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로그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로그다주는 러시아 북서부에 위치한 주로, 핀족이 정착했던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1937년에 설립되었다. 주도는 볼로그다이며, 주요 도시로는 체레포베츠, 소콜, 벨리키우스튜크가 있다.

정치적으로는 볼로그다주 헌장에 따라 운영되며, 입법 의회와 주지사 및 정부가 행정 권한을 행사한다. 2021년에는 통합 러시아가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동유럽 평원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숲이 우거진 언덕 지형이 특징이다. 주요 강으로는 수호나강이 있으며, 백해, 발트해, 카스피해 유역으로 나뉜다.

경제는 철강 산업, 화학 공업, 목재 가공 등이 주를 이루며, 농업과 낙농업도 발달했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M8, A114 고속도로와 철도가 있으며, 볼가-발트 수로와 북드비나 운하가 있다.

문화적으로는 역사 도시로 지정된 벨리키우스튜크, 토트마 등의 건축 유산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과 페라폰토프 수도원은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또한 볼로그다 버터와 다양한 수공예품으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로그다주 - 바바예보
    바바예보는 러시아 볼로그다주에 위치한 농촌 지역이자 바바예보 군의 행정 중심지로, 야금 공장 건설과 철도역 개통으로 산업 발달과 도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교통 요충지로서 유제품 공장, 전기 공학 공장, 가구 공장 등 다양한 산업 시설과 바바예프스키 지역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 볼로그다주 - 체레포베츠
    체레포베츠는 러시아 볼로그다주에 위치한 도시로, 수도원 건설에서 시작하여 교통 요충지로 발전했으며, 제철소 건설 이후 야금 및 화학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지만, 환경 오염 문제도 안고 있는 현대 도시이다.
볼로그다주
지도
기본 정보
볼로그다 주 문장
문장
볼로그다 주 깃발
깃발
공식 명칭러시아어: Вологодская область
로마자 표기Vologodskaya oblast'
베프스어Vologdan agj
정치적 지위
연방 관구북서 연방관구
경제 지구북부 경제 지구
행정 중심지볼로그다
설립일1937년 9월 23일
행정
주지사게오르기 필리모노프
입법부입법 의회
공식 웹사이트볼로그다 주 공식 웹사이트
지리
면적144,527 제곱킬로미터
면적 순위25위
인구
전체 인구 (2021년)1,142,827명
인구 순위42위
도시 인구 (2021년)72.4%
농촌 인구 (2021년)27.6%
인구 (2014년 1월)1,193,371명
기타 정보
자동차 번호판35
ISO 3166-2RU-VLG

2. 역사

볼로그다주의 지역은 선사 시대에 핀족이 정착했으며, 실제로 지역 대부분의 지명은 핀어이다. 아직 주의 서부에 살고 있는 베프스인은 그 인구의 후손이다. 그 후 이 지역은 러시아인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다. 벨로제르스크는 862년에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연대기에 언급되었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통제를 받았으며, 특히 토트마는 1152년에 설립되었다. 벨리키우스튜그와 현재 주의 영토 서부는 벨로제르스크와 우스튜즈나와 함께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에 속했고, 노브고로드의 위협을 지속적으로 받았다. 13세기보다 늦지 않게 노브고로드 상인들은 이미 백해에 도달했다. 그들은 수로를 사용하여 이 지역에 도달했다. 백해로 가는 주요 수로는 북드비나강이었고, 노브고로드 상인들은 볼가강과 그 지류인 셰크스나강을 슬라뱐카강을 따라 니콜스코예 호수로, 그 다음 배를 육로로 블라고베센스코예 호수로 옮겨 그곳에서 포로조비차강을 따라 쿠벤스코예 호수로 내려가 수호나강과 북드비나강으로 갔다.[8]

13세기에는 작은 공국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벨로제르 공국이 로스토프에서 분리되었고, 15세기에 그 북부와 북동부 지역은 준독립적이 되어 자오제리예 공국 또는 쿠베나 공국과 같은 더 작은 봉건 국가를 형성했다. 더 작은 많은 공국은 연대기에 한 번만 언급되며, 이 공국들의 존재 여부 자체가 의문이다. 1452년과 1481년 사이에 볼로그다는 볼로그다 지역의 마지막 독립 공국인 볼로그다 공국의 중심지였다. 15세기 말까지 이 모든 지역은 모스크바 대공국의 일부였다.

