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틀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틀라스는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1917년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북부 지방, 북부주를 거쳐 아르한겔스크주에 속하게 되었다. 1930년대에는 굴라그 수용소가 위치하여 쿨라크와 정치범을 수용했으며, 페초라 철도 건설로 교통 요충지로 발전했다. 현재는 목재 산업, 하항, 철도 중심지로서, 코틀라스 공항과 사바티야 공군 기지가 위치해 있다. 기후는 아한대 기후에 속하며, 페름의 성 스테판 교회 등의 문화 유산이 있다. 밴디 클럽 살류트가 있으며, 워터빌, 타르누프, 바흐치사라이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굴라크 - 바이칼-아무르 철도
    바이칼-아무르 철도는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의 타이셰트에서 태평양 연안의 소비에츠카야 가반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4,324km의 철도 노선으로, 극동 방어를 목적으로 소련 시대에 건설이 시작되어 자원 개발과 연계되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노선 확장 및 현대화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 굴라크 - 보르쿠타
    보르쿠타는 러시아 코미 공화국의 도시로, 굴라크를 통해 건설되었고 한때 유럽 러시아 최대 규모의 굴라크 행정 중심지였으나, 탄광 폐쇄와 함께 인구가 급감하며 동토층 문제와 인구 감소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 아르한겔스크주의 도시 - 미르니 (아르한겔스크주)
    미르니는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1957년 탄도 미사일 발사 기지 노동자들을 위한 정착지로 지정되었으며, 1966년 우주 기지 개발과 함께 폐쇄 도시가 되었다.
  • 아르한겔스크주의 도시 - 오네가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에 있는 오네가는 백해로 이어진 항구 도시로, 14세기 포모르 마을에서 시작되어 1780년 도시로 승격되었으며, 임업 중심의 경제와 과거 수도원이 있던 키 섬, 그리고 아한대 기후와 철도 노선이 특징이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코틀라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코틀라스의 페초라 철도청 건물
러시아어 이름Ко́тлас
라틴어 이름Kotlas
위치아르한겔스크주
행정 구역주 관할 도시 코틀라스
코틀라스키 군
도시 종류도시
도시 구역코틀라스 도시 구역
면적68.039 제곱킬로미터
설립1890년
도시 지위 획득일1917년 6월 16일
인구
2010년 인구 조사60,562명
인구 순위271위
2002년 인구 조사60,647명
1989년 인구 조사68,021명
행정
우편 번호165300–165306, 165308, 165309, 165311–165313, 165398, 165399
지역 번호81837
웹사이트코틀라스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이 지역은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았을 것으로 보이지만, 1917년 6월 16일 러시아 임시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4] 1930년대 소련의 인구 이동 시기, 코틀라스는 쿨라크들이 추방되어 굴라그의 코틀라스라그에서 관리 하에 임업에 종사해야 하는 장소가 되었다. 요시프 스탈린 시대에는 억압받은 사람들이 이곳으로 보내졌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폴란드 마을 전체가 이주해 와 상당수의 폴란드인들이 거주했다.

1953년까지 도시 영토 내에는 노동 수용소가 존재했다. 수감자들은 벌목, 제지 산업 외에도 공장, 주택, 교량 및 철도 건설에 투입되었다. 대부분의 수용소는 경비가 없는 막사 형태였다. 코틀라스는 철도 종착역이었기 때문에 북쪽과 동쪽으로 이송되는 추방자들의 주요 경유지였다. 소베스트(양심) 조직의 코틀라스 지부에서는 이 시기의 기억을 보존하고 희생자들에게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5]

2. 1. 도시 형성과 발전

이 지역은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1917년 6월 16일에 러시아 임시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당시에는 볼로그다현의 일부였다. 1918년, 이 지역은 새로 형성된 북드비나현으로 편입되었고, 1924년에는 이 폐지되고 새로운 행정 구역인 구(라이온)가 도입되었다. 코틀라스 구는 1924년 6월 25일에 설립되었다.[4] 1929년, 북드비나현은 북부 지방에 통합되었고, 1936년에는 북부주로 개편되었다. 1937년, 북부주는 아르한겔스크주와 볼로그다주로 분할되었다. 코틀라스 구는 그 이후로 아르한겔스크주에 속해 있다.

