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코웜뱃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털코웜뱃속은 털코웜뱃과에 속하는 속으로, 현존하는 종으로는 남방털코웜뱃과 북방털코웜뱃이 있다. 남방털코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 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북방털코웜뱃은 퀸즐랜드 주 에핑 국립공원 내 제한된 지역에서 서식한다. 멸종된 종으로는 좁은이빨털코웜뱃이 있다. 남방털코웜뱃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되며, 북방털코웜뱃은 멸종위급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웜뱃과 - 남방털코웜뱃
남방털코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웜뱃으로, 튼튼한 체구와 털로 덮인 코를 가지며, 반건조 및 건조한 초원과 삼림 지대에서 풀과 사초를 먹고 굴을 파서 집단 거주지를 형성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 웜뱃과 - 애기웜뱃
애기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와 동부에 서식하며 튼튼한 체형과 다양한 색깔을 지닌 웜뱃의 일종으로, 굴을 파는 습성 때문에 '생태계 엔지니어'라고도 불리며, 초식 생활을 하고 정육면체 모양의 똥을 배설하는 특징이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리처드 오언이 명명한 분류군 - 극어류
극어류는 멸종된 어류의 한 무리로, 가시 상어라고도 불리며 실루리아기부터 페름기까지 번성했고, 비늘 장식으로 퇴적암 연대 추정에 사용되었으며, 연골어류에 속한다. - 리처드 오언이 명명한 분류군 - 악어
악어는 넓고 납작한 몸, 긴 주둥이, 짧은 목, 납작한 꼬리를 가진 파충류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강력한 턱과 이빨로 다양한 먹이를 포식하고 인간과 연관이 깊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털코웜뱃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계 | 속 |
이름 | 털코웜뱃속 (Lasiorhinus) |
학명 | Lasiorhinus |
명명자 | J. E. Gray, 1863 |
모식종 | Lasiorhinus mcoyi |
모식종 명명자 | J. E. Gray, 1863 (= Phascolomys latifrons Owen, 1845) |
생물학적 분류 | |
강 | 포유강 |
아강 | 유대아강 |
목 | 캥거루목 |
아목 | 웜뱃아목 |
과 | 웜뱃과 |
이미지 | |
![]() | |
서식지 | |
면적 | 3 km2 |
하위 분류 | |
계급 | 종 |
하위 | 본문 참조 |
2. 하위 종
털코웜뱃속에는 현존하는 2종(남방털코웜뱃, 북방털코웜뱃)과 멸종된 1종(''Lasiorhinus angustidens'')이 있다.
2. 1. 현존하는 종
남방털코웜뱃(*Lasiorhinus latifrons*)과 북방털코웜뱃(*Lasiorhinus krefftii*)이 현존한다.
2. 2. 멸종된 종
Lasiorhinus angustidens영어은 화석으로만 발견되는 멸종된 좁은이빨털코웜뱃이다.[3][4][5][6][7][8][9]3. 분포
남방털코웜뱃은 뉴사우스웨일스주 남서부 지역부터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사이의 경계 지역까지의 반건조 지역 일부와 건조 지역 지대에서 발견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IUCN 적색 목록에서 남방털코웜뱃을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 Species)으로 지정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북방털코웜뱃은 이전에는 빅토리아주와 뉴사우스웨일스 주에도 존재했지만, 현재는 퀸즐랜드주의 에핑 숲 국립공원에 겨우 3km2 정도 이내에서만 살아남아 분포하기 때문에 멸종위급종(CR,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으로 분류하고 있다.
4. 보전 상태
남방털코웜뱃은 뉴사우스웨일스주 남서부 지역부터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사이의 경계 지역까지의 반건조 지역 일부와 건조 지역 지대에서 발견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 Species)으로 지정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북방털코웜뱃은 이전에는 빅토리아주와 뉴사우스웨일스 주에도 존재했지만, 현재는 퀸즐랜드주의 에핑 국립공원에 겨우 3km2 정도 이내에서만 살아남아 분포하기 때문에 멸종위급종(CR,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으로 분류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웹사이트
Megafauna
http://austhrutime.c[...]
2017-04-20
[4]
웹사이트
Anaspides.net
http://www.anaspides[...]
2017-04-20
[5]
웹사이트
The Recently Extinct Plants and Animals Database cubit: The Recently Extinct Plants and Animals Database Extinct Mammals: Marsupials: Lasiorhinus angustidens
http://cubits.org/th[...]
2017-04-20
[6]
서적
Australia's Mammal Extinctions: A 50,000-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1-02
[7]
서적
Extinctions in Near Time: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09
[8]
논문
Determinants of loss of mammal species during the Late Quaternary 'megafauna' extinctions: life history and ecology, but not body size.
2002
[9]
서적
Extinctions in Near Tim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99-06-30
[10]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