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1987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지》는 1987년 10월 24일부터 1989년 8월 6일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총 103부작의 대하드라마이다. 최서희, 김길상, 봉순 등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최 참판 댁, 평사리 사람들, 조준구 일당 등 다양한 등장인물들이 출연하여, 몰락하는 가문을 일으키려는 여성의 이야기와 격동의 시대를 그려냈다. 김하림, 김원석이 극본을, 주일청을 비롯한 여러 연출진이 참여했으며, 임동진, 반효정, 연규진 등 다수의 배우들이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지 (소설)를 바탕으로 한 작품 - 토지 (1974년 영화)
1974년 개봉한 김수용 감독의 영화 《토지》는 박경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고종 시대 부유한 토지 소유 가문의 연대기를 다루며, 김지미와 이순재가 주연을 맡고 허장강, 최정민, 김희라, 황해 등이 출연했다. - 토지 (소설)를 바탕으로 한 작품 - 토지 (2004년 드라마)
박경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2004년 SBS 드라마 《토지》는 몰락한 최참판 댁 아기씨 최서희의 파란만장한 삶과 일제강점기 격변하는 시대상을 그린 52부작 드라마로, 2006년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대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김원석 시나리오 작품 - 임꺽정 (1996년 드라마)
1996년 SBS 드라마 《임꺽정》은 백정 출신 임꺽정의 성장 과정을 다루며, 정흥채, 차광수, 김원희 등이 출연했고 선정성 및 초상권 침해 논란이 있었다. - 김원석 시나리오 작품 - 행촌 아파트
행촌 아파트는 강남길, 양미경, 김상순 등 다수의 출연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이다. - 일제강점기 역사 드라마 - 김구 (드라마)
김구의 일생을 그린 KBS 대하드라마 《김구》는 김상중과 조상건이 김구 역을 맡았고 안중근, 이완용, 이승만 등 주요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이승만 역 배우의 범죄 혐의 및 유족의 명예훼손 고소 등 논란이 있었다. - 일제강점기 역사 드라마 - 여명의 눈동자
김성종의 소설을 원작으로 송지나가 극본을 쓰고 김종학 PD가 연출한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는 일제 강점기부터 한국 전쟁까지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세 남녀의 엇갈린 운명과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토지 (1987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프로그램 명칭 | 토지 |
원작 | 박경리 작 『토지』 |
장르 | 역사극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시대적 배경 | 이씨 조선,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
제작진 | |
총감독 | 주일청 (추・일チョン) |
연출 | 총지휘: 주일청 (チュ・イルチョン) 1-2부: 윤흥식 1부: 윤영묵, 이녹영 3부: 오동석, 정을영 4부: 류시형 |
극본 | 제1, 3, 4부: 김하림 제2부: 김원석 |
음악 | 작곡: (정보 없음) |
제작 | (정보 없음) |
방송 채널 | KBS 제1텔레비전 |
방송 정보 | |
방송 기간 | 1987년 10월 24일 - 1989년 8월 6일 |
방송 시간 | 매주 토요일, 일요일 21시 20분-22시 30분 |
방송 분량 | 70분 |
방송 횟수 | 103회 |
방송 회차별 정보 | 1부: 40회 2부: 23회 3부: 22회 4부: 18회 |
방송망 | KBS 대하드라마 |
영상 형식 | 아날로그 방송 |
출연진 | |
주요 출연진 | 최수지 임동진 반효정 |
2. 등장인물
다음은 드라마 《토지》의 등장인물 목록이다.
