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한겔스크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한겔스크주는 동유럽 평원 북부에 위치한 러시아의 주(oblast)이다. 북극해에 접하며, 네네츠 자치구를 포함한다. 주요 강으로는 북드비나강이 흐르며, 타이가 숲이 넓게 분포한다.
역사적으로는 핀-우그리아족이 거주했으며, 노브고로드 공화국에 식민지화되었다. 1708년 표트르 대제에 의해 주가 설립되었고, 1918년에는 러시아 내전의 격전지였다.
현재는 어업, 임업, 목재 가공, 제지 산업 등이 발달했으며, 다이아몬드, 원유, 천연 가스 등의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아르한겔스크는 주의 주도이며, 주요 도시로는 세베로드빈스크, 코틀라스 등이 있다. 인구는 러시아인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러시아 정교회가 주된 종교이다. 아르한겔스크는 목조 건축물로 유명하며, 특히 교회 건축이 뛰어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르한겔스크주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Arkhangel'skaya Oblast' |
국가 | 러시아 |
연방 관구 | 북서 |
경제 지구 | 북부 |
주도 | 아르한겔스크 |
면적 | 413,103 km2 |
설립일 | 1937년 9월 23일 |
인구 통계 | |
2021년 인구 | 978,873명 |
인구 순위 | 53위 |
도시 인구 비율 (2021년) | 77.4% |
농촌 인구 비율 (2021년) | 22.3% |
인구 밀도 | 알 수 없음 (정보 없음) |
정치 | |
정치 체제 | 주 |
주지사 | 알렉산드르 치불스키 |
입법부 | 의회 |
자동차 번호판 코드 | 29 |
상징 | |
국가 | 국가 |
기타 | |
ISO 3166-2 | RU-ARK |
공식 웹사이트 | 아르한겔스크 주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아르한겔스크주는 동유럽 평원 북쪽에 위치하며, 대부분 숲이 우거진 구릉 지형이다. 백해, 바렌츠해, 페초라 만, 카라해와 접해 있다. 주요 강으로는 북드비나강, 오네가강, 메젠강 등이 있다. 프란츠요제프 란드의 플리겔리 곶(러시아, 유럽 및 유라시아의 최북단)과 노바야제믈랴의 젤라니야 곶(유럽의 최동단)이 모두 아르한겔스크주에 속하며, 크루젠슈테른 산은 주의 최고봉이다.
2. 1. 기후
동유럽 평원 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백해, 바렌츠해, 카라해에 접해 있다. 동쪽으로는 코미 공화국, 서쪽으로는 카렐리야 공화국과 인접해 있다. 주요 하천은 북드비나강이다.노바야제믈랴와 프란츠요시파 제도를 제외한 아르한겔스크주의 대부분은 타이가로 덮여 있다. 가장 널리 분포하는 것은 가문비나무와 소나무이며, 동부에는 전나무, 낙엽송이 보인다. 기후는 대륙성 기후이며, 북동부에는 아한대 기후가 나타난다.[12]
2. 2. 자연 환경
아르한겔스크주는 동유럽 평원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숲이 우거진 구릉 지형이다. 북동부는 주로 주 동쪽에 위치한 고원인 티만 구릉에 속한다. 네네츠 자치구는 기본적으로 평평한 툰드라(볼셰제멜스카야 툰드라)이며, 파이호이 산맥과 같은 여러 산줄기가 있다.[12] 노바야제믈랴와 프란츠요제프 란드를 포함한 북극해 섬들은 빙하와 영원히 눈으로 덮인 산악 지형이다. 이 지역에는 바렌츠해 지역과 관련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북극곰 개체군이 있다.[13]주의 거의 모든 지역은 북극해 유역에 속하며, 주요 강으로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오네가강, 북드비나강 (주요 지류로 비체그다강, 바가강, 피네가강이 있음), 쿨로이강, 메젠강, 페초라강이 있다. 주의 서쪽에 있는 작은 지역, 특히 일렉사강 유역은 오네가호로 흘러 들어가 결국 발트해로 흘러든다. 주의 남서부 카르골폴스키 군의 아주 작은 지역은 카스피해 유역에 속하는 케마강으로 흘러든다. 오네가강 유역 지역에는 라차호, 케노제로호, 운도제로호, 코조제로호와 같이 주에서 가장 큰 호수가 있다. 네네츠 자치구의 툰드라에도 여러 개의 큰 호수가 있다. 피네가강 유역은 이 지역에 여러 개의 동굴이 있는 카르스트 지형이 특징이다.
주 내 백해 해안은 오네가만 (오네가가 주요 지류임), 드비나만 (북드비나), 메젠만 (메젠과 쿨로이로 구성됨)으로 나뉜다. 솔로베츠키 제도와 여러 개의 작은 섬들이 오네가만에 위치해 있다. 오네가만과 드비나만은 오네가 반도로 분리되어 있다. 메젠만은 모르조베츠 섬으로 백해의 주요 해역과 분리되어 있다.
주의 거의 모든 지역이 타이가로 덮여 있으며, 소나무, 가문비나무, 낙엽송이 지배하는 침엽수림이다. 타이가 중앙의 넓은 지역에는 나무가 없고 늪으로 덮여 있다. 강의 범람원에는 초원이 있다.
아르한겔스크주의 여러 지역이 보호 자연 지역으로 지정되었다.[14] 이들은 국립 공원, 자연 보호 구역 (자포베드니크), 연방 차원의 자카즈니크로 세분된다. 다음과 같은 보호 구역이 지정되었다.