14세기와 15세기에 볼로그다 주변 지역은 황폐한 지역을 찾고 있었지만 모스크바의 공작들과의 연결을 유지하고 싶어하는 수도사들에게 매력적이 되었다. 공작들은 차례로 수도원을 모스크바 대공국의 원격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여겼다. 스파소-프릴루츠키 수도원, 파블로-오브노르스키 수도원,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 페라폰토프 수도원을 포함한 여러 영향력 있는 수도원이 세워졌다.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은 곧 정치적 영향력이 많고 경제 발전이 성공적인 가장 저명한 러시아 수도원 중 하나가 되었다.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의 모습. 1897년의 리토그래피


15세기 중반에 볼로그다 지역은 모스크바 내전에 강력하게 관여했다. 바실리 2세는 1446년에 볼로그다로 추방되었고,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의 이구멘에 의해 충성 맹세에서 풀려났으며, 1440년대 후반에는 수호나 계곡이 후퇴하는 드미트리 셰먀카의 군대와 셰먀카를 쫓는 바실리의 군대 간의 전장이 되었다. 고난의 시대 동안 이 지역은 폴란드군에 의해 황폐화되었고, 그들은 어느 시점에서 볼로그다를 포위했지만 도시를 정복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17세기에 볼로그다는 모스크바에서 서유럽으로 가는 주요 무역로에 위치한 번영하는 도시였다. 18세기 차르 표트르 대제의 통치 기간 동안 볼로그다는 조선 중심지가 되었고 스웨덴에 대한 러시아 군사 작전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상트페테르부르크가 1703년에 설립된 후 볼로그다의 무역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은 감소했으며, 대외 무역은 발트해로 경로가 변경되었다. 표트르는 심지어 백해 무역에 대한 제한을 가했다.

볼로그다는 러시아에서 농노제가 존재했던 가장 북쪽 지역이었다. 볼로그다 서부와 남부 지역에는 영지가 있었지만, 볼로그다 북쪽과 동쪽에서는 농노제가 시행된 적이 없으며, 인구는 자신들의 토지를 소유했다.[9]

1910년대 볼로그다


1708년, 표트르 대제는 일곱 개의 총독부를 설립하는 칙령을 발표했다.[10][11] 총독부의 경계에 대한 설명은 제공되지 않았다. 대신 그 지역은 일련의 도시와 그 도시에 인접한 토지로 정의되었다. 두 개의 총독부, 아르한겔고로드 총독부(주의 동부)와 잉게르만란드 총독부(주의 서부)는 현재 볼로그다주의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볼로그다는 아르한겔고로드 총독부의 일부가 되었다. 그 후 주의 서부는 노브고로드 총독부로 이전되었다. 1780년에 볼로그다는 이전 아르한겔고로드 총독부의 영토를 포함하는 볼로그다 부왕령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결국 부왕령은 볼로그다 현으로 변환되었다. 일련의 추가 행정 개혁 후, 볼로그다주는 1937년에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소련은 코르닐레보에 포로 수용소를 운영했는데, 처음에는 폴란드 침공겨울 전쟁 동안 소련에 포획된 폴란드인과 핀란드인을 위해, 나중에는 독일군 포로를 위해 사용되었다.[12] 주의 서부에 있는 오시틴스키 구의 일부는 볼로그다주에서 외국(핀란드) 군대에 의해 점령된 유일한 지역이 되었다. 핀란드의 진격은 1941년 10월에 중단되었지만, 소련군이 진격을 시작한 1944년 6월까지 점령이 계속되었다.

1955년, 주에서 가장 큰 산업 기업인 체레포베츠시에 세베르스탈의 건설이 완료되었다.

1997년 7월 4일, 볼로그다는 브랸스크주, 첼랴빈스크주, 마가단주, 사라토프주와 함께 러시아 정부와 권한 공유 협정을 체결하여 자치권을 부여했습니다.[13] 이 협정은 2002년 3월 15일에 폐지될 예정이었습니다.[14]

3. 정치

볼로그다주 입법 의회 건물


소련 시대에는 볼로그다 CPSU 위원회 제1서기(실질적 권한), 주의 소비에트 의장(입법 권한), 주의 집행위원회 의장(행정 권한)이 주의 최고 권력을 공유했다. 1991년 CPSU의 권력 상실 이후, 주지사는 선출된 지역 의회와 함께 임명되거나 선출되었다.