코틀라스의 추가적인 개발은 페초라 철도 건설로 인해 이루어졌다. 1899년부터 코틀라스는 뱌트카(현재는 키로프)와 철도로 연결되어 북드비나강으로 오가는 화물 운송에 널리 사용되었다. 1940년에는 코노샤(모스크바와 아르한겔스크 사이의 철도 구간)에서 보르쿠타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 철도는 코미 공화국에서 석탄, 목재, 이후에는 석유를 운송하기 위해 필요했다. 이 철도의 본부는 코틀라스에 개설되었다. 같은 해에 코틀라스는 별도의 행정 구역이 되었다. 1941년 12월에 철도가 완공되었고, 1942년부터 정기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로써 코틀라스는 중요한 교통 요충지가 되었다. 페초라 철도의 본부는 1959년 북부 철도에 합병될 때까지 코틀라스에 위치했다.[5]

2. 2. 굴라그 (강제 노동 수용소)

1930년대 코틀라스는 쿨라크들이 추방되어 임업에 종사해야 하는 장소가 되었다. 이곳은 굴라그의 코틀라스라그 분국에서 관리했다. 이후 이곳은 소련의 인구 이동 시기, 요시프 스탈린 시대에 억압받은 모든 부류의 사람들을 수용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폴란드 마을 전체가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이 지역에는 상당수의 폴란드인들이 거주했다.

1953년까지 도시 영토 내에는 노동 수용소가 존재했다. 수감자들은 벌목과 제지 산업 외에도 공장, 주택, 교량 및 철도 건설에 투입되었다. 대부분의 수용소는 경비가 없는 막사 형태의 정착지였다. 코틀라스는 철도 종착역이었기 때문에 더 북쪽과 동쪽으로 이송되는 추방자들의 주요 경유지였다. 이 시기의 기억을 보존하고 희생자들에게 보상을 요구하는 소베스트(양심) 조직의 코틀라스 지부가 있다.

2. 3. 페초라 철도 건설

페초라 철도 건설은 코틀라스의 추가적인 개발을 이끌었다. 1899년부터 코틀라스는 뱌트카(현재 키로프)와 철도로 연결되어 북드비나강으로 오가는 화물 운송에 널리 사용되었다. 1940년 코노샤(모스크바아르한겔스크 사이 철도 구간)에서 보르쿠타를 잇는 철도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 철도는 코미 공화국에서 석탄, 목재, 그리고 이후에는 석유를 운송하기 위해 필요했다. 이 철도의 본부가 코틀라스에 개설되었고, 같은 해 코틀라스는 별도 행정 구역이 되었다. 1941년 12월 철도가 완공되었고, 1942년부터 정기 운행이 시작되면서 코틀라스는 중요한 교통 요충지가 되었다. 페초라 철도 본부는 1959년 북부 철도에 합병될 때까지 코틀라스에 있었다.[5]

3. 행정 구역

러시아의 행정 구역 틀 내에서 코틀라스는 코틀라스키 군의 행정 중심지이지만, 군에 속하지는 않는다.[1] 행정 구역상 비체고츠키 도시형 정착지와 2개의 농촌 거주지와 함께 코틀라스 시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군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6] 지방 자치 구역으로서 코틀라스 시는 코틀라스 도시 구로 통합된다.[7]

3. 1. 행정 구역 개편

이 지역은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1917년 6월 16일에 러시아 임시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당시에는 볼로그다현의 일부였다. 1918년, 이 지역은 새로 형성된 북드비나현으로 편입되었고, 1924년에는 이 폐지되고 새로운 행정 구역인 구(라이온)가 도입되었다. 코틀라스 구는 1924년 6월 25일에 설립되었다.[4] 1929년, 북드비나현은 북부 지방에 통합되었고, 1936년에는 북부주로 개편되었다. 1937년, 북부주는 아르한겔스크주볼로그다주로 분할되었다. 코틀라스 구는 그 이후로 아르한겔스크주에 속해 있다.

3. 2. 지방 자치

행정 구역으로서 코틀라스는 코틀라스키 군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지만, 군의 일부는 아니다.[1] 코틀라스 시(oblast significance)는 비체고츠키 도시형 정착지와 두 개의 농촌 거주지와 함께 별도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군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6] 지방 자치 구역으로서 코틀라스 시는 코틀라스 도시 구로 통합된다.[7]

코틀라스는 또한 체료무슈스코예 농촌 정착지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지만, 정착지의 일부는 아니다.[7]

4. 경제

코틀라스는 목재 산업의 중심지이자 중요한 하항이며, 중앙 러시아와 코미 공화국을 연결하는 철도의 중심지이다. 북드비나강과 비체그다강은 항해가 가능하며, 비체그다강에는 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 코틀라스는 도로 교통도 발달하여, 남쪽으로는 벨리키우스튜그(나아가 볼로그다코스트로마)와, 동쪽으로는 식티우카르, 북쪽으로는 크라스노보르스크(나아가 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한다. 코틀라스에서 출발하는 정기 여객 버스도 운행된다. 코틀라스 공항이 있으며, 사바티야 공군 기지도 위치해 있다.