- 케노제르스키 국립 공원
- 오네슈스코예 포모리예 국립 공원
- 러시아 아르크티카 국립 공원 (이전부터 설립된 프란츠요제프 란드 자카즈니크 포함)
- 보들로제르스키 국립 공원 (카렐리야 공화국과 공유)
- 피네즈스키 자연 보호 구역
- 시이스키 자카즈니크
케노제르스키 국립 공원 및 보들로제르스키 국립 공원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 지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네네츠 자치구에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보호 구역, 네네츠키 자연 보호 구역 및 네네츠키 자카즈니크가 있다.
2. 3. 섬
프란츠요제프 제도와 노바야제믈랴 섬 등 북극해의 여러 섬들이 아르한겔스크주에 속한다.[12] 이 섬들은 빙하와 영원히 눈으로 덮인 산악 지형이며, 바렌츠해 지역과 관련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북극곰 개체군이 있다.[13] 프란츠요제프 란드의 플리겔리 곶 (러시아, 유럽 및 유라시아의 최북단)과 노바야제믈랴의 젤라니야 곶 (유럽의 최동단) 모두 아르한겔스크주에 위치해 있다.[12]3. 역사
아르한겔스크주 지역에는 선사 시대부터 핀-우그리아족이 거주했으며, 이 지역 지명의 대부분은 핀-우그리아어에서 유래되었다. 11세기경부터 러시아인(포모르)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카르골은 1146년에 연대기에 처음 언급되었고, 셴쿠르스크는 1315년에, 솔비체고드스크는 14세기에 세워졌다.[15]
13세기까지 노브고로드 공화국 상인들은 이미 백해에 도달하여 모피 거래에 매료되었다. 1478년 노브고로드의 몰락 이후, 이 모든 지역은 모스크바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703년까지 북드비나강은 모스크바 대공국의 주요 수출 무역로 역할을 했다. 지역 중심지는 벨리키우스티유그와 홀모고리였지만, 17세기 동안 홀모고리는 중요성을 잃었고, 그 역할은 점차 아르한겔스크로 대체되었다.[15]
1708년, 차르 표트르 대제에 의해 주가 설립되었을 때, 아르한겔스크는 러시아 제국의 일곱 개 주 중 하나의 주도가 되었다.
동시에 아르한겔스크 지역은 러시아에서 가장 외딴 지역 중 하나였다. 이 사실은 군중을 피해 도망치는 수도사들에게 매력적이었다. 1436년에 솔로베츠키 수도원이 설립되었고, 곧 가장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러시아 수도원 중 하나가 되었다. 다른 수도원들도 뒤따랐다. 예를 들어, 1552년에 설립된 코제오제르스키 수도원은 여전히 가장 외딴 러시아 정교회 수도원 중 하나로 남아 있다. 1653년 러시아 정교회에서 일어난 대분열 이후, 이 지역은 국가에 의해 박해받는 많은 구교도들을 끌어들였다. 대부분은 나중에 시베리아와 같은 더 외딴 지역으로 도망쳤다.
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건설되면서, 유럽과의 지리적 근접성과 무르만스크의 부동항이 부족했던 아르한겔스크는 러시아 제국의 주요 무역항으로서의 중요성을 잃었다. 그러나 20세기 초 아르한겔스크는 러시아의 북극 정책을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었다. 예를 들어, 1830년대 표트르 파흐투소프는 아르한겔스크에서 두 번 출항하여 노바야제믈랴를 조사하고 지도화했다.
3. 1. 중세
13세기까지 노브고로드 상인들은 이미 백해에 도달하여 모피 거래에 매료되었다.[15] 노브고로드인들은 수로를 이용하여 이 지역으로 진출했고, 이것이 고대 정착지가 주요 강 계곡에 위치한 이유이다. 주요 수로는 북드비나강이었고, 노브고로드 상인들은 볼가강과 그 지류인 셰크스나강을 이용하여 슬라뱐카강을 따라 니콜스코예호로, 그 다음 배를 육로로 블라고베시첸스코예호로 옮긴 후, 포로조비차강을 따라 쿠벤스코예호로 흘러가 수호나강과 북드비나강으로 연결되었다.[15]1478년 노브고로드의 몰락 이후, 이 모든 지역은 모스크바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다.[15]
3. 2. 근대
1584년, 이반 4세에 의해 러시아 최초의 해항 도시 아르한겔스크가 건설되었다. 이곳을 거점으로 시베리아의 망가제야에서부터 '''북극해 항로'''와 스칸디나비아 반도 북안을 경유하는 '''북동 항로'''를 연결하여 영국 (모스크바 회사)과 네덜란드와의 무역으로 크게 번성했다.[15] 이 시기 주요 생산품은 모피였다.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개항하면서 영국과 네덜란드에게 아르한겔스크의 중요성은 감소했다. 특히 1750년경부터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이 일어난 1920년까지 노르웨이 북부와 Pomor trade|포몰 무역영어이라 불리는 해상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포몰 무역은 노르웨이에서 잡히는 생선과 러시아의 곡물을 거래하여 양쪽 사회 모두에서 중요성이 높았다.
3. 3. 현대
1918년과 1919년, 아르한겔스크 주는 러시아 내전의 격전지 중 하나였다. 1918년 8월 2일, 아르한겔스크는 백군과 동맹을 맺은 영국군과 미국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북부 지역 최고 행정부가 설립되었다. 이 사건은 북러시아 개입으로 알려져 있다. 동맹군은 남쪽으로 진격하여 셴쿠르스크와 베르흐냐야토이마까지 점령했지만, 1919년 셴쿠르스크 전투 이후 셴쿠르스크 지역에서 쫓겨났다. 1920년 2월 20일, 적군이 아르한겔스크에 진입했을 때는 이미 모든 동맹군이 철수했다.[15]1930년대 소련은 농민과 어부를 집단 농장으로 강제 조직하는 등 경제 실험을 단행했다. 아르한겔스크 주는 유형지, 강제 이주, 수용소 지역으로 활용되었으며, 최초의 수용소인 솔로프키 수용소는 1920년 솔로베츠키 수도원 부지에 세워졌다. 1950년대부터 노바야제믈랴는 핵폭탄 실험을 위한 군사 기지가 되었다.