주의 정치는 볼로그다주 헌장에 의해 통치된다. 주 권한 내의 법률은 볼로그다주 입법 의회에서 통과된다. 최고 행정 기관은 볼로그다주 행정부이며, 일상 행정은 구, 지구 등 하위 행정 구역의 행정 기관이 담당한다. 주 행정부는 주지사의 활동을 지원하며, 주지사는 러시아 헌법에 따라 헌장 준수를 보장한다.

볼로그다주는 러시아 연방의 구성 주체로서 자체 헌장, 법률 등을 채택할 권한을 가진다. 볼로그다주 헌장은 법적 지위, 인권 및 시민권 보장, 민주주의 제도, 지역 경제 및 재정, 사회 문화 정책, 국가 권력 조직, 행정-영토 분할 및 지방 자치 조직의 기초를 설정한다.

1937년부터 1991년까지 볼로그다주에서 가장 큰 권력을 가졌던 제1서기는 다음과 같다.[15]

  • 1937년: 그리고리 안드레예비치 랴보프 (대숙청 기간 중 처형)
  • 1937년~1942년: 파벨 티모페예비치 코마로프
  • 1942년~1945년: 보리스 표도로비치 니콜라예프
  • 1945년~1952년: 바실리 니키티치 데르비노프
  • 1952년~1955년: 알렉세이 블라디미로비치 세민
  • 1955년~1960년: 이반 세르게예비치 라투노프
  • 1960년~1961년: 바딤 세르게예비치 밀로프
  • 1961년~1985년: 아나톨리 세묘노비치 드리긴
  • 1985년~1990년: 발렌틴 알렉산드로비치 쿱초프
  • 1990년~1991년: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사라나스키흐

3. 1. 입법 의회

볼로그다주 입법 의회는 입법권을 행사하는 단원제 의회이며, 34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의원은 혼합 선거 제도(17 + 17)에 따라 지역 주민에 의해 5년 임기로 선출된다. 현재 의회는 2021년 9월에 선출되었다. 의원들은 5개 정당을 대표한다: 통합 러시아 (24명), 공산당 (5명), 자유민주당 (2명), 정의 러시아 (2명), 퇴역 군인당 (1명). 현 의장은 안드레이 루첸코이다. 다음 선거는 2026년 9월로 예상된다.

3. 2. 주지사 및 정부

1991년 이후 볼로그다주의 주지사는 임명되거나 선출되었다.[15]

재임 기간이름비고
1991년–1996년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포드고르노프행정부 수장, 임명
1996년–2011년뱌체슬라프 예브게니예비치 포즈갈료프행정부 수장, 임명; 이후 주지사, 선출
2011년–2023년올레크 알렉산드로비치 쿠브쉬니코프주지사, 임명; 이후 2014년 선출[16]
2023년–현재게오르기 유리예비치 필리모노프주지사, 임명, 이후 2024년 선출[17]



볼로그다주 정부 청사 및 주지사 행정부


행정 권한은 주지사와 주지사가 이끄는 볼로그다주 정부 및 기타 행정 기관이 행사한다. 주지사는 지역 주민에 의해 5년 임기로 선출되며, 2회 이상 연임할 수 없다. 현 주지사는 통합 러시아 소속의 올레크 쿠브쉬니코프이다. 2011년 12월, 그는 주지사 대행으로 임명된 후 입법 의회 의원들에 의해 권한을 위임받았다. 2012년, 러시아 연방의 대부분 지역에서 주지사 직접 선거가 부활했으며, 시립 필터, 2선 제한, 러시아 연방 대통령의 칙령에 의한 해임 가능성이 부활했다. 2014년 9월에 실시된 조기 선거에서 쿠브쉬니코프는 62.98%의 득표율로 5년 임기로 당선되었다. 2019년 9월 선거에서 쿠브쉬니코프는 5년 임기로 재선되었다.

