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프리치 요제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프리치 요제프는 헝가리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1980년 타바녀 FC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헝가리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페예노르트에서 에레디비시 우승 등 여러 차례 우승을 경험했다. APOEL FC에서 키프로스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며 더블을 달성하기도 했다. 헝가리 국가대표팀으로 70경기 출전, 28골을 기록했으며, 198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 활동했으며, 페예노르트 스카우트, U-19 팀 코치, 질모트 SE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오슈죄르 VTK의 축구 감독 - 센테시 라자르
  • 키프로스에 거주한 헝가리인 - 메쇠이 게저
    메쇠이 게저는 우이페슈트 FC 감독 시절 헝가리 선수권 은메달을 2회 획득하고 헝가리 올해의 매니저상을 수상한 헝가리의 축구 감독이며, 그의 아버지 칼만 메쇠이 또한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자 감독을 역임했다.
  • 키프로스에 거주한 헝가리인 - 설러이 어틸러
    설러이 어틸러는 헝가리 국적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이며, 괴드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팀을 거쳐 2023년 TSG 1899 호펜하임으로 이적했고, 2024년 SC 프라이부르크로 임대되었으며, 헝가리 국가대표팀 선수로 UEFA 유로 2020과 UEFA 유로 2024에 참가했다.
  • 네덜란드에 거주한 헝가리인 - 주자크 벌라주
    헝가리의 축구 선수 주자크 벌라주는 윙어로서 데브레첸 VSC를 시작으로 여러 클럽에서 활약했으며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을 맡아 UEFA 유로 2016에 출전, 헝가리 올해의 선수상 2회 수상 및 에레디비시 최다 어시스트 기록 등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았다.
  • 네덜란드에 거주한 헝가리인 - 네메트 크리스티안
    네메트 크리스티안은 헝가리 국적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로서 MTK 부다페스트 FC에서 프로 데뷔 후 여러 유럽 및 MLS 클럽에서 활약했으며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하며 UEFA 유로 2016에 참가했다.
키프리치 요제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7년의 키프리치
전체 이름키프리치 요제프
출생일1963년 9월 6일
출생지타타바녀, 헝가리
1.80m
포지션스트라이커
클럽 경력
유소년 클럽타타바녀이 바녀스
클럽"1980–1989: 타타바녀이 바녀스 (180경기 75골)"
"1989–1995: 페예노르트 (128경기 53골)"
"1995–1997: APOEL (40경기 29골)"
"1998: FC 덴 보스 (9경기 5골)"
"1998–2001: 롬바르드 FC 타타바녀 (60경기 28골)"
총 출장 및 득점422경기 190골
국가대표 경력
국가대표팀헝가리
국가대표 연도1984–1995
국가대표 출장 및 득점70경기 28골
감독 경력
감독"1999–2001: FC 타타바녀"
"2001: 바샤시 SC"
"2002–2003: 케치케메티 TE"
"2003: 올림피아 사투 마레"
"2003: 죄르 ETO"
"2004: 올림피아 사투 마레"
"2004: 디오슈게오르 VTK"
"2007–2008: 롬바르드-파파 TFC"
"2008–2011: 기르모트 SE"
"2011–2012: FC 타타바녀"
"2012–2013: 카진츠바르치카이 SC"
2014: 쾨르니에 SE

2. 선수 경력

타타바녀 출신으로 1980년 고향 클럽 타타바녀 FC에서 17세의 나이로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헝가리 리그에서 주전 선수로 활약하며 1984년-1985년 시즌 리그 득점왕에 올랐고, 1984년에는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에도 발탁되었다.

1989년 네덜란드의 명문 페예노르트로 이적하여 전성기를 보냈다. 페예노르트에서 뛰는 동안 에레디비시 우승 1회(1993년), KNVB 컵 우승 4회(1991년, 1992년, 1994년, 1995년), 요한 크루이프 스할 우승 1회(1991년) 등 다수의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뛰어난 기술을 가진 선수는 아니었지만, 성실함과 투지 넘치는 플레이로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타타바녀의 마법사'라는 별명으로 불렸다.[7]

1995년 키프로스의 APOEL FC로 이적하여 첫 시즌에 리그와 컵 우승을 이끌고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이후 1997년 네덜란드의 FC 덴 보스를 거쳐 1998년 친정팀인 타타바녀 FC로 복귀했다. 팀의 1부 리그 승격에 기여했으며, 1999년부터는 선수 겸 감독을 맡아 활동하다 2001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는 1984년 데뷔하여 1995년까지 활약했으며,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참가하기도 했다. A매치 통산 70경기에 출전하여 28골을 기록했다.