블라디미르 보로닌 (선장)의 지휘하에 아르한겔스크에서 출항한 쇄빙선 ''시비리야코프 (1909 쇄빙선)''는 1932년 북극해 항로를 단일 항해로 횡단했다.
1937년 9월 23일, 아르한겔스크 주가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1991년 이전까지 주의 최고 권한은 소련 공산당 제1서기, 주 소비에트 의장, 주 집행위원회 의장이 공유했다. 1991년 소련 공산당은 모든 권력을 잃었고, 주 행정부 수장과 주지사가 선출되거나 임명되었다.
1990년대 경제 위기는 소련의 붕괴 이후 아르한겔스크 주에 큰 타격을 입혔다. 목재 수요는 여전했지만, 특히 농촌 지역에서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여 많은 마을이 버려지거나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아르한겔스크 주의 광대한 지역은 러시아 연방의 국경을 보호하기 위한 국경 보안 구역에 포함되어 있다. 이 구역에는 북극해와 바렌츠해의 모든 섬, 모르조베츠섬, 메젠스키 구의 백해 해안 대부분, 메젠 시, 카멘카 읍이 포함되며, 방문하려면 FSB의 허가가 필요하다.[19]
1584년 이반 4세에 의해 건설된 러시아 최초의 해항 도시 아르한겔스크는 영국 (모스크바 회사)과 네덜란드와의 무역 거점으로 크게 번성했다. 주요 생산품은 모피였다.
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개항 이후 아르한겔스크의 중요성은 감소했지만, 1750년경부터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이전까지 노르웨이 북부와 포몰 무역(Pomor trade)을 활발하게 진행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윈스턴 처칠이 이끄는 영국군과 미국 북러시아 원정군에 의해 일시 점령되면서 포몰 무역은 종말을 맞았다.
혁명 이후 소련은 민간 무역을 금지했고, 아르한겔스크는 폐쇄 도시가 되었다.
1930년대 스탈린은 200만 명에 달하는 우크라이나의 자영농가를 반혁명적이라는 이유로 이 지역에 강제 이주시켰다.
솔로베츠키 제도의 솔로베츠키 수도원은 스탈린 시대에 강제 수용소로 사용되었으며, 굴라그의 모델이 되었다.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소설 『수용소 군도』에서 수용소 생활을 묘사하여 1970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4. 행정 구역
아르한겔스크주는 6개의 주 직할시 (아르한겔스크, 코랴즈마, 코틀라스, 노보드빈스크, 오네가, 세베로드빈스크), 1개의 연방 관할 도시 (미르니), 21개의 군, 2개의 섬 영토 (프란츠요제프 란드, 빅토리아 섬)로 구성된다.[18] 카르코폴, 메젠, 뱐도마, 셴쿠르스크, 솔뱌체고츠크, 벨스크는 지구 직할시의 지위를 갖는다.
주에 행정적으로 종속된 네네츠 자치구는 행정적으로 1개의 지구 (자폴랴르니 구)와 1개의 구 직할시 (나뱌르-마르)로 나뉜다.
아르한겔스크주의 광대한 지역은 러시아 연방의 국경을 보호하기 위한 국경 보안 구역에 포함되어 있다. 이 제한 구역에는 북극해와 바렌츠해의 모든 섬, 모르조베츠섬, 그리고 메젠스키 구의 백해 해안 대부분이 포함된다. 특히, 이 구역에는 메젠 시와 카멘카 읍이 포함된다. 이 구역을 방문하려면 현지 FSB 부서에서 발급한 허가가 필요하다.[19]
4. 1. 군
군 이름 | 러시아어 표기 |
---|---|
카르고폴스키 군 | 카르고폴스키 (Каргопольский) |
홀모고르스키 군 | 홀모고르스키 (Холмогорский) |
코노시스키 군 | 코노시스키 (Коношский) |
코틀라스키 군 | 코틀라스키 (Котласский) |
크라스노보르스키 군 | 크라스노보르스키 (Красноборский) |
렌스키 군 | 렌스키 (Ленский) |
레시콘스키 군 | 레시콘스키 (Лешуконский) |
메젠스키 군 | 메젠스키 (Мезенский) |
냔돔스키 군 | 냔돔스키 (Няндомский) |
오네시스키 군 | 오네시스키 (Онежский) |
피네시스키 군 | 피네시스키 (Пинежский) |
플레세츠키 군 | 플레세츠키 (Плесецкий) |
프리모르스키 군 | 프리모르스키 (Приморский) |
셴쿠르스키 군 | 셴쿠르스키 (Шенкурский) |
솔로베츠키 군 | 솔로베츠키 (Соловецкий) |
우스티야노프스키 군 | 우스티야노프스키 (Устьяновский) |
벨스키 군 | 벨스키 (Вельский) |
베르흐네토옘스키 군 | 베르흐네토옘스키 (Верхнетоемский) |
빌레고츠키 군 | 빌레고츠키 (Вилегодский) |
비노그라도프스키 군 | 비노그라도프스키 (Виноградовский) |
4. 2. 도시
5. 정치
소련 시대 아르한겔스크주의 최고 권력은 아르한겔스크주 공산당 위원회 제1서기(실질적 최고 권력자), 주 소비에트 의장(입법권), 주 집행위원회 의장(행정권) 3인이 공유했다. 1991년 이후 공산당이 모든 권력을 잃었고, 주 행정부 수장과 주지사는 지방 의회와 함께 선출 또는 임명되었다.[1]
아르한겔스크주의 헌장은 이 지역의 기본법이다. 아르한겔스크주 입법 의회는 주의 상설 입법(대표) 기관으로, 법률, 결의안 및 기타 법적 행위를 통과시키고 그 시행 및 준수를 감독한다. 최고 행정 기관은 주 정부이며, 지역 행정부, 위원회 등 지역 행정 기관을 포함한다. 주 행정부는 최고 공무원이며 러시아 헌법에 따라 주 헌장의 준수를 보장하는 주지사의 활동을 지원한다.[1]
5. 1. 주 의회
2013년 9월 8일, 아르한겔스크주 입법 의회 의원 정기 선거가 실시되었다. 정당별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6차 소집 지역 의회는 2013년 9월 25일에 업무를 시작했다. 빅토르 노보질로프가 통합 러시아 아르한겔스크 지역 지부에서 선출되어 아르한겔스크주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정당별 파벌은 다음과 같다.