4. 지리

볼로그다 주는 동유럽 평원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숲이 우거진 언덕 지형이다. 남서부는 셰크스나 강과 몰로가 강을 따라 평평하다. 북서부 지역은 대부분 빙하 기원으로, 안도마 언덕, 베프스 언덕 등이 있다.[18] 주의 최고 지점은 말고라 언덕으로 해발 304m이다.[19] 동쪽에는 바가, 수호나, 유그 계곡이, 남동부는 북부 능선이 있다.

볼로그다 주의 언덕. 볼로그다 시 북서쪽, 몰로치노예 마을 근처


수호나 강


주의 상당 부분은 침엽수림(''타이가'')과 늪지로 덮여 있다.

볼로그다 주의 면적은 백해, 발트해, 카스피해 유역으로 나뉜다. 북동부에는 네바 (발트해), 볼가 (카스피해), 오네가 (백해) 유역의 삼중 분수계가 있다. 오네가 호의 남서쪽 해안은 볼로그다 주에 속하며, 주요 지류인 비테그라 강과 안도마 강은 네바 강 유역에 속한다. 주 서부의 작은 지역은 스비르의 지류인 오야트 강으로 흘러 네바 강 유역에 속한다. 주 서부 지역은 볼가의 리빈스크 저수지로 흘러들며, 가장 큰 지류는 몰로가, 수다, 소고자, 셰크스나이다. 벨로예 호는 셰크스나 강의 수원이다. 남쪽 일부 지역은 운자 등 볼가의 지류로 흘러든다. 북서부의 보제 호는 오네가 강으로 흘러든다. 쿠벤스코예 호를 포함한 나머지 지역은 북드비나 강 유역이며, 북드비나 강은 수호나와 유그의 합류로 형성된다. 수호나 강은 주의 주요 수로이다.

볼로그다 주에는 러시아 북부 국립공원과 다윈 자연 보호 구역이 있다.[20]

4. 1. 기후

동유럽 평원의 북동부에 위치해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14°C이고, 7월 평균 기온은 18°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500mm이다.

4. 2. 시간대

볼로그다주는 모스크바 시간(MSK/MSD)에 접해 있다. UTC와의 시차는 +0300 (MSK)/+0400 (MSD)이다.

볼로그다주의 시간대


이 지역은 모스크바 시간대의 표준시를 사용한다. 시차는 UTC+3시간이며, 서머타임은 없다. (2011년 3월까지 표준시는 UTC+3, 서머타임은 UTC+4였으며, 같은 해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는 연중 UTC+4였다.)

5. 행정 구역

볼로그다주는 행정적으로 4개의 주 직할시(볼로그다, 체레포베츠, 소콜, 벨리키우스튜크)와 26개 군으로 나뉜다. 다른 10개의 도시 (바바예보, 벨로제르스크, 그랴조베츠, 카드니코프, 하롭스크, 키릴로프, 니콜스크, 토트마, 우스튜즈나, 비테그라)는 군 직할시의 지위를 갖는다. 크라사비노는 벨리키우스튜크 시의 행정 관할 하에 있다.[30]

5. 1. 군

군 이름
바바옙스키군
바부시킨스키군
벨로제르스키군
차고도시첸스키군
체레포베츠키군
그랴조베츠키군
카두이스키군
하롭스키군
키치고로데츠키군
키릴롭스키군
메즈두레첸스키군
니콜스키군
뉵센스키군
셱스닌스키군
소콜스키군
샴젠스키군
타르녹스키군
토템스키군
우스티쿠빈스키군
우스튜젠스키군
바슈킨스키군
벨리코우스튝스키군
베르호바시스키군
볼로고츠키군
보제고츠키군
비테고르스키군


5. 2. 주요 도시

빨간색 표시는 주도 볼로그다와 체레포베츠]]

6. 주민

2002년 조사에서 러시아인이 96.56%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우크라이나인(0.97%), 벨라루스인(0.39%), 아제르바이잔인(0.21%), 아르메니아인(0.17%) 등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 2010년 민족 구성은 러시아인 97.3%, 우크라이나인 0.7%, 벨라루스인 0.3%, 베프스인 0.04%, 기타 1.7%였다.[7]

