https://www.telegrap[...]
2015-09-17
[71]
뉴스
Burkina Faso Leader Apologizes To Nation For Seizing Power in a Coup
https://www.npr.org/[...]
2015-09-23
[72]
뉴스
A Week After Coup, Burkina Faso's Interim President Back in Power
https://www.npr.org/[...]
2015-09-23
[73]
뉴스
Kabore wins Burkina Faso presidential election
https://news.yahoo.c[...]
Reuters
2015-12-01
[74]
뉴스
Burkina Faso swears in new president, capping transition
https://news.yahoo.c[...]
2015-12-29
[75]
웹사이트
Burkina Faso elections: Kabore's party fails to clinch majority parliamentary seats
https://www.africane[...]
2020-11-30
[76]
간행물
Au Burkina Faso, les frontières de la peur
http://www.la-croix.[...]
La Croix
2016-10-19
[77]
웹사이트
Le Burkina Faso va renforcer la sécurité de ses postes de police frontaliers
https://www.rfi.fr/f[...]
2021-12-21
[78]
웹사이트
Burkina : le bilan de l'attentat s'élève à 30 morts après le décès de la photographe Leïla Alaoui – Jeune Afrique
https://www.jeuneafr[...]
2021-12-21
[79]
웹사이트
Une vingtaine de morts après l'attaque djihadiste de Ouagadougou
http://www.lefigaro.[...]
2016-01-16
[80]
웹사이트
Un groupe jihadiste tente de s'implanter au Burkina Faso
http://www.rfi.fr/af[...]
RFI
2017-02-10
[81]
뉴스
Comment est né Ansaroul Islam, premier groupe djihadiste de l'Histoire du Burkina Faso
https://www.lemonde.[...]
2021-12-21
[82]
웹사이트
Qui est l'imam Ibrahim Dicko, la nouvelle terreur du nord du Burkina ? – Jeune Afrique
https://www.jeuneafr[...]
2021-12-21
[83]
간행물
Qui est l'imam Ibrahim Dicko, la nouvelle terreur du nord du Burkina ?
http://www.jeuneafri[...]
Jeune Afrique
2016-01-09
[84]
웹사이트
Barkhane : opération transfrontalière Panga dans la boucle du Niger élargie
https://www.defense.[...]
2021-12-21
[85]
웹사이트
Mali: opération anti-terroriste d'envergure à la frontière avec le Burkina Faso
https://www.rfi.fr/f[...]
2021-12-21
[86]
웹사이트
Meurtres dans le nord du Burkina: Ansarul Islam victime d'une guerre intestine?
https://www.rfi.fr/f[...]
2021-12-21
[87]
뉴스
Attaques de Ouagadougou : un nouveau bilan fait état de huit militaires burkinabés tués
https://lemonde.fr/a[...]
Le Monde-AFP
2018-03-07
[88]
웹사이트
Burkina : les autorités confrontées à un nouveau défi sécuritaire dans l'Est – Jeune Afrique
https://www.jeuneafr[...]
2021-12-21
[89]
뉴스
Le Burkina Faso désormais sur la carte du djihadisme
https://www.lemonde.[...]
2021-12-21
[90]
웹사이트
Dans l'est du Burkina Faso, un nouveau foyer pour le jihad ?
https://www.liberati[...]
2021-12-21
[91]
웹사이트
Burkina Faso: vaste opération de sécurité dans les forêts de l'Est
https://www.rfi.fr/f[...]
2021-12-21
[92]
웹사이트
Barkhane en opération au Burkina Faso
https://www.rfi.fr/f[...]
2021-12-21
[93]
뉴스
La France "disposée" à apporter au Burkina le même soutien militaire qu'au Mali
https://www.lemonde.[...]
2021-12-21
[94]
웹사이트
Burkina Faso: Atrocities by Armed Islamists, Security Forces
https://www.hrw.org/[...]
2021-12-21
[95]
뉴스
Au moins cinquante morts dans une série d'attaques au Burkina Faso
https://www.lemonde.[...]
2021-12-21
[96]
웹사이트
Six morts dans l'attaque d'un temple protestant au Burkina Faso
https://www.rfi.fr/f[...]
