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탁월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월풍은 특정 지역에서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바람을 의미하며, 항상풍이나 일반풍과 구분되어 사용된다. 지구 대기 순환의 일부로, 극동풍, 편서풍, 무역풍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계절풍의 개념도 포함한다. 탁월풍은 해풍과 육풍, 산풍과 계곡풍과 같은 국지적인 기상 현상에도 영향을 미치며, 지형성 강수를 유발하고, 토양 침식과 사구 형성에 관여하는 등 자연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풍향과 풍속의 분포를 나타내는 풍향장미는 탁월풍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람 - 무역풍
    무역풍은 지구의 위도권을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으로, 해들리 순환의 일부이며, 코리올리 효과로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불며, 기상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 바람 - 허리케인
    허리케인은 시속 119km 이상의 강풍과 눈을 동반하는 열대성 저기압으로, 대서양 북부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강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고,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경로가 결정되며,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므로 대비가 중요하다.
탁월풍
탁월풍 정보
설명특정 지역에서 가장 자주, 그리고 가장 강하게 부는 바람의 방향.
영향기후, 날씨 패턴, 식생, 지형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미친다.
지역별 특징해안 지역: 해륙풍으로 인해 일정한 방향의 탁월풍이 불 수 있다.
산악 지역: 지형의 영향을 받아 복잡한 바람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주요 요인기압 경도력
전향력
지형
해륙풍
기후학적 의미
날씨 패턴특정 지역의 일반적인 날씨 패턴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상학적 중요성구름의 이동 방향
강수 패턴
온도 변화
공학 및 기타 응용
건축건물 설계 및 배치에 중요한 고려 사항
풍력 발전 시설의 최적 위치 결정
풍하중을 고려한 구조 설계
농업작물 재배에 영향을 미침
토양 침식
수분 증발
해상 운송선박 항해에 영향을 미침
항로 계획 및 시간 결정
항공항공기 이착륙 시 고려 사항
비행 시간 및 연료 소비에 영향
재생 에너지풍력 발전량 예측에 활용
풍력 발전 단지 위치 선정
관련 용어
풍향바람이 불어오는 방향
풍속바람의 빠르기
기류공기의 흐름
해륙풍해안 지역에서 낮과 밤에 따라 바뀌는 바람
계절풍계절에 따라 방향이 바뀌는 바람

2. 대기 순환과 탁월풍

지구 규모의 대기 순환은 위도에 따라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바람의 패턴을 탁월풍이라고 한다. 탁월풍은 특정 지역에서 주로 나타나는 바람을 의미하며, 지구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바람은 항상풍 또는 일반풍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은 중위도에 위치하여 편서풍이 항상풍에 해당하지만, 탁월풍은 북서 계절풍이 된다.

지구상의 대기 순환에서는 다음과 같은 지표풍이 나타난다.


  • 극 지역에서는 극동풍이 아한대 저기압대를 향해 불어 나온다.[33]
  • 아열대 고기압대에서는 편서풍무역풍이 불어 나온다.[33]
  • 적도 부근에서는 무역풍의 수렴에 의해 적도 저기압대가 형성된다.[33]


계절에 따라 바뀌는 탁월풍은 계절풍(몬순)이라고 한다.[34]

2. 1. 극동풍

극동풍(Polar easterlies)은 북극남극의 고기압대인 극고기압에서 고위도의 편서풍 내 저기압 지역으로 부는 건조하고 차가운 바람이다. 무역풍이나 편서풍과는 달리 동쪽에서 서쪽으로 불며, 종종 약하고 불규칙하다.[15] 태양의 고도가 낮기 때문에, 차가운 공기가 극지방에 축적되어 침강하면서 지표면 고기압대를 형성하고, 적도 방향으로 공기가 유출된다.[16] 이 유출은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서쪽으로 편향된다.