볼로그다주의 인구는 1989년 1,353,870명에서 2021년 1,142,827명으로 감소했다.[21] 2022년 인구 통계에 따르면 출생은 9,263명(1,000명당 8.2명), 사망은 16,451명(1,000명당 14.5명)으로 자연 감소가 나타났다.[21][22] 합계 출산율은 여성 1인당 1.41명이며,[23] 2021년 기준 기대 수명은 전체 69.08세(남성 63.85세, 여성 74.38세)이다.[24]

볼로그다주의 출생 시 기대 수명


바바예프스키구와 비테고르스키구는 볼로그다주의 북서부에 위치하며, 전통적으로 베프스인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의 베프스인들은 베프스어의 중앙 방언 그룹을 사용한다.[26]

6. 1. 종교

2012년 조사에 따르면 볼로그다주 인구의 29.5%가 러시아 정교회를 따르고, 2%는 비종파 일반 기독교인이며, 1%는 교회에 속하지 않거나 비러시아 동방 정교회에 속하는 동방 정교회 신자이고, 1%는 슬라브 토착 신앙(Rodnovery) 신자이며, 1%는 구교도이다.[27] 또한, 인구의 39%는 "종교적이지는 않지만 영적"이라고 답했고, 20%는 무신론자이며, 6.5%는 다른 종교를 따르거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27]

7. 경제

볼로그다주의 체레포베츠에는 러시아 최대의 철강 기업 세베르스탈이 있다. 볼로그다주에서 가장 큰 산업은 세베르스탈 제철소이며, 야금 산업은 주 전체 산업 생산량의 약 50%를 차지한다.[31] 그 뒤를 이어 화학, 식품, 목재 산업, 기계 제작 산업 등이 있다.

야금은 16세기부터 이 지역에서 발전해온 전통적인 산업이다. 18세기에는 목재 생산이 크게 성장했고, 19세기에는 아마 섬유를 만드는 섬유 산업 기업들이 급증했다.[31] 1871년, 덴마크 상인 프리드리히 부만은 볼로그다 버터를 개발하여 세계적인 상표가 되었다.[32]

7. 1. 농업

볼로그다주의 농업은 기본적으로 유제품 및 육류 생산, 계란 생산, 작물, 아마, 감자 및 채소 재배를 포함한 축산업이다.[33] 2008년에는 전체 농산물의 73%가 대규모 농장에서 생산되었다.[33] 낙농업도 활발하며, 볼로그다의 버터가 알려져 있다.

세르게이 프로쿠딘-고르스키가 제작한 러시아 초기 컬러 사진으로, 키릴로프 인근 셰크스나강을 따라 위치한 농촌 지역의 전통적인 나무집 앞에서 젊은 러시아 여성 농부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7. 2. 교통

볼로그다주의 현재 지역은 전통적으로 러시아 중부와 백해를 연결하는 무역로에 위치해 있었다. 17세기에 백해는 러시아의 주요 해상 수출 경로였다. 수호나강은 전 구간, 그리고 볼로그다강을 포함한 일부 지류의 하류 구간에서 항해가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수호나강에서는 정기적인 여객 운항이 거의 없다. 19세기에 마린스크 운하 시스템으로 처음 건설된 후 20세기에 재건된 볼가-발트 수로는 셰크스나강, 벨로예호, 코프자강, 비테그라강을 통해 볼가강과 네바강 유역을 연결하며, 유럽 러시아의 주요 수로 중 하나이다. 북드비나 운하는 셰크스나강과 쿠벤스코예호를 연결하여 볼가강과 북드비나강 유역을 연결한다.

