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구름쥐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구름쥐족(Phloeomyini)은 쥐아과 쥐과의 족으로, 필리핀의 루손섬과 민다나오섬 등지에 서식한다. 털이 많거나 복슬복슬한 꼬리와 잡는 발을 가진 짧은 뒷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잎, 싹, 나무 껍질, 과일 및 씨앗을 먹는 초식성이다. 털꼬리쥐속, 루손쥐속, 붓꼬리구름쥐속, 바나하우나무쥐속, 큰구름쥐속을 포함한 5개 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러 종이 멸종 위기 또는 심각한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서식지 감소와 사냥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큰구름쥐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hloeomyini |
명명자 | 알스턴, 1876 |
아목 | 쥐아목 |
과 | 쥐과 |
아과 | 쥐아과 |
속 | 바토미스속 카르포미스속 크라테로미스속 무세로미스속 필레오미스속 |
종 다양성 | 21종 |
화석 범위 | 중기 플라이스토세 - 현대 |
몸길이 | 50cm |
꼬리 길이 | 74mm |
2. 특징
큰구름쥐족은 길고 털이 많거나 털이 복슬복슬한 꼬리와 잡는 발을 가진 짧은 뒷다리가 특징이다. 이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구름 숲의 수관에서 보내기 때문에 "구름쥐" 또는 "구름 주자"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로 잎, 싹, 나무 껍질, 과일 및 씨앗을 먹는 초식성이다. 이들의 생태와 행동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14][3]
Phloeomyini영어족에 속하는 쥐들은 필리핀에 분포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여러 종의 큰구름쥐족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멸종 위기 또는 심각한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큰구름쥐족은 광범위한 필리핀의 산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감소와 인간의 침해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더 큰 종의 큰구름쥐족(''Phloeomys''속과 ''Crateromys''속)은 식용으로 사냥되는데, 주로 필리핀 산간 지역의 수렵 채집인 부족에 의해 사냥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가장 흔하게 사냥되는 종이며, 매년 수백 마리의 동물이 죽는 것으로 추정된다. 야생 동물의 사냥 또는 소지는 필리핀 공화국 법률 9147(2001년 야생 동물 보호 및 보존법)에 따라 불법이지만, 여전히 단속에 문제가 있다.[4][5][6][7][8]
''바토미스''(Batomys), ''크라테로미스''(Crateromys), ''플로미스''(Phloeomys) 속에 속하는 구름쥐는 일반적으로 크며, 가장 큰 종은 몸무게가 2.7kg에 달하는 ''플로미스 팔리두스''(Phloeomys pallidus)와 몸무게가 1.5kg에 달하는 ''크라테로미스 샤덴베르기''(Crateromys schadenbergi)이다. 이들은 몸길이가 약 20cm에서 50cm이다.
''카르포미스''(Carpomys)와 ''바토미스''(Batomys) 속의 구성원은 더 작으며, 최대 몸무게는 각각 165g 및 225g이다. 가장 작은 종은 최근에 기술된 ''무세로미스''(Musseromys) 속의 구성원으로, 기록된 몸무게는 15.5g에 불과하고 몸 길이는 74mm에서 84mm에 불과하다.[14][3]
3. 분포
속 종 수 분포 지역 털꼬리쥐속 (Batomys) 5종 루손섬, 민다나오섬 루손쥐속 (Carpomys) 2종 필리핀 루손섬 붓꼬리구름쥐속 (Crateromys) 4종 필리핀 바나하우나무쥐속 (Musseromys) 4종 필리핀 루손섬 큰구름쥐속/가는꼬리구름쥐속 (Phloeomys) 2종 필리핀 루손섬
4. 보존
런던 동물원,[9] 프라하 동물원, 센트럴 파크 동물원, 브롱크스 동물원, 윙햄 야생 동물 공원,[10] 체스터 동물원,[11] 예루살렘 성경 동물원 등 여러 동물원에서 큰구름쥐족을 사육하고 번식시키고 있다.[12]
5. 하위 속
종 | 학명 및 명명자 | 분포 지역 | 비고 |
---|---|---|---|
큰이빨털꼬리쥐 | Batomys dentatus | 루손섬 | |
루손털꼬리쥐 | Batomys granti | 루손섬 | |
하미구이탄털꼬리쥐 | Batomys hamiguitan | 민다나오섬 하미구이탄 산 | ![]() |
디나가트털꼬리쥐 | Batomys russatus | 민다나오섬 | |
민다나오털꼬리쥐 | Batomys salomonseni | 민다나오섬 | |
Batomys uragon | Batomys uragon | ||
Batomys cagayanensis | Batomys cagayanensis |
- 루손쥐속(''Carpomys'')
종 | 학명 및 명명자 | 분포 지역 | 비고 |
---|---|---|---|
난쟁이운무쥐(짧은발루손나무쥐) | Carpomys melanurus | 필리핀 루손섬 풀라그 산 | ![]() |
흰배루손나무쥐 | Carpomys phaeurus | 필리핀 루손섬 | |
Carpomys dakal | Carpomys dakal |
- 붓꼬리구름쥐속(''Crateromys'')
종 | 학명 및 명명자 | 분포 지역 | 비고 |
---|---|---|---|
디나가트섬운무쥐 | Crateromys australis | 2012년에 재발견됨 | |
거대털북숭이꼬리운무쥐 | Crateromys schadenbergi | ||
일린섬운무쥐 | Crateromys paulus | 1981년 사체 표본으로 수집됨 | |
파나이털북숭이꼬리운무쥐 | Crateromys heaneyi | ||
Crateromys ballik | Crateromys ballik |
- 바나하우나무쥐속(''Musseromys'')
종 | 학명 및 명명자 | 비고 |
---|---|---|
Musseromys anacuao | Musseromys anacuao | |
Musseromys beneficus | Musseromys beneficus | |
바나하우나무쥐 | Musseromys gulantang | |