2021-12-21
[97]
웹사이트
Burkina Faso: Armed Islamist Atrocities Surge
https://www.hrw.org/[...]
2021-12-21
[98]
뉴스
Six personnes tuées dans une église dans le nord du Burkina Faso
https://www.lemonde.[...]
2021-12-21
[99]
웹사이트
Terrorism gains ground in Burkina Faso
https://acninternati[...]
2022-11-21
[100]
웹사이트
U.S. Embassy Ouagadougou Statement on Human Rights Watch Report (July 8): Burkina Faso Allegations of Extrajudicial Killings
https://bf.usembassy[...]
2020-07-08
[101]
뉴스
Portland Press Herald
2021-06-05
[102]
웹사이트
Jihadist attack in Burkina Faso kills 80 people
http://www.theguardi[...]
2021-12-21
[103]
뉴스
Burkina Faso's coup makers capitalized on wider grievances within the ranks
https://www.washingt[...]
2022-01-28
[104]
웹사이트
Burkina Faso mourns 41 killed in "insurgent" attack
https://www.dw.com/e[...]
2022-02-02
[105]
웹사이트
Terrorism increases in Burkina Faso
https://acninternati[...]
2023-10-26
[106]
뉴스
Burkina Faso President Kabore detained at military camp, security sources say
https://www.reuters.[...]
Reuters
2022-01-24
[107]
웹사이트
Lesen Sie zeit.de mit Werbung oder im PUR-Abo. Sie haben die Wahl.
https://www.zeit.de/[...]
2022-01-25
[108]
뉴스
Burkina Faso military says it has seized power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1-24
[109]
뉴스
Burkina Faso coup: New leader Damiba gives first speech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1-28
[110]
웹사이트
ECOWAS suspends Burkina Faso over military coup
https://www.aljazeer[...]
2022-01-28
[111]
웹사이트
AU suspends Burkina Faso after coup as envoys head for talks
https://www.aljazeer[...]
2022-01-31
[112]
웹사이트
Burkina Faso: Lt Col Damiba declared president by the Constitutional Council
https://www.africane[...]
2022-02-10
[113]
웹사이트
Burkina Faso's junta sworn in as president
https://www.africane[...]
2022-02-16
[114]
웹사이트
Burkina Faso approves charter for 3-year transition
https://www.dw.com/e[...]
2022-03-01
[115]
웹사이트
Burkina Faso approves three-year transition before elections
https://www.aljazeer[...]
2022-03-28
[116]
웹사이트
Burkina Faso: l'ex-président Roch Marc Christian Kaboré libéré
https://www.rfi.fr/f[...]
2022-04-06
[117]
웹사이트
State controls just 60% of Burkina Faso: ECOWAS mediator
https://www.aljazeer[...]
2022-06-19
[118]
웹사이트
Burkina Faso attempts difficult talks with jihadist groups
https://www.lemonde.[...]
2022-05-06
[119]
웹사이트
Burkina Faso: les populations de Djibo appellent le MPSR de toute urgence, le récit d'une ville qui souffre le martyr entre les mains des terroristes
https://libreinfo.ne[...]
2022-02-24
[120]
웹사이트
Burkina Faso – Escalation of violence and increased fighting (DG ECHO, Burkinabe press release, media) (ECHO Daily Flash of 28 June 2023)
https://reliefweb.in[...]
ECHO
2023-06-28
[121]
웹사이트
Burkina: at least 34 soldiers and army auxiliaries killed in an attack
https://www.africane[...]
2023-06-28
[122]
뉴스
Armed men kill at least 100 in Burkina Faso border zone – security source
https://www.reuters.[...]
Reuters
2022-06-13
[123]
뉴스
UNHCR calls for urgent support to assist almost 16,000 newly displaced in Burkina Faso who fled massacre
https://www.unhcr.or[...]
2022-06-17
[124]
웹사이트
Burkina Faso to create military zones to fight jihadi rebels
https://apnews.com/a[...]
2022-06-22
[125]
뉴스
Burkina Faso gives civilians 14 days to evacuate ahead of military operations
https://www.reuters.[...]