러시아의 주요 고속도로 중 하나인 M8 고속도로는 모스크바와 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하며, 볼로그다를 통과한다. 이 도로는 포장되어 있으며 교통량이 많다. 다른 주요 포장 도로는 A114 고속도로로 볼로그다체레포베츠상트페테르부르크와 연결하며, 볼로그다에서 키릴로프를 연결하는 도로(리핀 보르, 비테그라, 푸도쉬까지 이어지는 부분은 부분적으로 포장됨), 볼로그다에서 토트마를 거쳐 벨리키우스튜그까지, 토트마에서 이메니 바부쉬키나를 거쳐 니콜스크까지, 코틀라스에서 만투로보로, 그리고 궁극적으로 벨리키우스튜그와 니콜스크를 거쳐 코스트로마와 모스크바까지 연결하는 도로가 있다. 우스티우즈나에서 페스토보와 베시예곤스크로 연결되는 도로도 있다. 그러나 도로망은 특히 주의 경계선 부근에서 개발이 미흡하다. 볼로그다주에서 코스트로마주로 이어지는 도로는 단 하나뿐이다. 여러 도로가 키로프주로 연결되지만, 모두 비포장 도로이며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리핀 보르와 카르고폴 간의 연결도 마찬가지이다. 주의 서쪽에는 구 경계를 가로지르는 도로조차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정착촌은 어느 정도 품질의 도로 연결을 가지고 있으며, 도로가 목재 운송에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도로에서 정기적인 버스 운행이 이루어진다.[34]

벨루로체이스카야 산림 철도 (2015년)


주의 주요 철도 노선은 모스크바와 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하는 철도이다. 볼로그다와 아르한겔스크 사이 구간은 1890년대에 건설되었다. 코노샤에서 동쪽으로 코틀라스까지, 더 나아가 보르쿠타까지 뻗어 주의 북쪽을 가로지르는 지선은 코미 공화국에서 석탄 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940년대에 건설되었다. 볼로그다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체레포베츠를 경유하여 연결하는 철도는 1900년대에 건설되었다. 볼로그다에서 복토가를 거쳐 부이로 연결하는 철도도 있다. 복토가에서는 몬자 철도가 동쪽으로 분기된다. 이 철도는 목재 운송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목재 생산 당국에서 운영한다. 몬자 철도는 볼로그다주와 코스트로마주의 경계를 따라 운행한다. 니콜스크까지 더 동쪽으로 연장하려는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35] 몬자 철도는 복토가에 별도의 역인 복토가-2 기차역을 가지고 있다. 철도를 소유한 몬잘레스 회사의 본사는 복토가에 위치해 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목재 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많은 수의 협궤 철도가 건설되었지만, 그 이후 대부분은 수익성이 없어 폐기되었다.

현재, 지역 항공은 거의 사라졌다. 볼로그다에 공항이 있다. 지역적으로는 벨리키우스튜그, 키치멩스키 고로독 및 비테그라로의 부정기적인 운항이 이루어진다.

발트 송유관 시스템인 석유 수송 시스템이 주의 영토를 통과하며, 뉴크세니차, 포고렐로보, 그랴조베츠에 3개의 석유 펌핑 스테이션이 있다.

8. 문화

바튜슈코프의 오레스트 키프렌스키 초상화 (1815)


19세기와 20세기에는 많은 저명한 작가들이 볼로그다주에 저택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그들의 문학 활동은 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와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시인 바튜슈코프는 다닐롭스코예에 있는 그의 저택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공무원으로 옮긴 후 저명한 작가가 되었고, 정신 질환을 앓은 후에야 볼로그다로 돌아와 그곳에서 사망했다.[1] 20세기 시인 이고리 세베르야닌은 체레포베츠 시 근처에 있는 그의 삼촌 블라디미로프카 저택에서 상당한 기간을 보냈다.[1]

20세기에는 소련 문학의 농촌 산문 운동 작가 중 두 명이 볼로그다주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1] 농촌 생활을 주로 묘사하는 이 운동의 작가 바실리 벨로프는 현재 하롭스키 구에 속하는 티모니하 마을에서 태어나 볼로그다에 거주하고 있다.[1] 알렉산드르 야신은 니콜스키 구에서 태어나 니콜스크에서 학업을 마쳤지만, 이후 모스크바로 이주했다.[1] 시인 니콜라이 룹초프는 1971년 가정 불화로 사망하기 전까지 볼로그다주에서 많은 생을 보냈다.[1] 유리 코발은 주로 아동 도서로 알려져 있으며, 볼로그다주에서 상당한 기간을 보냈다.[1]

볼로그다주에서는 다양한 수공예가 발달했으며, 이 중 다수는 법으로 보호받고 있다.[37]

