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도어 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오도어 비시는 독일 국방군 무장친위대의 장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1930년 친위대에 입대하여 폴란드 침공 당시 친위대 대위로 복무했으며, 이후 서부 전선, 발칸 전선, 독소전 등 여러 전선에서 전투를 치렀다. 1941년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을 받았으며, 1943년에는 독일 십자 훈장 금장을 수여받았다. LSSAH 사단장으로 임명되어 체르카시 포위망 구출 작전에 기여했으며, 1944년에는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 백엽장과 검장을 받았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부상을 입고 사단장 직에서 물러났으며, 종전 후 포로로 석방되었다. 1990년에는 자서전을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S여단지도자 - 프리츠 비트
프리츠 비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SS 소장으로, 제12 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사단장으로 활동하며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지만, 노르망디 상륙 작전 중 연합군 포격으로 전사한 독일 군인이다. - SS여단지도자 - 하인츠 하르멜
하인츠 하르멜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장교로, 여러 전투에 참전하여 훈장을 받았으나 명령 불복종으로 해임되었고, 전후에는 판매 대리점 일을 하다 사망했으며, 그의 경력으로 인해 전쟁 범죄 연루 논란이 있다. -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 프리츠 바이에를라인
프리츠 바이에를라인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군인으로, 하인츠 구데리안과 에르빈 롬멜의 참모로 북아프리카, 동부, 서부 전선에서 활약하며 기갑교도사단장 등을 역임했고 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과 떡갈잎 및 검을 수여받았으며, 종전 후에는 전쟁 포로로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어 군사 관련 저술 활동을 했다. -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군인이자 원수로, 프로이센 귀족 출신으로 엘리트 군사 교육을 받고 제1차 세계 대전 참모 장교, 바이마르 공화국 고위직, 나치 시대 주요 전투 지휘관을 역임했으나, 나치 정권과의 관계 및 전쟁 범죄 책임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독일십자장 금장 수훈자 - 오토 스코르체니
오토 스코르체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특수작전 부대를 지휘하며 베니토 무솔리니 구출 작전 등 여러 중요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나, 전쟁 범죄 가담 및 나치 정권 부역 혐의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 독일십자장 금장 수훈자 - 하인츠 하르멜
하인츠 하르멜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장교로, 여러 전투에 참전하여 훈장을 받았으나 명령 불복종으로 해임되었고, 전후에는 판매 대리점 일을 하다 사망했으며, 그의 경력으로 인해 전쟁 범죄 연루 논란이 있다.
| 테오도어 비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테오도어 비시 |
| 출생일 | 1907년 12월 13일 |
| 출생지 | [[File:Flagge Preußen - Provinz Schleswig-Holstein.svg|border|25px]] 슈레스비히=홀슈타인 속주 [[File:Flag Schutzstaffel.svg|25px]] 베셀부레너코크 |
| 사망일 | 1995년 1월 11일 (향년 87세) |
| 사망지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노르더슈테트 |
| 별명 | 테디 (Teddy) |
| 군사 경력 | |
| 소속 | [[File:Flag Schutzstaffel.svg|25px]] 무장친위대 [[File:1. SS-Panzer-Division Leibstandarte-SS Adolf Hitler.svg|26px]] 제1SS기갑사단 "라이프슈탄다르테 SS 아돌프 히틀러" |
| 복무 기간 | 1933년 - 1945년 |
| 최종 계급 | 친위대 여단지도자 및 무장친위대 소장 |
| 참전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
| 훈장 | 백엽검 다이아몬드 기사 철십자 훈장 |
| 지휘 | 제1SS기갑사단 "라이프슈탄다르테 SS 아돌프 히틀러" |
2. 초기 생애 및 경력
테오도어 비시는 베셀부레너코크(Wesselburenerkoog)의 농가 출신으로, 1930년 친위대(SS)에 입대하여(대원 번호 4,759) 군 경력을 시작했다. 1941년 9월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1] 1942년 가을 "LSSAH" 사단의 제2 기갑척탄병 연대 지휘관이 되었고, 1943년 1월 30일 친위대 대령으로 승진했다.[1]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에서 공을 세워 1943년 2월 25일 독일 십자 훈장 금장을 받았다.[1] 1943년 4월 7일 "LSSAH" 사단장에 취임했고, 7월 1일 친위대 상급대령으로 승진했다.[1]
2. 1. 친위대 입대 및 초기 경력
베셀부레너코크(Wesselburenerkoog)의 농가 출신이다. 1930년에 친위대(SS)에 입대했다(대원 번호 4,759). 폴란드 침공 당시 친위대 대위였으며, 친위대 특무부대의 보병 연대 "LSSAH"에 소속되었다. 1940년 1월 30일에 친위대 소령이 되었고, LSSAH 소속 대대 지휘관이 되어 서부 전선과 발칸 전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싸웠다. 이후 LSSAH와 함께 1941년 6월부터 시작된 독소전에 참전하여 1941년 9월에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3. 제2차 세계 대전
테오도어 비시는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친위대 대위로 보병 연대 "LSSAH"에 소속되었다. 1940년 1월 30일에는 친위대 소령으로 진급하여 LSSAH 소속 대대 지휘관이 되어 서부 전선과 발칸 전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전투를 치렀다.
