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 햇 변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톱 햇 변환은 회색조 이미지 처리에서 사용되는 형태학적 연산으로, 원본 이미지에서 열기 또는 닫기 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빼는 방식으로 정의된다. 흰색 톱 햇 변환은 원본 이미지에서 열기 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빼서, 구조적 요소보다 작고 주변보다 밝은 물체를 추출한다. 검은색 톱 햇 변환은 닫기 연산을 수행한 결과에서 원본 이미지를 빼서, 구조적 요소보다 작고 주변보다 어두운 물체를 추출한다. 톱 햇 변환은 이미지의 불균일한 조명 조건을 조정하고 객체를 분리하기 위한 더 나은 임계값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며, 이미지 분할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학적 형태학 - 구조적 요소
구조적 요소는 이진 이미지 처리에서 사용되는 작고 단순한 형태의 집합으로, 유클리드 공간 또는 정수 격자에서의 이진 이미지를 정의하며, 원, 정사각형, 십자 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 수학적 형태학 - 가지치기 (형태학)
가지치기는 형태학적 이미지 처리 기법으로, 이미지 골격에서 불필요한 가지를 제거하기 위해 솎아내기, 끝점 찾기, 끝점 팽창, 합집합 단계를 거쳐 3x3 구조적 요소 행렬을 사용한다. - 디지털 기하학 - 디지털 이미지
디지털 이미지는 픽셀로 구성된 디지털 데이터 집합으로, 래스터 이미지와 벡터 이미지로 나뉘며 디지털 카메라, 스캐너, 또는 수학적 함수를 통해 생성되고, JPEG와 같은 압축 기술 덕분에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된다. - 디지털 기하학 - 가지치기 (형태학)
가지치기는 형태학적 이미지 처리 기법으로, 이미지 골격에서 불필요한 가지를 제거하기 위해 솎아내기, 끝점 찾기, 끝점 팽창, 합집합 단계를 거쳐 3x3 구조적 요소 행렬을 사용한다.
탑 햇 변환 | |
---|---|
개요 | |
![]() | |
종류 | 비선형 필터 |
분야 | 이미지 처리 컴퓨터 비전 |
정의 | |
탑 햇 변환 (Top-hat transform) | 원본 이미지와 Opening 연산의 차이 |
화이트 탑 햇 변환 (White top-hat transform) | 입력 이미지 (f) - Opening 연산 (f ○ b) Opening 연산: 구조 요소 (b)로 이미지 (f)를 erosion 후 dilation |
블랙 탑 햇 변환 (Black top-hat transform) | Closing 연산 (f • b) - 입력 이미지 (f) Closing 연산: 구조 요소 (b)로 이미지 (f)를 dilation 후 erosion |
수식 (화이트 탑 햇) | WTH(f) = f - (f ○ b) |
수식 (블랙 탑 햇) | BTH(f) = (f • b) - f |
활용 | |
주 사용 목적 | 이미지에서 작은 요소 및 디테일 추출 |
세부 활용 예시 | 불균일한 조명 보정 작은 밝은 영역 강조 작은 어두운 영역 강조 결함 검출 특징 추출 |
2. 수학적 정의
그레이스케일 이미지 를 유클리드 공간 또는 이산 격자 ''E''(예: 또는 )의 점을 실수로 매핑한다고 하고, 를 그레이스케일 구조 요소라고 하자.
''f''의 흰 톱 햇 변환은 원본 이미지에서 열기 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뺀 것이고, ''f''의 검은 톱 햇 변환(종종 ''바텀 햇'' 변환이라고도 불린다[1])은 닫기 연산을 수행한 결과에서 원본 이미지를 뺀 것이다.
2. 1. 회색조 이미지
를 (유클리드 공간이나 이산 격자 ''E''에서 수직선으로 가는 함수인) 회색조 이미지로 두고, 를 회색조 구조적 요소라고 정의한다.''f''의 흰 톱 햇 변환은 다음과 같다.
:
이때 은 열기 연산을 의미한다.
''f''의 검은 톱 햇 변환 (종종 ''바텀 햇'' 변환이라고도 불린다[2])은 다음과 같다.
:
이때 은 닫기 연산을 의미한다.
2. 2. 흰색 톱 햇 변환
''f''의 흰 톱 햇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은 열기 연산을 의미한다. 이는 원본 이미지에서 열기 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뺀 것이다.
2. 3. 검은색 톱 햇 변환
''f''의 검은 톱 햇 변환(종종 ''바텀 햇'' 변환이라고도 불린다[2])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은 닫기 연산을 의미한다. 즉, 닫기 연산을 수행한 결과에서 원본 이미지를 뺀 것이다.