북극과 남극에서는 기온이 낮아 기압이 높고(극고기압대), 아한대 저기압대를 향해 극동풍이 불어 나온다.[33] 극동풍은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의 영향으로 편동풍이 되지만, 그리 일정하지 않다.[33]

2. 2. 편서풍

편서풍(westerlies)은 중위도(위도 35~65도)에서 주로 부는 바람으로, 아열대 고기압의 극쪽 지역에서 불어 나온다.[8][9] 이 바람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불며[10] 온대 저기압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북반구에서는 남서풍, 남반구에서는 북서풍이 주로 분다.[5] 편서풍은 극지방의 기압이 낮을 때(예: 겨울철 극 소용돌이가 강할 때) 가장 강하고, 극지방의 기압이 높을 때(예: 여름철 극 소용돌이가 약할 때) 가장 약하다.[11]

편서풍은 무역풍과 함께 대서양과 태평양을 횡단하는 범선의 왕복 무역로를 가능하게 했다. 특히 남반구에서는 중위도에 육지가 적어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편서풍은 더욱 강하다. 남반구 위도 40~50도 사이는 '격렬한 40도(Roaring Forties)'라고 불릴 정도로 강한 편서풍이 분다.[12] 편서풍은 따뜻한 적도 해수와 바람을 대륙의 서해안으로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3][14]

대한민국도 중위도대에 위치하여 항상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다.

지구상의 대기 순환에서 편서풍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 남북 양반구의 회귀선 부근 상층에서는 적도 쪽에서 극으로, 극에서 적도로 향하는 기류가 수렴하여 하강 기류가 되면서 고기압대(아열대 고기압대)가 형성된다.[33]
  • 이 아열대 고기압대에서 고위도 쪽으로 편서풍이 불어 나온다.[33]
  • 편서풍은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의 영향으로 북반구에서는 남서 편서풍, 남반구에서는 북서 편서풍이 된다.[33]

2. 3. 무역풍

무역풍(또는 트레이드 윈드(trades))은 지구의 적도 근처 열대 지역에서 발견되는, 편동풍의 지배적인 표면풍 패턴이다.[4] 이 바람은 아열대 고압대의 적도 쪽에서 주로 북반구에서는 북동풍으로,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분다.[5] 무역풍은 세계의 바다 위에서 형성되는 열대 저기압의 진행 방향으로 작용하여 서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6] 또한 무역풍은 아프리카의 먼지를 대서양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카리브해와 북아메리카 남동부 지역으로 이동시킨다.[7]

지구상의 대기 순환에서, 남북 양반구의 회귀선 부근 상층에서는 적도 쪽에서 극으로 향하는 기류와 적도로 향하는 기류가 수렴하여 하강 기류가 되어 고기압대(아열대 고압대)가 형성된다.[33] 이 아열대 고압대에서 고위도 쪽으로 편서풍, 저위도 쪽으로 무역풍이 불어 나온다.[33] 무역풍은 전향력의 영향으로 북반구에서는 북동 무역풍, 남반구에서는 남동 무역풍이 된다.[33] 적도 부근에서는 무역풍의 수렴에 의해 적도 저기압대가 형성되고, 상공 5km 전후에는 적도 서풍이 분다.[33]

2. 4. 계절풍 (몬순)

계절에 따라 바뀌는 탁월풍을 계절풍(몬순)이라고 한다.[34] 한국은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북서 계절풍이, 여름철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남동 계절풍이 탁월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계절풍은 한국의 기온과 강수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국지적 요인과 탁월풍

전 지구적인 대기 순환 외에도 지형, 해륙 분포 등 국지적인 요인이 탁월풍에 영향을 미친다.