Reuters
2022-06-25
[126]
뉴스
Burkina Faso army captain announces overthrow of military government
https://www.reuters.[...]
Reuters
2022-09-30
[127]
웹사이트
Burkina Faso's military leader ousted in second coup this year
https://www.theguard[...]
2022-09-30
[128]
뉴스
Burkina Faso unrest: Military officers remove leader Damiba
https://www.bbc.com/[...]
BBC
2022-09-30
[129]
뉴스
Burkina Faso president resigns on condition coup leader guarantees his safety
https://www.reuters.[...]
Reuters
2022-10-03
[130]
뉴스
Traore officially appointed as transitional president of Burkina Faso after coup
https://www.france24[...]
France 24
2022-10-06
[131]
웹사이트
Com Kyélem de Tambèla, Burkina Faso está se voltando para a França?
https://lejournaldel[...]
2022-10-24
[132]
뉴스
Burkina Faso declares a general mobilization in the face of increasing jihadist attacks
https://www.lemonde.[...]
Le Monde.fr
2023-04-13
[133]
웹사이트
Survivors of Karma massacre recount ordeal
https://www.africane[...]
2023-05-01
[134]
웹사이트
Au moins 150 civils massacrés dans le nord du Burkina Faso
https://www.liberati[...]
2023-06-04
[135]
웹사이트
Burkina Faso: Army Linked to Massacre of 156 Civilians
https://www.hrw.org/[...]
2023-05-04
[136]
웹사이트
Burkina Faso: Killing of Civilians
https://www.ohchr.or[...]
[137]
뉴스
Suspected jihadists kill hundreds in Burkina Faso attack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8-27
[138]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2017
[139]
서적
Terms and Definitions FRA 2025 Forest Resources Assessment, Working Paper 194
https://openknowled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23
[140]
웹사이트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Burkina Faso
https://fra-data.fao[...]
[141]
웹사이트
SIM Country Profile: Burkina Faso
http://www.sim.org/c[...]
2006-08-05
[142]
논문
Agroclimatic Shock,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Evidence from Burkina Faso
[143]
논문
Cultural barriers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A case study from Northern Burkina Faso
2010-02-01
[144]
논문
Human Vulnerability to Climate Variability in the Sahel: Farmers' Adaptation Strategies in Northern Burkina Faso
[145]
논문
NDVI—crop monitoring and early yield assessment of Burkina Faso
[146]
논문
The costs and risks of coping with drought: livelihood impacts and farmers' responses in Burkina Faso
[147]
논문
Coping with household-level food insecurity in drought-affected areas of Burkina Faso
http://oar.icrisat.o[...]
1988-09-01
[148]
웹사이트
Geography & Wildlife
http://www.our-afric[...]
2014-10-15
[149]
웹사이트
Failure Likely
http://www.dandc.eu/[...]
dandc.eu
2013-03-01
[150]
웹사이트
Africa's human rights court and the limits of justice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7-10-27
[151]
웹사이트
Burkina Faso 2015 Human Rights Report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8-06-03
[152]
웹사이트
Burkina Faso
https://freedomhouse[...]
2018-01-04
[153]
웹사이트
Burkina Faso: Referendum on new constitution set for March 2019
http://apanews.net/e[...]
2018-08-28
[154]
웹사이트
Burkina Faso: Le référendum constitutionnel prévu le 24 mars 2019 – Radio France Internationale
http://www.rfi.fr/af[...]
2018-08-27
[155]
뉴스
Burkina Faso military says it has seized power
https://www.bbc.com/[...]
2022-01-24
[156]
웹사이트
Burkina Faso restores constitution, names coup leader president
https://www.aljazeer[...]
2022-01-31
[157]
웹사이트
Burkina: des militaires annoncent la dissolution du gouvernement, le capitaine Ibrahim Traoré prend la tête du pays
https://www.rfi.fr/f[...]
Radio France Internationale
2022-09-30
[158]
웹사이트
Coup Underway In Burkina Faso, President Detained By Military
https://www.peacefmo[...]
[159]
웹사이트
Jane's Sentinel Security Assessment – West Africa
https://web.archive.[...]