1941년 6월부터는 독소전에 참전하여 1941년 9월에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1944년 6월부터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으로 쳐들어온 미국군과 영국군에 맞서 싸웠으나, 심각한 타격을 입고 비쉬 자신도 양다리를 잃는 큰 부상을 입었다. 그 때문에 1944년 8월부터 빌헬름 몬케 장군이 사단장직을 이어받았다. 비쉬는 8월 말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 검장을 받았다. 그 후 독일의 패전까지 병원에 있었으며, 영국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1948년에 석방되었다.
3. 1. 서부 전선 및 발칸 전선
서부 전선과 발칸 전선에서 LSSAH 소속 대대 지휘관으로 참전했다. 1941년 6월부터 LSSAH와 함께 독소전에 참전하여 1941년 9월에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3. 2. 동부 전선
1941년 6월부터 독소전에 LSSAH와 함께 참전하여 1941년 9월에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1942년 가을에 "LSSAH" 사단의 제2 기갑척탄병 연대 지휘관이 되었다. 1943년 1월 30일에 친위대 대령으로 승진했다.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에서의 공로로 1943년 2월 25일에 독일 십자 훈장 금장을 수여받았다.| 날짜 | 원문 | 한국어 번역 |
|---|---|
| 1943년 12월 31일 | Bei den schweren Abwehrkämpfen im Raum von Shitomir zeichnete sich die SS-Panzerdivision "Leibstandarte SS Adolf Hitler" unter Führung des SS-Oberführers Wisch durch vorbildlichen Kampfgeist besonders aus.|지토미르 지역에서 벌어진 격렬한 방어전에서, 비시SS 상급지도자가 이끄는 SS 기갑사단 "LSSAH"는 모범적인 투지를 보여 특히 뛰어났다.de |
1943년 4월 7일에 "LSSAH" 사단장에 취임했고, 7월 1일에는 친위대 상급대령으로 승진했다. LSSAH 사단은 격심한 피해를 입으면서도 다수의 작전에 종사했다. 특히 체르카시 포위망에 갇힌 독일군 5만 명의 구출에 큰 공을 세웠다.[9]
3. 3. LSSAH 지휘관
테오도어 비시는 베셀부레너코크의 농가 출신이다. 1930년에 친위대(SS)에 입대(대원 번호 4,759)하여, 폴란드 침공 당시 친위대 대위가 되었다. 친위대 특무부대의 보병 연대 "LSSAH"에 소속되었으며, 1940년 1월 30일에 친위대 소령이 되었다. LSSAH에 소속된 대대 지휘관으로 서부 전선과 발칸 전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싸웠다. 이후 LSSAH와 함께 1941년 6월부터 시작된 독소전에 참전하여 1941년 9월에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1942년 가을에 "LSSAH" 사단의 제2 기갑척탄병 연대 지휘관이 되었고, 1943년 1월 30일에 친위대 대령으로 승진했다.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에서의 용전이 인정되어 1943년 2월 25일에 독일 십자 훈장 금장을 수여받았다.[9] 1943년 4월 7일에 "LSSAH" 사단장에 취임했고, 7월 1일에는 친위대 상급대령으로 승진했다. LSSAH 사단은 격심한 손해를 입으면서도 다수의 작전에 종사했으며, 특히 체르카시 포위망에 갇힌 독일군 5만 명의 구출에 큰 공적을 남겼다. 1944년 2월 12일에 친위대 소장 및 무장친위대 소장으로 승진함과 동시에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 백엽장을 수여받았다.| 날짜 | 한국어 번역 |
|---|---|
| 1943년 12월 31일 | 지토미르 지역에서 벌어진 격렬한 방어전에서, 비시 SS 상급지도자가 이끄는 SS 기갑사단 제1SS 기갑사단 "LSSAH"는 모범적인 투지를 보여 특히 뛰어났다.[9] |
3. 4. 노르망디 상륙 작전
1944년 6월부터 노르망디 상륙 작전으로 쳐들어온 미국군과 영국군에 맞서 싸웠으나, 심각한 타격을 입고 비쉬 자신도 양다리를 잃는 큰 부상을 입었다. 이 때문에 1944년 8월부터 빌헬름 몬케 장군이 사단장직을 이어받았다. 비쉬는 8월 말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 검장을 받았다.4. 종전 이후
비쉬는 영국군의 포로가 되었으며, 1948년에 석방되었다. 1990년에는 자서전 "12년간의 LSSAH 제1중대, 올덴도르프 전우회 책"을 저술했다.
