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레바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레바스는 빙하 표면에 생기는 깊고 좁은 틈새를 의미한다. 종단 균열, 분기 균열, 횡단 균열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빙하의 움직임과 지형적 특성에 따라 형성된다. 크레바스는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 깊이로, 벽면은 거의 수직이며, 표면이 눈으로 덮여 보이지 않는 히든 크레바스는 특히 위험하다. 빙하 크레바스에 빠지는 사고는 저체온증으로 인한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등반 시 로프 팀을 구성하거나 마찰 매듭을 사용하는 등의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빙하 지형 - 빙원
    빙원은 눈이 오랫동안 쌓여 압축되고 얼면서 형성되는 거대한 얼음 덩어리이며, 지형에 의해 제한을 받고 돔 모양이 아닌 특징을 갖는다.
  • 빙하 지형 - 빙퇴석
    빙퇴석은 빙하에 의해 운반 및 퇴적된 쇄설성 물질로 이루어진 지형으로, 빙하의 이동 및 퇴적 과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성 성분을 가지며, 기원, 위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어 빙하 연구 및 과거 빙하 활동 추정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지리에 관한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리에 관한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크레바스
지도
기본 정보
유형얼음판이나 빙하의 깊은 균열 또는 파단
설명빙하 또는 얼음판에서 발생하는 깊은 균열 또는 파단.
자연적으로 형성되거나 인위적으로 생성될 수 있음.
특징깊이와 너비가 다양함.
얼음 이동이나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함.
탐험가나 등반가에게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음.
위험 요소
위험성추락 위험
조난 위험
예측 불가능한 변화
주의 사항크레바스 주변을 탐험할 때 주의해야 함.
적절한 장비와 경험이 필요함.
단독 탐험은 피해야 함.
기타
관련 용어빙하학
빙벽 등반
설상차
빙하 동굴
추가 정보크레바스는 빙하의 움직임과 관련이 깊음.
빙하의 내부 응력과 외부 요인에 의해 형성됨.
크레바스는 얼음의 흐름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임.

2. 유형

크레바스는 빙하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주요 유형으로는 종단 균열, 분기 균열, 횡단 균열이 있다.[5]

2. 1. 종단 균열 (Longitudinal crevasses)

종단 균열은 빙하의 폭이 넓어지는 곳에서 흐름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균열은 장력이 발생하는 지역, 예를 들어 계곡이 넓어지거나 굽어지는 곳에서 발생한다. 종단 균열은 일반적으로 아래로 오목하며 가장자리와 45° 이상의 각도를 이룬다.[5]

2. 2. 분기 균열 (Splaying crevasses)

분기 균열은 빙하 가장자리에 나타나며, 빙하 가장자리의 전단 응력과 측면 신장으로 인한 종방향 압축 응력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균열은 빙하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빙하 흐름에 대해 위로 오목하며, 가장자리와 45° 미만의 각도를 이룬다.[5]

2. 3. 횡단 균열 (Transverse crevasses)

횡단 균열(Transverse crevasses)은 가장 일반적인 균열 유형이다. 주응력이 빙하 흐름 방향과 평행하여 신장 장력을 생성하는 종방향 신장대에 형성된다. 이러한 균열은 빙하를 가로질러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즉 빙하를 가로질러 뻗어 있다. 일반적으로 계곡이 가팔라지는 곳에서 형성된다.[5]

3. 형상 및 특징

크레바스는 종종 수직에 가까운 벽을 가지고 있으며, 이 벽은 녹아서 세락, 아치 등 다른 빙하 지형을 만들 수 있다.[1] 이러한 벽은 때때로 빙하의 지층을 나타내는 층을 드러내기도 한다. 크레바스의 크기는 빙하에 존재하는 액체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깊이는 45m, 너비는 20m에 달할 수 있다.[8]

물이 찬 크레바스는 빙하 또는 빙상의 바닥에 도달하여 여름에 상당한 융해가 발생하는 표면[2]과 빙하 바닥 사이의 직접적인 수문학적 연결을 제공하며, 이곳에서 추가적인 물이 바닥을 적시고 윤활시켜 빙하의 흐름을 가속화할 수 있다.[3][4] 뮬랭으로 알려진 빙하 상단의 물의 직접적인 배수도 빙하 흐름의 윤활 및 가속에 기여할 수 있다.[4]

크레바스의 벽면은 거의 수직이며, 폭은 수 센티미터에서 수 미터 정도로 다양하고, 바닥까지의 거리는 주로 10미터 전후이며 때로는 수십 미터에 달하기도 한다. 벽면 하부는 눈이 압축되어 고결된 얼음 상태이다. 크레바스 안에는 얼음이 녹아 생긴 물이 흐르는 경우도 있다.

