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로노박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노박터는 한천 배지에서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세균 속으로, 신생아, 유아에게 균혈증, 세균성 수막염, 괴사성 장염 등의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분유나 환경에서 발견되며, 유아 감염 시 치사율은 20~50%로 높다. 크로노박터 콘디멘티를 제외한 모든 종은 감염과 관련이 있으며, WHO와 FAO의 노력, ISO 표준 도입으로 감염 발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크로노박터 속은 2007년에 처음 제안되었으며, 2012년 7종으로 정의되었고, 어원은 그리스 신화의 크로노스에서 유래되었다. 각 종은 특정 특징이나 발견 지역, 또는 과학자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내세균과 - 엔테로박터
    엔테로박터는 35~37°C에서 락토오스를 발효시켜 가스를 생성하는 그람 음성 세균으로, 편모를 이용한 운동성, 생물막 형성 등의 병독성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병원 내 감염과 관련되어 있고, 특정 종은 비만과 관련이 있으며, 치료는 지역별 항생제 내성 수준에 따라 항생제를 사용한다.
  • 장내세균과 - 폐렴막대균
    폐렴막대균은 면역력 저하 환자에게 폐렴을 유발하는 그람 음성균으로, 항생제 내성 균주 증가와 고병원성 변종 출현으로 임상적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 세균의 속 - 시트로박터
    시트로박터는 시트르산을 탄소원으로 사용하고 유당을 발효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고 인간의 창자 내에 서식하며, 드물게 기회 감염 병원체로 작용하여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가질 수 있는 세균 속이다.
  • 세균의 속 - 엔테로박터
    엔테로박터는 35~37°C에서 락토오스를 발효시켜 가스를 생성하는 그람 음성 세균으로, 편모를 이용한 운동성, 생물막 형성 등의 병독성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병원 내 감염과 관련되어 있고, 특정 종은 비만과 관련이 있으며, 치료는 지역별 항생제 내성 수준에 따라 항생제를 사용한다.
크로노박터
기본 정보
페트리 접시에서 자라는 Cronobacter sakazakii
Cronobacter sakazakii
학명Cronobacter
명명자Iversen et al. 2008
명명자 추가Joseph et al. 2011
분류
도메인세균
프로테오박테리아문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엔테로박터목
장내세균과
하위 분류
C. sakazakii
C. malonaticus
C. turicensis
C. muytjensii
C. dublinensis
C. universalis
C. condimenti

2. 특징

한천 배지 위에서 노란색 집락을 형성한다. 모든 연령대에서 감염을 일으키지만, 특히 신생아나 유아에게 균혈증, 세균성 수막염, 괴사성 장염 등의 위험이 높다. 반면 성인의 경우, 대부분 불현성 감염이며 발병은 드물다. 유아 감염 시 치사율은 20~50%로 알려져 있다. 분유뿐만 아니라 채소, 환경 등에서도 분리 보고가 있어, 널리 환경 중에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2]

3. 임상적 의의

''Cronobacter condimenti''를 제외한 모든 ''Cronobacter'' 종은 감염과 관련된 임상 사례와 관련이 있다. 성인에게서도 감염 사례가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생명을 위협하지 않으며 기저 질환에 의한 2차 감염인 경우가 많다. 영아 감염은 높은 치명률과 생존자의 지속적인 장애를 동반하는 신생아 균혈증, 수막염 및 괴사성 장염과 관련이 있다.

''Cronobacter''가 어디에나 있는 환경 유기체라는 인식의 증가, 세계 보건 기구(WHO)와 식량 농업 기구(FAO)의 이니셔티브, 그리고 영아 수유에 대한 조언(분유 재구성을 위한 안전한 온도, 재구성 후 적절한 유지 시간 포함)은 감염 발생을 크게 줄였다. 또한, 이러한 유기체 검출을 위한 ISO 표준 방법의 도입은 영아 분유 산업이 제조 현장 및 제품에서 이들의 존재를 제어하여 영아의 위험을 더욱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Cronobacter''가 가정 환경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고립된 사례는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

한천 배지 위에서 노란색 집락을 형성한다. 모든 연령대에서 감염을 일으키지만, 특히 신생아나 유아에게 균혈증이나 세균성 수막염, 괴사성 장염 등의 위험이 높다. 반면, 성인에게는 불현성 감염이 많고 발병은 드물다. 유아는 발병 시 치사율이 20~50%로 알려져 있다. 분유류에서 오염이 알려져 있지만[12], 채소나 환경 중에서도 분리 보고가 있으므로, 널리 환경 중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 분류

2007년, 엔테로박터 사카자키 균주에서 발견된 생물학적 그룹의 분류학적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크로노박터 속(Cronobacter)이 처음 제안되었다.[4] 2008년에 5개의 종과 3개의 아종을 명명하며 유효하게 발표되었다.[1] 2012년에는 'C. universalis'와 'C. condimenti'가 추가되어 속의 정의가 7개의 명명된 종으로 수정되었다.

2013년에는 엔테로박터 헬베티쿠스, 엔테로박터 풀베리스 및 엔테로박터 투리켄시스가 크로노박터 속으로 재분류되었으나, 2014년에 각각 프랑코니박터 헬베티쿠스, 프랑코니박터 풀베리스 및 시치박터 투리켄시스로 재분류되었다.[5]

5. 어원

'''크로노박터'''(Cronobacter, Cro.no.bac'ter)는 그리스 신화의 티탄 중 한 명인 크로노스(Κρόνος)와 막대기를 의미하는 ''bacter''의 합성어로, 신생아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막대기를 의미한다.

세부 종의 어원은 다음과 같다.