5. 서훈 내역
철십자 훈장de (1939) 2급 (1939년 9월 24일)[1] 및 1급 (1939년 11월 8일)[1]
독일 십자 훈장de 금장 (1943년 2월 25일) - SS-슈탄다르텐퓌러 계급으로 제2 기갑척탄병 연대 SS-기갑척탄병 사단 "라이프슈탄다르테 SS 아돌프 히틀러" 소속[2][7]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 (백엽검)de
-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de (1941년 9월 15일) - SS-슈투름반퓌러 계급으로 LSSAH 제2대대장[3][4]
- 백엽 393호 (1944년 2월 12일) - SS-브리게데퓌러 계급으로 LSSAH 사령관[3][5]
- 검 94호 (1944년 8월 30일) - 무장 SS SS-브리게데퓌러 및 제너럴마요어 계급으로 LSSAH 사령관[3][6]
1938년 3월 13일 기념 메달de
1938년 10월 1일 기념 메달de "프라하 성" 약장 부착
친위대 근속장de (SS-Dienstauszeichnung)
국가 스포츠 훈장 동장
친위대 전국지도자 명예 장검de
친위대 명예 링de
1939년판 철십자 훈장de 2급 (1939년 9월 24일)[1] 및 1급 (1939년 11월 8일)[1]
동부 전선 종군 기장de
1939년판 전상장de 흑장 및 은장[8]
루마니아 왕국 왕관 훈장
보병 돌격장de 은장[8]
국방군 군보에서의 언급 (1943년 12월 31일)
6. 참고 문헌
- 토마스 피셔de (2008). 《''Leibstandarte''의 병사들: SS-여단지도자 빌헬름 모нке와 히틀러 정예 사단의 병사 62명》. Fedorowicz (J.J.). ISBN 978-0-921991-91-5.
- 클라우스 D. 파츠발de & 베이트 세르처de (2001). 《''Das Deutsche Kreuz 1941 – 1945 Geschichte und Inhaber Band II'' (독일 십자장 1941 – 1945 역사와 수훈자 2권)》. 노르더슈테트, 독일: Verlag Klaus D. Patzwall. ISBN 978-3-931533-45-8.
- 마이클 프랭크 레이놀즈영어 (1997). 《강철의 불지옥: 노르망디의 제1 SS 기갑 군단: 1944년 노르망디 전역에서 제1 및 제12 SS 기갑 사단의 이야기》. 스틸허스트: 스펠마운트. ISBN 1-873376-90-1.
- 베이트 세르처de (2007). 《''Die Ritterkreuzträger 1939–1945 Die Inhaber des Ritterkreuzes des Eisernen Kreuzes 1939 von Heer, Luftwaffe, Kriegsmarine, Waffen-SS, Volkssturm sowie mit Deutschland verbündeter Streitkräfte nach den Unterlagen des Bundesarchives'' (기사십자 훈장 수훈자 1939–1945 육군, 공군, 해군, 무장친위대, 국민돌격대, 그리고 독일과 동맹을 맺은 군대의 1939년 철십자 기사십자 훈장 수훈자(연방 문서 보관소의 기록에 따름))》. 예나, 독일: Scherzers Militaer-Verlag. ISBN 978-3-938845-17-2.
- 프란츠 토마스de (1998). 《''Die Eichenlaubträger 1939–1945 Band 2: L–Z'' (1939–1945년 참나무 잎사귀 훈장 수훈자 2권: L–Z)》. 오스나브뤼크, 독일: Biblio-Verlag. ISBN 978-3-7648-2300-9.
참조
[1]
서적
Thomas 1998
[2]
서적
Die Ritterkreuzträger 1939-1945
Scherzers Militaer-Verlag, Ranis/Jena
2007
[3]
서적
Scherzer 2007
[4]
서적
Fellgiebel 2000
[5]
서적
Fellgiebel 2000
[6]
서적
Fellgiebel 2000
[7]
서적
Patzwall & Scherzer 2001
[8]
서적
Berger 1999
[9]
간행물
Die Wehrmachtberichte 1939–1945 Band 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