파벌 | 의원 수 | 대표 |
---|---|---|
통합 러시아 | 45명 | 비탈리 포르티긴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6명 | 알렉산드르 노비코프 |
자유민주당 | 4명 | 올가 오시치나 |
정의 러시아 | 3명 | 타티야나 세두노바 |
로디나 | 2명 | 블라디미르 페트로프 |
러시아 국가 두마의 아르한겔스크주 대표 의원들은 다음과 같다.
- 알렉산드르 스피리도노프 (통합 러시아당)
- 옐레나 브토리기나 (통합 러시아당)
- 올가 예피파노바 (정의 러시아당)
- 안드레이 팔킨 (통합 러시아당)
6. 경제
아르한겔스크주는 러시아의 주요 산업 지역 가운데 하나로, 어업, 임업, 목재 가공, 셀룰로스, 제지 산업이 발달했다.[20] 목재, 석유, 보크사이트, 티타늄, 금, 망간, 현무암 등 대규모 천연자원이 매장되어 있다.[20] 원유, 천연 가스, 다이아몬드, 이탄을 생산하며, 남부에는 대규모 암염층이 있다.
주요 강의 계곡에서는 일부 축산업과 작물 및 감자 재배가 이루어지지만, 추운 기후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우스탸니 지구는 양봉으로 유명하다.
6. 1. 산업
아르한겔스크주는 러시아의 주요 산업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이 지역은 어업, 임업, 목재 가공, 셀룰로스, 제지 산업이 발달했다.[20] 목재, 석유, 보크사이트, 티타늄, 금, 망간, 현무암 등 대규모 천연자원이 매장되어 있다.[20] 2011년 제지 생산 및 관련 산업이 주 전체 산업 생산량의 55%를 차지했고, 식량 생산이 11%, 목재 가공(제지 생산 제외) 및 가구 생산이 12%를 차지했다.[20]주요 산업 기업으로는 아르한겔스크와 세베로드빈스크의 조선소(세브마쉬 포함), 코랴즈마와 노보드빈스크의 펄프 및 제지 공장, 세베로오네줴스크의 보크사이트 채굴 공장이 있다. 거의 모든 도시에 목재 공장이 있다.
원유, 천연 가스, 다이아몬드, 이탄을 생산하며, 남부에는 대규모 암염층이 있다.
6. 2. 자원
아르한겔스크주에는 원유, 천연 가스, 다이아몬드, 이탄 등 다양한 천연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남부에는 대규모 암염층이 발견된다.[1]6. 3. 농업
주요 강의 계곡에서는 일부 축산업과 작물 및 감자 재배가 이루어지지만, 추운 기후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우스탸니 지구는 양봉으로 유명하다. 아르한겔스크주에서 유래된 두 가지 주목할 만한 품종이 있다. 홀모고리 소는 홀모고리와 아르한겔스크 시골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로 흑백이며, 북부 러시아의 추운 기후에 특히 강했고 결국 아르한겔스크 지역을 넘어 널리 퍼졌다.[21] 메젠 말은 메젠 강 계곡에서 사육되며, 작지만 어려운 작업에 적합하고 추운 겨울을 쉽게 견딘다.[22]7. 교통
아르한겔스크주는 역사적으로 러시아 중부와 백해를 연결하는 무역로에 위치했으며, 17세기에는 백해가 러시아의 주요 해상 수출로였다. 북드비나강 전 구간과 비체그다강, 바가강, 피네가강 등 지류 하류 일부는 항해가 가능하다. 메젠강도 하류에서 항해할 수 있다. 오네가강은 급류 때문에 짧은 두 구간을 빼고는 항해가 불가능하다. 현재는 비체그다강 하류와 북드비나강 일부를 제외하면 여객선 운항이 거의 없고, 화물 수송에 주로 이용된다.
발트 해 파이프라인 시스템 유류 수송 시스템이 주를 통과하며, 우르도마와 프리보디노에 유류 펌프장이 있다.