종 이름어원
크로노박터 사카자키
(Cronobacter sakazakii)
일본의 미생물학자 사카자키 리이치(坂崎利一)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6]
크로노박터 말로나티쿠스
(Cronobacter malonaticus)
말론산 사용과 관련이 있다. 기준 균주는 유방 농양에서 분리되었다.[6]
크로노박터 투리첸시스
(Cronobacter turicensis)
스위스 취리히의 라틴어 이름인 Turicum과 관련이 있다.[4]
크로노박터 무이첸시
(Cronobacter muytjensii)
엔테로박터 사카자키에 대한 초기 연구를 많이 수행한 네덜란드 미생물학자 해리 무이첸스(Harry Muytjens)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7][8][9][10][11]
크로노박터 더블리넨시스
(Cronobacter dublinensis)
기준 균주의 기원인 아일랜드 더블린과 관련이 있다.[4]
C. 더블리넨시스 subsp. 로잔넨시스
(lausannensis)
이 아종의 기준 균주의 기원인 스위스 로잔과 관련이 있다.[4]
C. 더블리넨시스 subsp. 락타리디
(lactaridi)
건조된 우유와 관련이 있다.[4]
크로노박터 유니버설리스
(Cronobacter universalis)
모든 또는 보편적인 것을 의미한다.[2]
크로노박터 콘디멘티
(Cronobacter condimenti)
향신료 또는 조미료와 관련이 있다. 처음에는 향신료를 넣은 고기에서 일부 분리되었다.[2]


참조

[1] 논문 "''Cronobacter'' gen. nov., a new genus to accommodate the biogroups of ''Enterobacter sakazakii'', and proposal of ''Cronobacter sakazakii'' gen. nov. comb. nov., ''C. malonaticus'' sp. nov., ''C. turicensis'' sp. nov., ''C. muytjensii'' sp. nov., ''C. dublinensis'' sp. nov., ''Cronobacter'' genomospecies 1, and of three subspecies, ''C. dublinensis'' sp. nov. subsp. ''dublinensis'' subsp. nov., ''C. dublinensis'' sp. nov. subsp. ''lausannensis'' subsp. nov., and ''C. dublinensis'' sp. nov. subsp. ''lactaridi'' subsp. nov."
[2] 논문 "''Cronobacter condimenti'' sp. nov., isolated from spiced meat and ''Cronobacter universalis'' sp. nov., a novel species designation for ''Cronobacter'' sp. genomospecies 1, recovered from a leg infection, water, and food ingredients"
[3] 논문 Desiccation resistance and persistence of Cronobacter species in infant formula http://irep.ntu.ac.u[...] 2009-12-31
[4] 논문 "The taxonomy of ''Enterobacter sakazakii'': proposal of a new genus ''Cronobacter'' gen. nov. and descriptions of ''Cronobacter sakazakii'' comb. nov. ''Cronobacter sakazakii'' subsp. ''sakazakii'', comb. nov., ''Cronobacter sakazakii'' subsp. ''malonaticus'' subsp. nov., ''Cronobacter turicensis'' sp. nov., ''Cronobacter muytjensii'' sp. nov., ''Cronobacter dublinensis'' sp. nov. and ''Cronobacter'' genomospecies 1" 2007-12
[5] 논문 "Re-examination of the taxonomic status of Enterobacter helveticus, Enterobacter pulveris and Enterobacter turicensis as members of the genus Cronobacter and their reclassification in the genera Franconibacter gen. nov. and Siccibacter gen. nov. as Franconibacter helveticus comb. nov., Franconibacter pulveris comb. nov. and Siccibacter turicensis comb. nov., respectively" 2014-10-01
[6] 논문 "''Enterobacter sakazakii'': A New Species of 'Enterobacteriaceae'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1980-07-01
[7] 논문 "Enzymatic profiles of ''Enterobacter sakazakii'' and related spec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lpha-glucosidase reaction and reproducibility of the test system" 1984-10
[8] 논문 "Analysis of eight cases of neonatal meningitis and sepsis due to ''Enterobacter sakazakii''" 1983-07
[9] 논문 "Comparative in vitro susceptibilities of eight Enterobacter spec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Enterobacter sakazakii''" 1986-02
[10] 논문 Quality of powdered substitutes for breast milk with regard to members of the family Enterobacteriaceae 1988-04
[11] 논문 "''Enterobacter sakazakii'' meningitis in neonates: Causative role of formula?" 1990-05
[12] 논문 調製乳幼児用食品における保存温度が''Cronobacter sakazakii'' の増殖に及ぼす影響 https://doi.org/10.5[...] 2014
[13] 논문 "The taxonomy of ''Enterobacter sakazakii'': proposal of a new genus ''Cronobacter'' gen. nov. and descriptions of ''Cronobacter sakazakii'' comb. nov. ''Cronobacter sakazakii'' subsp. ''sakazakii'', comb. nov., ''Cronobacter sakazakii'' subsp. ''malonaticus'' subsp. nov., ''Cronobacter turicensis'' sp. nov., ''Cronobacter muytjensii'' sp. nov., ''Cronobacter dublinensis'' sp. nov. and ''Cronobacter'' genomospecies 1"
[14] 논문 Cronobacter gen. nov., a new genus to accommodate the biogroups of Enterobacter sakazakii, and proposal of Cronobacter sakazakii gen. nov. comb. nov., C. malonaticus sp. nov., C. turicensis sp. nov., C. muytjensii sp. nov., C. dublinensis sp. nov., Cronobacter genomospecies 1, and of three subspecies, C. dublinensis sp. nov. subsp. dublinensis subsp. nov., C. dublinensis sp. nov. subsp. lausannensis subsp. nov., and C. dublinensis sp. nov. subsp. lactaridi subsp. n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