바람이 약하게 부는 지역에서는 해풍과 육풍이 그 지역의 우세풍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바다의 비열이 육지보다 크기 때문에 바다 표면은 육지 표면보다 더 천천히 가열된다. 육지 표면 온도가 상승하면 육지는 그 위의 공기를 가열하고, 따뜻한 공기는 밀도가 낮아 상승한다. 육지 위의 이 상승 기류는 해수면 기압을 약 0.2% 낮춘다. 해수면 기압이 더 높아진 바다 위의 차가운 공기는 저기압인 육지 쪽으로 이동하여 해안 근처에 시원한 바람을 만들어낸다. 밤에는 비열 값의 차이 때문에 육지가 바다보다 더 빨리 식어 낮에 불었던 해풍이 소멸된다. 육지 온도가 바다 온도보다 낮아지면 육풍이 발생한다.[18]

높은 지대에서는 지표면 가열이 주변 공기보다 크기 때문에 지형 위에 열적 저기압이 생성되고, 지역의 바람 순환을 변화시킨다.[19][20] 험준한 지형이 있는 지역에서는 바람의 방향이 바뀌고 풍속이 장애물과 평행하게 가속될 수 있다. 이러한 장벽 제트는 저지대 풍속을 45%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21] 산악 지역에서는 기류의 국지적 왜곡이 더 심하다. 울퉁불퉁한 지형은 예측할 수 없는 흐름 패턴과 회전류와 같은 난류를 생성한다. 산맥에 고개가 있다면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고개를 통해 상당한 속도로 바람이 몰아치는데, 이는 항공기 운항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22]

3. 1. 해풍과 육풍

바람이 약하게 부는 지역에서는 해풍과 육풍이 그 지역의 우세풍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바다의 비열이 육지보다 크기 때문에 태양에 의해 가열되는 깊이가 육지보다 깊다.[17] 따라서 바다는 육지보다 열을 흡수하는 능력이 더 크므로 바다 표면은 육지 표면보다 더 천천히 가열된다. 육지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면 육지는 그 위의 공기를 가열한다. 따뜻한 공기는 밀도가 낮아 상승한다. 육지 위의 이 상승 기류는 해수면 기압을 약 0.2% 낮춘다. 이제 해수면 기압이 더 높아진 바다 위의 차가운 공기는 저기압인 육지 쪽으로 이동하여 해안 근처에 시원한 바람을 만들어낸다.

해풍의 세기는 육지와 바다 사이의 온도 차이에 정비례한다. 해안에서 바다로 향하는 바람이 시속 이상이면 해풍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밤에는 비열 값의 차이 때문에 육지가 바다보다 더 빨리 식어 낮에 불었던 해풍이 소멸된다. 만약 육지의 온도가 바다의 온도보다 낮아지면, 물 위의 기압이 육지의 기압보다 낮아져 해안에서 바다로 향하는 바람이 충분히 강하지 않다면 육풍이 발생한다.[18]

3. 2. 산곡풍

밤에는 언덕의 측면이 열 방사를 통해 식는다. 언덕을 따라 있는 공기는 더 차가워지고 밀도가 높아져 중력에 의해 계곡으로 불어 내려간다. 이것을 산풍이라고 한다. 경사면에 얼음과 눈이 덮여 있으면 산풍은 낮에도 불어 차갑고 밀도가 높은 공기를 따뜻하고 황량한 계곡으로 운반한다. 눈으로 덮여 있지 않은 언덕의 경사면은 낮에 따뜻해진다. 따뜻해진 경사면과 접촉하는 공기는 더 따뜻해지고 밀도가 낮아져서 상향으로 흐르는데, 이것을 해풍 또는 계곡풍이라고 한다.[23]

3. 3. 지형 효과

높은 지대에서는 지표면의 가열이 주변 공기보다 크기 때문에 지형 위에 열적 저기압이 생성되고, 지역의 바람 순환을 변화시킨다.[19][20] 험준한 지형이 있는 지역에서는 바람의 방향이 바뀌고 풍속이 장애물과 평행하게 가속될 수 있다. 이러한 장벽 제트는 저지대 풍속을 45%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21]