4. 1. 교통

페초라 철도 건설은 코틀라스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1899년, 코틀라스는 뱌트카(현재의 키로프)와 철도로 연결되어 북드비나강을 통한 화물 운송의 중심지가 되었다. 1940년에는 코노샤에서 보르쿠타를 잇는 철도 건설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코미 공화국의 석탄, 목재, 석유 자원을 운송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철도의 본부가 코틀라스에 설치되었고, 같은 해 코틀라스는 별도의 행정 구역으로 지정되었다.[5]

1941년 12월 철도가 완공되고 1942년부터 정기 운행이 시작되면서 코틀라스는 중요한 교통 요충지로 떠올랐다. 페초라 철도 본부는 1959년 북부 철도에 합병될 때까지 코틀라스에 있었다.[5]

코틀라스는 목재 산업 중심지이자 주요 하항이며, 키로프행 철도가 본선에서 남동쪽으로 분기하여 코노샤와 보르쿠타를 연결하는 중요한 철도 허브이다.

북드비나강과 비체그다강은 선박 운항이 가능하며, 특히 비체그다강에는 정기 여객선이 운행된다. 코틀라스는 남쪽으로 벨리키우스튜그(나아가 볼로그다코스트로마)와, 동쪽으로 식티우카르, 북쪽으로 크라스노보르스크(나아가 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하는 도로망을 갖추고 있다. 또한, 코틀라스에서 출발하는 정기 여객 버스도 운행된다.

코틀라스 공항이 있으며, 사바티야 공군 기지도 위치해 있다.

5. 지리

코틀라스는 쾨펜 기후 구분에서 아한대 기후(''Dfc'')에 속한다.[8][9]

5. 1. 기후

코틀라스는 쾨펜 기후 구분에서 아한대 기후(''Dfc'')에 속한다.[1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9.0-7.1-0.18.016.320.923.619.913.75.4-2.4-6.65
평균 기온 (°C)-12.2-10.9-4.62.79.914.817.714.49.22.7-4.7-9.31
평균 최저 기온 (°C)-15.8-14.6-9.0-2.04.19.011.99.75.50.3-7.1-12.4-2
역대 최고 기온 (°C)5.55.214.526.933.033.935.535.228.721.612.45.5-
역대 최저 기온 (°C)-47.1-44.9-36.0-27.2-12.8-3.0-0.8-3.6-7.1-22.5-40.0-44.9-
평균 강수량 (mm)393231334971786255605042535
평균 강수일수 (≥ 1.0 mm)121097910101110121213125
평균 상대 습도 (%)858378706771758185868887-

[8][9]

6. 문화

페름의 성 스테판 교회


코틀라스의 문화 유산으로는 페름의 성 스테판 교회와 나로드니 돔이 있다. 페름의 성 스테판 교회는 1788년에 건축되었고, 인접한 종탑은 1825년에 건설되었다.[1] 20세기 초에 지어진 목조 주택인 나로드니 돔과 함께 이 두 건물은 지역 건축 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1]

6. 1. 건축



페름의 성 스테판 교회는 1788년에 건축되었으며, 인접한 종탑은 1825년에 건설되었다.[1] 이 두 건물은 20세기 초에 지어진 목조 주택인 나로드니 돔과 함께 지역 건축 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1]

7. 스포츠

지역 밴디 클럽인 살류트가 있다.[10][11] 알렉산드르 튜카빈은 코틀라스 출신의 주목할 만한 선수로, 2011-2012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 2014년에는 국제 페어 플레이 위원회에서 상을 받았다.

8. 자매 도시

코틀라스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2]

국가도시
미국워터빌 (메인주)
폴란드타르누프 (마워폴스카 주)
러시아바흐치사라이 (크림 공화국)


참조

[1] OKATO reference
[2] 웹사이트 ru:Паспорт города. Котлас http://www.kotlas-ci[...] Администрация МО "Котлас" 2014-11-14
[3] ru-pop-ref
[4] 웹사이트 ru:История района http://www.kotlasreg[...] Котласский муниципальный район 2011-05-26
[5] 웹사이트 ru:Северн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https://web.archive.[...] www.railway.te.ua 2011-08-09
[6] 법률 Oblast Law #65-5-OZ
[7] 법률 Oblast Law #258-vneoch.-OZ
[8] 웹사이트 Климат Котласа -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http://www.pogodaikl[...] 2021-12-12
[9]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Kotlas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4-09
[10] 웹사이트 Сергей Ломанов – лучший игрок XX Чемпионата России https://web.archive.[...] bandynet.ru 2012-04-02
[11] 웹사이트 ru:Тюкавин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http://www.rusbandy.[...] Russian Bandy Federation 2013-12-31
[12]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http://kotlas-city.r[...] Kotlas 2020-02-05
[13]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citypopulati[...] 2023-05-05
[14] 웹인용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Kotlas http://www.weatherba[...] 2011-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