주요 인물 | 배역 |
---|---|
최서희 | 최수지|崔秀智한국어 |
김길상 | 윤승원|尹承元한국어[6] |
봉순 | 김희진 |
이상현 | 백준기[7] |
김거복 | 백인철 |
윤씨 부인 | 반효정[7] |
최치수(崔致修) | 태민영[7] |
김환(金環) / 구천(九泉) | 김영철[7] |
홍씨 | 김성녀 |
귀녀(貴女) | 김명희 |
봉순 엄마 | 사미자 |
강낭 할머니 | 정애란 |
김 서방 | 하대경 |
조준구(趙俊九) | 연규진 |
조평수 | 이영재 |
이룡(李龍) | 임동진 |
이홍 | 최성준 |
장이 | 이주경 |
월선(月仙) | 선우은숙 |
강청택(江清宅) | 연운경 |
임의 어머니 | 박원숙 |
임이(任) | 안문숙 |
칠성(七星) | 백찬기 |
김평산(金平山) | 이치우 |
함안댁(咸安宅) | 여운계 |
김영팔(金永八) | 민지환 |
이동진(李東晋) | 양재성 |
허윤보(許潤保) | 김성겸 |
문(文)의원 | 이정만 |
김한복(金漢福) | 선우재덕 |
최환국 | 김민종 |
최윤국 | 이만성 |
이양현 | 김다혜 |
장영학 | 임혁주 |
유인실 | 박정금 |
오가타 지로 | 강태기 |
임명희 | 이경표 (배역 교체 후) |
조영하 | 홍요섭 |
공(孔) 노인 | 신구[6] |
공송애(孔松愛) | 윤유선 |
손관수 | 김성환 |
박효영 / 김개주 | 오영갑 |
우관 | 박병호 |
혜관 | 박용식 |
수기 | 이주희 |
서지감 | 최정훈 |
위 등장인물 외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주요 인물
- 최수지 : 최서희 역[6]
- 윤승원 : 김길상 역[6]
- 김희진 : 봉순 역
- 백준기 : 이상현 역[7]
- 백인철 : 김거복 역
- 반효정 : 윤씨 부인 역[7]
- 태민영 : 최치수 역[7]
- 김영철 : 김환(구천) 역[7]
- 김성녀 : 홍씨 역
- 김명희 : 귀녀 역
- 사미자 : 봉순 엄마 역
- 정애란 : 강낭 할머니 역
- 하대경 : 김 서방 역
- 연규진 : 조준구 역
- 이영재 : 조평수 역
- 임동진 : 이룡 역
- 최성준 : 이홍 역
- 이주경 : 장이 역
- 선우은숙 : 월선 역
- 연운경 : 강청택 역
- 박원숙 : 임의 어머니 역
- 안문숙 : 임이 역
- 백찬기 : 칠성 역
- 이치우 : 김평산 역
- 여운계 : 함안댁 역
- 민지환 : 김영팔 역
- 양재성 : 이동진 역
- 김성겸 : 허윤보 역
- 이정만 : 문 의원 역
- 선우재덕 : 김한복 역
- 김민종 : 최환국 역
- 이만성 : 최윤국 역
- 김다혜 : 이양현 역
- 임혁주 : 장영학 역
- 박정금 : 유인실 역
- 강태기 : 오가타 지로 역
- 이경표 : 임명희 역
- 홍요섭 : 조영하 역
- 신구 : 공 노인 역[6]
- 윤유선 : 공송애 역
- 김성환 : 손관수 역
- 오영갑 : 박효영 / 김개주 역
- 박병호 : 우관 역
- 박용식 : 혜관 역
- 이주희 : 수기 역
- 최정훈 : 서지감 역
2. 2. 최 참판 댁
'''윤씨 부인''' (반효정 분[7])최참판 댁의 안주인이자 최서희의 할머니이다.
'''김환''' / 구천 (김영철 분[7])
윤씨 부인의 조카이자 최서희의 정신적 지주이다.
'''최치수''' (태민영 분[7])
최서희의 아버지로, 나약하고 무능력한 양반이다.
'''별당아씨''' (한진주 분)
최치수의 첩이다.