2009-04-15
[160]
서적
World Police Encyclopedia
Routledge
[161]
웹사이트
Burkina Faso: Country Specific Information
https://web.archive.[...]
U.S. Dept. of State
[162]
웹사이트
Sub-Saharan Africa: Burkina Faso
http://www.fco.gov.u[...]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09-08-13
[163]
웹사이트
OEC: Products exported by Bulgaria (2012)
http://atlas.media.m[...]
2014-10-30
[164]
웹사이트
Burkina Faso's Top 10 Exports
http://www.worldstop[...]
2019-01-17
[165]
웹사이트
Burkina Faso
https://www.worldban[...]
2017-11-26
[166]
웹사이트
Burkina Faso Financial Sector Profile
http://www.mfw4a.org[...]
MFW4A
2015-06-11
[167]
웹사이트
Burkina Faso Travel Advisory
https://travel.state[...]
2016-10-11
[168]
웹사이트
Burkina Faso Economic Outlook
https://www.afdb.org[...]
2019-03-27
[169]
웹사이트
OHADA.com: The business law portal in Africa
http://www.ohada.com[...]
2009-03-22
[170]
웹사이트
Burkina Faso
https://2009-2017.st[...]
[171]
웹사이트
Profile – Burkina Faso
http://www.inadev.or[...]
2023-05-07
[172]
뉴스
Iamgold's growing investment in Burkina Faso
https://www.theglobe[...]
2012-04-15
[173]
웹사이트
Gold production
https://ourworldinda[...]
[174]
웹사이트
Shiny future for Burkina Faso's gold-mining industry
https://www.business[...]
[175]
웹사이트
Pipes and People: Progress in Water Supply in Burkina Faso's Cities
https://web.archive.[...]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2-05-26
[176]
웹사이트
Burkina Faso: Programme Overview: Water, Sanitation & Hygiene (WASH)
https://www.unicef.o[...]
2018-05-01
[177]
뉴스
Burkina Faso launches Sahel region's largest solar power plant
https://www.euractiv[...]
2017-11-27
[178]
웹사이트
Burkina Faso
http://www.worlddipl[...]
[179]
간행물
European Rail Timetable, Summer 2014 Edition
[180]
웹사이트
Burkina Faso Road Network
https://web.archive.[...]
2018-08-04
[181]
서적
UNESCO Science Report: towards 2030
http://unesdoc.unesc[...]
UNESCO
[182]
서적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2024-10-22
[183]
웹사이트
Country Narrative – Burkina Faso
http://gvnet.com/hum[...]
[184]
뉴스
West Africa slavery still widespread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0-27
[185]
웹사이트
Country Data
https://www.globalsl[...]
[186]
웹사이트
Burkina Faso: Regions, Cities & Urban Localitie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187]
간행물
Burkina Faso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08-06
[188]
웹사이트
French no longer Burkina Faso's official language
https://apanews.net/[...]
APA News
2023-12-06
[189]
웹사이트
Burkina Faso's Constitutional Reforms: Disputed Legitimacy Versus Decided Legality
https://constitution[...]
Constitutionnet
2024-03-29
[190]
간행물
Languages of Burkina Faso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191]
간행물
Recensement General de la Population et de L'Habitation (RGPH) de 2006. Analyse des Resultats Definitifs. Theme 2: Etat et Structure de la Population
http://www.insd.bf/n[...]
Ministère de L'Économie et des Finances, Burkina Faso
[192]
간행물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10: Burkina Faso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010-11-17
[193]
간행물
Mapping the Global Muslim Population. Estimate Range of Shia by Country
http://www.pewforum.[...]
Pew Forum
[194]
웹사이트
Statistics in Burkina Faso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95]
웹사이트
Burkina Faso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196]
웹사이트
UN AIDS: HIV/AIDS – adult prevalence rate
http://www.unaids.or[...]
2014-07-25
[197]
간행물
UNAIDS World AIDS Day Report 2011
http://www.unaids.or[...]
UNAIDS
2012-03-29
[198]
웹사이트
Female genital mutilation and other harmful practices
https://swap.stanfor[...]