2. 1. 타바녀 FC (1980-1989)

타타바녀에서 태어나 1980년, 17세의 나이로 고향 클럽인 타타바녀 FC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타타바녀에서 1989년까지 총 9시즌 동안 팀의 핵심 선수이자 주전 공격수로 활약했다. 특히 1984년-1985년 시즌에는 넴제티 버이녹샤그 I에서 26경기에 출전하여 18골을 기록하며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는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지만, 팀의 우승과는 인연이 없었다. 1984년에는 뛰어난 활약을 바탕으로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에 처음으로 발탁되기도 했다. 1989년 여름 네덜란드의 페예노르트로 이적하기 전까지 타타바녀에서 활약했다.

2. 2. 페예노르트 (1989-1995)

1989년 네덜란드의 명문 클럽 페예노르트로 이적했다. 그해 8월 20일 포르투나 시타르트와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당시 페예노르트는 에토 데 후이, 존 데 보프 등과 함께 팀을 이루었다. 키프리치는 페예노르트에서 뛰는 동안 에레디비시 우승 1회(1993년), KNVB 컵 우승 4회(1991년, 1992년, 1994년, 1995년), 요한 크루이프 스할 우승 1회(1991년)를 달성하며 팀의 성공에 기여했다.

페예노르트의 센터 포워드로서 기록적인 득점력을 보여주거나 기술적으로 아주 뛰어난 선수는 아니었지만, 성실하고 투지 넘치는 플레이 스타일 덕분에 페예노르트의 클럽 문화와 잘 맞아떨어졌다. 이적 초기부터 페예노르트 서포터 '헤트 레히혼'과 로테르담 시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특히 1990년-1991년 시즌에는 감독 빌럼 판 하네험 아래에서 18골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다. 1992년-1993년 시즌에는 FC 흐로닝언과의 리그 우승 결정전에서 선제골을 넣어 팀의 우승을 이끌면서 그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 이러한 활약으로 로테르담에서는 키프리치를 '타타바녀의 마법사'라는 별명으로 불렀으며, 그는 페예노르트 클럽 역사상 가장 전설적인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7]. 1995년까지 페예노르트에서 활약했다.

2. 3. APOEL FC (1995-1997)

1995년 키프로스의 APOEL FC로 이적했다. 1995-96 시즌 키프로스 1부 리그에서 24경기에 출전해 25골을 기록하며 리그 득점왕에 올랐고, 팀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또한 키프로스컵 결승전에서 AEK 라르나카를 상대로 승리하며 리그와 컵 우승을 동시에 달성하는 더블에 기여했다. 하지만 다음 1996-97 시즌에는 17경기 4골에 그쳤고, 1997년 팀을 떠났다.

2. 4. FC 덴 보스 (1997-1998)

1997년 네덜란드의 FC 덴 보스로 이적하여 한 시즌 동안 활약했다.[7] 1998년에는 자신이 데뷔했던 FC 타타바녀로 복귀했다.

2. 5. 타바녀 FC 복귀 (1998-2001)

1997년 네덜란드의 FC 덴 보스에서 한 시즌 동안 활약한 후, 1998년에는 자신이 프로 선수로 데뷔했던 친정팀 FC 타타바녀로 복귀했다. 당시 FC 타타바녀는 2부 리그로 강등된 상태였으나, 키프리치는 팀이 1년 만에 1부 리그로 다시 승격하는 데 기여했다. 이듬해인 1999년부터는 플레잉 매니저를 맡아 2년 동안 활동했으며, 2001년 현역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은퇴했다.

2. 6. 헝가리 국가대표팀 (1984-1995)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984년 9월 26일 오스트리아와의 경기에서 데뷔했다. 1986년 멕시코 월드컵 본선에 참가하여 조별 리그의 소련전과 캐나다전 2경기에 출전했다. 이후 헝가리 축구계는 침체기를 겪으며 FIFA 월드컵이나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키프리치는 1995년 9월 6일 터키전을 마지막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으며, 통산 A매치 70경기에 출전하여 28골을 기록했다.