7. 1. 도로
모스크바와 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하는 M8 고속도로가 주를 통과한다. 이 고속도로는 포장되어 있으며 교통량이 많다. 1765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아르한겔스크 사이에 우편 서비스를 위한 도로가 건설되었는데,[23] 이 도로는 카르골과 플레세츠크를 지나며 2011년에 포장되었다.[24]아르한겔스크주의 도로망은 전반적으로 낙후되어 있다. M8 고속도로 외에 주 경계를 넘어가는 올 시즌 운행 가능한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코틀라스와 스튁티우카르를 연결하는 도로 (부분 비포장)
- 코틀라스를 벨리키우스튜그와 연결하고 볼로그다와 니콜스크를 연결하는 도로 (포장)
- 코노샤에서 남쪽으로 연결되는 도로 (포장)
- 카르골에서 푸도쉬와 솔자, 벨로제르스크로 연결되는 두 개의 도로 (비포장)
대부분의 지방 도로는 비포장 도로이다. 2008년까지는 주요 도로망과 주 북동부(메젠과 레슈콘스코예 읍)를 연결하는 올 시즌 도로는 없었고, 북드비나강 우안에 있는 세베로오네즈크에서 하류로 내려가는 오네가강 좌안과 네네츠 자치구로 연결되는 도로는 거의 없었다. 많은 강들은 페리 보트를 통해서만 건널 수 있으며, 이는 얼음이 녹는 시기에는 건널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도로에는 정기적인 버스 노선이 있다.
7. 2. 철도
주의 주요 철도 노선은 모스크바와 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하는 철도이다. 볼로그다와 아르한겔스크 사이 구간은 1890년대에 건설되었으며, 북드비나강과 오네가강 계곡 사이의 이전에는 사람이 살지 않던 지역을 통과했다. 철도 건설은 이러한 지역의 인구 증가와 개발의 계기가 되었다.[25] 코노샤에서 동쪽으로 코틀라스로, 더 나아가 보르쿠타로 이어지는 지선은 1940년대에 코미 공화국에서 석탄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코틀라스에서 다른 지선은 남쪽으로 키로프로 이어진다. 오보제르스키에서 서쪽으로 오네가로, 더 나아가 벨로모르스크로 이어지는 지선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무르만스크 항구에서 러시아 중부로 물품 수송을 확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아르한겔스크와 카르포고리 사이의 철도 구간도 1970년대에 건설되었으며, 벨코무르 프로젝트의 일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25] 거의 모든 철도망은 오네가 서쪽에서 옥탸브리스카야 철도와 연결되는 북부 철도에 속한다.

또한 세베로드빈스크에서 서쪽 얀고리로 이어지는 철도 노선(푸크사에서 나볼로크로 이어지는 노선의 연장)이 있으며, 이는 교정부 소속이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목재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많은 수의 협궤 철도가 건설되었지만, 그 이후 대부분은 수익성이 없어 폐기되었다. 2010년에 쿠뎀스카야 협궤 철도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10개의 철도 노선 중 하나로 포브스 순위에 올랐다.
현재 운영되는 협궤 철도 노선은 다음과 같다.
구 | 철도 노선 |
---|---|
비노그라도프스키 구 | 코네츠고르스카야 협궤 철도 |
우스티안스키 구 | 로이긴스카야 협궤 철도 |
코틀라스키 구 | 뉴브스카야 협궤 철도, 우딤스카야 협궤 철도 |
베르흐네토엠스키 구 | 젤레니코프스카야 협궤 철도 |
7. 3. 항공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항공 운송이 활발하여, 모든 지구 중심지가 아르한겔스크와 정기 항공편으로 연결되었고 코틀라스는 두 번째로 중요한 허브였다. 현재는 항공 운송이 거의 사라졌다. 아르한겔스크에는 두 개의 공항이 있지만, 정기적인 지역 항공편은 노바야 제믈랴, 솔로베츠키 제도, 네네츠 자치구, 오네가 반도와 같이 철도 또는 도로 연결이 없는 주의 북부 지역으로만 운항된다.[25] 공항이 있는 예외적인 곳은 메젠, 레슈콘스코예, 오네가이다.8. 인구
2021년 기준 아르한겔스크주의 인구는 978,873명이다.[26] 연도별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인구 |
---|---|
1897 | 346,536 |
1926 | 429,184 |
1939 | 1,199,200 |
1959 | 1,267,186 |
1970 | 1,401,289 |
1979 | 1,467,069 |
1989 | 1,570,256 |
2002 | 1,336,539 |
2010 | 1,227,626 |
2021 | 978,873 |
8. 1. 민족 구성

민족 집단 | 2021년 인구[26] |
---|---|
러시아인 | 806,583 (82.4%) |
우크라이나인 | 4,829 (0.5%) |
벨라루스인 | 1,702 (0.2%) |
포모르인 | 1,297 (0.1%) |
아제르바이잔인 | 1,290 (0.1%) |
타타르인 | 1,089 (0.1%) |
기타 | 11,018 (1.1%) |
민족 미상 | 151,065 (15.4%) |
2022년 출생 및 사망 통계는 다음과 같다.[27][28]
- 출생: 7,716명 (인구 1,000명당 7.2명)
- 사망: 15,249명 (인구 1,000명당 14.3명)
2022년 합계 출산율은 여성 1명당 1.49명이다.[29]
2021년 기대 수명은 전체 69.60세 (남성 64.33세, 여성 75.08세)이다.[30]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지역별 출산율은 다음과 같다.[31]
합계 출산율 | 도시 출산율 | 농촌 출산율 | |
---|---|---|---|
2000 | 1.21 | 1.10 | 1.65 |
2001 | 1.30 | 1.20 | 1.73 |
2002 | 1.38 | 1.27 | 1.89 |
2003 | 1.40 | 1.30 | 1.88 |
2004 | 1.41 | 1.30 | 1.90 |
2005 | 1.36 | 1.26 | 1.75 |
2006 | 1.37 | 1.24 | 1.89 |
2007 | 1.50 | 1.34 | 2.14 |
2008 | 1.53 | 1.36 | 2.22 |
2009 | 1.59 | 1.41 | 2.34 |
2010 | 1.63 | 1.45 | 2.45 |
2011 | 1.63 | 1.42 | 2.83 |
2012 | 1.76 | 1.51 | 3.47 |
2013 | 1.80 | 1.55 | 3.81 |
2014 | 1.84 | 1.54 | 4.26 |
2015 | 1.85 | 1.64 | 3.96 |
2016 | 1.83 | 1.60 | 4.47 |
2017 | 1.68 | 1.44 | 4.39 |
2018 | 1.58 | 1.36 | 4.68 |
러시아인 중 주목할 만한 하위 집단은 백해 해안과 주요 강 유역에 거주하며, 포모르 방언을 사용하는 포모르인이다. 이들은 12~13세기에 러시아 북부를 식민지화한 노브고로드 인구의 후손이다. 2002년 인구 조사에서 아르한겔스크주 거주자 약 6,500명이 자신의 민족을 포모르인으로 표시했다.
