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력은 물리학에서 물체에 가해지는 잡아당기는 힘을 의미하며, 1차원 연속체, 3차원 연속체, 그리고 현대 물리학의 끈 이론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1차원 연속체에서 장력은 줄이나 밧줄과 같은 이상적인 물체 내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굽힘이 없을 경우 줄을 따라 일정하게 작용하며 뉴턴의 제3법칙에 따라 물체에 가해지는 힘과 동일하다. 3차원 연속체에서는 변형력(응력)과 관련되어 물체의 늘어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평형 상태에서는 모든 힘의 합이 0이 되어 정지 상태를 유지하지만, 알짜힘이 존재하면 물체는 가속 운동을 한다. 특수 상대성 이론과 끈 이론에서는 끈과 같은 물체의 장력이 끈의 에너지와 관련되어 설명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장력 | |
---|---|
개요 | |
정의 | 축 방향으로 전달되는 당기는 힘, 압축의 반대 |
물리학적 개념 | |
인장력 | 물체 내에서 축 방향으로 작용하며, 물체를 늘리거나 잡아당기는 힘 |
응력 | 인장력이 작용할 때 물체 내부에 발생하는 힘 (단위 면적당 힘) |
변형 | 인장력에 의해 물체가 늘어나는 현상 |
인장 강도 | 물체가 파괴되기 전까지 견딜 수 있는 최대 인장 응력 |
활용 분야 | |
건축 | 케이블, 현수교 등에 사용되는 인장력 |
기계 공학 | 로프, 체인, 볼트 등에 사용되는 인장력 |
재료 공학 | 재료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 |
생물학 | 근육, 힘줄, 인대 등 생체 조직의 인장력 |
장력 (張力) | |
일본어 | ちょうりょく (Chōryoku) |
한자 | 張力 |
장력 (張力) | |
한국어 | 장력 |
문화어 | 켕김힘 |
2. 1차원 연속체에서의 장력
장력은 음의 값이 아닌 벡터량이다. 장력이 0이면 느슨한 상태이다. 줄이나 로프는 종종 길이는 고정되어 있지만 질량이 없고 단면적이 0인 1차원으로 이상화된다. 줄이 굽어 있을 경우, 이웃한 부분에 의한 두 개의 끌어당김은 0이 되지 않으며, 줄의 그 부분에 알짜힘이 작용하여 가속도를 유발한다.
2. 1. 이상적인 1차원 연속체
실이나 줄은 종종 질량이 없고 단면적이 0이며 굽힘이 없는 1차원으로 이상화된다. 이러한 이상적인 상황에서 장력은 실을 따라 일정하며, 실의 양 끝에서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같다.[2] 뉴턴 제3법칙(작용-반작용 법칙)에 따라, 실의 양 끝에 작용하는 힘은 실과 연결된 물체가 실에 가하는 힘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2]
도르래에 걸린 실의 경우, 도르래가 이상적(질량과 마찰이 없음)이라면 실의 장력은 모든 부분에서 일정하다.[2] 진동하는 현은 현의 장력에 따라 달라지는 일련의 진동수로 진동하며, 이 진동수는 뉴턴의 운동 법칙에서 유도할 수 있다.[2]
2. 2. 진동하는 1차원 연속체
끈이 진동할 때 진동수는 끈의 장력에 의존한다. 진동수는 뉴턴 법칙을 통해 이끌어 낼 수 있다. 줄의 미세한 부분들은 각각 이웃한 부분들과 서로 잡아당기며, 힘의 크기는 줄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하다.[2]
만약 실이 굽어있을 경우, 두 이웃한 부분에서 서로 잡아당기는 힘의 크기는 합해서 0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의 부분에는 알짜힘이 가해지며 가속도가 생기게 된다. 이 알짜힘은 복원력이며, 스튀름-리우빌 이론에 따르면 실의 움직임은 횡파이고, 다음의 방정식으로 해를 구할 수 있다.[2]
:
는 단위길이당 힘, 는 실의 가로성분 변위 에 따른 고유 공명값이다. 여러 풀이들은 현악기의 여러 화음들을 나타낸다.[2]
3. 3차원 연속체에서의 장력
3차원 연속체는 막대, 트러스와 같이 부피를 가진 물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물체의 양 끝에서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데 장력이 사용되며, 이는 음압과 유사하다. 장력을 받는 막대는 늘어난다.
