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는 1886년 바르샤바에서 태어난 폴란드의 철학자이다. 그는 르비우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반유대주의와 극민족주의에 반대하는 사회 활동을 펼쳤다. 코타르빈스키는 레이즘(사물주의)과 실천학(프락세올로지)을 발전시켰으며, 저서로는 《지식 이론, 형식 논리학 및 과학 방법론의 기초》, 《좋은 일에 관한 논문》 등이 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우치 대학교의 초대 총장을 역임하며 폴란드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철학자 - 지그문트 바우만
    폴란드 출신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반유대주의를 피해 폴란드를 떠난 후 영국 리즈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유동하는 근대' 이론을 발전시키고 근대성, 홀로코스트, 포스트모더니티, 소비주의 등 현대 사회의 주요 쟁점들을 다룬 저명한 학자이다.
  • 폴란드의 철학자 -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는 '비트카치'라는 애칭으로 알려진 폴란드의 아방가르드 예술가이자 이론가로, 회화, 희곡, 소설,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사회 혁명과 외세 침략에 대한 두려움을 부조리하게 표현했다.
  • 1886년 출생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1886년 출생 - 오시마 히로시
    오시마 히로시는 일본 육군 중장으로, 주독일 대사로 활동하며 반 코민테른 조약 및 삼국 동맹 조약 체결에 기여했고, 독일의 전쟁 정보를 일본에 보고했으나 연합군에 의해 해독되었으며,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1981년 사망 - 이원수 (작가)
    이원수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1926년 동시 〈고향의 봄〉으로 등단하여 동요, 동시, 동화, 소년소설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한국아동문학가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친일 작품으로 논란이 있다.
  • 1981년 사망 - 베아트리스 틴슬리
    베아트리스 틴슬리는 은하 진화와 우주론 연구에 기여한 뉴질랜드 출신 천문학자로, 여성 과학자로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예일 대학교 최초 여성 천문학 교수가 되었으며, 가속 팽창 우주 연구 등의 업적과 함께 여성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인물이다.
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
기본 정보
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
이름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
국적폴란드
출생1886년 3월 31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폴란드 입헌왕국 바르샤바
사망1981년 10월 3일 (95세)
사망지폴란드 인민 공화국 바르샤바
분야철학
학력
교육야기엘론스키 대학교, 리비우 대학교 (박사)
경력
소속바르샤바 대학교
사상
학파르부프-바르샤바 학파
주요 관심사존재론, 형식 논리학, 윤리학, 실천학
영향카지미에시 트바르도프스키, 스타니스와프 레시니에프스키
영향을 준 인물헨리크 그레니에프스키, 카지미에시 파셴키에비치
주요 아이디어사물주의, 인지과학

2. 생애

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는 러시아 제국 콩그레스 폴란드 바르샤바 출신의 철학자이다. 미우오시 코타르빈스키와 에바 코스코프스카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 어머니, 삼촌들(유제프 코타르빈스키, 빌헬름 코타르빈스키) 모두 예술가였다.[1]

코타르빈스키는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르비우 대학교, 다름슈타트 대학교에서 수학, 물리학, 건축, 철학, 고전 고고학 등 다양한 학문을 공부하였다.[1] 졸업 후에는 바르샤바의 중등학교에서 고전 언어를 가르치고,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철학을 강의했으며, 1929년부터 1930년까지 인문대학의 학장을 역임했다.[1]

그는 반유대주의, 극민족주의 등에 반대하고, 게토 벤치에 반대하는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1] 폴란드 교사 연합의 회원이자 고등학교 부문 회장(1937~1939)을 역임하였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우치 대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총장(1945~1949)을 역임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는 1886년 3월 31일 러시아 제국 콩그레스 폴란드 바르샤바의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미우오시 코타르빈스키는 화가였고, 어머니 에바 코스코프스카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다. 그의 삼촌은 폴란드 연극계의 중요한 인물인 유제프 코타르빈스키와 화가인 빌헬름 코타르빈스키였다.[1]

1905년 파업에 참여하여 중학교에서 퇴학당했지만, 2년 후 졸업했다. 크라쿠프의 야기엘론스키 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 강의를 주로 들으며 비등록 학생으로 공부했고, 이후 르비우다름슈타트에서 건축을 공부했으며, 최종적으로 르비우 대학교에서 철학과 고전 고고학을 전공했다.[1] 그의 교수진은 카지미에시 트바르도프스키, 얀 루카시에비치, 브와디스와프 비트비츠키와 고고학자 스타니스와프 비트코프스키였다.[1] 1912년 ''밀과 스펜서의 윤리학에서의 공리주의''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2. 2. 학문적 경력과 사회 활동