3. 속성
톱 햇 변환은 이미지에서 특정 특징을 추출하는 데 유용하다. 흰색 톱 햇 변환과 검은색 톱 햇 변환은 각각 밝거나 어두운 특징을 추출하며, 구조적 요소의 크기에 따라 추출되는 원소의 크기가 달라진다. 또한, 두 변환 모두 결과 이미지는 음수가 아닌 픽셀 값만을 가진다. 이러한 속성 덕분에 톱 햇 변환은 영상 분할에서 불균일한 조명 조건을 조절하고 물체를 분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3. 1. 흰색 톱 햇 변환의 속성
흰색 톱 햇 변환은 입력 이미지에서 다음과 같은 "물체"나 "원소"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반환한다.- 구조적 요소보다 "작고" (즉, 구조적 요소가 들어가지 않는 장소)
- 주변보다 더 '''밝다'''.
톱 햇 변환으로 추출되는 원소의 크기나 너비는 구조적 요소의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구조적 요소가 클수록 추출되는 원소의 크기가 커진다.
두 톱 햇 변환은 모든 픽셀이 음수가 아닌 값만을 가지는 이미지이다.
영상 분할에서 가장 중요한 사용법 중 하나는 이미지의 불균일한 조명 상황을 조절하고 물체를 분리하기 위한 더 나은 임계값을 제공하는 것이다.
3. 2. 검은색 톱 햇 변환의 속성
검은 톱 햇 변환은 입력 이미지에서 다음과 같은 "물체"나 "원소"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반환한다.- 구조적 요소보다 "작고"
- 주변보다 더 '''어둡다'''.
톱 햇 변환으로 추출되는 원소의 크기나 너비는 구조적 요소 의 선택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조적 요소가 클수록 추출되는 원소의 크기가 커진다.
두 톱 햇 변환은 모든 픽셀이 음수가 아닌 값만을 가지는 이미지이다.
3. 3. 구조적 요소의 영향
톱 햇 변환으로 추출된 원소의 크기나 너비는 구조적 요소 의 선택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조적 요소가 클수록 추출되는 원소의 크기가 커진다.3. 4. 결과 이미지의 특징
두 톱 햇 변환은 모든 픽셀이 음수가 아닌 값만을 가지는 이미지이다.4. 응용
탑 햇 변환은 이미지 처리에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영상 분할에서 이미지의 불균일한 조명 상황을 조절하고 물체를 분리하기 위한 더 나은 임계값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이미지를 분석할때 작은 얼룩에만 관심이 있고 크고 밝은 물체를 제거하고 싶을 때 흰 톱 햇 변환을 사용하여 크고 밝은 물체를 제거하고 작은 얼룩만을 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고 밝은 물체 여섯 개는 반지름이 대략 50에서 100픽셀이고 관심이 있는 물체의 반지름은 대략 2에서 4픽셀이며, 관심있는 물체가 원형일 때, 구조적 요소를 반지름이 5인 원판으로 설정하여 흰 톱 햇 변환을 적용하면 크고 밝은 물체는 제거되고 작은 얼룩만 남게 된다.
불균일한 조명 아래에 있는 이미지의 배경에서 물체를 추출하고 싶을 때도 흰 톱 햇 변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분할에서 흔한 방법은 이미지의 강도값에 기반해서 경계를 나누는 것인데, 불균일한 조명을 받은 이미지일 경우, 어두운 영역에 있는 어떤 물체는 배경의 강도값과 비슷한 강도값을 가질 수 있어서 분할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오츠의 방법을 적용하기 전에 흰 톱 햇 변환을 시행하여 불균일한 조명 상황을 교정하고 배경과 물체 간의 뚜렷한 대조를 만들어 분할 오류 없이 배경에서 물체를 완전히 추출할 수 있다.
4. 1. 이미지 분할
탑 햇 변환은 영상 분할에서 이미지의 불균일한 조명 상황을 조절하고 물체를 분리하기 위한 더 나은 임계값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4. 2. 예시
이미지의 작은 얼룩에만 관심이 있고 크고 밝은 물체를 제거하고 싶을 때, 흰 톱 햇 변환을 사용하여 크고 밝은 물체를 제거하고 작은 얼룩만을 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고 밝은 물체 여섯 개는 반지름이 대략 50에서 100픽셀이고 관심이 있는 물체의 반지름은 대략 2에서 4픽셀이며, 관심있는 물체가 원형일 때, 구조적 요소를 반지름이 5인 원판으로 설정하여 흰 톱 햇 변환을 적용하면 크고 밝은 물체는 제거되고 작은 얼룩만 남게 된다.불균일한 조명 아래에 있는 이미지의 배경에서 물체를 추출하고 싶을 때도 흰 톱 햇 변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분할에서 흔한 방법은 이미지의 강도값에 기반해서 경계를 나누는 것인데, 불균일한 조명을 받은 이미지일 경우, 어두운 영역에 있는 어떤 물체는 배경의 강도값과 비슷한 강도값을 가질 수 있어서 분할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오츠의 방법을 적용하기 전에 흰 톱 햇 변환을 시행하여 불균일한 조명 상황을 교정하고 배경과 물체 간의 뚜렷한 대조를 만들어 분할 오류 없이 배경에서 물체를 완전히 추출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Gray-scale morphology
http://www.ee.lamar.[...]
2013-11-04
[2]
웹인용
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Gray-scale morphology
http://www.ee.lamar.[...]
2013-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