3. 1. 변형력(응력)과의 관계
막대나 트러스같은 3차원 연속체의 끝부분에서 가해지는 힘을 표현할 때 장력을 이용한다. 공학을 목적으로는 장력보다는 '''변형력 = 축방향력/단면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3] 변형력은 텐서의 3x3 행렬이며, 변형력 텐서의 성분 은 단위면적당 인장력(또는 단위면적당 압축력인데, 막대가 늘어나는 경우가 아닌 압축되는 경우에는 이 성분을 이용해서 음수를 나타낸다)이다.[3]따라서 응력 텐서의 트레이스를 취하여 장력과 유사한 스칼라 값을 얻을 수 있다.[3]
4. 평형 상태와 알짜힘
계가 평형 상태에 있을 때 모든 힘의 합은 0이다.[1]
:
예를 들어, 속도가 일정한 상황에서 장력 ''T''의 실에 수직으로 내려가는 물체를 생각해 보자. 이 계는 일정한 속도를 가지므로, 물체를 위로 당기는 실의 장력이 물체를 아래로 당기는 무게 힘 mg(''m''은 질량, ''g''는 지구 중력에 의한 가속도)와 같기 때문에 평형 상태에 있다.[1]
알짜힘은 물체에 불균형적인 힘이 작용할 때, 즉 모든 힘의 합이 0이 아닐 때 존재한다. 가속도와 알짜힘은 항상 함께 존재한다.[1]
:
예를 들어, 물체가 아래쪽으로 속도가 증가하면서(양의 가속도) 내려가고 있다면, 계 어딘가에 알짜힘이 존재한다.
질량이 각각 과 인 두 물체 A와 B가 마찰 없는 도르래를 통해 늘어나지 않는 실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물체 A에는 아래쪽으로 당기는 중력()과 위쪽으로 당기는 실의 장력 두 가지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물체 A에 작용하는 알짜힘 은 이므로 이다.
4. 1. 평형 상태
계 내 모든 힘의 합이 0일 때, 계는 평형 상태에 있다.[1] 예를 들어, 속도가 일정한 상황에서 장력 ''T''의 실에 수직으로 내려가는 물체를 생각해 보자. 이 계는 일정한 속도를 가지므로 평형 상태에 있는데, 물체를 위로 당기는 실의 장력이 물체를 아래로 당기는 무게 힘 mg(''m''은 질량, ''g''는 지구 중력에 의한 가속도)와 같기 때문이다.[1]:
4. 2. 알짜힘이 존재하는 계
계에 작용하는 힘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알짜힘이 존재하고, 물체는 가속도 운동을 한다.[1] 알짜힘과 가속도는 항상 함께 존재한다.[1]예를 들어, 물체가 아래 방향으로 속도가 증가하면서(양의 가속도) 내려가는 경우, 계에는 알짜힘이 존재한다. 이 경우, 장력()보다 중력()의 크기가 더 크다.
:
다른 예로, 질량이 각각 과 인 두 물체 A와 B가 마찰이 없는 도르래를 통해 늘어나지 않는 실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물체 A에는 아래쪽으로 당기는 중력()과 위쪽으로 당기는 실의 장력 두 가지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물체 A에 작용하는 알짜힘 은 이므로, 이다.
5. 현대 물리학에서의 장력
현대 물리학, 특히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쿼크 사이의 상호작용에 쓰이는 끈 모델이나 끈 이론과 같이 끈과 유사한 물체들은 장력을 가진다. 이 끈들은 세계면에 의해 분석되며, 에너지는 보통 끈의 길이에 비례한다. 이러한 끈의 장력은 늘어나는 정도와 무관하다.
5. 1. 상대성 이론과 끈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끈과 같이 생긴 물체(예: 쿼크 사이의 상호작용에 쓰이는 끈 모델이나, 끈 이론의 끈)는 장력을 가진다. 이 끈들은 끈들의 세계면에 의해 분석되고, 에너지는 보통 끈의 길이에 비례한다. 장력은 끈의 늘어난 정도에 무관하다.[1]5. 2. 훅 법칙
늘릴 수 있는 끈의 경우에는 훅 법칙이 적용된다.[1]참조
[1]
서적
Tension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with Modern Physics
https://books.google[...]
Brooks/Cole Cengage Learning
2008
[2]
서적
Theoretical Mechanics of Particles and Continua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980
[3]
간행물
Design of Tension Members: Mechanical Properties and Block Shear Failure, Exercises of Civil Engineering
https://www.docsity.[...]
2014-04-09
[4]
문서
理学工学基礎物理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