산악 지역에서는 기류의 국지적 왜곡이 더 심하다. 울퉁불퉁한 지형은 예측할 수 없는 흐름 패턴과 회전류와 같은 난류를 생성한다. 공기가 언덕 위로 흐르고 계곡 아래로 흐르면서 강한 상승기류, 하강기류 및 와류가 발생한다. 산맥에 고개가 있다면 베르누이 원리(속도와 압력의 반비례 관계)에 따라 고개를 통해 상당한 속도로 바람이 몰아치는데, 이는 항공기 운항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22]

언덕 경사면의 낮 시간 가열과 밤 시간 냉각은 해풍과 육풍의 관계와 유사하게 기류의 일일 변화를 초래한다. 밤에는 언덕의 측면이 열 방사를 통해 식고, 언덕을 따라 있는 공기는 더 차가워지고 밀도가 높아져 중력에 의해 계곡으로 불어 내려간다. 이것을 산풍이라고 한다. 낮에는 눈으로 덮여 있지 않은 언덕의 경사면이 따뜻해져서, 따뜻해진 경사면과 접촉하는 공기는 더 따뜻해지고 밀도가 낮아져서 상향으로 흐르는데, 이를 해풍 또는 계곡풍이라고 한다.[23]

4. 탁월풍과 강수

지형성 강수


탁월풍은 습한 공기를 산맥으로 이동시켜 지형성 강수를 유발한다. 산맥의 풍상측(바람이 불어오는 쪽)에는 많은 비나 눈이 내리는 반면, 풍하측(바람이 지나가는 쪽)에는 건조한 기후가 나타나는 강우 그림자 효과가 발생한다. 무역풍과 같이 일관된 바람에 노출되는 세계의 산악 지대에서는 일반적으로 산의 풍상측이 풍하측보다 더 습한 기후를 보인다. 이는 지형성 상승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건조한 공기가 풍하측으로 하강하며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푄 바람 참조)[24]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맥은 태평양의 수분을 차단하여 아르헨티나 서부의 하풍 지역에 사막과 같은 기후를 만든다.[25] 북아메리카의 시에라네바다 산맥은 그레이트 베이슨과 모하비 사막을 형성하는 유사한 효과를 보인다.[26][27]

5. 탁월풍의 영향

탁월풍은 날씨와 기후뿐만 아니라 자연과 인간 생활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곤충은 탁월풍에 따라 이동하는 반면, 조류는 자체 경로를 따른다.[28] 그레이트플레인스에서는 농경지의 풍식이 심각한 문제이며, 주로 탁월풍에 의해 발생한다. 해안 및 사막 지역과 같이 식생이 거의 없는 지역에서는 횡단 사구가 탁월풍 방향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반면, 세로 사구는 탁월풍과 평행하게 배향된다.[31]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사막의 켈소 모래언덕에서 정상에서 불어오는 모래

5. 1. 자연에 미치는 영향

곤충은 탁월풍에 따라 이동하는 반면, 조류는 자체 경로를 따른다.[28] 따라서 수렴하는 바람과 관련된 기상 레이더 영상 내의 미세한 선 패턴은 곤충 반사에 의해 지배된다.[29] 그레이트플레인스에서는 농경지의 풍식이 심각한 문제이며, 주로 탁월풍에 의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침식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풍림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풍림은 토양 능선, 작물대, 작물 줄 또는 방풍벽 역할을 하는 나무 형태일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이려면 바람과 직각으로 배향된다.[30] 해안 및 사막 지역과 같이 식생이 거의 없는 지역에서는 횡단 사구가 탁월풍 방향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반면, 세로 사구는 탁월풍과 평행하게 배향된다.[31]

6. 풍향장미

풍향장미는 기상학자들이 특정 위치에서 바람의 속도와 방향 분포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구이다. 극좌표계 그리드로 표시되는 풍향장미는 특정 방향에서 부는 바람의 빈도를 나타낸다. 원 주위 각 방사형 선의 길이는 해당 방향에서 바람이 부는 시간의 비율과 관련이 있다. 각 동심원은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증가하는 서로 다른 비율을 나타낸다. 풍향장미는 각 방사형 선이 풍속 범위를 보여주는 색상 띠로 나뉘어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장미는 일반적으로 북쪽(N), 북북동(NNE), 북동(NE) 등과 같은 8개 또는 16개의 주요 방향을 표시하지만, 최대 32개 방향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2]