8. 2. 종교
2012년 조사[32]에 따르면 아르한겔스크주 인구의 29.1%가 러시아 정교회를 따르고, 6%는 비교파 일반 기독교인이며, 1%는 특정 교회에 속하지 않거나 기타 동방 정교회 교회의 신자이고, 1%는 슬라브 토착 신앙(로도베리)을 따른다. 또한, 인구의 32%는 "종교는 없지만 영적인" 상태라고 답했고, 16%는 무신론자이며, 17.9%는 기타 종교를 따르거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32]종교 | 비율 (%) |
---|---|
러시아 정교회 | 29.1 |
기타 동방 정교회 | 0.7 |
구교도 | 0.5 |
기타 기독교 | 6.1 |
로도베리 및 기타 토착 신앙 | 0.7 |
종교는 없지만 영적인 | 32.5 |
무신론 및 불가지론 | 16.4 |
기타 및 미응답 | 14 |
9. 문화
아르한겔스크주는 러시아 북부의 문화 중심지 중 하나로, 풍부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특히 목조 건축과 민속 예술 분야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인다.
이 지역은 타이가로 덮여 있어 목재가 풍부하기 때문에, 예로부터 목조 건축이 발달했다. 17세기에 지어진 교회, 예배당, 농가 등 다양한 목조 건물들이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특히 교회와 예배당은 뛰어난 건축미를 자랑하며, 말리 코렐리 야외 민족학 박물관에는 이러한 목조 건축 유산이 보존되어 있다. 카렐리야 공화국의 키지 포고스트와 같이 두 개의 교회와 종탑으로 구성된 삼중 교회 앙상블은 세계 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가치가 높다. 그러나 많은 목조 건물들이 방치되어 화재로 소실되는 안타까운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34] [35] [36]
석조 건축 분야에서도 솔로베츠키 수도원(1436년 설립), 카르골폴의 그리스도 탄생 대성당(1552년), 솔비체고스크의 봉헌 교회(1688–1712) 등 뛰어난 건축물들이 남아 있다. 특히 봉헌 교회는 스트로가노프 바로크 양식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19세기까지 수도원을 중심으로 이콘화가 발전했으며, 아르한겔스크주와 볼로그다주에서 제작된 이콘은 '북부 이콘화'(''Северные письма'')로 불린다. 홀모고리, 솔비체고츠크 등지에서 제작된 이콘은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후원을 받기도 했다.[38] 또한, 이콘화 기법은 나무 그림에도 영향을 주어, 북드비나, 피네가, 메젠 등지에서 다양한 나무 표면에 기하학적 도형, 식물, 동물, 사람 등을 그리는 전통이 이어져 왔다.[39]
19세기 후반에는 알렉산드르 보리소프, 스테판 피사호프, 티코 빌카 등 북극 풍경을 주로 그린 화가들이 등장하면서 아르한겔스크 지역의 회화가 발전하기 시작했다.[40] 이 외에도 홀모고리 뼈 조각, 카르골폴 장난감 등 다양한 수공예가 발달했다.[41]
러시아 북부 지역의 민속 전통은 아르한겔스크주에서도 중요한 문화적 요소이다. 20세기 중반까지 전문 공연자들이 동화와 빌리나를 공연했으며, 마리야 크리보폴레노바와 같은 인물은 전국적인 명성을 얻기도 했다. 이러한 민속적 요소는 스테판 피사호프, 보리스 셰르긴 등의 문학 작품에도 영감을 주었다.[42]
17세기 러시아 정교회의 개혁에 반대했던 원로 사제 아바쿰은 메젠과 푸스토지오르스크에서 유배 생활을 하며 ''아바쿰의 생애'' 등 60여 편의 문학 작품을 남겼다.[42]
러시아 문학 언어의 기초를 다진 미하일 로모노소프는 홀모고리 근처의 데니소프카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20세기에는 표도르 아브라모프, 알렉산드르 야신 등 농촌 생활을 묘사한 작가들이 아르한겔스크 지역과 깊은 관련을 맺었다.
