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와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와속은 심해 열수구 환경에 서식하는 갑각류의 한 속이다. 2005년 처음 발견된 키와 히르수타를 시작으로 여러 종이 확인되었으며, 태평양, 남극해, 인도양 등 다양한 해역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공생 박테리아를 통해 에너지를 얻으며, 털 모양의 부속지나 가시, 큰 집게발 등 독특한 신체적 특징을 통해 열악한 환경에 적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키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 | |
학명 | Kiwa |
명명자 | Macpherson, Jones & Segonzac, 2006 |
상위 분류군 | 키와상과 (Kiwaoidea) 또는 새우아재비상과 |
과 | 키와과 (Kiwaidae) |
과 명명자 | Macpherson, Jones & Segonzac, 2006 |
하위 종 |
2. 분포 및 서식지
키와속(Kiwala) 게들은 주로 심해의 열수구나 냉수 분출구 주변에서 발견된다.[9][10] 이들은 태평양-남극 해령,[8] 동태평양,[9][10] 이스턴 스코티아 해령,[11][12] 호주-남극 해령,[13] 남서 인도 해령,[10][14] 그리고 갈라파고스 제도[10][14] 등 전 세계 다양한 해역의 특정 환경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키와 아라오나이''(''K. araonae'')의 발견은 이전에 알려졌던 것보다 키와과의 분포 범위가 훨씬 넓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3][17] 대부분의 종은 열수구 환경에 서식하지만, ''키와 푸라비다''(''K. puravida'')는 예외적으로 냉수 분출구에서 발견되었다.[9][10]
2. 1. 종 목록
다양한 예티 게 종이 여러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4종이 기술되었으며, 3종의 미기재 종이 보고되었다.
또한, 아직 정식으로 학명이 부여되지 않은 미기재 종들이 다음과 같은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 남서 인도 해령의 열수구[10][14]
- 갈라파고스 제도의 열수구[10][14]
- 이스턴 스코티아 해령의 열수구 (2010년 발견): 앞서 발견된 두 미기재 종에 비해 협각이 훨씬 짧고, 박테리아 성장 강모가 주로 복부 갑각에 집중되어 있다.[16][3]
DNA 분석 결과, 이들 종은 유전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며 수백만 년 전에 서로 갈라진 것으로 밝혀졌다.[15][3]
''키와 아라오나이''의 발견은 키와과의 알려진 분포 범위를 기존 대양 해령에서 약 6500km 더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형태학적 및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K. araonae''는 지리적으로 약 12000km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K. puravida''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7]
화석 연구에 따르면, 특정 시기의 심해 온도 감소와 환기 증가는 키와속 종들의 분화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에오세-올리고세 경계 부근 동태평양 화석이나 마이오세 시기 열대 동태평양 화석 연구는 ''K. puravida''와 같은 종의 진화가 낮은 심해 온도와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16]
2. 2. 종 분화
다양한 예티 게 종이 여러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4종이 기술되었다:- 2005년 태평양-남극 해령에서 발견된 ''키와 히르수타''[8]
- 2006년 동태평양의 냉수 분출구에서 발견된 ''키와 푸라비다'' (다른 모든 종은 열수구에서 발견됨)[9][10]
- 이스턴 스코티아 해령에서 발견된, 통칭 "호프 게"로 알려진 ''키와 타일러리''[11][12]
- 호주-남극 해령에서 발견된 ''키와 아라오나이''[13]
이 외에도 미기재 종 2종이 각각 남서 인도 해령과 갈라파고스 제도의 열수구에서 발견되었다.[10][14] DNA 분석 결과, 이들 종은 서로 구별되며 수백만 년 전에 갈라진 것으로 밝혀졌다.[15][3] 2010년에는 남극해의 대서양 지역, 이스턴 스코티아 해령의 열수구에서 세 번째 미기재 종이 발견되었다. 이 종은 처음 두 종에 비해 집게발이 훨씬 짧고, 박테리아가 자라는 털(강모)이 대부분 배쪽 갑각에 집중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16][3]
''키와 아라오나이''의 발견으로 키와과의 알려진 분포 범위는 기존에 알려진 대양 해령에서 약 6500km 더 확장되었다. 형태학적 관찰 및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에 따르면, ''K. araonae''와 ''K. puravida''는 약 12000km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7]
동태평양의 에오세-올리고세 경계 부근에서 발견된 화석 연구에 따르면, 각 서식지의 심해 온도 감소와 환기 증가가 종 분화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신세에 발견된 화석(열대 동태평양 위치) 연구는 예티 게의 한 종인 ''K. puravida''의 진화가 낮은 심해 온도와 관련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6]
3. 식성
키와속 갑각류는 주로 자신의 집게발이나 다리에 있는 털 모양의 강모에 서식하는 화학 합성 박테리아를 먹고 산다.[19] 이는 햇빛이 닿지 않는 심해 열수구 환경에서 에너지를 얻는 독특한 방식이다.[18]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공생 박테리아

키와속 갑각류는 심해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1차 소비자로 작용하고 열수구 공동체의 생물 다양성에 기여한다. 열수구에는 햇빛이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이곳에 서식하는 종들은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방식이 독특하다. 햇빛이 없어 생존에 필요한 지방산과 탄소 동위원소를 얻을 수 없으므로, 예티 게(키와속의 한 종류)는 공생하는 박테리아를 주요 식량원으로 삼아 전적으로 의존한다.[18] 예티 게는 자신의 바깥 부속지에 있는 털 모양의 강모에 서식하는 화학 합성 박테리아를 먹고 산다.[19] ''신카이아 크로스니에리''와 ''리미카리스 엑소쿨라타''와 같은 다른 유기체들도 예티 게와 유사한 식단 패턴을 보인다.