8. 1. 건축

예루살렘 입성 교회, 토트마


볼로그다주의 벨로제르스크, 토트마, 벨리키우스튜그는 러시아 연방 문화부에서 역사 도시로 지정하였으며, 이는 도시의 역사적 중심지에서 건축에 제한을 가한다.[36]

1990년대까지 볼로그다 구 시가지에는 5채의 목조 고전주의 저택을 포함한 많은 목조 가옥들이 있었고, 문화 유산 기념물로 정부의 보호를 받았다. 그러나 많은 건물들이 불에 타거나 철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채의 고전주의 저택을 포함한 많은 건물들이 살아남아 볼로그다는 러시아에서 19세기의 가장 큰 목조 가옥 컬렉션 중 하나가 되었다.

농촌 목조 건축의 가장 훌륭한 예는 볼로그다 북서쪽에 위치한 야외 민속 박물관인 세묜코보에 모여 있다.

볼로그다주 내의 여러 도시들은 건축 유산을 보존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다른 많은 러시아 도시들과 달리, 벨리키우스튜그는 훼손되지 않은 채로 1917년 직후에 국가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거의 모든 역사적 중심지를 보존했다. 볼로그다, 벨로제르스크, 토트마, 그리야조베츠, 우스튜즈나에는 많은 역사적 건물들이 남아 있다. 특히, 토트마의 여러 교회는 토트마 바로크라고 불리는 독특한 양식으로 18세기에 지어졌다.

볼로그다 지역의 황폐함은 고독을 찾는 수도승들을 끌어들였고, 그 결과 수많은 수도원이 세워졌다.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 스파소-프릴루츠키 수도원, 고리츠키 수도원, 트로이체-글레덴스키 수도원은 러시아 중세 요새 건축의 예를 보여주며, 잘 보존된 문화 유산으로 평가받는 건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페라폰토프 수도원은 세계 유산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디오니시우스의 프레스코화가 그려진 러시아 유일의 완전하게 칠해진 교회를 포함하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볼로그다주 내의 4개의 수도원, 즉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스파소-프릴루츠키, 고리츠키, 파블로-오브노르스키 수도원이 운영되고 있었다.

8. 2. 문학

19세기와 20세기에는 많은 저명한 작가들이 볼로그다주에 저택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그들의 문학 활동은 주로 저택보다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시인 바튜슈코프는 다닐롭스코예에 있는 그의 저택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공무원으로 옮긴 후 저명한 작가가 되었고, 정신 질환을 앓은 후에야 볼로그다로 돌아왔다(그곳에서 결국 사망했다).[1] 20세기 시인 이고리 세베르야닌은 체레포베츠 시 근처에 있는 그의 삼촌 블라디미로프카 저택에서 상당한 기간을 보냈다.[1]

20세기에는 소련 문학의 농촌 산문 운동의 작가 중 두 명이 볼로그다주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1] 농촌 생활을 주로 묘사하는 이 운동의 작가 바실리 벨로프는 현재 하롭스키 구에 속하는 티모니하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볼로그다에 거주하고 있다.[1] 알렉산드르 야신은 니콜스키 구에서 태어나 니콜스크에서 학업을 마쳤지만, 이후 모스크바로 이주했다.[1] 시인 니콜라이 룹초프는 1971년 가정 불화로 사망하기 전까지 볼로그다주에서 많은 생을 보냈다.[1] 유리 코발은 주로 아동 도서로 알려져 있으며, 볼로그다주에서 상당한 기간을 보냈다.[1]

8. 3. 수공예

볼로그다주에서는 다양한 수공예가 발달했다. 이 중 다수는 법으로 보호받고 있다.[37]