참조

[1] 간행물 Estudio de Impacto Ambiental Subterráneo de Gas Natural Castor Section 3.2 Climate conditions https://www.scribd.c[...] URS 2009-04-26
[2] 웹사이트 Wind rose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4-25
[3] 웹사이트 Wind Rose Data http://www.wcc.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2009-04-26
[4] 웹사이트 trade winds https://glossary.am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21-07-04
[5] 서적 Advanced geography https://archive.org/[...] Macmillan
[6] 간행물 3.3 JTWC Forecasting Philosophies http://www.nrlmry.na[...] United States Navy 2007-02-11
[7] 뉴스 African Dust Called A Major Factor Affecting Southeast U.S. Air Quality https://www.scienced[...] Science Daily 2007-06-10
[8] 웹사이트 Westerlies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4-15
[9] 간행물 Climatology of the Interior Columbia River Basin http://www.icbemp.go[...] Interior Columbia Basin Ecosystem Management Project 2009-09-12
[10] 웹사이트 Westerlies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4-15
[11] 웹사이트 Global circulation http://andvari.vedur[...] Veðurstofu Íslands 2008-06-15
[12] 서적 The sailor's wind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3] 웹사이트 The North Atlantic Drift Current http://oceancurrents[...] National Oceanographic Partnership Program 2008-09-10
[14] 서적 Polar Lo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Polar easterlies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4-15
[16] 웹사이트 The Physical Environment: Global scale circulation http://www.uwsp.edu/[...] University of Wisconsin-Stevens Point 2009-04-15
[17] 웹사이트 Sea and Land Breezes http://cimss.ssec.wi[...] University of Wisconsin 2006-10-24
[18] 웹사이트 The Sea Breeze http://www.srh.weath[...] National Weather Service 2006-10-24
[19] 웹사이트 What is a monsoon? http://www.wrh.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Western Region Headquarters 2009-03-08
[20] 논문 The Role of Mountains in the South Asian Monsoon Circulation
[21] 논문 The influence of mesoscale orography on a coastal jet and rainband
[22] 웹사이트 T-REX: Catching the Sierra’s waves and rotors http://www.ucar.edu/[...]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2006-10-21
[23] 웹사이트 Flight Environment: Prevailing winds http://www.allstar.f[...]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2009-04-25
[24] 웹사이트 CHAPTER 8: Introduction to the Hydrosphere (e). Cloud Formation Processes http://www.physicalg[...] 2009-01-01
[25] 서적 The Climate of the Eart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9-01-02
[26] 서적 Encyclopedia of Deser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9-01-02
[27] 웹사이트 Geology of Death Valley http://www.indiana.e[...] Indiana University 2009-02-07
[28] 뉴스 Birds migrate together at night in dispersed flocks, new study indicates http://news.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09-04-26
[29] 웹사이트 P5A.6 Fine-Scale Vertical Structure of a Cold Front As Revealed By Airborne 95 GHZ Radar http://www-das.uwyo.[...] University of Wyoming 2009-04-26
[30] 간행물 In the Great Plains: Prevailing Wind Erosion Direction http://www.weru.ksu.[...] 2009-04-26
[31] 서적 Wind as a geological process on Earth, Mars, Venus and Titan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009-04-26
[32] 논문 積雪寒冷都市のための風雪シミュレーションを用いた高層街区と中層街区の風雪影響の比較 https://doi.org/10.3[...] 日本建築学会
[33] 논문 「水文」から見た自然資源の問題点と自然資本の将来戦略(I) https://doi.org/10.2[...] 日本治山治水協会
[34] 간행물 2 季節予報に関わる大気・海洋現象 https://www.jma.go.j[...] 気象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