졸업 후 그는 바르샤바의 미코와이 레이 김나지움(중등학교)에서 고전 언어를 가르쳤다.[1] 1918년 그는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철학 강사 생활을 시작했고, 1929년부터 1930년까지 인문대학의 학장을 지냈다.[1] 전간기 동안 코타르빈스키는 사회 문제에 관여했다.[1] 그는 반유대주의, 극민족주의 및 성직자주의에 적극적으로 맞서 싸웠다.[1] 그는 주로 폴란드 무신론자 협회의 기관지인 월간지 "라치오날리스타"에 기고했다.[1] 폴란드 대학에서 유대인 출신 학생들에 대한 박해가 있었을 때, 우익 단체들이 비폴란드 학생들을 위한 강의실 별도 구역을 지정하려 하자, 그는 그들의 항의에 동참하여 서서 강의를 진행했다.[1] 그는 1937년 바르샤바 대학교에 도입된 게토 벤치에 반대했다.[1] 좌익 및 사회주의 단체와 가까운 그의 활동에서 그는 폴란드 교사 연합의 회원이었으며, 1937년부터 1939년까지 고등 학교 부문 회장을 역임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는 다른 저명한 학자들과 함께 우치에 국립 대학교를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 1945년 코타르빈스키는 우치 대학교의 초대 총장이 되었고, 1949년까지 이 직책을 맡는 동시에 바르샤바 대학교에서도 일했다.[1] 그의 작업 모델은 우치 대학교의 미래 학자 세대에게 벤치마크가 되었다.[1]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코타르빈스키는 다른 저명한 학자들과 함께 우치에 국립 대학교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1945년 우치 대학교의 초대 총장이 되었고, 1949년까지 이 직책을 맡는 동시에 바르샤바 대학교에서도 활동했다. 그의 작업 모델은 우치 대학교의 미래 학자 세대에게 벤치마크가 되었다.

3. 철학

코타르빈스키는 레이즘과 프락세올로지라는 두 가지 주요 철학 이론을 발전시켰다.

레이즘은 그가 《지식 이론, 형식 논리학 및 과학 방법론의 기초》(1929)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설명한 이론이다.

프락세올로지는 효율적인 행동에 관한 과학이다. 학자들은 코타르빈스키의 프락세올로지 연구, 특히 그의 저서인 《좋은 일에 관한 논문》(''Traktat o dobrej robocie'')과 《실용 에세이》(''Szkice praktyczne'')를 이 과학의 기초에 대한 가장 체계적인 설명으로 간주한다.[3] 코타르빈스키는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가 관련 연구소를 설립하고 정기 간행물(《프락세올로지》)을 발행하도록 설득했다.

3. 1. 레이즘 (Reism, 사물주의)

레이즘은 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가 발전시킨 범신체론(그리스어: πᾶν '모든' + σῶμα '몸') 존재론이자 의미론적 이론이다. 코타르빈스키는 라틴어 ''res''('사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레이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코타르빈스키 이전의 브렌타노와 그의 제자들, 유명론자나 유물론자들은 사물주의를 여러 차례 주장했지만, 코타르빈스키는 이를 완전한 형태로 발전시키고 체계화하여 정의했다.

코타르빈스키는 1958년 '철학 연구' 4(7)에 「구체주의(concretism)의 발전의 여러 단계」를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그는 초기 유명론과 구체주의에서 시작하여 자신의 이론이 7단계의 정교화를 거쳐 범물체론적 존재론에 도달했음을 논했다. 코타르빈스키는 자신의 저작에서 사물주의, 범물체론적 존재론, 구체주의라는 용어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동일한 것으로 사용했다.