3. 감독 경력

1999년 7월, 롬바드 FC 타타바녀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임명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첫 시즌에는 소속팀을 리그 4위로 이끌었다. 다음 시즌, 리그 방식이 변경되어 두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키프리치의 팀은 그룹 1위를 차지하며 챔피언십 단계에 보너스 포인트 6점을 안고 진출했다. 그러나 이후 팀 성적이 하락하면서 2001년 3월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

2001년 7월에는 바사스 SC의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22경기에서 승점 15점을 얻는 데 그치는 등 부진한 성적으로 인해 2001년 12월 다시 해임되었다. 2002년 4월에는 헝가리 2부 리그의 케치케메티 FC 감독을 맡아 팀이 3부 리그로 강등되는 것을 막았다.

2003년 7월, 루마니아로 건너가 2부 리그인 디비지아 B 소속의 올림피아 사투마레 감독을 맡았다. 부임 초기 6경기에서 승점 15점을 따내며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 헝가리의 죄리 ETO FC에서 감독직 제안이 오자 다시 헝가리로 돌아왔다. 죄리 ETO FC에서도 첫 세 경기에서 승점 7점을 획득하며 순조롭게 시작했지만, 페치 뭉카스 FC에게 1-0으로 패배한 이후 7경기에서 승점 5점만을 추가하는 부진을 겪으며 결국 해임되었다. 이후 다시 올림피아 사투마레로 복귀하여 시즌을 3위로 마쳤으나 팀을 승격시키지는 못했다.

2004년-2005년 시즌 초에는 헝가리의 디오슈죄리-발라톤 FC 감독을 맡았지만, 시즌 첫 7경기에서 승점 3점만을 얻는 부진 끝에 또다시 해임되었다.

2005년에는 선수 시절 활약했던 페예노르트로 돌아가 스카우트로 활동했으며, 동시에 Újpest FC의 19세 이하 팀 코치를 겸임했다. 2008년부터는 질모트 SE의 감독을 맡으며 지도자 경력을 이어갔다.

4. 은퇴 이후

선수 은퇴 후 본격적으로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타타바녀를 떠난 후 2001년 7월 버사시 SC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이후 루마니아 2부 리그의 FC 올림피아 사투 마레와 헝가리 국내 클럽팀 감독을 역임했다. 2005년부터는 친정팀인 페예노르트의 스카우트를 맡았다. 다시 지도자의 길로 돌아와 우이페슈트 FC U-19 팀 코치를 거쳐, 2008년부터 질모트 SE의 감독을 맡았다.

5. 수상 내역


  • 넴제티 버이녹샤그 I 득점왕: 1984-85 (타타바녀 Bányász)
  • 에레디비시 우승: 1992-93 (페예노르트)
  • KNVB컵 우승: 1990-91, 1991-92, 1993-94, 1994-95 (페예노르트)
  • 요한 크라위프 스할 우승: 1991 (페예노르트)
  • 키프로스 1부 리그 우승: 1995-96 (APOEL)
  • 키프로스 컵 우승: 1995-96, 1996-97 (APOEL)
  • 키프로스 슈퍼컵 우승: 1996 (APOEL)
  • 키프로스 1부 리그 득점왕: 1995-96 (APOEL)
  • 그의 이름을 딴 해트트릭 트로피: 요제프 키프리치 트로피

5. 1. 선수

타타바녀에서 태어나 1980년에 지역 클럽 FC 타타바녀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타타바녀에서 9시즌을 보내며 1984-85 시즌 넴제티 버이녹샤그 I에서 18골을 기록하며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지만, 팀 우승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1989년 네덜란드의 페예노르트로 이적하여, 그해 8월 20일 포르투나 시타르트와의 경기에서 데뷔했다. 에트 더후이, 존 더볼프 등과 함께 뛰며 에레디비시 우승 1회(1993년), KNVB컵 우승 4회(1991년, 1992년, 1994년, 1995년), 요한 크라위프 스할 우승 1회(1991년)에 기여했다. 페예노르트에서 센터 포워드로서 득점 기록이 특출나거나 기술이 뛰어난 편은 아니었지만, 성실하고 근면한 플레이 스타일이 페예노르트의 클럽 문화와 잘 맞아떨어졌다. 이적 초기부터 '헤트 레히운'(페예노르트 서포터)과 로테르담 시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으며, 1992-93 시즌에는 감독 빌럼 판하네험 아래에서 18골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다. 특히 FC 흐로닝언과의 우승 결정전에서 선제골을 넣으며 팬들에게 깊이 각인되었다. 이후 로테르담에서 키프리치는 '타타바녀의 마법사'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페예노르트 클럽 역사상 가장 상징적인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7]