9. 1. 건축
아르한겔스크주는 교회, 예배당, 농가, 농장, 도시 주택을 포함한 목조 건축물로 유명하다. 목재는 이 지역에서 건축 자재로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는데, 이는 이 지역이 거의 타이가로 덮여 있고 여전히 최대 목재 생산지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건물 중 일부는 17세기에 지어졌다. 교회와 예배당은 특히 훌륭하다고 여겨지며, 1920년대 이전에 지어진 거의 모든 건물은 연방 또는 지방 차원에서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600개 이상의 건물(목재와 석조 모두)이 연방 차원에서 보호받고 있다. 아르한겔스크 근처의 말리 코렐리 마을에는 이러한 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야외 민족학 박물관이 문을 열었다.가장 주목할 만한 목조 교회는 두 개의 교회(여름에 사용되는 크고 난방이 안 되는 교회, 겨울에 사용되는 작고 난방이 되는 교회)와 종탑으로 구성된 삼중 교회 앙상블이다. 이러한 삼중 목조 앙상블 중 12개 미만이 남아 있으며, 가장 잘 알려진 곳은 카렐리야 공화국의 키지 포고스트에 있는 곳으로,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앙상블의 대부분은 아르한겔스크주에 위치해 있으며, 특히 바르조고리와 오네시 구의 아브라모프스카야에 있다. 다른 주목할 만한 목조 교회는 카르골폴스키 구(오셰벤스코예, 크라스나야 랴가, 사우니노 등), 베르흐네토임스키 구 (소예제르스카야 푸스틴), 오네시 구, 프리모르스키 구, 플레세츠키 구 (포르젠스키 포고스트)에 위치해 있다.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건물 대부분은 방치되어 정기적으로 불에 타고 있다. 실제로 걸작으로 여겨지는 교회 대부분이 소실되었다.[34] 예를 들어, 삼중 교회 앙상블인 오네시 구의 베르흐네무듀그스키 포고스트는 1997년에 불에 탔다.[35] 랴디니(카르골폴스키 구)의 삼중 앙상블에 있는 교회와 종탑은 2013년 5월 6일에 불에 탔다.[36]
이 주는 러시아 최고의 석조 건축 앙상블을 일부 보존하고 있다. 솔로베츠키 수도원 (1436년 설립, 가장 초기에 남아있는 건물은 16세기에 기원) 앙상블은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카르골폴에는 여러 개의 백색 석조 교회가 있으며, 그중 가장 오래된 카르골폴의 그리스도 탄생 대성당은 1552년에 지어졌다. 솔비체고스크의 봉헌 교회 (1688–1712)는 호평을 받는 바로크 양식의 걸작이며, 살아남은 다섯 개의 스트로가노프 바로크 교회 중 하나이다.
9. 2. 예술
19세기까지 수도원은 이 지역에서 이콘화 발전을 촉진했다. 단일 통일된 이콘 스타일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현재 아르한겔스크주와 볼로그다주에서 제작된 이콘은 일반적으로 북부 이콘화(''Северные письма'')로 알려져 있다. 이콘은 솔로베츠키 수도원, 안토니예프 시스키 수도원, 코제오제르스키 수도원 및 기타 수도원, 그리고 홀모고리, 솔비체고츠크 마을에서 제작되었다. 솔비체고드스크 이콘화는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후원을 받았으며, 17세기 말에는 주로 모스크바에서 활동했던 스트로가노프 이콘화 학파를 배출했다.[38]
이콘화 기법은 17세기부터 북드비나 계곡(니즈냐야 토이마, 보로크, 푸추가, 페르모고리에), 피네가, 메젠에서 알려진 전통적인 나무 그림으로 전해졌다. 이것은 물레 방아나 가슴과 같은 다양한 나무 표면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기하학적 도형뿐만 아니라 식물, 동물 및 사람의 이미지를 사용했다. 아르한겔스크 전통 나무 그림은 그림을 시작하기 전에 이콘과 유사하게 표면을 특별한 방식으로 준비했기 때문에 특별하다.[39]
19세기에 바실리 베레쉬차긴을 포함한 여러 저명한 러시아 예술가들이 이 지역을 여행했음에도 불구하고, 1890년대까지 아르한겔스크에서 전문적인 (비이콘) 그림은 발전하지 않았다. 알렉산드르 보리소프, 스테판 피사호프, 그리고 북극과 북극 풍경에 관심이 있는 풍경 화가인 티코 빌카는 아르한겔스크 그림의 창시자로 여겨진다.[40]
이 지역에서는 다양한 수공예가 발전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17세기부터 존재해 온 홀모고리 뼈 조각과, 사람과 동물의 모양을 빚어 채색한 점토 조형물인 카르골폴 장난감이다.[41]
9. 3. 문학
다른 러시아 북부 지역과 마찬가지로 아르한겔스크주는 민속으로 유명하다. 20세기 중반까지 동화와 빌리나는 전문 공연자들에 의해 여전히 매일 공연되었으며, 마리야 크리보폴레노바와 같은 일부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명성을 얻었다. 1960년대까지 공연 예술은 기본적으로 멸종되었으나, 이러한 민속적 동기와 동화는 스테판 피사호프와 보리스 셰르긴의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42]17세기의 수도사인 원로 사제 아바쿰은 러시아 정교회의 개혁에 반대하는 반대(''라콜'')를 이끌었으며, 1664년에는 메젠으로 2년 동안 추방되었고, 1667년에는 현재 네네츠 자치구인 푸스토지오르스크에 갇혀 산 채로 불태워지기 전 14년 동안 투옥되었다. 아바쿰은 약 60편의 문학 작품의 저자이며, 그 중 대부분이 푸스토지오르스크에서 쓰여졌으며 17세기의 가장 주목할 만한 러시아 문학 작품으로 여겨지는 ''아바쿰의 생애''를 포함한다.[42]
현대 러시아 문학 언어의 기초를 만든 다재다능한 사람이자 시인인 미하일 로모노소프는 1711년 홀모고리 근처의 데니소프카 마을에서 태어났지만, 18세에 학업을 위해 이 지역을 떠나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그의 경력의 대부분을 보냈다. 데니소프카는 나중에 그의 이름을 기려 로모노소보로 개명되었다.
20세기에는 주로 농촌 생활을 묘사한 소련 문학의 마을 산문 운동의 작가 두 명이 아르한겔스크 지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표도르 아브라모프는 피네즈스키 우예즈드의 베르콜라 마을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고, 알렉산드르 야신은 한동안 아르한겔스크에서 살았다.