[199]
웹사이트
Globalis – an interactive world map – Burkina Faso – Central government expenditures on health
http://globalis.gvu.[...]
Globalis.gvu.unu.edu
2009-10-01
[200]
웹사이트
WHO Country Offices in the WHO African Region – WHO | Regional Office for Africa
http://www.afro.who.[...]
Afro.who.int
2010-06-20
[201]
웹사이트
Burkina Faso DHS Surveys
https://web.archive.[...]
[202]
뉴스
Dengue fever kills 20 in Burkina Faso
https://www.bbc.com/[...]
2016-11-23
[203]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Scores by 2024 GHI Rank
https://www.globalhu[...]
2024-12-12
[204]
웹사이트
Education – Burkina Faso
http://www.nationsen[...]
Nationsencyclopedia.com
2009-10-01
[205]
서적
UNDP Human Development Report 2007/2008
http://hdr.undp.org/[...]
Palgrave Macmillan
2008-01
[206]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IFPRI
http://www.ifpri.org[...]
2015-11-20
[207]
웹사이트
UN World Food Program
https://www.wfp.org/[...]
2015-10-19
[208]
웹사이트
The Cost of Hunger in Africa: Burkina Faso 2015
https://web.archive.[...]
African Union Commission
2015-10-19
[209]
웹사이트
Statistics
http://www.unicef.or[...]
2015-10-19
[210]
웹사이트
Education of Marginalized Populations in Burkina Faso
http://www.prb.org/P[...]
2015-11-20
[211]
웹사이트
ECHO Factsheet – Burkina Faso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3-10-03
[212]
논문
The DHS Program – Burkina Faso: DHS, 2010 – Final Report (French)
http://dhsprogram.co[...]
2015-10-19
[213]
웹사이트
Gains and losses as Burkina Faso fights child hunger
http://www.irinnews.[...]
2015-10-19
[214]
웹사이트
Food Assistance Fact Sheet – Burkina Faso |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https://www.usaid.go[...]
2019-01-06
[215]
웹사이트
Burkina Faso | WFP |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me – Fighting Hunger Worldwide
https://www.wfp.org/[...]
2015-10-19
[216]
웹사이트
Burkina Faso Brief
http://documents.wfp[...]
World Food Programme
[217]
웹사이트
Burkina Faso Transitional ICSP (January – December 2018) | World Food Programme
https://www1.wfp.org[...]
[218]
웹사이트
What We Do
http://www.worldbank[...]
World Bank
2015-11-02
[219]
웹사이트
Projects: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Food Security Project | The World Bank
http://www.worldbank[...]
World Bank
2015-11-02
[220]
웹사이트
Overview
http://www.worldbank[...]
[221]
서적
Francophone Voices
https://books.google[...]
Intellect Books
2014-04-26
[222]
서적
Women's Studies Quarterly: Teaching African Literatures in a Global Literary
https://books.google[...]
Feminist Press
2014-04-26
[223]
서적
Burkina Faso
https://books.google[...]
Petit Futé
2014-04-26
[224]
웹사이트
Burkina Faso: On The Frontline Of The Struggle For Sexual Health And Rights In Burkina Faso
https://www.mewc.org[...]
2021-02-23
[225]
웹사이트
Malika La Slameuse, la reine des mots forts
https://www.laguinee[...]
2021-02-23
[226]
웹사이트
Don de sang: Malika la Slameuse et ses fans se mobilisent pour sauver des vies - leFaso.net
https://lefaso.net/s[...]
2021-02-23
[227]
웹사이트
Radiodiffusion-Télévision Burkina
http://www.rtb.bf/
Rtb.bf
2009-10-01
[228]
웹사이트
Burkina Faso: Governmental Broadcasting Agencies
http://radiostationw[...]
Radio Station World
[229]
웹사이트
Burkina Faso
http://www.cpj.org/a[...]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230]
웹사이트
What's Happening About The Inquiry Into Norbert Zongo's Death?
http://en.rsf.org/pr[...]
Reporters Sans Frontieres
[231]
웹사이트
Outrageous Denial Of Justice
http://www.ifex.org/[...]