2. 3. 평사리 사람들
등장인물 | 배역 |
---|---|
이용 | 임동진 |
공월선 | 선우은숙 |
허윤보 | 김성겸 |
문 의원 | 이종만 |
임이네 | 박원숙 |
강청댁 | 연운경 |
이칠성 | 백찬기 |
김평산 | 이치우 |
김 훈장 | 곽경환 |
김영팔 | 민지환 |
김이평 | 이대로 |
함안댁(김평산 부인) | 여운계 |
막딸네 | 김을동 |
영산댁 | 장미자 |
두만네 | 이주실 |
판술네 | 홍영자 |
석이네 | 장희진 |
강 포수 | 최헌철 |
정한조 | 안광진 |
강봉기 | 김하림 |
서금돌 | 황민 |
김한복 | 선우재덕 |
이홍 | 최성준 |
임이 | 안문숙 |
야무네 | 권미혜 |
두리네 | 방숙례 |
여치네 | 이제신 |
평사리 노인 | 고설봉 |
하동읍내 장터 장수 | 지계순 |
하동읍내 대장장이 | 유순철 |
평사리 노인 | 김동완 |
붙들이 | 이한위 |
정석 | 장승화 |
김한경 / 김범석 | 최석구 |
점아기 | 장영주 |
김인호 | 신은경 |
2. 4. 조준구 일당
2. 5. 최 참판 댁 하인들
- 사미자: 봉순네 역 - 봉순의 어머니이자 최 참판 댁의 하인이다.
- 김명희: 귀녀 역
- 전원주: 김서방댁 역
- 김일란: 삼월이 역
- 하대경: 김 서방 역
- 정애란: 간난할멈 역
- 오기환: 바우할배 역
- 봉혜선: 연이네 역
- 유종근: 삼수 역
- 김종구: 수동이 역
- 김영선: 복이 역
- 김상락: 돌이 역
2. 6. 진주 사람들
배역 | 배우 |
---|---|
장연학 | 임혁주 |
송관수 | 김성환 |
장이 | 이주경 |
숙이 | 이주희 |
나 형사 | 황범식 |
봉춘네 | 안영주 |
일본 순사 | 유병준 |
영선네 | 한경선 |
쪼깐이 | 장희수 |
송영선 | 신윤정 |
유모 | 신수강 |
기생어멈 소화 | 곽정희 |
박효영 | 오영갑 |
이홍의 동지 | 이원발 |
김두만 | 공경구 |
안자 | 박지영 |
최환국 | 박승호 → 김민종 |
최윤국 | 최상혁 → 이만성 |
이양현 | 김다혜 |
주막집 주인 | 원미원 |
2. 7. 용정 사람들
배역 | 배우 |
---|---|
공 노인 | 신구 |
공송애 | 윤유선 |
방씨 부인 | 박주아 |
주갑 | 윤문식 |
옥이네 | 남윤정 |
송장환 | 김시원 |
윤이병 | 안형식 |
은씨 | 이성웅 |
응칠이 | 양재만 |
심금녀 | 장혜숙 |
박 서방 | 맹호림 |
홍 서방 | 장항선 |
신씨 부인 | 정재순 |
달래어멈 | 장정희 |
양씨 | 이환지 |
월선옥 사장 | 원미원 |
2. 8. 지리산 동학-독립운동 관련
2. 9. 독립운동가들
- 양재성 : 이동진 역 - 독립운동가로, 김길상과 함께 활동한다.