3. 1. 히든 크레바스 (Hidden Crevasse)



빙하 크레바스에 빠지는 것은 위험하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6] 쿰부 빙하폭포(Khumbu Icefall)(에베레스트 산(Mount Everest)])의 일부 빙하 크레바스는 깊이가 약 48.77m에 달할 수 있으며, 추락 시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7] 크레바스에 빠졌을 때

4. 위험성 및 사고 사례

빙하 크레바스에 빠지는 것은 위험하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6] 에베레스트 산의 쿰부 빙하폭포에 있는 일부 빙하 크레바스는 깊이가 약 48.77m에 달할 수 있으며, 추락 시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7] 크레바스에 빠졌을 때 저체온증은 종종 사망 원인이 된다.[8]

크레바스는 이전 해의 눈이 쌓이고 눈이 몰려 형성된 눈다리로 덮여 있을 수 있지만, 반드시 채워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크레바스는 보이지 않게 되어 빙하를 건너려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위험이 될 수 있다. 때때로 오래된 크레바스 위의 눈다리가 처지기 시작하여 지형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지만, 이에 의존할 수는 없다.[9]

크레바스에 빠질 위험은 여러 명의 등반가를 로프 팀으로 연결하고,[9] 마찰 매듭을 사용하여 최소화할 수 있다.[10] 크레바스에 추락하여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사고는 자주 발생한다.[11] 예를 들어, 1981년 6월 10일 톈산 산맥의 보고다봉 빙하에서 교토산악회 등산대의 29세 여성 대원이 하산 중 눈에 덮여 숨겨진 크레바스(히든 크레바스)에 추락했다. 크레바스 위에서는 크레바스 안의 그녀의 목소리가 들렸지만, 수십 미터 아래 좁은 틈으로 추락한 그녀에게 구출의 손길은 미치지 못했고, 결국 그녀는 생환을 포기해야 했다.[12] 그녀의 유해는 14년 후인 1995년에 발견되었다.

5. 안전 대책

빙하 크레바스에 빠지는 것은 위험하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6] 쿰부 빙하폭포(Khumbu Icefall)(에베레스트 산(Mount Everest))의 일부 빙하 크레바스는 깊이가 약 48.77m에 달할 수 있으며, 추락 시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7] 크레바스에 빠졌을 때 저체온증(Hypothermia)은 종종 사망 원인이 된다.[8]

크레바스는 이전 해의 눈이 쌓이고 눈이 몰려 형성된 눈다리(snow bridge)로 덮여 있을 수 있지만, 반드시 채워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크레바스는 보이지 않게 되어 빙하를 건너려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위험이 될 수 있다. 때때로 오래된 크레바스 위의 눈다리가 처지기 시작하여 지형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지만, 이에 의존할 수는 없다.[9]

크레바스에 빠질 위험은 여러 명의 등반가를 로프 팀(rope team)으로 연결하고,[9] 마찰 매듭(friction knot)을 사용하여 최소화할 수 있다.[10] 일반적으로 크레바스는 피해서 이동해야 하지만, 크레바스를 넘어야 할 경우에는 안전 대책을 취한 후 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줄이나 사다리를 설치하여 크레바스를 넘는 방법 등이 있다. 극지방 기상 연구 등의 조사 목적이나, 추락자 구조 시 필요한 경우 크레바스 안으로 내려가는 경우도 있지만, 그럴 때는 추락 방지 대책으로 설산 암벽 등반과 동등한 장비가 필요하다.

6. 기타

등산 중 사망하여 시신 수습이 어려운 경우, 크레바스에 매장하는 것이 관례이다.[15]

참조

[1] 논문 Crevasses on Glaciers
[2] 논문 The role of hydrologically-driven ice fracture in drainage system evolution on an Arctic glacier 2003
[3] 논문 Surface melt-induced acceleration of Greenland ice-sheet flow 2002
[4] 논문 Glacier crevasses: Observations, models, and mass balance implications 2016
[5] 논문 Primary Transverse Crevasses 1956-10
[6] 논문 Epidemiology and mortality of glacier crevasse accidents 2014-11
[7] 뉴스 Mount Everest: 3 Sherpa climbers missing after falling into deep Khumbu Icefall crevasse https://www.usatoday[...] Associated Press 2023-04-13
[8] 웹사이트 Crevasse https://education.na[...] National Geographic 2023-06-22
[9] 서적 Mountaineering: The Freedom of the Hills The Mountaineers
[10] 웹사이트 MOUNTAIN SAFETY: GLACIER TRAVEL AND CREVASSE RESCUE FOR TWO-PERSON TEAMS https://blog.alpinec[...] Alpine Club of Canada 2022-06-20
[11] 웹사이트 スイス(山岳事故に関する注意事項) http://www.anzen.mof[...]
[12] 웹사이트 「クレバスに消えた女性隊員」資料 http://www.akiya-yut[...]
[13] 웹사이트 雪渓 https://kigosai.sub.[...] 季語と歳時記の会 2018-02-22
[14] 서적 季語・季題辞典 日外アソシエーツ
[15] 웹사이트 登山 http://jac.or.jp/san[...] 日本山岳会 202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