Reporters Sans Frontieres
2006-07-21
[232]
웹사이트
Radio Station Temporarily Pulls Programme After Host Receives Death Threats
http://www.ifex.org/[...]
IFEX
2007-04-26
[233]
웹사이트
Death threat against Reggae Radio Host
http://freemuse.org/[...]
FreeMuse.org
2007-05-03
[234]
웹사이트
Burkina Faso Police Question Zongo Protesters
http://cpj.org/blog/[...]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2008-12-15
[235]
서적
Burkina Faso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36]
서적
African Cinema and Europe: Close-Up on Burkina Faso
European Press Academic
[237]
웹사이트
Oxfam's Cool Planet – Food in Burkina Faso
http://www.oxfam.org[...]
Oxfam
2008-05-21
[238]
웹사이트
article in French on Burkinabe Zoom-kom
http://sinotables.co[...]
[239]
논문
Mapping the variability in physical, cooking,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Zamnè, a wild food in Burkina Faso
2020-12
[240]
웹사이트
The FIFA/Coca-Cola World Ranking
https://www.fifa.com[...]
FIFA
2017-02-04
[241]
서적
Sport and Development Policy in Africa – Results of collaborative study of selected country cases
SUN PRESS
2014
[242]
뉴스
The thing about poignant triple-jump moments? They sneak up on you.
https://www.washingt[...]
2021-08-10
[243]
웹사이트
Cricket in Francophone Africa: Report from Burkina Faso and Côte d'Ivoire
https://emergingcric[...]
2022-01-25
[244]
웹사이트
https://www.leconomi[...]
[245]
웹사이트
Le Burkina Faso révise sa Constitution et relègue le français au rang de « langue de travail
https://www.lemonde.[...]
Le Monde
2024-12-22
[246]
텍스트
[247]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연
2021-11-05
[248]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s://www.imf.org/[...]
IMF
2021-10-19
[249]
웹사이트
Burkina Faso: Country Name (The World Factbook by CIA)
https://www.cia.gov/[...]
[250]
웹사이트
ブルキナファソにおける国内避難民とホストコミュニティの生計向上の取り組み
https://www.jica.go.[...]
국제협력기구
2024-02-20
[251]
웹사이트
Burkina Faso: Captain Ibrahim Traoré formalises constitutional amendment in line with national realities
https://afriktimes.i[...]
2024-02-11
[252]
웹사이트
Why the name: Burkina Faso?
https://afrolegends.[...]
2023-01-04
[253]
웹사이트
Burkina Faso § People and Society
https://www.cia.gov/[...]
Cite CIA World Factbook
2023-01-04
[254]
웹사이트
Burkina Faso
https://2009-2017.st[...]
2023-01-04
[255]
뉴스
AU suspends Burkina Faso after coup as envoys head for talks
https://www.aljazeer[...]
2024-01-30
[256]
뉴스
ニジェールなど3カ国、西アフリカ共同体脱退 地域緊張高まる恐れ
https://jp.reuters.c[...]
2024-01-30
[257]
서적
세계지리대백과사전2 아프리카
朝倉書店
1998
[258]
서적
세계지리대백과사전2 아프리카
朝倉書店
1998
[259]
뉴스
反大統領デモ発生のブルキナファソ、軍が政権掌握を宣言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4-11-01
[260]
웹사이트
ブルキナファソ野党側、軍の実権掌握をけん制 大規模デモ呼びかけ
https://www.afpbb.co[...]
AFPBB
2019-12-21
[261]
웹사이트
ブルキナファソ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일본외무성
2019-12-21
[262]
뉴스
ブルキナファソ、大統領警備隊がクーデター宣言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5-09-19
[263]
뉴스
クーデター非難=仏大統領
http://www.shibukei.[...]
みんなの経済新聞ネットワーク
2015-09-25
[264]
뉴스
暫定大統領ら解放=AUは加盟資格停止発表-ブルキナファソ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5-09-25
[265]
뉴스
ブルキナファソ:反乱部隊が首相を解放 降伏に向け協議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5-09-25
[266]
뉴스
ブルキナのクーデター失敗、暫定大統領が職務復帰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5-09-25
[267]
뉴스
ブルキナファソ:全面戦闘回避し暫定政府大統領が復帰へ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5-09-25
[268]
웹사이트
ブルキナファソ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일본외무성
2019-12-19
[269]
웹사이트
イスラム過激派が2度の車両攻撃、29人死亡 ブルキナファソ
https://www.afpbb.co[...]