4. 행동
4. 1. 섭식 행동
과학자들은 키와 푸라비다(K. puravida)가 먹이를 구하는 데 독특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 이러한 방식 때문에 이 종은 "춤추는 게"라는 별명을 얻었다.[4] 예티 게는 차가운 물이 스며 나오는 곳 근처에서 집게발을 흔드는 모습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마치 춤을 추는 것처럼 보인다. 이 춤은 사실 이 종이 공생 박테리아를 기르는 일종의 농업 활동이다. 게는 집게발을 흔들어 발에 난 털(강모)에 사는 박테리아 주변의 물을 휘젓는다.[20] 이렇게 함으로써 박테리아가 성장하는 데 필요한 화학 물질을 충분히 공급받도록 돕는다.[4][20] 예티 게는 스스로 먹이를 키움으로써 심해의 척박한 환경에서도 쉽게 식량 자원을 확보하고 있다.4. 2. 번식 행동
예티 게(키와속)의 짝짓기 행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 대부분은 ''Kiwa puravida'' 종 연구에서 비롯되었다.[21] 연구에 따르면 수컷 게는 암컷보다 집게발이 더 크며, 이는 암컷 짝을 차지하기 위해 수컷끼리 경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4] 이러한 특징은 십각류에서 발견되는 전 교미 보호형 짝짓기 시스템과 유사한데, 이 시스템은 짝 사이의 긴 상호작용과 수컷의 높은 공격성을 특징으로 한다.[21] 다른 종인 ''Kiwa tyleri''의 경우, 수컷은 열수구에 가장 가까운 무리에서 발견되는 반면, 암컷은 이 밀집 지역에서 더 멀리 떨어진 곳에서 관찰되었다. 이는 알을 품은 암컷이 통풍구 근처의 높은 열을 피하고 알의 발달을 보호하기 위해 더 차가운 지역으로 이동하기 때문일 수 있다.[21]5. 적응
키와속(예티 게)은 서식하는 심해 열수 분출구 환경에 맞추어 여러 독특한 방식으로 적응했다. 주요 적응 방식으로는 특정 종(''K. puravida'')에서 나타나는 강모(setae)를 이용한 박테리아 배양[4], 다른 종(''Kiwa tyleri'')에서 보이는 다리 끝부분의 가시 발달[23], 그리고 성별에 따른 집게발 크기 차이[21] 등이 있다. 이러한 적응은 먹이 획득, 서식지 부착, 번식 및 생존 경쟁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
5. 1. 강모(剛毛)
예티 게의 한 가지 중요한 적응은 강모(setae)를 이용해 박테리아를 배양하는 것이다. 이는 특히 ''K. puravida'' 종에서 관찰된다.[4] 강모에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좁고 유연한 강모들이 더 제한적이고 두꺼운 강모들을 감싸는 형태이다. 암컷의 경우, 알을 낳고 유생을 키우는 과정에서 열수 분출구 환경에서 잠시 벗어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갑각의 상태가 나빠지면서 강모가 갈색으로 변하고 퇴화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22]''Kiwa tyleri'' 종에서는 다른 적응 형태도 발견된다. 다리 끝부분(propodus)에 가시가 발달하여, 열수 분출구의 가파른 굴뚝 벽에 달라붙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이들의 튼튼하고 다부진 몸 형태 역시 열수 분출구 환경을 헤쳐나가는 데 유리하다.[23]
과학자들은 수컷 예티 게가 암컷보다 더 큰 발톱을 가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더 큰 발톱이 번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성 선택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1] 이전 연구에서는 예티 게가 발톱을 이용해 싸우거나 흔들어 포식자를 쫓아내는 모습이 관찰되어, 발톱이 방어 수단으로 사용된다고 보기도 했다.[24] 더 큰 발톱은 공생 박테리아를 배양할 수 있는 표면적을 넓혀 생존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21]
5. 2. 가시
''키와 틸레리'' 종은 게 다리 끝부분에 가시가 발달하는 적응을 보인다.[23] 이 가시는 열수 분출구의 가파른 표면에 달라붙는 데 유용하며, 이는 서식 환경 적응에 도움을 준다.[23]5. 3. 집게발
''K. puravida'' 종은 집게발의 털(setae)에서 박테리아를 배양하는 방식으로 환경에 적응했다.[4] 집게발에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두 가지 유형의 털이 있는데, 좁고 유연한 털의 열이 더 제한적이고 두꺼운 털의 열을 감싼다. 암컷은 알을 수정하고 유생을 발달시키는 동안 열수 분출공 환경에서 잠시 벗어나는데, 이 때문에 갑각 건강이 저하되어 부화 시기에는 털이 더 손상된 갈색을 띤다.[22]Kiwa tyleri|키와 틸레리la 종은 집게발 끝 부분(propodus, 게 다리의 끝)에 가시가 발달하는 적응을 보였다. 이 가시는 열수 분출공의 가파른 벽에 달라붙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이 종의 단단하고 콤팩트한 몸 형태 역시 열수 분출공 환경을 탐색하는 데 유리하다.[23]
과학자들은 수컷 예티 게가 암컷보다 더 큰 집게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큰 집게발이 번식에 유리하도록 성선택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1] 이전 연구에서는 예티 게가 집게발로 싸우거나 흔들어 포식자를 쫓아내는 모습이 관찰되어, 집게발이 보호 기능을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4] 더 큰 집게발은 공생 박테리아를 배양할 수 있는 표면적을 넓혀 생존 적합성을 높이는 이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21]
참조
[1]
논문
A new squat lobster family of Galatheoidea (Crustacea, Decapoda, Anomura) from the hydrothermal vents of the Pacific-Antarctic Ridge
http://www.mnhn.fr/m[...]