3. 1. 1. 존재론적 레이즘

레이즘은 타데우시 코타르빈스키가 발전시킨 범신체론(그리스어: πᾶν '모든' + σῶμα '몸') 존재론이자 의미론적 이론으로, 그의 주요 저서인 《지식 이론, 형식 논리학 및 과학 방법론의 기초》(1929)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설명되었다. 코타르빈스키는 라틴어 ''res'' '사물'에서 유래된 단어인 레이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

코타르빈스키의 존재론적 [실재론](Ontological reism) 접근 방식은 유일하게 존재하는 것이자 사용되어야 하는 유일한 존재론적 범주가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대상(또는 몸체)이라는 전제를 따른다. 이는 보편, 사태, 속성, 관계, 집합, 클래스, 정신적 구성물 등과 같은 범주의 존재를 허용하는 이론에 반대되는 입장이다.[2]

코타르빈스키의 존재론적 사물주의 접근 방식에서는, 오직 사물만이 존재하며, 사용된 존재론적 범주가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대상(또는 실체)이라고 가정한다. 즉, 보편자나 사태, 속성, 관계, 집합, 클래스, 심적 구성물 등과 같은 존재를 허용하는 입장과는 대조적이다.[3]

3. 1. 2. 의미론적 레이즘

코타르빈스키는 의미론적 공식에서 의미 있는 문장은 추상적인 대상의 이름이나 비진짜 이름(어구 유사어)과는 대조적으로, 소위 진짜 이름(구체적인 대상을 지칭)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어구 유사어를 그가 재이즘이라고 여긴 빈 이름과 구별했다.[1] 그의 견해에 따르면 어구 유사어만 있는 문장은 무의미하고, 빈 이름이 있는 문장은 의미가 있었다.[1]

3. 2. 실천학 (Praxeology)

코타르빈스키는 프락세올로지라고 불리는 효율적인 행동 과학의 가장 두드러진 대표이자 홍보자였다.[2] 학자들은 코타르빈스키의 프락세올로지 연구, 특히 그의 저서인 《좋은 일에 관한 논문》(''Traktat o dobrej robocie'')과 어느 정도는 그의 초기 출판물인 《실용 에세이》(''Szkice praktyczne'')를 이 젊은 과학의 기초에 대한 가장 체계적인 설명으로 간주한다.[3]

코타르빈스키는 프락세올로지가 행동 개념에 대한 철학적 설명을 포함하는 과학으로, 인간의 작업 과정과 특히 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인간 활동에 대한 권고 사항과 일반적인 해결책을 포함하므로, 작업 과학보다 더 광범위하다고 주장했다.[4] 그의 입장은 행동의 관련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부분적으로 기술적이지만, 그가 만들어내는 분류는 규범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5] 행동의 본질에 대한 코타르빈스키의 기여는 행동 이론 (철학)의 기초로 여겨진다.[6]

《좋은 일에 관한 논문》을 출판한 지 3년 후, 코타르빈스키는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가 일반적인 작업 조직 문제 연구소(''Pracownia Ogólnych Problemów Organizacji Pracy'')를 설립하도록 설득했고, 이는 나중에 프락세올로지 부서로 승격되었다. 1962년부터는 정기 간행물인 《프락세올로지 자료》(''Materiały Prakseologiczne'')를 발행했으며, 이후 《프락세올로지》(''Prakseologia'')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4. 저작

출판 연도제목비고
1913실용적 스케치(Szkice praktyczne)
1929인식 이론, 형식 논리 및 과학 방법론의 요소(Elementy teorii poznania, logiki formalnej i metodologii nauk)1961년 개정판 출간, 르부프 오소리네움 출판
1955좋은 작업에 관한 논문(Traktat o dobrej robocie)Praxiology.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Efficient Action영어 (영어 번역), 뉴욕: 페르가몬 출판사, 1965.
1956효율성과 오류(Sprawność i błąd)
1957논리사 강의(Leçons sur l'histoire de la logique)프랑스어 번역: 파리: 프랑스 대학교 출판부, 1964.
1958구체주의의 발전 단계(Fazy rozwojowe konkretyzmu)
1966품위 있는 삶에 대한 명상(Medytacje o życiu godziwym)
1966인식론. 지식 이론에 대한 과학적 접근(Gnosiology. The Scientific Approach to the Theory of Knowledge)O. 보이타시에비츠의 요소 영어 번역, 옥스퍼드: 페르가몬 출판사
2017윤리에 관한 글(1935–1987)(Écrits sur l'éthique)헤르만, 파리


참조

[1] 서적 Science Studies during the Cold War and Beyond: Paradigms Defected Palgrave Macmillan 2016
[2] 서적 Tadeusz Kotarbiński's Action Theory - Reinterpertive Studies Palgrave 2017
[3] 서적 Optimal Decisions: Principles of Programming Pergamon Press 1971
[4] 서적 Advances in Human Factors, Ergonomics, and Safety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CRC Press 2010
[5] 서적 Philosophy of Action from Suarez to Anscombe Routledge 2020
[6] 서적 Tadeusz Kotarbiński's Action Theory - Reinterpertive Studies Palgrave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