- 최명수 : 권필응 역
- 유순철 : 강우규 역
- 박준금 : 유인실 역
- 홍승일 : 유인성 역
- 강태기 : 오가타 지로 역
- 김해권 : 박재연 역
- 신종섭 : 장인걸 역
2. 10. 서울 사람들
- 이경표: 임명희 역[1]
- 홍요섭: 조용하 역[1]
- 나한일: 조찬하 역[1]
- 최화정: 홍성숙 역[1]
- 허옥숙: 강선혜 역[1]
- 이일웅: 임 역관 역[1]
- 이정웅: 권오송 역[1]
- 김경하: 선우신 역[1]
- 안대용: 서의돈 역[1]
- 임병기: 황태수 역[1]
- 이병철: 선우일 역[1]
- 이미경: 백씨 부인 역[1]
2. 11. 기타
배역 | 배우 |
---|---|
소지감 | 최정훈 |
하기서 | 이문환 |
유 서방 | 박건식 |
전 참봉 | 김창봉 |
신선 | 이원종 |
오 서방 | 선동혁 |
오 서방댁 | 안해숙 |
안순이 | 강민경 |
지에코 | 김보미 |
민지연 | 안옥희 |
이치카와 | 송종원 |
김성환 | 손관수 |
오영갑 | 박효영, 김개주 |
박병호 | 우관 |
혜관 | 박용식 |
수기 | 이주희 |
서지감 | 최정훈 |
기타 | 윤덕용, 양영준, 최길호, 온영삼, 이한승, 정해창, 최창호, 임영식, 김수일, 박해상, 김순구, 신원균, 안정훈, 김정국, 강신구, 장혜진, 윤성국, 이수연, 박현정, 김미희, 박부양, 김영배, 장서희, 윤성옥, 박시영, 이현두, 전성기, 김범기, 이향수, 노영화, 김선덕, 김상훈, 차양희, 정승곤, 오진수, 최경수, 권오균, 최용팔, 김영순, 김민정, 주희, 강은주, 신용규, 이용진, 이영수, 조동신, 송석호, 김선덕, 김수연, 강영아, 홍영미, 장이경, 이화영, 박연은, 윤지수, 서준영, 김경애, 남경희, 송미령, 박순, 김은희, 이연정, 김만용, 이종민, 한태희, 이성수, 이민수, 김성환, 조지환, 김자영, 김정국, 임수택, 안성택, 박용민, 김상환, 윤영민, 박지홍, 김현석, 황동섭, 장민성 |
한국방송공사 KBS 1TV에서 1987년 10월 24일부터 1989년 8월 6일까지 KBS 대하드라마로 총 103회에 걸쳐 방송되었다.[4][2][3] 제1부는 1987년 10월 24일부터 1988년 4월 9일까지, 제2부는 1988년 4월 16일부터 1988년 8월 28일까지, 제3부는 1988년 10월 16일부터 1989년 3월 19일까지, 제4부는 1989년 4월 2일부터 1989년 8월 6일까지 방송되었다.
3. 방영 정보
2022년 4월 기준으로 총 103회가 웨이브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되고 있다.[4]
4. 제작진
5. 수상 내역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
1987년 | KBS 연기대상 | 대상 | 임동진 |
1988년 | 한국방송대상 | TV 여자연기상 | 반효정 |
미술상 | 이석우 | ||
1988년 | KBS 연기대상 | 대상 | 반효정 |
여자 최우수연기상 | 박원숙 | ||
남자 우수연기상 | 연규진 | ||
여자 우수연기상 | 연운경 | ||
남자 신인연기상 | 윤승원 | ||
여자 신인연기상 | 최수지 | ||
1988년 | KBS 연기대상 | 우정상 | 임동진 |
1988년 KBS 연기대상에서 윤 부인 역을 연기한 반효정이 대상을 수상하였고, 임의 어머니 역의 박원숙이 최우수 여자 연기상, 조준구 역의 연규진이 우수 남자 연기상, 서희 역의 최수지가 여자 신인 연기상을 수상했다.[5]
참조
[1]
뉴스
'토지' 3대 최서희 떴다…주인공에 김현주 낙점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03-11-18
[2]
웹사이트
토지
https://search.daum.[...]
2022-04-16
[3]
웹사이트
토지
https://search.naver[...]
2022-04-16
[4]
웹사이트
토지
https://www.wavve.co[...]
2022-04-12
[5]
웹사이트
1988 KBS 연기대상
https://search.naver[...]
2022-04-16
[6]
웹사이트
토지
https://movie.naver.[...]
2022-04-12
[7]
웹사이트
토지 출연
https://search.daum.[...]
2022-04-15
[8]
뉴스
「土地(토지)」의 서희役(역) 누가맡을까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4-07-16
[9]
뉴스
「土地(토지)」여주인공 서희役(역) 一般(일반) 공모키로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4-07-16
[10]
뉴스
「土地(토지)」여주인공 서희役(역) 一般(일반) 공모키로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4-07-16
[11]
뉴스
「土地(토지)」서희役(역)응모 千(천)4百(백)명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4-07-16
[12]
뉴스
드라마「土地(토지)」서희役(역)에 崔秀知(최수지)확정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4-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