AFP
2019-09-19
[270]
웹사이트
ブルキナファソで180人集団埋葬 軍関与か
https://www.afpbb.co[...]
AFP
2020-07-12
[271]
웹사이트
ブルキナ兵士ら、政権掌握を宣言 国連はクーデターと非難
https://www.afpbb.co[...]
AFP통신사
2022-01-25
[272]
웹사이트
Burkina Faso military says it has seized power
https://www.bbc.com/[...]
BBC
2022-01-25
[273]
웹사이트
Burkina Faso restores constitution, names coup leader president
https://www.aljazeer[...]
알자지라
2022-02-01
[274]
웹사이트
ブルキナ反乱兵、軍政指導者の解任発表
https://www.afpbb.co[...]
AFP
2022-10-02
[275]
뉴스
「追放」の大統領、健在主張 クーデター宣言のブルキナファソ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2-10-02
[276]
뉴스
ダミバ大統領が辞任に同意、ブルキナファソのクーデター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2-10-06
[277]
뉴스
トラオレ氏が大統領に ブルキナファソのクーデター主導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2-10-06
[278]
웹사이트
Burkina Faso extends military regime by five years after national consultations
https://www.france24[...]
프랑스24
2024-05-27
[279]
웹사이트
ブルキナファソ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일본외무성
2019-12-19
[280]
서적
China and Africa: A Century of Engagemen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2
[281]
뉴스
中国、台湾との断交提案 ブルキナに5兆円示す “金銭外交”露呈
https://web.archive.[...]
2017-01-26
[282]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8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8-01-10
[283]
웹사이트
エチオピア企業がゴマの市場開拓を目指す「FOODEX JAPAN 2018」に出展
https://www.jetro.go[...]
2018-05-16
[284]
웹사이트
ウィルフリード・サヌ
https://data.j-leagu[...]
[285]
뉴스
ラシィナ選手とFDが契約 ブルキナ出身者初めてプロ昇格
http://www.kochinews[...]
高知新聞
2015-08-29
[286]
웹사이트
外務省 ブルキナファソ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87]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288]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289]
간행물
2008年版統計年鑑
ブルキナファソ国立統計人口動態研究所
2009-04
[290]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291]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8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8-01-10
[292]
서적
西部・中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7-01-15
[293]
뉴스
西アフリカ最大の太陽光発電所、運転開始 ブルキナファソ
https://www.afpbb.co[...]
AFP
2017-12-14
[294]
웹사이트
OHADA.com: The business law portal in Africa
http://www.ohada.com[...]
2023-01-04
[295]
웹사이트
ブルキナファソ:家族のために働く子どもたち 職業訓練で、鉱山での労働から解放へ
https://www.unicef.o[...]
unicef
2022-05-27
[296]
서적
世界の鉄道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5-10-02
[297]
기타
[298]
웹사이트
Burkina Faso
https://www.cia.gov/[...]
2013-07-03
[299]
웹사이트
諸外国・地域の教育情報 ブルキナファソ
https://www.mofa.go.[...]
2019-12-20
[300]
웹사이트
ブルキナファソ 安全対策基礎データ
https://www.anzen.mo[...]
外務省
2022-01-15
[301]
웹사이트
第41回ユネスコ世界遺産委員会について(概要)
https://www.bunka.go[...]
2019-12-20
[302]
웹사이트
第43回ユネスコ世界遺産委員会について(概要)
https://www.bunka.go[...]
2019-12-20
[303]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BF)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6
[304]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305]
간행물
2006년 인구조사 결과
국립통계인구연구소
2009
[306]
뉴스
아프리카 전환점 돌아..성장 국면으로 들어선 듯 [WB보고서]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0-05-01
[307]
웹인용
Burkina Faso recognizes Kosovo
http://www.newkosova[...]
2009-07-08
[308]
기타
[309]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