10. 스포츠
밴디는 아르한겔스크주가 두각을 나타내는 스포츠 중 하나이다. 아르한겔스크의 보드니크 밴디 클럽은 1996년부터 2000년까지, 그리고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총 9번 러시아 챔피언이 되었고, 2003년과 2004년에는 밴디 월드컵에서 우승했다.[44] 아르한겔스크는 1999년 밴디 세계 선수권 대회와 2003년 밴디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참조
[1]
문서
Law #413-21-OZ
[2]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3]
문서
both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percentages are given without the Nenets Autonomous Okrug
[4]
간행물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населения на 1 января 2016 г.
http://arhangelsksta[...]
Arkhangelsk Oblast Territorial Branch of the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5]
웹사이트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деление Архангельской губернии в XVIII-XX вв.
http://guides.rusarc[...]
Архивы России
2017-03-14
[6]
문서
Charter, Chapter V
[7]
간행물
Alexander Tsybulsky
https://dvinaland.ru[...]
Official website of Arkhangelsk Oblast
[8]
문서
Charter, Chapter IV
[9]
문서
2010Census
[10]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11]
문서
Charter, Article 5
[12]
서적
Архангельская область
http://bse.sci-lib.c[...]
Great Soviet Encyclopedia
[13]
웹사이트
Polar Bear: Ursus maritimus
http://globaltwitche[...]
Globaltwitcher.com
2008-12-24
[14]
웹사이트
ru:ООПТ Северо-Западного округа
http://oopt.info/ind[...]
Особо охраняемые природные территории России
2011-06-07
[15]
서적
ru:Старинные водные пути
http://www.skitalets[...]
Физкультура и спорт
2011-08-29
[16]
웹사이트
ru:Архангельская область
http://datarule.naro[...]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деятели
2011-12-28
[17]
웹사이트
Архангельское областное Собрание депутатов
http://www.aosd.ru/?[...]
2013-10-15
[18]
문서
11
[19]
간행물
Приказ ФСБ РФ от 2 июня 2006 года N 237 "О пределах пограничной зоны на территории Архангельской области"
http://www.mccme.ru/[...]
[20]
웹사이트
ru:Итоги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Архангельской области (без учета Ненецкого автономного округа) за 1 квартал 2011 года
http://www.dvinaland[...]
Администрация Архангельской области
2011-07-01
[21]
서적
Холмогорская порода
http://bse.sci-lib.c[...]
Great Soviet Encyclopedia
[22]
서적
Мезенская лошадь
http://bse.sci-lib.c[...]
Great Soviet Encyclopedia
[23]
웹사이트
ru:Краткая историческая справка Плесецкого района
http://www.moples.ru[...]
МО "Плесецкий район"
2011-07-19
[24]
웹사이트
ru:Запущена "Дорога в космос"
http://www.ador.ru/n[...]
«Дорожное агентство «Архангельскавтодор»
2011-09-25
[25]
웹사이트
ru:Белкомур
http://www.belkomur.[...]
ОАО МК «Белкомур»
2011-07-22
[26]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27]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registered births, deaths, marriages and divorces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28]
웹사이트
Birth rate, mortality rate, natural increase, marriage rate, divorce rate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29]
웹사이트
ru:Суммарный коэффициент рождаемости
https://rosstat.gov.[...]
2023-08-10
[30]
웹사이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Росс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of Russia
2022-06-01
[31]
웹사이트
ru:Коэффициент суммарной рождаемости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1990-2018
http://www.demoscope[...]
2020-02-09
[32]
간행물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33]
간행물
2012 Arena Atlas Religion Maps
http://c2.kommersant[...]
Ogonek
2012-08-27
[34]
서적
ru:Русское деревянное зодчество
http://www.archnadzo[...]
Академия архитектуры СССР
2011-06-06
[35]
웹사이트
ru:Верховье
http://www.towns.ru/[...]
2011-06-06
[36]
뉴스
В Архангельской области сгорели уникальные деревянные церковь и колокольня из храмового комплекса
http://spb.itar-tass[...]
ITAR TASS
2013-05-06
[37]
웹사이트
Приказ Министерства культур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инистерства регионального развит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29 июля 2010 г. N 418/339 г. Москва "Об утверждении перечня исторических поселений"
http://www.rg.ru/201[...]
Российская газета
2011-10-24
[38]
웹사이트
Иконопись
http://www.cultnord.[...]
The Arkhangelsk Regional Scientific Library
2011-06-11
[39]
웹사이트
Народная роспись
http://www.cultnord.[...]
The Arkhangelsk Regional Scientific Library
2011-06-11
[40]
웹사이트
Художники Севера
http://www.cultnord.[...]
The Arkhangelsk Regional Scientific Library
2011-06-11
[41]
서적
Холмогорская резная кость
http://bse.sci-lib.c[...]
Great Soviet Encyclopedia
[42]
웹사이트
Из истории развития литературы в Архангельском крае
http://www.cultnord.[...]
The Arkhangelsk Regional Scientific Library
2011-06-08
[43]
서적
Ненецкая литература
http://feb-web.ru/fe[...]
Краткая Литератур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44]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клуба
http://www.vodnik29.[...]
Хоккейный клуб Водник
2011-06-09
[45]
뉴스
Watch: Polar bear in Russian archipelago peeks inside a house
https://www.euronews[...]
euronews.com
2019-02-14
[46]
뉴스
Polar bear invasion: Parents scared to send children to school in remote Russian archipelago
https://edition.cnn.[...]
2019-02-15
[47]
웹사이트
放射線量も上昇「ロシア爆発事故」を引き起こした「秘密兵器」実験
https://www.fsight.j[...]
新潮社
2019-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