Musseromys inopinatus | Musseromys inopinatus |
- 큰구름쥐속(''Phloeomys'')
종 | 학명 및 명명자 | 비고 |
---|---|---|
북부 루손 가늘꼬리운무쥐 | Phloeomys pallidus | ![]() |
남부 루손 가늘꼬리운무쥐 | Phloeomys cumingi |
운무쥐 clade ("''Phloeomys'' 분기군")은 현재 족 Phloeomyini으로 취급되며,
''Batomys''(털꼬리쥐), ''Carpomys''(난쟁이운무쥐), ''Crateromys''(털북숭이꼬리운무쥐), ''Musseromys''(루손나무쥐), ''Phloeomys''(거대운무쥐)를 포함한다.
이들은 쥐아과에 속하며, 쥐과의 한 과이다.
6. 계통 분류
다음은 2008년 레콤프테 등(Lecompte et al.)[21]과 2016년 로우 등(Rowe et al.)[22]의 연구에 기초한 쥐아과의 계통 분류이다.
참고: 멸종된 종은 화석으로만 알려져 있으며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참조
[1]
간행물
Mammal Diversity Database
https://zenodo.org/r[...]
2021-11-06
[2]
서적
Evolution of island mammals : adaptation and extinction of placental mammals on island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3]
웹사이트
Cloud rat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1-04-23
[4]
간행물
Cloud rats in the Philippines — preliminary report on distribution and status
1993-01
[5]
간행물
A preliminary analysis of current gaps in the protection of threatened Philippine terrestrial mammals
2002
[6]
뉴스
Cloud rats of the sky islands: 28 new mammal species found in the Philippines
https://www.dw.com/e[...]
2016-07-19
[7]
뉴스
A rediscovery of Dinagat bushy-tailed cloud rat helped starting conservation activities on Dinagat Island, Philippines.
https://tarsiusproje[...]
[8]
뉴스
2 giant cloud rats rescued
https://www.sunstar.[...]
2021-04-05
[9]
뉴스
Cloud rat arrives at London Zoo
http://news.bbc.co.u[...]
BBC News
2004-11-11
[10]
웹사이트
Northern Luzon Cloud Rat
https://winghamwildl[...]
2019-09-05
[11]
뉴스
Chester Zoo has just become home to a tree kangaroo called Sangria
https://www.cheshire[...]
Chester Live
2018-05-23
[12]
웹사이트
White Nights Exhibit
https://www.jerusale[...]
[13]
간행물
MSW3 Muroidea
[14]
간행물
Three New Species of Musseromys (Muridae, Rodentia), the Endemic Philippine Tree Mouse from Luzon Island
https://www.biodiver[...]
2014-05-16
[15]
간행물
Doubling diversity: a cautionary tale of previously unsuspected mammalian diversity on a tropical oceanic island
2016-07-15
[16]
간행물
A new species of ''Batomys'' (Mammalia: Muridae) from eastern Mindanao Island, Philippines
[17]
간행물
A new species of ''Batomys'' (Muridae, Rodentia) from southern Luzon Island, Philippines
[18]
간행물
Three new extinct species from the endemic Philippine cloud rat radiation (Rodentia, Muridae, Phloeomyini)
https://doi.org/10.1[...]
2021-04-23
[19]
간행물
First fossil evidence of the extinct Philippine cloud rat Crateromys paulus (Muridae: Murinae: Phloeomyini) from Ilin Island, Mindoro, and insights into its Holocene abundance
2017-01
[20]
문서
Tullberg, T. Uber das system der Nagetiere. Eine phylogenetische studie. (en alemany). Nova Acta Regiae Societatis Scientiarium Upsaliensis, 1899, p. 514.
[21]
간행물
Emilie Lecompte, Ken Aplin, Christiane Denys, François Catzeflis, Marion Chades, Pascale Chevret: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African Murin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 sequences, with a new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In: ''BMC Evolutionary Biology.'' Bd. 8, 199, 2008, S. 1–21,
[22]
간행물
Kevin C. Rowe, Anang S. Achmadi and Jacob A. Esselstyn. 2016. ''A New Genus and Species of Omnivorous Rodent (Muridae: Murinae) from Sulawesi, nested within A Clade of Endemic Carnivores.'' Journal of Mamma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