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곤파스 (202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풍 곤파스 (2021년)는 2021년 10월 8일 필리핀 마닐라 동쪽 해상에서 열대폭풍으로 발생하여, 루손 해협을 통과한 뒤 남중국해로 진출했다. 10월 12일 필리핀 마닐라 북쪽 해상에서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했으며, 이후 하이난섬에 상륙하여 통킹만을 거쳐 베트남 하노이 부근에서 열대저압부로 소멸했다. 2023년 제55차 태풍위원회 회의에서 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1년 태풍 - 태풍 수리개
2021년 4월에 발생한 태풍 수리개는 팔라우 동쪽 해상에서 시작하여 필리핀 동쪽 해상을 지나며 "슈퍼 태풍"으로까지 발달, 미크로네시아, 팔라우, 필리핀 등에 피해를 입히고 북동진하다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 2021년 태풍 - 태풍 꼰선 (2021년)
태풍 꼰선 (2021년)은 2021년에 발생하여 필리핀을 통과하고 남중국해에서 재발달한 후 베트남에 상륙하여 소멸했으며, 필리핀과 베트남에 피해를 입혔다. - 2021년 10월 - 2021년 10월 수단 쿠데타
2021년 10월 수단 쿠데타는 군부가 민간 정부 인사들을 체포하고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정부와 주권 평의회를 해산시켜 수단의 민주화 과정에 심각한 차질을 초래한 사건이다. - 2021년 10월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21년 10월 31일에 실시된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스가 요시히데 내각의 지지율 하락과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불만 속에서 자유민주당이 단독 과반 의석을 확보했으나 의석수가 감소하고, 입헌민주당 등 야당은 의석을 늘리지 못했으며 일본유신회가 약진했다.
태풍 곤파스 (2021년) | |
---|---|
태풍 정보 | |
태풍 이름 | 202118 (Kompasu) |
종류 | 열대 |
해역 | 북서태평양 |
발생일 | 2021년 10월 8일 |
소멸일 | 2021년 10월 14일 |
최저 기압 | 975 |
영향 국가 | 필리핀 베트남 중국 대만 |
10분 최대 풍속 | 55 |
10분 최대 풍속 (KMA) | 29 |
1분 최대 풍속 | 55 |
최대 크기 (직경) | 1900 |
최대 강풍 반경 (KMA) | 360 |
인명 피해 | 44명 사망 |
재산 피해 (억원) | 1억 200만 달러 |
![]() |
2. 태풍의 진행
태풍 곤파스는 10월 8일 15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950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9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거의 정체 및 서진하며 루손 해협을 통과한 뒤에 남중국해에 진출하며 발달해서 10월 12일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쪽 약 500km 부근 해상(루손 해협)에서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28m/s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남중국해에서 최성기 세력을 유지하다가 10월 13일 18시에 최성기 세력으로 하이난섬에 상륙하였다. 하이난섬을 관통한 뒤에 통킹만에서 급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4일 21시에 베트남 하노이 남동쪽 약 226km 부근 해상(통킹만)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4일 21시에 베트남 하노이 남쪽 약 18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2. 1. 발생 및 초기 경로 (필리핀)
태풍 곤파스는 10월 8일 15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950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9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거의 정체 및 서진하며 루손 해협을 통과하였다.2. 2. 남중국해 진출 및 최성기
태풍 곤파스는 10월 8일 15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950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9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거의 정체 및 서진하며 루손 해협을 통과한 뒤 남중국해에 진출하며 발달했다. 10월 12일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쪽 약 500km 부근 해상(루손 해협)에서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28m/s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2. 3. 하이난섬 상륙 및 통킹만 진출
태풍 곤파스는 남중국해에서 최성기 세력을 유지하다가 10월 13일 18시에 최성기 세력으로 하이난섬에 상륙하였다. 하이난섬을 관통한 뒤 통킹만에서 급약화되었다.2. 4. 소멸
태풍 곤파스는 하이난섬을 관통한 뒤 통킹만에서 급격히 약화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4일 21시에 베트남 하노이 남동쪽 약 226km 부근 해상(통킹만)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4일 21시에 베트남 하노이 남쪽 약 18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3. 제명
2023년 3월 8일 11시 45분부터 15분 동안 최종 논의되어 2022년에 이루어지지 못한 꼰선, 라이의 제명 및 말라카스, 메기, 망온, 노루, 날개, 힌남노와 함께 제명되었다. 이번 제55차 태풍위원회 회의에서 총 9개의 태풍 이름을 제명함으로서 기존 기록인 6개의 태풍 이름을 제명한 것을 훨씬 뛰어넘게 되었다.
참조
[1]
문서
위키백과에서는 북서태평양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 기상청의 해석을 따른다.
[2]
Digital Typhoon
[3]
웹인용
台風の番号とアジア名の付け方
https://www.jma.go.j[...]
2021-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