[2]
논문
Galatheoidea are not monophyletic - molecular and morphological phylogeny of the squat lobsters (Decapoda: Anomura) with recognition of a new superfamily
2011-02
[3]
논문
The discovery of new deep-sea hydrothermal vent communities in the southern ocean and implications for biogeography
2012-01
[4]
논문
Dancing for food in the deep sea: bacterial farming by a new species of Yeti crab
[5]
논문
Dancing for food in the deep sea: bacterial farming by a new species of Yeti crab
[6]
논문
Adaptations to Hydrothermal Vent Life in Kiwa tyleri, a New Species of Yeti Crab from the East Scotia Ridge, Antarctica
2015-06-24
[7]
논문
Sexual dimorphism in the methane seep-dwelling Costa Rican yeti crab Kiwa puravida (Decapoda: Anomura: Kiwaidae)
2022
[8]
논문
A new squat lobster family of Galatheoidea (Crustacea, Decapoda, Anomura) from the hydrothermal vents of the Pacific-Antarctic Ridge
http://www.mnhn.fr/m[...]
[9]
논문
Dancing for food in the deep sea: bacterial farming by a new species of Yeti crab
[10]
논문
A new yeti crab phylogeny: Vent origins with indications of regional extinction in the East Pacific
2018
[11]
뉴스
'Hoff crab' gets formal scientific name
https://www.bbc.co.u[...]
2015-06-25
[12]
논문
The discovery of new deep-sea hydrothermal vent communities in the southern ocean and implications for biogeography
2012-01
[13]
논문
A new species of yeti crab, genus Kiwa Macpherson, Jones and Segonzac, 2005 (Decapoda: Anomura: Kiwaidae), from a hydrothermal vent on the Australian-Antarctic Ridge
2016
[14]
뉴스
Deep-sea creatures at volcanic vent
https://www.bbc.co.u[...]
BBC News
2011-12-28
[15]
논문
A new yeti crab phylogeny: Vent origins with indications of regional extinction in the East Pacific
2018
[16]
논문
The biogeography of the yeti crabs (Kiwaidae) with notes on the phylogeny of the Chirostyloidea (Decapoda: Anomura)
2013-08
[17]
논문
A new species of yeti crab, genus Kiwa Macpherson, Jones and Segonzac, 2005 (Decapoda: Anomura: Kiwaidae), from a hydrothermal vent on the Australian-Antarctic Ridge
2016
[18]
논문
Yeti crab grows its own food
https://www.nature.c[...]
2011-12-02
[19]
논문
A new yeti crab phylogeny: Vent origins with indications of regional extinction in the East Pacific
2018-03-16
[20]
서적
The Brilliant Abyss
Grove Press
[21]
논문
Sexual dimorphism in the methane seep-dwelling Costa Rican yeti crab Kiwa puravida (Decapoda: Anomura: Kiwaidae)
2022
[22]
논문
From hot waters of polar seas: the mysterious life of the male yeti crab
https://www.jstor.or[...]
2018
[23]
논문
Adaptations to Hydrothermal Vent Life in Kiwa tyleri, a New Species of Yeti Crab from the East Scotia Ridge, Antarctica
2015-06-24
[24]
논문
In hot and cold water: differential life-history traits are key to success in contrasting thermal deep-sea environments
2015-03-02
[25]
논문
A new squat lobster family of Galatheoidea (Crustacea, Decapoda, Anomura) from the hydrothermal vents of the Pacific-Antarctic Ridge
http://www.mnhn.fr/m[...]
2012-09-01
[26]
논문
Dancing for food in the deep sea: bacterial farming by a new species of yeti crab
http://www.plosone.o[...]
[27]
논문
The discovery of new deep-sea hydrothermal vent communities in the Southern Ocean and implications for biogeograph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