참조

[1] 문서 Charter of Vologda Oblast, Article 11
[2]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3] 간행물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Вологодской области по компонентам изменения на 1 января 2014 года http://vologdastat.g[...] Vologda Oblast Territorial Branch of the Russian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4] 문서 Resolution of September 23, 1937
[5] 문서 Charter of Vologda Oblast, Article 12
[6] 뉴스 Путин сменил губернатора Волого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s://meduza.io/ne[...] 2023-11-01
[7] 문서 ru-pop-ref 2010Census
[8] 서적 Старинные водные пути http://www.skitalets[...] Физкультура и спорт 2011-12-21
[9] 웹사이트 Особенности исторического пути России в концепции Л.В.Милова http://www.za-nauku.[...] Движение за возрождение отечественной науки 2012-02-25
[10] 간행물 Указ об учреждении губерний и о росписании к ним городов http://constitution.[...]
[11] 서적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деление Мурманской области (1920-1993 гг.). Справочник Мурманское издательско-полиграфическое предприятие "Север"
[12] 논문 Obozy jenieckie w Griazowcu w latach 1939–1948
[13] 웹사이트 Moscow Signs Power-Sharing Agreements With Five More Regions https://jamestown.or[...] 2019-05-02
[14] 논문 The Rise and Fall of Power-Sharing Treaties Between Center and Regions in Post-Soviet Russia http://demokratizats[...]
[15] 웹사이트 Вологодская область http://datarule.naro[...]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деятели 2011-12-28
[16] 뉴스 На выборах губернатора Вологодской области победил Олег Кувшинников http://itar-tass.com[...]
[17] 뉴스 Путин сменил губернатора Волого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s://meduza.io/ne[...] 2023-11-01
[18] 서적 Вологодская область http://bse.sci-lib.c[...] Great Soviet Encyclopedia
[19] 웹사이트 Peakbagger - Gora Malgora https://www.peakbagg[...]
[20] 웹사이트 ООПТ Северо-Западного округа http://oopt.info/ind[...] Особо охраняемые природные территории России 2011-01-01
[21]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registered births, deaths, marriages and divorces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22] 웹사이트 Birth rate, mortality rate, natural increase, marriage rate, divorce rate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23] 웹사이트 Суммарный коэффициент рождаемости https://rosstat.gov.[...] 2023-08-10
[24] 웹사이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Росс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of Russia (Rosstat) 2022-06-01
[25] 웹사이트 Перепись-2010: русских становится больше http://www.perepis-2[...] Perepis-2010.ru 2013-05-08
[26] 논문 L'extinction d'un peuple finno-ougrien: les Vepses http://www.regard-es[...] 2011-12-05
[27] 간행물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2012
[28] 간행물 2012 Arena Atlas Religion Maps http://c2.kommersant[...] "Ogonek" 2012-08-27
[29] 웹사이트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of the Russian Federation. Populat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by municipalities as of January 1, 2013 http://www.gks.ru/wp[...] 2023-01-27
[30] 문서 OKATO reference '19'
[31] 웹사이트 Промышленность - Экономика http://vologda-oblas[...]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Правительства Вологодской области 2012-01-04
[32] 논문 Vologda Journal; Russia's Favorite Spread Smeared by Counterfeiters https://www.nytimes.[...] 2000-05-27
[33] 웹사이트 Агропромышленный комплекс http://vologda-oblas[...]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Правительства Вологодской области 2012-01-04
[34] 웹사이트 Вологодская область http://all-transport[...] All-transport 2013-12-21
[35] 서적 Развитие железных дорог Костромского края в ХХ веке http://www.hrono.ru/[...] КГУ им. Н.А. Некрасова. 2011-09-23
[36] 웹사이트 Приказ Министерства культур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инистерства регионального развит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29 июля 2010 г. N 418/339 г. Москва "Об утверждении перечня исторических поселений" http://www.rg.ru/201[...] Российская газета 2011-10-24
[37] 웹사이트 Закон Вологодской области от 14 июля 1999 года N 379-ОЗ О народных художественных промыслах в Волого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docs.cntd.ru/[...] Федеральный регистр 2011-10-19
[38] 웹사이트 5.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И, ФЕДЕРАЛЬНЫХ ОКРУГОВ, СУБЪЕКТ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ОРОДСКИХ ОКРУГОВ, МУНИЦИПАЛЬНЫХ РАЙОНОВ, МУНИЦИПАЛЬНЫХ ОКРУГОВ, ГОРОДСКИХ И СЕЛЬСКИХ ПОСЕЛЕНИЙ, ГОРОДСКИХ НАСЕЛЕННЫХ ПУНКТОВ, СЕЛЬСКИХ НАСЕЛЕННЫХ ПУНКТОВ С НАСЕЛЕНИЕМ 3000 ЧЕЛОВЕК И БОЛЕЕ https://rosstat.gov.[...] 2024-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