1995년에는 키프로스의 APOEL 니코시아로 이적했다. 1995-96 시즌 키프로스 1부 리그에서 24경기에 출전하여 25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에 올랐고, 팀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또한 키프로스 컵 결승전에서 AEK 라르나카를 상대로 승리하며 팀의 더블(2관왕) 달성에 기여했다. 하지만 다음 시즌인 1996-97 시즌에는 17경기 4골에 그쳤고, 1997년 팀을 떠났다.

1997년 네덜란드의 FC 덴보스에서 한 시즌을 보낸 후, 1998년 친정팀인 FC 타타바녀로 복귀했다. 당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던 팀을 1년 만에 1부 리그로 승격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1999년부터는 선수 겸 감독을 맡아 2년간 활동한 뒤 2001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 국가대표팀 경력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는 1984년 9월 26일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데뷔했다.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는 조별 리그의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전과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전 2경기에 출전했다. 이후 헝가리 축구는 침체기를 겪으며 FIFA 월드컵이나 유럽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1995년 9월 6일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전을 마지막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으며, A매치 통산 70경기에 출전하여 28골을 기록했다.

=== 통계 ===

시즌클럽대회출장
1980–81타타바녀 Bányász넴제티 버이녹샤그 I20
1981–82타타바녀 Bányász넴제티 버이녹샤그 I192
1982–83타타바녀 Bányász넴제티 버이녹샤그 I170
1983–84타타바녀 Bányász넴제티 버이녹샤그 I248
1984–85타타바녀 Bányász넴제티 버이녹샤그 I2618
1985–86타타바녀 Bányász넴제티 버이녹샤그 I2713
1986–87타타바녀 Bányász넴제티 버이녹샤그 I1810
1987–88타타바녀 Bányász넴제티 버이녹샤그 I2414
1988–89타타바녀 Bányász넴제티 버이녹샤그 I2210
1989–90타타바녀 Bányász넴제티 버이녹샤그 I10
1989–90페예노르트에레디비시235
1990–91페예노르트에레디비시257
1991–92페예노르트에레디비시239
1992–93페예노르트에레디비시2518
1993–94페예노르트에레디비시103
1994–95페예노르트에레디비시2211
1995–96APOEL키프로스 1부 리그2425
1996–97APOEL키프로스 1부 리그174
1997–98APOEL키프로스 1부 리그00
1997–98FC 덴보스에이르스터 디비시95
1998–99롬바르드 FC 타타바녀넴제티 버이녹샤그 II2417
1999–2000롬바르드 FC 타타바녀넴제티 버이녹샤그 I245
2000–01롬바르드 FC 타타바녀넴제티 버이녹샤그 I126
합계422196



=== 수상 ===


  • 넴제티 버이녹샤그 I 득점왕: 1984-85 (타타바녀 Bányász)
  • 에레디비시 우승: 1992-93 (페예노르트)
  • KNVB컵 우승: 1990-91, 1991-92, 1993-94, 1994-95 (페예노르트)
  • 요한 크라위프 스할 우승: 1991 (페예노르트)
  • 키프로스 1부 리그 우승: 1995-96 (APOEL)
  • 키프로스 컵 우승: 1995-96, 1996-97 (APOEL)
  • 키프로스 슈퍼컵 우승: 1996 (APOEL)
  • 키프로스 1부 리그 득점왕: 1995-96 (APOEL)
  • 그의 이름을 딴 해트트릭 트로피: 요제프 키프리치 트로피

참조

[1] NFT player 2006-09-02
[2] 웹사이트 Hungary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006-09-02
[3] 웹사이트 Születésnap: a 60 éves Kiprich Józsefet köszöntötték https://www.nemzetis[...] 2023-09-12
[4] 웹사이트 Válogatott: törés után kórházban gyógyul Kiprich József https://www.nemzetis[...] 2022-12-03
[5] 웹사이트 A tolószékből már felálltam, és újra van munkám – Kiprich József https://www.nemzetis[...] 2024-01-26
[6] 문서 現在のFCタタバーニャ
[7] 웹사이트 https://www.fr12.nl/nieuws/7485-de-helden-van-toen-jozsef-kiprich.html https://www.fr12.n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